KR200479046Y1 - 테이블의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테이블의 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046Y1
KR200479046Y1 KR2020130010309U KR20130010309U KR200479046Y1 KR 200479046 Y1 KR200479046 Y1 KR 200479046Y1 KR 2020130010309 U KR2020130010309 U KR 2020130010309U KR 20130010309 U KR20130010309 U KR 20130010309U KR 200479046 Y1 KR200479046 Y1 KR 2004790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eating groove
support leg
fixing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374U (ko
Inventor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이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진 filed Critical 이영진
Priority to KR2020130010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046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3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3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0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0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테이블의 절첩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절첩장치는, 상판과 받침다리로 구성되는 테이블에 형성되는 것으로, 받침다리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상판의 저부에 형성되는 제1브라켓과, 제1브라켓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도록 받침다리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브라켓으로 구성된 힌지부 및 상기 받침다리의 절첩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받침다리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금속으로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어 잦은 절첩 작동에도 받침다리의 파손이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또 받침다리를 고정하는 스토퍼장치의 구성을 슬림화시킬 수 있어 테이블 상판의 두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테이블의 절첩장치{FOLDABLE TABLE}
본 고안은 테이블의 절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다리를 접거나 펼칠 수 있고, 받침다리와 상판이 결합된 힌지 결합 구조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고, 절첩 작동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테이블의 절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사용되는 간이 식탁용 테이블은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이뤄지며, 테이블을 지지하는 수개의 받침다리가 테이블 바닥면에 각각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1131호에 "운반 설치가 용이한 식탁"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001131호의 식탁은, 대형 식탁의 횡지지 받침대로 연결한 받침다리를 적재 운송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접이식 식탁에 있어서, 횡지지 받침대로 연결한 받침다리에 합성수지편으로 구성된 임시 위치고정편을 부착하여 절첩토록 하고, 대향측 받침다리의 임시 위치고정편은, 일측은 식탁 저면에 부착하고 타측은 안내절취구를 구성하여 받침다리 상단에 고정된 안내핀이 안내되게 하여 엇갈리게 교합절첩 되고, 상기 받침다리를 세워서, 상기 안내핀이 안내절취구 끝으로 이동함에 따라 받침다리가 부착 고정위치에 위치토록 되면, 고정구에 볼트로 고정 부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식탁용 테이블은 휴대 또는 운반하기 위해 받침다리를 접을 경우 부피와 크기를 일부 줄일 수 있으나, 받침다리가 식탁용 테이블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므로, 식탁용 테이블을 차량에 적재시킬 경우 부피로 인해 차량의 한정된 공간에 의해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받침다리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힌지부의 내구성이 약하고, 받침다리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가 미비하거나 부실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받침다리를 접거나 펼치는 작동을 유발하는 힌지부를 내구성이 강화된 구조로 형성하고, 또 받침다리를 접거나 펼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장치를 구비하되, 스토퍼장치의 구성을 슬림화시켜 테이블 상판에 매립되도록 하여 두께를 최소화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 테이블의 절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판에 힌지결합되어 절첩작동되는 받침다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다리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상판의 저부에 형성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도록 받침다리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브라켓으로 구성된 힌지부 및 상기 받침다리의 접힘 또는 펼침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장치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절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받침다리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금속으로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어 잦은 절첩 작동에는 받침다리의 파손이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또 받침다리를 고정하는 스토퍼장치의 구성을 슬림화시킬 수 있어 테이블 상판의 두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절첩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절첩장치에 대한 저면도,
도 3은 상기 도 2에서 I-I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절첩장치의 '스토퍼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스토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상기 도 5에서 (b) 및 (c)에 대응되는 작동을 보여주는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절첩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절첩장치에 대한 저면도, 도 3은 상기 도 2에서 I-I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절첩장치의 '스토퍼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스토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상기 도 5에서 (b) 및 (c)에 대응되는 작동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절첩장치는, 수납홀(120)이 다수로 형성된 상판(100)과, 일단이 상기 수납홀(120)에 삽입되어 힌지부로 힌지결합되어 절첩작동되는 받침다리(200)로 구성되는 테이블에 적용되는 것이며, 받침다리(200)와 상판(100)을 연결하는 힌지부(H)와, 받침다리(200)의 접힘 또는 펼침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장치(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판(100)은 나무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경량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단일의 판재이거나 또는 반으로 접히도록 2개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100)에는 수납홀(120)이 다수 형성되고, 각 수납홀(120)에는 받침다리(200)가 결합되어 접었을때는 받침다리(200)가 수납홀(120)에 매립될 수 있도록 하여 상판(100)의 두께가 받침다리(200)로 인해 증가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각 수납홀(120)들은 대략 '×'자 형태로 배열되어 4개로 구성된다. 아울러 받침다리(200)도 4개로 구성된다.
받침다리(200)는 상판(10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경량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일단이 수납홀(120)의 내측 끝부분에 삽입되며, 삽입된 부위에 힌지부(H)가 형성되어 절첩작동되도록 힌지결합된다.
힌지부(H)는, 받침다리(20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수납홀(120)의 주변에 부착되는 제1브라켓(3); 제1브라켓(3)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축핀(50)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받침다리(200)의 상단 외측에 부착되는 제2브라켓(5);로 구성된다.
제1브라켓(3)는 받침다리(20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수납홀(120)의 끝부분 주변에 부착되며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된 외면부재(32)와, 상기 외면부재(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납홀(120)의 끝부분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내면부재(34)로 구성된다.
제2브라켓(5)는 수납홀(120)에 끼워지는 받침다리(200)의 상단 외면에 감싸지도록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기 제1브라켓(3)의 내면부재(34)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축핀(5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스토퍼장치(2)는 받침다리(200)의 접힘 및 펼침 상태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스토퍼장치(2)는 상판(100)의 저면에 패여져 형성된 안착홈부(21); 안착홈부(21)에 삽입되며 일단에 회동부(221)가 형성되어 회전되며, 타측에 걸림턱(222)이 형성되고 일측에 경사면(223)이 형성된 고정구(22); 안착홈부(21)에 삽입되어 고정구(22)를 지지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23); 받침다리(200)의 제2브라켓(5)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고정구(22)의 경사면(223)에 지지되는 가이드봉(24); 안착홈부(21)에 덮히도록 결합되어 고정구(22)와 탄성부재(23)를 덮는 커버판(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홈부(21)는 고정구(22)와 탄성부재(23) 및 가이드봉(24)이 매립되기 위한 것으로, 상판(100)의 저면에 형성된 제1안착홈(211)과, 상기 제1안착홈(211) 보다 더 깊게 형성된 제2안착홈(212)과, 상기 제1안착홈(211)에서 제2안착홈(212)에 이어지는 단턱(2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턱(213)의 일측에 형성되며 탄성부재(23)의 일측이 지지되는 제1고정홈(214)과, 상기 단턱(213)의 타측에 형성되며 고정구(22)의 회동부(221)가 삽입되는 제2고정홈(215)을 포함한다.
제2고정홈(215)은 후술될 고정구(22)의 회동부(221)가 원형임을 감안하여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2고정홈(215) 및 회동부(221)가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구(22)가 회동부(221)를 기준점으로 하여 제2안착홈(212) 내에서 선회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22)의 선회운동은 가이드봉(24)이 기립되면서 고정구(22)를 일측으로 밀게 되므로 유발된다.
그리고 제2안착홈(212)의 저면에 철판(218)이 매설된다. 철판(218)은 가이드봉(24)의 타단부(242)가 접한 상태에서 왕복 이동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가이드봉(24)의 타단부(242)가 잦은 접촉을 하더라도 손상되지 않도록 철판을 적용한 것이다.
고정구(22)는 가이드봉(24)의 타단부(242)가 접촉된 상태로 이동된 후 일정 구간에서 걸림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고정구(22)는 일종의 금속 편체이면서 제2안착홈(212)에 매설되는데, 일단에는 둥근 형상으로 회동부(22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커버판(25)의 외부로 노출되어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위한 노브(226)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구(22)는 걸림턱(222)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면(22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222)의 반대편에는 상기 탄성부재(23)에 지지되는 고정턱(227)이 형성된다.
탄성부재(23)는 철사를 '∨'형상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것으로, 일측은 제1고정홈(214)에 삽입되고, 타측은 고정구(22)의 고정턱(227)에 삽입됨으로써 고정구(22)를 미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구(22)는 탄성부재(23)에 의해 항상 탄력적으로 지지됨으로써 가이드봉(24)이 세워지거나 눕는 작동을 하면서 그 타단부가 고정구(22)의 경사면(223)을 타고 이동하므로 고정구(22)를 밀게 되나 탄성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구(22)는 일측으로 밀려났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아울러 항상 가이드봉(24)의 타단부(242)를 고정구(22)가 밀어줌으로써 경사면(223)을 타고 이동하는 작동이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이드봉(24)은 금속봉체이며 그 양단부를 외측으로 상반되게 절곡시킴으로써 양단부(241,242)가 각기 대향되게 형성되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받침다리(200)를 세우는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고정구(22)의 노브(226)를 손가락으로 밀어 일측으로 선회되도록 한다(도 5의 (b) 및 도 5의 (b')참조).
이에 의해 탄성부재(23)가 압축되며, 고정구(22)의 선회로 인해 가이드봉(24)의 타단부가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후 받침다리(200)를 잡고 세우면 가이드봉(24)의 일단부(241)는 받침다리(200)의 제2브라켓(5)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봉(24)이 세워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봉(24)의 타단부(242)가 이동되면서 고정구(22)의 경사면(223)을 타고 이동하다가 걸림턱(222)에 걸려 고정되고, 받침다리(200)의 세우는 작동이 완료된 상태가 된다(도 5의 (c) 및 도 6의 (c')참조).
한편 받침다리(200)를 접는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고정구(22)의 노브(226)를 손가락으로 밀어 선회되도록 하여 가이드봉(24)의 타단부(242)가 걸림턱(22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후 받침다리(200)를 접어 수납홀(120)에 넣으면 가이드봉(24)의 타단부(242)는 경사면(223)을 타고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최종 위치에 도달되면 받침다리(200)의 접는 작동이 완료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스토퍼장치 3 : 제1브라켓
5 : 제2브라켓 21 : 안착홈부
22 : 고정구 23 : 탄성부재
24 : 가이드봉 25 : 커버판
32 : 외면부재 34 : 내면부재
100 : 상판 120 ; 수납홀
200 : 받침다리

Claims (9)

  1. 삭제
  2. 상판과 받침다리로 구성되는 테이블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다리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상판의 저부에 제1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은
    상판 저부의 받침다리의 상단이 삽입되는 수납홀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홀의 끝부분 주변에 부착되며 'ㄷ'자 형상으로 된 외면부재; 및
    상기 외면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납홀의 끝부분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내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도록 받침다리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브라켓으로 구성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절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에는 축핀이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의 내면부재에 끼움 결합되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절첩장치.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의 접힘 및 펼침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장치는
    상기 상판의 저면에 패여져 형성된 안착홈부;
    상기 안착홈부에 삽입되며 일단에 회동부가 형성되어 회전되며, 타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구;
    상기 안착홈부에 삽입되어 고정구를 지지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
    상기 받침다리의 제2브라켓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고정구의 경사면에 지지되는 가이드봉;
    상기 안착홈부에 덮히도록 결합되어 고정구와 탄성부재를 덮는 커버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절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부는
    상기 상판의 저면에 형성된 제1안착홈과, 상기 제1안착홈 보다 더 깊게 형성된 제2안착홈과, 상기 제1안착홈에서 제2안착홈에 이어지는 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단턱의 일측에 형성되며 탄성부재의 일측이 지지되는 제1고정홈과, 상기 단턱의 타측에 형성되며 고정구의 회동부가 삽입되는 제2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절첩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일단에는 둥근 형상으로 회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반대편에는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는 고정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절첩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철사를 '∨'형상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절첩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은 양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절첩장치.
KR2020130010309U 2013-12-11 2013-12-11 테이블의 절첩장치 KR2004790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309U KR200479046Y1 (ko) 2013-12-11 2013-12-11 테이블의 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309U KR200479046Y1 (ko) 2013-12-11 2013-12-11 테이블의 절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374U KR20150002374U (ko) 2015-06-19
KR200479046Y1 true KR200479046Y1 (ko) 2015-12-11

Family

ID=5351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309U KR200479046Y1 (ko) 2013-12-11 2013-12-11 테이블의 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04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647A (ja) * 2000-03-16 2001-09-25 Yamada Kogyo Kk 脚の折り畳み機構
JP2002095528A (ja) 2001-07-30 2002-04-02 Kokuyo Co Ltd 家 具
JP2005230154A (ja) 2004-02-18 2005-09-02 Ibiken Kk 折り畳み式テーブ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647A (ja) * 2000-03-16 2001-09-25 Yamada Kogyo Kk 脚の折り畳み機構
JP2002095528A (ja) 2001-07-30 2002-04-02 Kokuyo Co Ltd 家 具
JP2005230154A (ja) 2004-02-18 2005-09-02 Ibiken Kk 折り畳み式テ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374U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1784B2 (en) Folding device for a tabletop
KR200464934Y1 (ko) 휴대용 풋레스트
USD593695S1 (en) Lighting device
JP2009147037A5 (ko)
US20100192812A1 (en) Foldable bar table
US9661923B2 (en) Table and accessory unit assembly and method of docking accessory unit to table
US20130276229A1 (en) Spring Bed Foundation
CN104768431A (zh) 脚架
US20080250988A1 (en) Foldable table having movable strut-retainer
JP2010537762A (ja) 折りたたみテーブル
KR200472125Y1 (ko) 가구의 사선형 다리 부착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경첩
KR200480902Y1 (ko) 휴대용 테이블
KR200479046Y1 (ko) 테이블의 절첩장치
US20120047650A1 (en) Bed that is Folded and Expanded Easily and Quickly
US20070221104A1 (en) Foldable table
KR101687143B1 (ko) 테이블
US2497552A (en) Collapsible furniture leg
US9622569B2 (en) Compact-stand, folding table
KR200468182Y1 (ko) 접철식 테이블 다리
EP2770873B1 (en) Support structure for tables and table comprising said support structure
KR102031950B1 (ko) 폴더 기능을 갖는 테이블
KR200473929Y1 (ko) 평상 기능을 가진 테이블
KR20100006827U (ko) 상판 접이식 책상
US8960614B2 (en) Foldable support assembly
JP3162594U (ja) 家具の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