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967Y1 - 회전완구 - Google Patents

회전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967Y1
KR200478967Y1 KR2020140002507U KR20140002507U KR200478967Y1 KR 200478967 Y1 KR200478967 Y1 KR 200478967Y1 KR 2020140002507 U KR2020140002507 U KR 2020140002507U KR 20140002507 U KR20140002507 U KR 20140002507U KR 200478967 Y1 KR200478967 Y1 KR 200478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groove
blades
toy according
pres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658U (ko
Inventor
홍종훈
Original Assignee
동우에이앤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에이앤이(주) filed Critical 동우에이앤이(주)
Priority to KR2020140002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96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6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9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10Tops able to be spun by whirling the axis with both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6Spinning-top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0Tops with figure-like features; with movable objects, especially fig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고 손가락을 이용하여 쉽게 회전시켜 다수의 회전체들 간에 충돌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완구는 판(板)형으로 형성된 몸체(1)와 다수의 날개(2)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1)는 저면 바깥쪽에 회전축 돌기(101)를 구비하고 다수의 날개를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해 바깥면이 폐쇄형으로 형성된 날개 수에 상응하는 제1 끼움홈(121)을 구비한 제1 몸체(12)와, 상기 다수의 날개를 중앙부에서 지지하기 위해 개방형으로 형성된 날개 수에 상응하는 제2 끼움(131)홈을 구비한 제2 몸체(13)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날개(2)는 각 날개의 판면이 상기 제1 몸체(12) 및 제2 몸체(13)의 면에 직교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시 날개의 면이 지면에 수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완구 {A SPINNING TOY}
본 고안은 회전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고 손가락을 이용하여 쉽게 회전시켜 다수의 회전체들 간의 충돌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오래전부터 회전완구 놀이의 일종인 팽이놀이는 다수의 팽이들이 회전하면서 서로 몸체가 부딪히도록 하여 회전을 유지하는 쪽이 이기고 회전을 멈추는 쪽이 패하는 방식으로 놀이가 이루어졌다.
종래의 팽이는 줄을 이용하여 팽이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는 다소의 기술을 요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에게 다소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어린이들은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난 다양한 기능의 완구와 새로운 놀이 방식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있는바 새로운 형태의 완구와 조작이 쉽고 언제 어느 곳에서나 간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완구에 대한 요구는 지속되어 왔다. 회전완구와 관련한 선행기술의 하나로 부가적인 장치를 활용하여 팽이를 돌리고 서로 충돌하게 하는 완구가 고안된바 있다(특허문헌1). 그러나 상기 고안은 게임을 위해 회전을 위한 보조적 장치가 필요하고 제조상의 어려움을 수반한다. 또한, 팽이의 제작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판재를 활용한 고안이 제안된바 있었으나(특허문헌2), 이 또한 구조가 단순하여 흥미를 유발하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었다.
KR 2020110007319 U KR 1998-059150 U
본 고안에 따른 회전완구는 간편한 조립과 손쉬운 회전체의 조작을 통해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상대방과 충돌 게임을 줄길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완구는 판(板)형으로 형성된 몸체(1)와 다수의 날개(2)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1)는 저면 바깥쪽에 회전축 돌기(101)를 구비하고 다수의 날개를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해 바깥면이 폐쇄형으로 형성된 날개 수에 상응하는 제1 끼움홈(121)을 구비한 제1 몸체(12)와, 상기 다수의 날개를 중앙부에서 지지하기 위해 개방형으로 형성된 날개 수에 상응하는 제2 끼움(131)홈을 구비한 제2 몸체(13)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날개(2)는 각 날개의 판면이 상기 제1 몸체(12) 및 제2 몸체(13)의 면에 직교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시 날개의 면이 지면에 수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2)들은 내측 중앙부에 상기 제2 끼움홈(131)에 수직으로 교차하여 결합하기 위한 날개 끼움(21)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12)는 개방형 끼움홈(1221)이 형성된 내측판(122)과 홈이 형성되지 않은 외측판(123)이 접착됨으로써 폐쇄형 제1 끼움홈(12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는 다수의 날개(2)를 상부에서 지지하기 위해 바깥면이 폐쇄형으로 형성된 날개 수에 상응하는 제3 끼움홈(141)을 구비한 제3 몸체(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몸체(14)의 바깥 면에는 제2 회전축 돌기(10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몸체(14)는 개방형 끼움홈이 형성된 내측판과 홈이 형성되지 않은 외측판이 접착됨으로써 폐쇄형 제3 끼움홈(14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완구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회전체를 손쉽게 구동할 수 있고, 규격에 맞게 끼움홈이 형성되어있어 어린이들도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조립하여 완구를 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날개를 교체하여 변형을 가함으로써 회전시 다양한 시각적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각 부품별로 분해하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골판지재, 목재 또는 각종 합성수지재를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어 제조상 잇점이 있으며, 비용절감에 효과적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완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완구의 놀이방법을 설명한 상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완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제3 몸체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몸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제3 몸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날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몸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날개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에 따른 회전완구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판형으로 형성된 몸체(1)가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 몸체(12), 중앙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몸체(13) 및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3 몸체(14)로 각각 구성되고, 상기 제1 몸체와 제3 몸체의 바깥쪽 판면의 중심부에 회전완구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회전축 돌기(101)(102)들이 각각 형성되고, 다수의 날개(2)들이 각 몸체들에 형성된 끼움홈들에 단단히 결합된 완성된 회전완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 몸체의 바깥 면에 제2 회전축 돌기가 형성된 것은 3중의 몸체를 이용해 날개를 단단히 지지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 상하 양면을 모두 회전 기저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몸체(1)의 평면은 도시된 형태인 육각형외 원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 부재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골판지재,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완성된 회전완구를 이용하여 놀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다수의 날개 중 어느 하나를 손가락으로 튕겨 완구를 회전시키고 이동시킴으로써 상대방의 회전완구와 충돌시켜 대결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완구의 기본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형은 판형으로 된 제1, 제2 두개의 몸체로 구성된다. 하부를 지지하며 회전의 기저 역할을 수행하는 제1 몸체(12)는 바닥을 향하는 바깥쪽에 회전축 돌기(1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 돌기(10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일 수도 있고, 반구형이거나 핀(pin) 형상을 할 수도 있다. 제1 몸체(12)는 날개들을 고정하기 위해 날개의 수에 상응하도록 다수의 제1 끼움홈(121)들이 형성되는데, 조립과정에서 날개 측단이 비집고 나와 회전을 방해할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몸체의 바깥면 쪽이 폐쇄된 형태의 끼움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폐쇄형 끼움홈을 제조상 쉽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형 홈이 형성된 내측판(122)과 홈이 형성되지 않은 외측판(123)이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어 접착제 등으로 결합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몸체(13)는 완구 높이의 중앙부에서 날개(2)들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 몸체는 제1 몸체에 형성된 끼움홈과 같은 위치에 제2 끼움홈(131)이 형성되되, 날개면과 교차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가 통공된 개방형으로 형성된다. 날개면을 손가락으로 튕길때 날개가 틀어짐이 없도록 잘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끼움홈(121)과 제2 끼움홈(131)의 폭은 날개(2)를 구성하는 판재의 두께를 고려하여 헐겁지 않도록 적절하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제3 몸체(14)는 회전완구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부에서 날개(2)들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그 형상 및 구성은 제1 몸체(12)와 같다. 즉, 폐쇄형 제3 끼움홈(141)을 구비하며, 상기 제3 끼움홈(141)은 도4에 도시된바와 같이 개방형 끼움홈을 구비한 내측판(122)과 끼움홈이 없는 외측판(123)을 결합함으로서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하 양면을 회전의 기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상부 바깥면에는 제2 회전축 돌기(102)를 형성할 수 있다.
도6은 폐쇄형 끼움홈을 구비한 제1 몸체와 제3 몸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날개의 내측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날개 끼움홈 없이 제2 몸체와 결합하는 형태(2a)와 내측단에 날개 끼움홈(21)을 형성하여 제2 몸체와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형태(2b)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제2 몸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날개의 내측단에 날개 끼움홈(21)이 형성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끼움홈(131b)의 깊이를 얕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9는 다양한 모양의 날개(2)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날개(2)의 외측단은 2(1) 내지 2(6)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형상을 구비하여 회전시 시각적으로 심미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내용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완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위 내용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고안에 따른 권리범위는 청구항에 기재된 내용은 물론 이와 균등한 범위에까지 미칠 수 있다 할 것이다.
1: 몸체 101: 회전축 돌기
102: 제2 회전축 돌기 12: 제1 몸체
121: 제1 끼움홈 122: 내측판
1221: 개방형 끼움홈 123: 외측판
13: 제2 몸체 131: 제2 끼움홈
14: 제3 몸체 141: 제3 끼움홈
2: 날개 21: 날개 끼움홈

Claims (6)

  1. 판형으로 형성된 몸체와 다수의 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저면 바깥쪽에 회전축 돌기를 구비하고 다수의 날개를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해 바깥면이 폐쇄형으로 형성된 날개 수에 상응하는 제1 끼움홈을 구비한 제1 몸체와,
    상기 다수의 날개를 중앙부에서 지지하기 위해 개방형으로 형성된 날개 수에 상응하는 제2 끼움홈을 구비한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날개는 각 날개의 판면이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면에 직교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시 날개의 면이 지면에 수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들은 내측 중앙부에 상기 제2 끼움홈에 수직으로 교차하여 결합하기 위한 날개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개방형 끼움홈이 형성된 내측판과 홈이 형성되지 않은 외측판이 접착됨으로써 폐쇄형 제1 끼움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다수의 날개를 상부에서 지지하기 위해 바깥면이 폐쇄형으로 형성된 날개 수에 상응하는 제3 끼움홈을 구비한 제3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몸체의 바깥 면에는 제2 회전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완구.
  6. 제4항 에 있어서, 상기 제3 몸체는 개방형 끼움홈이 형성된 내측판과 홈이 형성되지 않은 외측판이 접착됨으로써 폐쇄형 제3 끼움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완구.
KR2020140002507U 2014-03-28 2014-03-28 회전완구 KR200478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507U KR200478967Y1 (ko) 2014-03-28 2014-03-28 회전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507U KR200478967Y1 (ko) 2014-03-28 2014-03-28 회전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58U KR20150003658U (ko) 2015-10-07
KR200478967Y1 true KR200478967Y1 (ko) 2015-12-04

Family

ID=5434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507U KR200478967Y1 (ko) 2014-03-28 2014-03-28 회전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96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698Y1 (ko) 2001-08-23 2001-12-24 최봉규 보조놀이구를 가진 팽이
KR200293129Y1 (ko) 2002-07-04 2002-10-25 글로리 인노베이션스 인코퍼레이티드 팽이 장난감
KR200352584Y1 (ko) 2003-12-26 2004-06-09 김강철 팽이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698Y1 (ko) 2001-08-23 2001-12-24 최봉규 보조놀이구를 가진 팽이
KR200293129Y1 (ko) 2002-07-04 2002-10-25 글로리 인노베이션스 인코퍼레이티드 팽이 장난감
KR200352584Y1 (ko) 2003-12-26 2004-06-09 김강철 팽이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58U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0051B2 (ja) 回転型磁石結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立式玩具
KR20180030598A (ko) 장난감 건설세트
WO2012088164A1 (en) Magnetic toy pieces
KR100524153B1 (ko) 자석놀이완구의 패널 구조
JP2011224202A (ja) サイコロ玩具
KR200478967Y1 (ko) 회전완구
US20090061727A1 (en) Bubble-blowing wand
KR100865078B1 (ko) 조립용 블럭
JP3067318U (ja) コマ玩具
KR100937354B1 (ko) 회전이 가능한 조립식 블록 완구
KR100546070B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JP2009247882A (ja) 多連独楽
NO124293B (ko)
CN211215431U (zh) 一种有多种组合方式的拼接玩具
KR101981007B1 (ko) 팽이구성체의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다단식 팽이카드블록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팽이완구
KR20110028698A (ko) 조립 완구
KR200341421Y1 (ko) 조립식 팽이
US2053001A (en) Mosaic block
KR200293129Y1 (ko) 팽이 장난감
JP3086850U (ja) コマ玩具
JPH09155067A (ja) 独 楽
KR200434050Y1 (ko) 놀이용 완구
KR102656930B1 (ko) 로드형 조립식 완구에 사용되는 연결기구
KR102120972B1 (ko) 게임용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게임 완구
KR200386779Y1 (ko) 자석놀이완구의 패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