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421Y1 - 조립식 팽이 - Google Patents

조립식 팽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421Y1
KR200341421Y1 KR20-2003-0035863U KR20030035863U KR200341421Y1 KR 200341421 Y1 KR200341421 Y1 KR 200341421Y1 KR 20030035863 U KR20030035863 U KR 20030035863U KR 200341421 Y1 KR200341421 Y1 KR 200341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fuselage
center
jaw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철
Original Assignee
김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철 filed Critical 김강철
Priority to KR20-2003-0035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4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4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0Tops with figure-like features; with movable objects, especiall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dovetai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휴대 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판(a sheet) 형상으로 변형시키고, 사용할 때에는 입체 형상을 이루도록 하거나 복수 개수로 연결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팽이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판 형상의 무게 중심 부위에 절개홀을 갖는 동체와; 상기 절개홀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동체의 무게 중심 부위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지지축과; 봉 형상으로 상기 동체의 무게 중심 부위에서 상기 지지축의 지지를 받아 회전 가능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절개홀의 다른 방향 내벽에 각각 근접하는 회전축과; 상기 절개홀의 내벽에 구비한 지지턱; 및 상기 회전축상에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턱과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동체 표면에 대하여 회전축이 나란한 경우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동체와 회전축을 포함한 각 구성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단가가 저렴할 뿐 아니라 포장에 따른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판촉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고, 단독 또는 다수개를 상호 연결시켜 다양한 팽이 형상을 이루거나 누대구조로의 연결을 통하여 아이들에 대한 다양한 놀이와 입체적이고도 공간적인 구조물의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팽이{The top of assembled style}
본 고안은 조립식 팽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휴대 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판(a sheet) 형상으로 변형시키고, 사용할 때에는 입체 형상을 이루도록 하거나 복수 개수로 연결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팽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팽이는 세계적인 완구의 하나로서, 도토리 형상 즉, 직원뿔 형상을 거꾸로 세워 축을 중심으로 동체를 회전시켜 원심력과 회전관성을 이용하는 놀이이다.
종래의 팽이는 목재를 원추 형상으로 깎아 동체를 만들고, 그 회전 중심에 마찰에 대한 내성을 갖는 철심을 박은 것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현재에 와서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한 것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종래의 팽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부품을 조립하여 만들어질 뿐 아니라 이러한 팽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도구를 더 필요로 하는 등 많은 부품 수와 이들 부품의 조립에 따른 제조단가의 상승과 다수 부품의 조립 부위에 대한 구조적 결함으로 인하여 쉽게 파손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팽이의 형상은 원뿔 형상의 동체와 이 동체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는 형상의 회전축이 결합된 입체 형상을 이룸에 따라 그 포장에 있어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그 보관이나 휴대의 어려움을 갖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시트 형상으로 동체와 회전축을 단일체로 형성하고, 회전축을 선택적으로 수직하게 회전시켜 입체 형상으로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시트 형상에 따른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단순 조립에 의한 입체 형상의 팽이로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등록번호 20-0330772호)을 개시한 바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 해결과 선출원한 고안을 보완하여 아이들이 보다 다양한 놀이로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제조단가의 절감과 포장에 따른 부피의 절감을 통하여 판촉물로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는 조립식 팽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팽이들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팽이를 이루는 동체 형상의 다양한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한 동체 상호간의 연결에 따른 일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b에 도시한 동체 상호간의 연결에 따른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동체에 형성한 돌기부의 형성에 따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동체 12: 지지축
14: 회전축 16: 지지턱
18: 걸림턱 20: 끼움홈
22: 돌기부 24: 삽입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특징적 구성은, 판 형상의 무게 중심 부위에 절개홀을 갖는 동체와; 상기 절개홀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동체의 무게 중심 부위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지지축과; 봉 형상으로 상기 동체의 무게 중심 부위에서 상기 지지축의 지지를 받아 회전 가능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절개홀의 다른 방향 내벽에 각각 근접하는 회전축과; 상기 절개홀의 내벽에 구비한 지지턱; 및 상기 회전축 상에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턱과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체는 원, 타원 및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절개홀은 장방형 형상을 갖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기 동체의 무게 중심 부위에서 교차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은 어느 일 방향에 대한 상기 절개홀의 길이 방향 양단 내벽 사이를 연결토록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은 다른 방향에 대한 상기 절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벽에 근접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동체의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등각 배치를 이루어 상기 동체의 무게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개한 형상을 이루는 끼움홈과; 상기 동체의 중심을 기준하여 상기 끼움홈 사이의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돌출한 형상으로 상기 끼움홈에 부합하여 끼움 결합이 가능한 돌출부를 더 형성토록 함이 효과적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팽이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팽이와 이들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체의 형상에 대한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 또는 도 4는 복수 동체 사이의 결합 또는 연결에 따른 각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와 사시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팽이는,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무게 중심 부위에 절개홀(h)을 갖는 동체(10)를 이루고, 이 동체(10)의 절개홀(h)상에는 내벽으로부터 동체(10)의 무게 중심 부위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지지축(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축(12)은 절개홀(h)의 내벽으로부터 일체로 연장시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구성부로서 절개홀(h) 내벽으로부터 지지를 받도록 조립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축(12)상에는 동체(10)의 무게 중심 부위에 대응하여 봉 형상의 회전축(14)이 연결되고, 이 회전축(14)의 양측 단부는 절개홀(h)의 내벽에 대하여 근접하며, 지지축(12)을 기준하여 회전 가능한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회전축(14)은 지지축(12)과의 연결 관계에 있어서, 상호 일체로 형성되거나 지지축(12)에 조립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회전축(14)의 양측 단부 중 저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형상은 동체(10)의 회전에 대응하여 지면과 접촉으로부터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첨예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절개홀(h)의 내벽에는 돌출 또는 오목한 형상의 지지턱(16)이 형성되고, 회전축(14) 또는 회전축(14)과 지지축(12)이 연결된 부위에는 회전축(14)의 회전 위치에 대응하여 상술한 지지턱(16)과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걸림턱(18)을 회전축(14)의 회전 위치 즉, 회전축(14)이 동체(1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한 위치에서 걸림 결합으로 그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걸림턱(1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절개홀(h)은, 도 1a 내지 도 4의 도면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 형상이 상호 십자로 교차한 것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반하여 동체(10)의 중심 부위에 대한 원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술한 지지턱(16)은 원형의 절개홀 내벽으로부터 연장 돌출시킨 형상 또는 그 부위에 지지되게 조립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도면에는 절개홀(h)이 갖는 열십자 형상과 마찬가지로 지지축(12)과 회전축(14)이 절개홀(h) 내부 영역에서 열십자로 교차시킨 것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지지축(12)은 반드시 봉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굴곡한 형상 또는 동체(10)의 무게 중심 부위를 지나며 상호 연결된 복수의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것은 상술한 회전축(14)이 동체(10)의 표면에 대하여 나란한 위치 또는 수직한 위치로의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동체(10)의 형상은 원, 타원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술한 동체(10), 지지축(12), 회전축(14), 지지턱(16) 및 걸림턱(18)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사출 성형의 방법으로 한 일체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동체(10), 지지축(12), 회전축(14), 지지턱(16) 및 걸림턱(18)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술한 지지축(12)은 양측 단부가 절개홀(h)의 내벽에 고정된 상태로 있고, 회전축(14)가 연결된 중심 부위는 회전축(14)의 회전 위치에 따라 양단 부위를 기준하여 소정 각도로 꼬이는 형상을 이룬다. 이에 따라 지지축(12)은 회전축(14)이 동체(1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에서 꼬인 형상으로부터 정상인 상태로 복원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지지턱(16)은 회전축(14) 상에 형성한 걸림턱(18)과 걸림 결합으로 지지축(12)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회전축(14)이 동체(10) 표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회전축(14)을 다시 동체(10) 표면과 나란한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술한 지지축(12)의 탄성력에 보조하여 지지턱(16)과 걸림턱(18) 사이의 걸림 결합 이상의 힘을 제공토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동체(10)에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등각 배치를 이루어 동체(10)의 무게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개한 형상을 이루는 끼움홈(20)을 형성하고, 동체(10)의 중심을 기준하여 상호 이웃하는 양측 끼움홈(20) 사이의 중간 위치로부터 돌출부(22)를 형성토록 하며, 이 돌출부(22)는 다른 동체(10) 상에 있는 끼움홈(20)과 부합하는 형상으로 끼움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돌기부(22)상에는 동체(10)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돌기부(22)의 형성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고, 동체(10)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끼움홈(20)의 양측 내벽에는 돌기부(22)상에 형성된 돌기 또는 홈에 대응하여 짝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22)와 끼움홈(20)은,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동체(10)들 표면이 상호 나란한 형태 또는 수직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끼움 결합의 실시예로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10)의 표면을 보다 확장시킨 형상 또는 입체적인 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돌기부(22)는 동체(10)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돌기부(22)의 형성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고, 동체(10)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갖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한 세그먼트(22a, 22b)를 돌출시킨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들 세그먼트(22a, 22b)들의 사이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세그먼트(22a, 22b) 또는 동체(10)의 가장자리 부위가 두께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간격을 이루도록 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동체(10)가 각 세그먼트(22a, 22b)들 사이를 통한 누대구조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복수 세그먼트(22a, 22b)들이 짝수 개수로 형성될 경우 돌기부(22)와 끼움홈(2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10)의 무게 중심을 기준하여 회전함에 따른 어느 한 법선 방향에 대하여 세그먼트(22a, 22b) 굵기의 반 간격으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다른 동체(10)와의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호 이웃하는 동체(10)의 중심 사이를 잇는 방향으로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체(10)들의 상호 연결 구조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10)의 표면상에 상술한 세그먼트(22a, 22b)를 끼우는 형식으로 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별도의 삽입홀(24)을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동체(10)의 표면에 대하여 회전축(14)이 나란한 상태로 있는 경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이를 통하여 포장하는 과정에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판촉물로서 활용이 용이하다. 또한 동체(10) 표면으로부터 회전축(14)이 수직하도록 지지턱(16)과 걸림턱(18)이 걸림 결합한 경우 단독의 팽이로 이용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복수개의 동체(10)를 끼움홈(20), 돌기부(22)의 각 세그먼트(22a, 22b) 및 삽입홀(24)에 대응하여 돌기부(22)를 끼우는 형식으로 결합할 경우 면적을 보다 확장시킨 형상의 팽이 또는 구 형상 등의 입체감을 갖는 팽이 및 누대구조에 의한 입체적 모형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에 대하여 팽이 놀이와 더불어 공간적, 구조적인 감각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동체 표면에 대하여 회전축이 나란한 경우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동체와 회전축을 포함한 각 구성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단가가 저렴할 뿐 아니라 포장에 따른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판촉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고, 단독 또는 다수개를 상호 연결시켜 다양한 팽이 형상을 이루거나 누대구조로의 연결을 통하여 아이들에 대한 다양한 놀이와 입체적이고도 공간적인 구조물의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발명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6)

  1. 판 형상의 무게 중심 부위에 절개홀을 갖는 동체와;
    상기 절개홀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동체의 무게 중심 부위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지지축과;
    봉 형상으로 상기 동체의 무게 중심 부위에서 상기 지지축의 지지를 받아 회전 가능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절개홀의 다른 방향 내벽에 각각 근접하는 회전축과;
    상기 절개홀의 내벽에 구비한 지지턱; 및
    상기 회전축상에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턱과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팽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원, 타원 및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홀은 장방형 형상을 갖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기 동체의 무게 중심 부위에서 교차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은 어느 일 방향에 대한 상기 절개홀의 길이 방향 양단 내벽 사이를 연결토록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은 다른 방향에 대한 상기 절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벽에 근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과 회전축은 상호 열십자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연결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어느 일 단부는 첨예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지지축, 회전축, 지지턱 및 걸림턱은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지지축, 회전축, 지지턱 및 걸림턱은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회전축이 상기 동체의 표면과 나란한 상태에서 수직한 상태로 회전 위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축의 양측 단부로부터 중심 부위가 유연하며 탄력적으로 꼬인 형상으로 변형하고, 상기 지지턱은 상기 지지축이 상기 회전축을 상기 동체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복원하려는 힘에 저항하여 상기 걸림턱과 걸림 결합으로 지지토록 하며, 상기 회전축이 상기 동체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턱과 걸림턱 사이의 걸림 결합 이상의 힘과 상기 지지축의 탄력적인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은 상기 동체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는 상기 절개홀의 내벽으로부터 연장 돌출시킨 형상을 이루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턱에 걸림 지지되게 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지지축, 회전축, 지지턱 및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각 구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독립되어 다른 구성부와 조립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등각 배치를 이루어 상기 동체의 무게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개한 형상을 이루는 끼움홈; 및
    상기 동체의 중심을 기준하여 상기 끼움홈 사이의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돌출한 형상으로 상기 끼움홈에 부합하여 끼움 결합이 가능한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팽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상에는 상기 동체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상기 돌기부의 형성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고, 상기 동체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의 양측 내벽에는 상기 돌기부상에 형성한 상기 돌기 또는 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끼움홈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동체들 표면이 상호 나란한 형태 또는 수직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선택하여 끼움 결합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동체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상기 돌기부의 형성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고, 상기 동체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갖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한 세그먼트를 돌출시킨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의 사이는 상기 다른 세그먼트가 삽입 가능한 간격을 이루도록 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동체가 상기 각 세그먼트들 사이를 통한 누대구조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세그먼트 들이 짝수 개수로 형성될 경우 상기 돌기부와 끼움홈은 상기 동체의 무게 중심을 기준하여 회전함에 따른 어느 한 법선 방향에 대하여 상기 세그먼트 굵기의 반 간격으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표면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돌기부의 삽입이 가능한 삽입홀이 적어도 두 개 이상 더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팽이.
KR20-2003-0035863U 2003-11-17 2003-11-17 조립식 팽이 KR200341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863U KR200341421Y1 (ko) 2003-11-17 2003-11-17 조립식 팽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863U KR200341421Y1 (ko) 2003-11-17 2003-11-17 조립식 팽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421Y1 true KR200341421Y1 (ko) 2004-02-11

Family

ID=4942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863U KR200341421Y1 (ko) 2003-11-17 2003-11-17 조립식 팽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4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240B1 (ko) * 2017-08-25 2018-08-02 (주)해닮교육 학습교구용 팽이 및 그 제작방법
KR101981007B1 (ko) * 2018-06-01 2019-05-21 주식회사 해서 팽이구성체의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다단식 팽이카드블록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팽이완구
WO2020116667A1 (ko) * 2018-12-03 2020-06-11 (주)자루이 팽이구성체의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다단식 팽이카드블록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팽이완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240B1 (ko) * 2017-08-25 2018-08-02 (주)해닮교육 학습교구용 팽이 및 그 제작방법
KR101981007B1 (ko) * 2018-06-01 2019-05-21 주식회사 해서 팽이구성체의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다단식 팽이카드블록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팽이완구
WO2020116667A1 (ko) * 2018-12-03 2020-06-11 (주)자루이 팽이구성체의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다단식 팽이카드블록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팽이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884B2 (en) Toy construction system
US6669526B2 (en) Construction toy set having low insertion force connecting bodies
US7267598B2 (en) Interfacings between block type and rod and connector type construction toy sets
JP6538371B2 (ja) ジャングルジム
KR101773024B1 (ko) 컨넥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 완구 세트
JP2018520822A (ja) 玩具構築セット
PT1599261E (pt) Brinquedo lógico cúbico
WO2017130069A2 (ru) Игровой конструктор
KR100524153B1 (ko) 자석놀이완구의 패널 구조
KR100524154B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JPS638792B2 (ko)
US3902270A (en) First and second toy modules, each mateable with similar modules and with each other
KR200341421Y1 (ko) 조립식 팽이
JPH10127953A (ja) おもちゃ構成システム
KR200399428Y1 (ko) 1면 다극 자석이 결합된 자석 완구
KR100546070B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CN105521611A (zh) 一种多向连接球
EP1348474B1 (en) Construction toy set having low insertion force connecting bodies
PL214320B1 (pl) Przestrzenna ukladanka logiczna oraz sposób wyznaczania ksztaltu jej elementów
RU62533U1 (ru) Игровой элемент для мозаики (варианты)
US4551111A (en) Ball-like construction for a toy or the like
KR20050095560A (ko) 조립식 블럭완구
WO2003082424A1 (en) Construction toy set having low insertion force connecting bodies
KR200394449Y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KR200273861Y1 (ko) 퍼즐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