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591Y1 -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 - Google Patents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591Y1
KR200478591Y1 KR2020140005466U KR20140005466U KR200478591Y1 KR 200478591 Y1 KR200478591 Y1 KR 200478591Y1 KR 2020140005466 U KR2020140005466 U KR 2020140005466U KR 20140005466 U KR20140005466 U KR 20140005466U KR 200478591 Y1 KR200478591 Y1 KR 200478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crew hole
rotation
led flat
fl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최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훈 filed Critical 최재훈
Priority to KR2020140005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5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이디 평판조명등을 피고정물에 고정하는 나사못과, 이를 통과시키는 나사못구멍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외관을 깔끔하고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엘이디 평판조명등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엘이디 평판조명의 테두리를 이루는 에지프레임들을 서로 대칭적으로 연결하되, 상하 방향으로 통하는 나사못구멍이 형성되고, 상면 코너 부분에 상기 나사못구멍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축구멍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축구멍과 대향하는 하면에 상기 축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못구멍을 덮어서 가리거나 열어서 보이도록 하는 캡을 포함하는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Corner-braket for edge- frame connecting of LED}
본 고안은 엘이디(LED)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이디 평판조명등을 천장이나 벽면 등의 피고정물에 나사못으로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면서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 및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엘이디 평판조명등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야간 또는 어두운 실내에 빛을 제공하거나 물체를 조명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조명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조명등은 백열전구나 형광등에 비해 전력 소비가 작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광원들과 달리 고체 형태 점광원으로 견고하고 수명이 길며 환경친화적인 특성상 유지보수 등의 측면에서도 상당히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발광다이오드를 단순 조합한 형태의 조명등은 광학적으로 선명한 단색광을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글레어 및 눈의 피로감을 유발하므로 직접조명 또는 실내 분위기 연출을 위한 간접조명으로 사용할 경우 용도에 맞는 배광을 가질 수 있도록 적절한 렌즈 또는 도광판의 결합이 중요하다.
근래에 발광다이오드와 빛을 확산시키는 도광판의 거리를 적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점광원의 빛이 도광판을 통해 면광원(빛을 발하는 부분이 면상으로 확산을 갖는 광원)의 빛으로 바뀌는 이른바 LED 평판조명등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기존의 형광등을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LED 평판조명등은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되는 방식과 빛을 직접 및 발광하는 방향에 따라 측면발광형(Edge-lighting)과 직하형(Direct-lighting)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비교적 얇은 두께로 인하여 제품의 슬림화가 유리한 반면 휘도감소와 도광판으로 인한 무게상승의 단점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 제품의 두께를 줄이면 발광면에 발광다이오드 도트(LED Dot)가 보이는 문제와 전원공급장치(SMPS)를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슬림화에 한계가 있다.
최근 들어 전원회로를 발광다이오드(LED)와 동일한 PCB상에 배치한 형태로 두께를 줄이고 설치 과정을 단순화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는 전원회로의 단수명으로 인하여 제품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등 LED 조명으로서의 장수명 특성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장수명 특성을 유지함은 물론 두께가 얇은 측면발광형 제품이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LED 평판조명등의 예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2119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5354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6014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3701호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0816호 등을 들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자가 선출원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872호에 개시된 '측면발광형 발광다이오드 평판조명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 시 내부의 LED 모듈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고르게 산란 및 확산시키는 라이트패널(1)의 가장자리를 에지프레임(2)이 에워싸듯이 결합되어 있고, 특히 이웃하는 2개의 에지프레임(2)이 맞닿는 모서리 부분은 'ㄱ'자 형상의 코너브래킷(3)을 이용하여 서로 수직으로 결합함으로써 서로 간에 맞닿는 부분의 틈을 통해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즉, 압출 성형법으로 제조한 에지프레임(2)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후 그 길이 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홈에다가 코너브래킷(3)의 끼움돌부(4)를 끼우고 나사못(5) 등으로 에지프레임(2)과 끼움돌부(4)를 고정함으로써 이웃하는 에지프레임(2)들이 서로 수직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LED 평판조명등은 천장 등의 피고정물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코너브래킷(3)에 상하 방향으로 통하도록 형성된 접시머리형 나사못구멍(6)을 통해 별도의 나사못을 조이거나 박아서 피고정물에 부착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이는 천장 등의 피고정물에 설치한 상태에서 나사못과 이를 통과시키기 위한 나사못구멍(6)이 그대로 노출됨으로 인해 외형적인 심미감이 극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LED 평판조명등을 천장 등의 피고정물에 설치한 후 나사못구멍(6)에 별도의 마개(Plug)를 압입하여 메우고 있으나, 이는 전원공급장치(SMPS)의 고장이나 유지보수 등으로 인해 LED 평판조명등 전체를 천장에서 떼어내야 할 경우 그 마개를 나사못구멍(6)에서 일일이 빼낸 후 임시로 보관하다가 LED 평판조명등을 천장에 재설치 시 원래대로 나사못구멍(6)에 압입하여 메워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작업 중 마개 분실의 염려가 있는 등 작업성과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51372(2012.06.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50957(2010.04.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41189(2011.06.1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3419(2011.05.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6372(2011.10.2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13701(2011.10.18)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고려하고 기존의 기술이 갖는 한계 및 문제점 해결에 역점을 두어 엘이디 평판조명등을 천장이나 벽면 등의 피고정물에 나사못으로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고, 그 설치된 상태에서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예의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고안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 및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바디와 캡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나사못구멍의 가려진 상태가 저절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 양태는, 엘이디 평판조명의 사방 테두리를 이루는 에지프레임들을 서로 수직으로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통하는 나사못구멍이 형성되고, 상면 코너 부분에 상기 나사못구멍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축구멍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기 축구멍과 대향하는 하면에 상기 축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못구멍을 덮어서 가리거나 열어서 보이도록 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천장이나 벽면 등의 피고정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바디의 상면과 상기 캡의 상면이 서로 수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바디의 상면에 상기 캡의 회전면과 대응되는 곡면벽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자유회전을 구속하여 상기 바디에 대한 회전 위치를 정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캡의 회전 반경과 대응되는 상기 바디의 상면 상에 홀딩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캡의 하면에 상기 홀딩홈과 대응되는 스토퍼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상면 중 상기 나사못구멍 주위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캡의 회전 반경을 따라 상기 스토퍼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됨으로써 바디와 캡 간의 결합력이 한층 더 강화되어 의도하지 않은 외력 등에 의해 나사못구멍의 가려진 상태가 저절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바디의 측면 중 서로 수직인 2개의 측면에 상기 에지프레임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구멍의 안쪽 면 둘레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부에 상기 축구멍을 따라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걸림턱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후크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더욱 원활한 회전 작동 및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요소를 갖춘 본 고안은, 엘이디 평판조명등을 천장이나 벽면 등의 피고정물에 설치 시 캡을 돌려 열어서 나사못구멍을 통해 나사못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고, 피고정물에 설치한 후에는 나사못구멍과 나사못이 보이지 않도록 캡을 돌려 덮어서 가릴 수 있다. 따라서 엘이디 평판조명등이 피고정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작업 중 캡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캡의 스토퍼가 바디의 홀딩홈에 끼워져 바디에 대한 캡의 자유회전을 구속하기 때문에 나사못구멍의 가려진 상태가 저절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엘이디 평판조명등을 피고정물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캡이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나사못의 체결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LED 평판조명등의 일례를 나타낸 국부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LED 평판조명등의 에지프레임과 코너브래킷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과 에지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국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을 바디와 캡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의 캡을 뒤집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에서 캡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 중 일부는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국부를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함으로써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LED 평판조명을 천장이나 벽면 등의 피고정물에 설치 시 그 피고정물과 마주하는 면을 하면으로, 그 하면의 반대쪽이면서 실내를 향해 빛이 발산되는 면을 상면으로 정의한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은 엘이디 평판조명의 사방 테두리를 이루는 에지프레임(2)들을 서로 수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바디(10)와 캡(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바디(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에지프레임(2)들을 수직으로 연결 및 그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사방의 측면 중 서로 수직인 2개의 측면상에는 에지프레임(2)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13)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통하여 나사못의 나사산 부분은 통과하고 머리 부분은 묻히는 마치 카운터보어(counterbore)나 카운터싱크(countersink) 형태처럼 나사못구멍(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코너 부분에는 나사못구멍(1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축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끼움돌부(13)에는 에지프레임(2)과 별도의 나사못을 이용하여 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멍(13a)이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구멍(12)의 안쪽 면 둘레 하부에는 캡의 회전축(21)과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걸림턱(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10)에는 에지프레임(2)과의 결합강도를 보강하고 휨 변형이나 뒤틀림 등을 방지하여 에지프레임(2)들 간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강편부(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10)의 상면 중 캡(20)이 그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시 스토퍼(22)의 회전 반경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캡(20)의 자유회전을 구속하여 바디(10)에 대한 회전 위치를 정하도록 그 스토퍼(22)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홀딩홈(16)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홀딩홈(16)은 나사못구멍(11) 주위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상 바디(10)의 양측 테두리와 인접하는 부분에 캡의 스토퍼(22)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는 원통형 홈처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10)의 상면과 캡(20)의 상면이 서로 수평면을 이루도록 바디(10)의 상면에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는 캡의 회전면(24)과 대응되는 곡면벽(14)이 형성되어 있고, 바디(10)의 상면 중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는 캡(20)의 회전 반경과 대응되는 나사못구멍(11) 주위의 상면에는 캡의 스토퍼(22)가 접촉 간섭없이 자연스럽게 회전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15)이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홈(15)은 바디(10)의 상면에 캡(20)의 회전 반경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홀딩홈(16)은 가이드홈(15)과 동일한 원호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홈(15)의 홀딩홈(16)과 만나는 길이 방향 단부는 캡의 스토퍼(22)가 홀딩홈(16)에 미끄러지듯이 자연스럽게 끼워지거나 이탈되도록 바디(10)의 상면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바디(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에지프레임(2)들을 수직으로 혹은 대칭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나사못구멍(11)과 축구멍(12)의 중심점 및 모서리 부분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을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에지프레임(2)들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프로파일 형태로 압출 등의 가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전원공급 시 발광하는 LED 모듈(미도시)을 수납하여 보호하며, 아울러 빛의 경로 및 산란과 확산을 유도하는 라이트패널(1)의 사방 가장자리를 감싸듯이 결합된 상태로 각 코너에 배치되는 바디(10)에 의해 서로 수직인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에지프레임(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라이트패널(1)의 사방 측면 테두리를 각각 감싸서 지지하도록 4개의 직선형 부재가 바디(10)에 의해 마치 사각형 틀체 형태로 조립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프레임(2)들이 3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를 갖도록 조립될 수 있다.
즉, 에지프레임(2)의 개수에 따라 5각형 형태, 8각형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조립될 수 있고, 그 에지프레임(2)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에지프레임(2)들이 서로 맞닿는 모서리 부분에 코너브래킷을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엘이디 평판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ㄱ'자 형상으로 서로 수직인 측면상에 형성되는 끼움돌부(13)는 엘이디 평판조명의 전체적인 형태에 따라 이웃하는 에지프레임(2)들을 서로 대칭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그 에지프레임(2)들이 만나서 이루는 모서리가 갖는 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로 꺾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라이트패널(1)은 LED 모듈(미도시)에서 발산되는 점광원의 빛을 전체의 면에 균일하게 확산시켜 면광원의 빛으로 고르고 안정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배광 특성을 구현하는 것으로, LED 모듈에서 발산되는 빛을 전체의 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도광판과, 도광판의 상면에 적층 또는 부착되어 도광판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지와, 도광판의 하면에 적층 또는 부착되어 도광판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산란 및 확산시켜 LED 모듈로부터 방출된 점광원의 빛을 면광원의 빛으로 변환하여 외부를 향해 고르게 방출시키는 확산판 및 반사지의 상면에 적층 또는 부착되어 도광판을 통해 방출하는 빛이 상면으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열효과는 물론 도광판의 상면을 보호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백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캡(20)은 바디(10)의 나사못구멍(11)과 이를 통해 천장 등의 피고정물에 체결되는 나사못을 커버하는 기능 및 구실을 하는 것으로, 바디의 축구멍(12)과 대향하는 하면에 그 축구멍(1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회전축(2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나사못구멍(11)을 덮어서 가리거나 열어서 보이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캡(20)의 상면이 바디(10)의 상면과 서로 수평면을 이루도록 바디의 곡면벽(14)과 대응되는 캡(20)의 바깥쪽 면 둘레에는 회전축(21)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였을 때 생기는 곡면인 회전면(24)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20)의 하면에는 바디의 홀딩홈(16)과 대응되는 반원형 스토퍼(22)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캡(20)은 평면상에서 볼 때 마치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호의 중심 부분에 회전축(21)이 형성되어 있고, 호의 양단 부분에는 바디의 홀딩홈(16)에 자연스럽게 끼움 결합되도록 스토퍼(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21)의 자유단부에는 축구멍(12)을 따라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지다가 걸림턱(17)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23)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캡(20)은 바디(10)와 각각 사출 등의 성형법으로 제조한 후 그 회전축(21)을 바디의 축구멍(12)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일체화함으로써 상호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은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패널(1)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는 에지프레임(2)들을 서로 수직으로 연결한 상태로 천장 등의 피고정물에 설치하는 데, 이때 바디의 나사못구멍(11)이 노출되도록 캡(20)을 회전 조작한 후 나사못구멍(11)을 통해 나사못을 피고정물에 조이거나 박아서 체결함으로써 엘이디 평판조명등이 피고정물에 부착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바디의 나사못구멍(11)이 가려지도록 캡(20)을 회전 조작하면 엘이디 평판조명등이 피고정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의 한쪽 스토퍼(22)가 바디의 다른 쪽 홀딩홈(16)에 끼워져 바디(10)에 대한 캡(20)의 자유회전을 구속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나사못을 피고정물에 체결할 때 캡(20)이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캡의 스토퍼(22)가 바디의 홀딩홈(16)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바디(10)에 대한 캡(20)의 회전이 구속되므로 캡(20)이 나사못구멍(11)을 가린 상태에서 자유로이 회전되면서 나사못구멍(11)이 저절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캡(20)이 그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위해서는 그 스토퍼(22)가 바디의 홀딩홈(16)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되어야 하는데, 작업자 등이 캡(20)을 손가락으로 잡고 바디(10)에 대해 약간 들치면서 밀어젖히지 않는 한 스토퍼(22)가 바디의 홀딩홈(16)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캡(20)이 자유로이 회전되지 않아 나사못구멍(11)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게다가 엘이디 평판조명등의 전원공급장치(SMPS) 고장이나 유지보수 등으로 인해 LED 평판조명등 전체를 천장에서 떼어낼 경우 바디의 나사못구멍(11)이 상부가 노출되도록 캡(20)을 회전 조작한 상태에서 나사못구멍(11)을 통해 피고정물로부터 나사못을 풀어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이후 원래대로 천장에 재설치 시 나사못을 피고정물에 조여서 체결한 다음 바디의 나사못구멍(11)이 상부가 보이지 않도록 캡(20)을 회전 조작하면 되므로 종래와 달리 마개를 나사못구멍(11)에서 일일이 빼낸 후 임시로 보관하다가 분실하거나 천장에 재설치 시 원래대로 나사못구멍(11)에 압입하여 메워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하여 작업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2: 에지프레임 10: 바디
11: 나사못구멍 12: 축구멍
13: 끼움돌부 14: 곡면벽
15: 가이드홈 16: 홀딩홈
17: 걸림턱 18: 보강편부
20: 캡 21: 회전축
22: 스토퍼 23: 후크
24: 회전면

Claims (3)

  1. 엘이디 평판조명의 테두리를 이루는 에지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는 코너브래킷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통하는 나사못구멍이 형성되고, 상면 한쪽에 상기 나사못구멍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축구멍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축구멍과 대향하는 하면에 상기 축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못구멍을 덮어서 가리거나 열어서 보이도록 하는 캡;
    을 포함하는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면과 상기 캡의 상면이 서로 수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바디의 상면에 상기 캡의 회전면과 대응되는 곡면벽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자유회전을 구속하여 상기 바디에 대한 회전 위치를 정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캡의 회전 반경과 대응되는 상기 바디의 상면 상에 홀딩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캡의 하면에 상기 홀딩홈과 대응되는 스토퍼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상면 중 상기 나사못구멍 주위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캡의 회전 반경을 따라 상기 스토퍼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측면 중 서로 수직인 2개의 측면에 상기 에지프레임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 상기 에지프레임과의 결합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편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구멍의 안쪽 면 둘레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부에 상기 축구멍을 따라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걸림턱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후크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
KR2020140005466U 2014-07-22 2014-07-22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 KR200478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466U KR200478591Y1 (ko) 2014-07-22 2014-07-22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466U KR200478591Y1 (ko) 2014-07-22 2014-07-22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591Y1 true KR200478591Y1 (ko) 2015-10-22

Family

ID=5443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466U KR200478591Y1 (ko) 2014-07-22 2014-07-22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59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323B1 (ko) * 2015-12-08 2017-07-11 에프엘티코리아 주식회사 조명기구용 고정장치
KR20180077687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대진조명 간편 체결 조립 및 마감 구조를 갖는 조명등 프레임
CN109305473A (zh) * 2018-11-07 2019-02-05 湖南新亚胜光电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防撞保护结构及led显示屏
KR101953036B1 (ko) * 2017-11-23 2019-02-27 이년재 Led 평판 조명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020Y1 (ko) 2004-06-22 2004-09-16 한현숙 매립형 형광등의 스크류 커버 구조
KR101410559B1 (ko) 2013-11-22 2014-06-30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광학성과 방열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led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020Y1 (ko) 2004-06-22 2004-09-16 한현숙 매립형 형광등의 스크류 커버 구조
KR101410559B1 (ko) 2013-11-22 2014-06-30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광학성과 방열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led 조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323B1 (ko) * 2015-12-08 2017-07-11 에프엘티코리아 주식회사 조명기구용 고정장치
KR20180077687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대진조명 간편 체결 조립 및 마감 구조를 갖는 조명등 프레임
KR101953036B1 (ko) * 2017-11-23 2019-02-27 이년재 Led 평판 조명등
CN109305473A (zh) * 2018-11-07 2019-02-05 湖南新亚胜光电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防撞保护结构及led显示屏
CN109305473B (zh) * 2018-11-07 2023-10-20 湖南新亚胜光电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防撞保护结构及led显示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3490B2 (en) Reflectors and reflector orientation feature to prevent non-qualified trim
KR101533918B1 (ko) Led 평판조명기구
WO2015115517A1 (ja) 照明装置
JP5213988B2 (ja) 照明装置
KR200478591Y1 (ko)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
JP6367612B2 (ja) 手摺笠木、および照明ユニット
CN105190166A (zh) 具有改进照明特性的led架构灯具
KR20100079538A (ko) 기판의 조립이 용이한 엘이디 조명등
US9945533B1 (en) Uniform lens illumination in downlight fixtures
JP2019519876A (ja) 灯具
KR101502576B1 (ko) 눈부심 방지 엘이디 조명등기구
TWI548837B (zh) 照明器具
JP5570637B2 (ja) カバー及び該カバーを備える照明装置
JP7061507B2 (ja) 照明器具
KR200466429Y1 (ko) 형광등기구용 반사갓
JP6803543B2 (ja) 照明器具
KR200476561Y1 (ko) 천장 매립형 조명등기구
JP6796767B2 (ja) 照明器具
JP2006012499A (ja) 照明装置
CN104728687A (zh) 灯具
JP6344554B2 (ja) 照明器具
KR200430621Y1 (ko) 조명 기구
JP5849213B2 (ja) 照明器具
KR20220002328U (ko) 각도조절식 리플렉터 조명등기구
JP6375432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