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85Y1 - 기능성 팔찌 - Google Patents

기능성 팔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385Y1
KR200478385Y1 KR2020140001230U KR20140001230U KR200478385Y1 KR 200478385 Y1 KR200478385 Y1 KR 200478385Y1 KR 2020140001230 U KR2020140001230 U KR 2020140001230U KR 20140001230 U KR20140001230 U KR 20140001230U KR 200478385 Y1 KR200478385 Y1 KR 200478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contents
accommodating
main body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211U (ko
Inventor
황일선
Original Assignee
황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일선 filed Critical 황일선
Priority to KR2020140001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38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2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2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3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을 수용 및 배출 가능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장착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상호 탈착 결합되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야외 활동시 피부를 보호할 수 있으면서 심미감 또한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팔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팔찌{FUNCTIONAL BRACELET}
본 고안은 기능성 팔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 활동시 피부를 보호할 수 있으면서 심미감 또한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팔찌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등산이나 야영 및 물놀이 등 야외 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하절기와 같이 직사 광선이 강한 계절의 한낮에는 자외선 지수가 증가하여 야외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의 피부 관리 대책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야영을 즐기는 사람들의 경우 야간 활동이나 취침시에는 모기 등의 해충이 근접하지 못하도록 하는 해충 구제 대책 또한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피부 관리 대책을 위하여 선크림을 준비하거나, 해충 구제액을 준비할 필요가 있지만, 이러한 제품들을 별도로 준비하는 것은 분실의 우려도 있으며, 함께 휴대하여 다니는 것 또한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피부 관리와 함께 해충 구제의 목적도 달성할 수 있는 도구나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08-0079164호 실용신안출원 제20-2005-002370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야외 활동시 피부를 보호할 수 있으면서 심미감 또한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팔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용물을 수용 및 배출 가능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장착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상호 탈착 결합되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찌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형상 변형을 허용하며 신축 가능한 수용 본체와, 상기 수용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의 일부는 상기 노즐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는, 상기 내부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며, 일측이 개방되어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제1 수용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의 나머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수용 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탈착 결합되어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제2 수용 본체와, 상기 제2 수용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의 일부는 상기 노즐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팔찌는, 상기 수용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목 또는 팔목에 둘러지는 플렉시블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의 일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는, 상기 노즐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상기 수용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수나사산과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를 수용하는 수용통부와, 상기 수용통부를 내장하고 상기 수용 본체의 일단부를 마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 본체의 개방된 일측 가장자리 내면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 결합 단턱부와, 상기 결합 단턱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용 본체의 개방된 가장자리 외측에 단차지게 함몰되어 상기 결합 단턱부와 접촉하는 제2 결합 단턱부와, 상기 제1 결합 단턱부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제1 걸림링과, 상기 제2 결합 단턱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제2 걸림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링은 상기 제2 걸림링을 넘어서 상기 제2 결합 단턱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수용 본체와 상기 제2 수용 본체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노즐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상기 수용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수나사산과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를 수용하는 수용통부와, 상기 수용통부를 내장하고 상기 수용 본체의 일단부를 마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일단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는 주입 포트와, 타단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 포트를 구비한 수용 본체와, 상기 배출 포트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수용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는 상기 수용부를 내장하는 외피부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피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가 내장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한 플렉시블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한 외피 본체와, 상기 외피 본체의 일단부측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주입 포트가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1 개폐부와, 상기 외피 본체의 타단부측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가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2 개폐부와, 상기 외피 본체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마감부가 배치되는 연장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를 수납 가능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형상 변형을 허용하며 신축 가능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양측과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장착 가능하도록 신축 가능한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상기 용기의 배출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출입 슬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는, 상기 용기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완전히 꺼내고, 상기 수용부에 완전히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된 출입 슬릿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 슬릿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면에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관통된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용물은 상기 용기부의 상면을 누름으로써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되고 사용량만큼 배출할 수 있는 수용부와, 수용부와 연결되어 양단부를 탈착 결합할 수 있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분실의 우려가 없이 사용자의 휴대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자외선 차단제 또는 해충 구제 및 접근 방지용 약제 등과 같은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또는 각각 구획된 공간에 나누어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함으로써, 야외 활동시 피부 관리가 가능함은 물론, 해충 구제 및 접근의 차단 또한 가능하게 되어 쾌적한 활동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물을 휴대하여 사용함에 편의를 제공하면서도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제공하여 수요자의 소장 욕구를 촉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실리콘과 같이 형상 변형을 허용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수용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수용부에 출입 슬릿을 형성하여 수용부의 내부 공간보다 다소 큰 용기부도 전술한 내부 공간을 늘여서 집어 넣을 수 있는 등 수납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 고안은 수용부나, 수용부와 마감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 또는 수용부를 수납하는 외피부 등의 표면에 기업의 로고나 홍보 문구 등을 인쇄하여 기업의 홍보 수단이나 답례품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팔찌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팔찌의 주요부인 수용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팔찌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A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B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팔찌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팔찌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팔찌의 주요부인 수용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수용 및 배출 가능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10)와, 전술한 수용부(1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장착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상호 탈착 결합되는 마감부(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분실의 우려가 없이 사용자의 휴대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용되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야외 활동시 피부 관리가 가능함은 물론, 해충 구제 및 접근의 차단 또한 가능하게 되어 쾌적한 활동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수용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크게 수용 본체(11)와 노즐부(12)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용도에 따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크림 타입의 자외선 차단제가 될 수 있으며, 야간 또는 야외 활동시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의 접근을 막거나 물린 곳에 바를 수 있도록 해충 구제 또는 접근 방지용 약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수용 본체(11)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형상 변형을 허용하며 신축을 허용하는 실리콘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소재의 것이다.
노즐부(12)는 수용 본체(11)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양만큼 일정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마감부(20)의 일부는 노즐부(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는 뒤에서 설명할 것이다.
또한, 수용부(10)는 도 2와 같이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내용물을 용이하게 주입하고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2 수용 본체(11a, 11b)와 노즐부(12)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수용 본체(11a)는 내부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며, 일측이 개방되어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것이며, 제2 수용 본체(11b)는 내부 공간의 나머지를 형성하며, 제1 수용 본체(11a)의 개방된 일측에 탈착 결합되어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것이다.
노즐부(12)는 제2 수용 본체(11b)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팔목 또는 발목에 착용하는데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수용부(10)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목 또는 팔목에 둘러지는 플렉시블한 연결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감부(20)의 일부는 연결부(30)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
이때, 제1 수용 본체(11a)와 제2 수용 본체(11b)는 상호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상호 나사 결합되는 등 다양한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0)는 도 2의 확대부 개념도와 같이 제1, 2 결합 단턱부(13a, 13b)의 제1, 2 걸림링(13ar, 13br)에 의하여 견고한 체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결합 단턱부(13a)는 제1 수용 본체(11a)의 개방된 일측 가장자리 내면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며, 제2 결합 단턱부(13b)는 결합 단턱부에 끼움 결합되고, 제2 수용 본체(11b)의 개방된 가장자리 외측에 단차지게 함몰되어 결합 단턱부와 접촉하는 것이다.
제1 걸림링(13ar)은 제1 결합 단턱부(13a)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고, 제2 걸림링(13br)은 제2 결합 단턱부(13b)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것이다.
따라서, 제1 걸림링(13ar)은 제2 걸림링(13br)을 넘어서 제2 결합 단턱부(13b)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제1 수용 본체(11a)와 제2 수용 본체(11b)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마감부(20)는 수용부(1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호 결합되어 팔찌의 역할을 하는 연결구의 역할 또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수나사산(21)과 수용통부(23) 및 덮개부(24)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수나사산(21)은 노즐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이며, 수용통부(23)는 수용 본체(11)의 타단부로부터 연결되며, 수나사산(21)과 결합되는 암나사산(22)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노즐부(12)를 수용하는 것이다.
덮개부(24)는 이러한 수용통부(23)를 내장하고 수용 본체(11)의 일단부를 마감하는 것으로, 전술한 연결부(30)와 연결되며, 수나사산(21)과 암나사산(22)의 상호 나사 결합에 따른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결부(30)의 단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수나사산(21)과 암나사산(22)이 상호 나사 결합됨으로써, 노즐부(12)가 수용통부(23)에 내장되고, 수용 본체(11)의 내용물은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수용 본체(15)가 외피부(40)에 전체적으로 수용되고, 마감부(20)가 외피부(40)의 양단부에 구비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수용 본체(15)는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일단부로부터 내용물이 수용되는 주입 포트(15a)와, 타단부로부터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 포트(이하 미도시)를 구비한 것이다.
노즐부(16)는 배출 포트로부터 연결되어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수용 본체(15)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외피부(40)는 크게 외피 본체(41)와 제1, 2 개폐부(41a, 41b) 및 연장편(42, 43)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외피 본체(4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부(10)가 내장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한 플렉시블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1 개폐부(41a)는 외피 본체(41)의 일단부측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주입 포트(15a)가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소위 지퍼락™이라 부르는 골과 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탈착 결합됨으로써 기밀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제2 개폐부(41b)는 외피 본체(41)의 타단부측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노즐부(16)가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소위 지퍼락™이라 부르는 골과 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탈착 결합됨으로써 기밀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연장편(42, 43)은 외피 본체(4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마감부(20)가 배치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마감부(20)는 외피 본체(41) 일단부의 연장편(42)에 장착되는 제1 후크 단추(25)와, 외피 본체(41) 타단부의 연장편(43)에 장착되어 제1 후크 단추(25)와 탈착 결합되는 제2 후크 단추(26)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마감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2 후크 단추(25, 26)의 구조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연장편(42, 43)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탈착 결합되는 암수 벨크로이거나, 연장편(42, 43)에 각각 구비되어 자기력으로 탈착 결합되는 영구자석 등 체결 가능한 다양한 응용 및 변형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용 본체(15) 내부의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도 4와 같이 제2 개폐부(41b)를 개방하고 노즐부(16)가 구비된 수용 본체(15)의 일단부측을 투명한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겨서 일정량만큼 뽑아내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수용 본체(15) 내부에 내용물을 충전하고자 할 때는 도 5와 같이 제1 개폐부(41a)를 개방하고 주입 포트(15a)를 열고, 충전할 내용물이 수용된 원료 수용통(50)의 주입 노즐(51)을 통하여 내용물을 수용 본체(15) 내부에 주입함으로써 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크게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80)를 수납 가능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60)와, 수용부(60)의 양측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장착 가능하도록 신축 가능한 장착부(7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용부(60)에는 도 6과 같이 미스트 제품과 같은 내용물 또는 도 7과 같이 썬크림 제품과 같은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용기(80)의 배출부(82)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출입 슬릿(62)을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수용부(60)는 형상 변형을 허용하며 신축 가능한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하여, 이러한 수용부(60)에 형성된 출입 슬릿(62)을 통해 수용부(60)의 내부 공간보다 다소 큰 용기부(80)도 전술한 내부 공간을 늘여서 집어넣을 수 있는 등 수납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도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수용부(60)에는 도 8과 같이 썬크림 제품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80)를 수용부(60)로부터 완전히 꺼내고, 수용부(60)에 완전히 수납할 수 있도록 수용부(60)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된 출입 슬릿(62)을 형성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출입 슬릿(62)은 사용자가 활동함에 따라 용기(80)가 수용부(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부(60)는 도 9와 같이 내용물(90)이 수용되며, 상면에 내용물(90)이 배출되는 배출홀(61h)이 관통된 용기부(61)와, 용기부(6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63)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내용물(90)은 용기부(61)의 상면을 누름으로써 배출되며, 용기부(61)의 상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양한 인쇄 패턴, 예를 들면 홀로그램이나 3D 입체 화면 등의 패턴을 형성하거나, 로고, 홍보 문구 등의 다양한 표식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야외 활동시 피부를 보호할 수 있으면서 심미감 또한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팔찌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수용부(10, 60), 연결부(30), 외피부(40), 또는 장착부(70) 등 기능성 팔찌의 외형을 이루는 요소에 토르말린이나 은나노 분말, 또는 황토나 맥반석 등과 같은 성분을 함께 섞어서 제작함으로써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하는 등의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60...수용부
11, 15...수용 본체
11a...제1 수용 본체
11b...제2 수용 본체
12...노즐부
13a...제1 결합 단턱부
13ar...제1 걸림링
13b...제2 결합 단턱부
13br...제2 걸림링
15a...주입 포트
16...노즐부
20...마감부
21...수나사산
22...암나사산
23...수용통부
24...덮개부
25...제1 후크 단추
26...제2 후크 단추
30...연결부
35...밸런스 홀로그램부
40...외피부
41...외피 본체
41a...제1 개폐부
41b...제2 개폐부
42, 43...연장편
50...원료 수용통
51...주입 노즐
61...용기부
61h...배출홀
62...출입 슬릿
63...커버
70...장착부
80...용기
82...배출부
90...내용물

Claims (14)

  1. 내용물을 수용 및 배출 가능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장착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상호 탈착 결합되는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일단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는 주입 포트와, 타단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 포트를 구비한 수용 본체와,
    상기 배출 포트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수용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는 상기 수용부를 내장하는 외피부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형상 변형을 허용하며 신축 가능한 수용 본체와,
    상기 수용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의 일부는 상기 노즐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내부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며, 일측이 개방되어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제1 수용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의 나머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수용 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탈착 결합되어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제2 수용 본체와,
    상기 제2 수용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의 일부는 상기 노즐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팔찌는,
    상기 수용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목 또는 팔목에 둘러지는 플렉시블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의 일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찌.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상기 노즐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상기 수용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수나사산과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를 수용하는 수용통부와,
    상기 수용통부를 내장하고 상기 수용 본체의 일단부를 마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찌.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 본체의 개방된 일측 가장자리 내면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 결합 단턱부와,
    상기 결합 단턱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용 본체의 개방된 가장자리 외측에 단차지게 함몰되어 상기 결합 단턱부와 접촉하는 제2 결합 단턱부와,
    상기 제1 결합 단턱부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제1 걸림링과,
    상기 제2 결합 단턱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제2 걸림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링은 상기 제2 걸림링을 넘어서 상기 제2 결합 단턱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수용 본체와 상기 제2 수용 본체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찌.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노즐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상기 수용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수나사산과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를 수용하는 수용통부와,
    상기 수용통부를 내장하고 상기 수용 본체의 일단부를 마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찌.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가 내장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한 플렉시블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한 외피 본체와,
    상기 외피 본체의 일단부측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주입 포트가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1 개폐부와,
    상기 외피 본체의 타단부측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가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2 개폐부와,
    상기 외피 본체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마감부가 배치되는 연장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찌.
  10.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를 수납 가능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형상 변형을 허용하며 신축 가능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양측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장착 가능하도록 신축 가능한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상기 용기의 배출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출입 슬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찌.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찌.
KR2020140001230U 2014-02-18 2014-02-18 기능성 팔찌 KR200478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230U KR200478385Y1 (ko) 2014-02-18 2014-02-18 기능성 팔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230U KR200478385Y1 (ko) 2014-02-18 2014-02-18 기능성 팔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211U KR20150003211U (ko) 2015-08-26
KR200478385Y1 true KR200478385Y1 (ko) 2015-10-06

Family

ID=5433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230U KR200478385Y1 (ko) 2014-02-18 2014-02-18 기능성 팔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38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5390A1 (en) * 2010-12-02 2012-06-07 Gojo Industries, Inc. Wearable dispens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5390A1 (en) * 2010-12-02 2012-06-07 Gojo Industries, Inc. Wearable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211U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28077S1 (en) Cosmetic case
CA117568S (en) Cosmetic container for lipstick
US9119455B2 (en) Folding component compact
US20110197913A1 (en) Cosmetics case
ITBO20130051U1 (it) Calzatura con carcasse intercambiabili e carcasse per tale calzatura
WO2008020898A2 (en) Stuffed animal with massager/vibrating device reception
USD901896S1 (en) Fashion ornament for a handbag
KR200478385Y1 (ko) 기능성 팔찌
KR100585255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USD852457S1 (en) Scarf
CN208676498U (zh) 一种多功能彩妆盒
US7011098B2 (en) Cosmetics case
KR100872060B1 (ko) 기능성 화장품 케이스
CN105476845B (zh) 便携式可拆卸药盒
KR200455565Y1 (ko) 파우더 화장품 용기
KR200447838Y1 (ko) 색조 화장품 케이스
USD506188S1 (en) Cord end cover
KR20150012669A (ko) 손목착용형 화장품용기
KR200177769Y1 (ko) 휴대용 알약 케이스
KR200369901Y1 (ko) 화장품용 튜브용기
US11577020B1 (en) Protective case for insulin infusion set
CN210540425U (zh) 防水防污防螨枕芯套
KR20180000687U (ko) 향기나는 팔찌
CN214483575U (zh) 一种便携式旅行药盒
CN207972986U (zh) 一种混合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