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81Y1 -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381Y1
KR200478381Y1 KR2020130008235U KR20130008235U KR200478381Y1 KR 200478381 Y1 KR200478381 Y1 KR 200478381Y1 KR 2020130008235 U KR2020130008235 U KR 2020130008235U KR 20130008235 U KR20130008235 U KR 20130008235U KR 200478381 Y1 KR200478381 Y1 KR 200478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ube
resin material
wir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453U (ko
Inventor
김한호
Original Assignee
김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호 filed Critical 김한호
Priority to KR2020130008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38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4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3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5Hand assisted surgery, i.e. minimally invasive surgery with at least part of an assisting hand inside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 내부의 환부로 침투하여 전기적인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환부조직의 치료에 유용하도록 하는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내부로 침투하는 전극을 환부조직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전극을 자유로이 꺽을 수 있고, 그 작업이 용이하며 또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는 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환부의 근처로 환부삽입관과 환부삽입관내에서 활강되는 수지재튜브가 조작간의 조작으로 쉽게 활강되어 환부내 종양과의 접촉이 용이하고 또한편 상기 수지재튜브의 휨정도를 2차로 실시하도록 함으로서 종양과의 접촉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집도의가 보다 세심한 수술작업을 기할 수 있는 특징, 그리고 접촉으로 전극팁에 전원을 인가 통전시켜 환부의 치료를 도모하도록 된 것으로, 전극팁의 위치를 종전에 비하여 보다 자유로이 절곡과 길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서 종양과의 세밀한 접촉을 이룸으로서 종양의 치료에 작업을 보다 명확하고 신속히 이룰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됨과 함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집도의가 사용의 편리성으로 고도의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DISPOSABLE ELECTRO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TISSUE}
본 고안은 인체 내부의 환부로 침투하여 전기적인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환부조직의 치료에 유용하도록 하는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내부로 침투하는 전극을 환부조직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전극을 자유로이 꺽을 수 있고, 그 작업이 용이하며 또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 내부에서 발생된 환부조직에 전기적인 자극을 줌으로서, 환부조직 치료에 유용하도록 된 전기수술장치는 인체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카테터 형태로 첨단부위에 전극들이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수술장치는 전극들을 인체의 내부 환부로 침투시킨 후, 전극을 환부조직에 접촉시키고 전극들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서 환부조직이 전기자극을 통한 환부치료를 도모하게 된다.
이러한 선행기술로 특허 제 10-1104851호에서는 신장 및 후퇴 가능한 작동 전극을 구비하며 비교적 저렴한 본체 내에 하우징되는 1회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 양극 또는 단극 전자 수술 핸드피스로서, 여러 가지 전자 수술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작동 손잡이를 포함하는 전자 수술 핸드피스 및 하우징은 활주 가능한 본체 부분들을 포함하고, 본체 부분들 중 하나의 본체 부분은, 벗겨진 단부가 전극 상의 외부로 노출된 전기 전도성 밴드에 의해 작동 전극 단부에 접촉될 수 있는 인입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구조가 알려진바 있다.
이러한 핸드피스는 제1 본체에 스프링으로 탄력구성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에 양단부가 힌지 결합된 탄성의 압착손잡이 및 상기 제2 본체에 고정된 긴 튜브형 외부하우징이 구성되고,
상기 제1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튜브형 외부하우징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튜브형 내부하우징을 구성함과 함께 이 튜브형 내부하우징에는 길이를 달리하는 한쌍의 와이어를 구비하되 그 단부에는 전자 수술 작동 전극의 양극팁이 각기 연결되는 튜브형 외부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집도의가 핸드피스의 작동 단부인 상기 튜브형외부하우징을 수술할 조직에 근접한 위치로 삽입하고 이어서 집도의는, 상기 압착손잡이를 압착함으로서 제 2본체가 전진하여 제 2본체에 고정된 튜브형내부하우징 및 그 내부로 구성된 와이어와 수술 작동 전극의 양극팁이 상기 튜브형외부하우징에서 일정길이로 노출됨과 함께 상기 길이를 달리하는 와이어에 의해 이 노출된 내부하우징이 일정한 각으로 굽힘되고 이러한 굽힘에 의해 수술할 조직부로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집도의는 조직의 절제, 수축, 또는 적출이나 혈관의 소작(cauterization)을 통상의 방식으로 하게 할 수 있는 벗겨진 전극 루프 단부들 사이에 양극 전류를 방전시키는 전자 수술 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많은 비용 및 동작에서도 압착하는 힘의 분배에 의한 위치이동으로 정교한 위치를 선정하기 어려운단점 과 또한 인출되는 튜브형내부하우징이 일정한 굽힘각에 한정됨으로서 집도의가 이를 조절하기가 극히 난이한 단점등이 발생되어 있어왔다.
이상과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원출원인의 선행특허출원 공개번호 제 10-2013-0090602호에서는 상기한 단점을 개선하도록 하였다.
즉, 첨단부에 서로 간극을 가지면서 위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통전하도록 된 한 쌍의 전극이 구비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인체의 내부로 침투하도록 된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의 내부를 통해 상기 로드의 첨단에 종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수용관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로드의 첨단부위와의 길이조절을 통해 첨단부를 상기 수용관의 종단에서 구부릴 수 있도록 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장치를 제안한바 있으나, 그 구성이 실시불가능한 상태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즉, 양극에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의 미비, 로드의 불명확한 구성, 전원의 공급과정등이 전혀 개시되지 못함으로서 실시불능에 의한 아이디어로 한정된 문제를 가진바 있다.
특허 제 10-1104851호 특허 공개 제 10-2013-0090602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기존의 전기수술장치에서 단순히 첨단부위에 전극팁을 위치시켜 인위적으로 전극을 환부에 접촉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 즉, 환부와 전극의 접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체의 내부로 침투하는 전극을 환부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전극팁을 자유로이 휨으로서 절곡할 수 있고, 또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과 조작사용이 간편하여 수술중 집도의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첨단부에 서로 간극을 가지면서 위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통전하도록 된 한 쌍의 전극팁이 구비된 수지재튜브와, 상기 수지재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인출 및 인출거리를 조절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인체 내부로 침투된 전극팁이 종양등에 보다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그 조작이 정밀하고 용이하여 집도의가 보다 간단히 조작할 수 있는 특징과,
인출거리가 2단으로 실시되어 종양과의 접촉 조절이 용이하고 전극팁의 조절을 위한 조작간의 가압 및 해지의 조절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본 고안은 집도의가 쉽게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스프링(11)으로 탄력설치된 조작간(12)을 구비한 건(gun)형태의 손잡이부로 구비되는 몸체부(10)와 총신부(13)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10)에 힌지축(14)으로 힌지된 조작간(12)으로 조작간(12)상단에 구비된 연동부재(20)를 연동하고, 연동부재(20)에 고정된 슬라이드관(22)이 총신부(13)에 체결된 안내관(25)내에서 활주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안내관(25) 단부에는 환부삽입관(30)이 고정된 캡(31)을 체결 구성하고, 연동부재(20)와 근접하여 몸체부(10)에 고정된 가이드부재(41)와 힌지부(14)로 힌지된 와이어견인간(40)을 구성함과,
상기 연동부재(20)의 슬라이드관(22)에 분할격벽(51)으로 분할되고 굽힘가능한 수지재튜브(50)를 고정시켜 수지재트브(50)가 슬라이드관(22)으로부터 환부삽입관(30)끝단까지 도달되고 상기 분할격벽(51)으로 분활구성된 수지재튜브(50)에 "+"과 "-"극으로 이루워지는 각각의 전극와이어(52) 및 견인와이어(53)를 수납시켜 굽힘과 당김이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상기 전극와이어(52)의 "+","-" 중 하나의 전극와이어(52)는 연동부재(20)로부터 몸체부(10)외부로 연결되어 플러그(60)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와이어(52)는 몸체부(10)에 고정된 가이드부재(41)를 와이어견인간(40)을 거친 후 일정거리에 스톱퍼(43)를 형성한 다음 상기 외부로 연결된 플러그(60)와 접속되게 구성되며,
상기 전극와이어(52) "+","-"극 단부에는 반원형형상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전극팁(55)이 각각의 극과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는 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환부의 근처로 환부삽입관과 환부삽입관내에서 활강되는 수지재튜브가 조작간의 조작으로 쉽게 활강되어 환부내 종양과의 접촉이 용이하고 또한편 상기 수지재튜브의 휨정도를 2차로 실시하도록 함으로서 종양과의 접촉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집도의가 보다 세심한 수술작업을 기할 수 있는 특징, 그리고 접촉으로 전극팁에 전원을 인가 통전시켜 환부의 치료를 도모하도록 된 것으로, 전극팁의 위치를 종전에 비하여 보다 자유로이 절곡과 길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서 종양과의 세밀한 접촉을 이룸으로서 종양의 치료에 작업을 보다 명확하고 신속히 이룰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됨과 함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집도의가 사용의 편리성으로 고도의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로 (a)는 본 고안의 조작간을 조작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고 (b)는 조작간을 가압하여 전극팀이 인출 및 휨된 상태의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작으로 환부삽입관내의 수지재튜브가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수지재튜브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지재튜브의 휨 및 전극팁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성과 그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집도의가 쉽게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몸체부(10)와 스프링(11)으로 탄력설치된 조작간(12)을 구비한 건(gun)형태의 손잡이부로 구비되는 몸체부(10)와 총신부(13)로 구성되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에 힌지축(14)으로 힌지된 조작간(12) 상단에 가이드공(15)을 형성하여 가이드공(15)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봉(21)을 구비한 연동부재(20)를 조작간(12)으로 연동되도록 구성함과,
상기 연동부재(20)에는 슬라이드관(22)을 고정함과 함께 슬라이드관(22)은 총신부(13)에 형성된 고정홈(23)에 끼워지는 고정판(24)을 구성한 안내관(25)내에서 활주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안내관(25) 단부에는 환부삽입관(30)이 고정된 캡(31)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재(20)와 근접하여 몸체부(10)에 고정된 가이드부재(41)와 힌지부(14)로 힌지되고 상단이 몸체부(10) 외부로 돌출된 견인부를 형성하는 와이어견인간(40)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동부재(20)의 슬라이드관(22)에 분할격벽(51)으로 분할되고 굽힘가능한 수지재튜브(50)를 고정하고 이 수지재트브(50)는 슬라이드관(22)으로부터 환부삽입관(30)끝단까지 도달되는 크기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분할격벽(51)으로 분활구성된 수지재튜브(50)에 "+"과 "-"극으로 이루워지는 각각의 전극와이어(52) 및 견인와이어(53)를 수납시켜 굽힘과 당김이 가능하도록 격실에 양극 전극(bipolar electrode)이 각각 구성된다.
상기 전극와이어(52)의 "+","-" 중 하나의 전극와이어(52)는 연동부재(20)로부터 몸체부(10)외부로 연결되어 플러그(60)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와이어(52)는 몸체부(10)에 고정된 가이드부재(41)와 힌지부(14)로 힌지된 와이어견인간(40)을 거쳐 일정거리를 두고 스톱퍼(43)를 형성한 다음 상기와 같이 몸체부(10)외부로 연결되어 플러그(60)와 접속되게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분할격벽(51)으로 분활구성된 수지재튜브(50)에 "+"과 "-"극으로 이루워지는 각각의 전극와이어(52)와, "+"과 "-"극과 함께 견인와이어(53)를 별도로 수납시켜 굽힘과 당김 기능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와이어(52) "+","-"극 단부에는 반원형형상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전극팁(55)이 각각의 극과 고정되며 또한 견인와이어(53)가 선택되어 결합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6은 조작간(12)을 연동한 후 이동된 위치에 정지 및 해지할 수 있도록 한 스톱퍼장치이며 70은 수술할 종양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조직 치료를 위한 본 고안의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할 때에 도 1에서 도시한 핸드피스 건을 집도의가 몸체부(10)를 잡고 환자의 환부에 환부삽입관(30)을 치료할 종양 등이 있는 위치로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드피스의 몸체부(10)를 이동 및 회전시켜 상기 환부삽입관(30) 끝단이 치료할 환부에 근접되도록 하면서 조작간(12)을 가압시키면 도 2의 (b)및 도 3과 도 5에서와 같이 힌지축(14)으로 힌지된 조작간(12)의 상부가 총신부(13)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조작간(12)상부 가이드공(15)에 결합된 가이드봉(21)과 함께 연동부재(20)를 전진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으로 연동부재(20)에 고정된 슬라이드관(22)과 이 슬라이드관(22)에 고정된 수지재튜브(50)가 전진 이동되면서 상기 수지재튜브(50)내에 수납된 "+"극과 "-"극으로 이루워지는 각각의 전극와이어(52) 및 견인와이어(53)가 굽힙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수지재튜브(50)는 어느 한방향으로 굽힘된 상태로 환부삽입관(30) 끝단에서 휨된 상태로 인출되어 노출하게 된다.
이러한 노출로 상기 수지재튜브(50)단부에서 위치된 전극팁(55)이 치료할 종양부로 접촉과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전원 즉, 플러그(60)에서 통전된 전원이 전선과 상기한 "+"극과 "-"극 전극와이어(52)를 거쳐 전극팀(55)에 의해 상기 치료할 종양에 도달되어 공지와 같이 환자 조직의 절단, 제거, 수축, 및 또는 응고를 의미하는 환자 조직의 조절(modulate)에 전자 수술 전류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굽힘정도가 미미하거나 적극팁(55)의 위치와 환부 종양위치가 차이가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적극팁(55)의 굽힘각을 더 요구할 때에는 도 2의 (b)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견인간(40)을 더 후진시킴으로서 와이어견인간(40)에 유착되고 스톱퍼(43)를 뒤로 이송함으로서 이 스톱퍼(43)를 고정한 "+"극과 "-"극의 전극와이어(52) 또는 견인와이어(53)를 더 당김으로 도 3의 (b)에서와 같이 수지재튜브(50)가 그 굽힙각을 더 확대하여 치료한 환부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팀(55)이 불완전한 위치에 도달되더라도 와이어견인간(40)에 의한 2차 조절에 의해 전극팀(55)을 보완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밀착작용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지재튜브(50)내의 "+"극과 "-"극의 전극와이어(52)는 단순히 상기한 "+"극과 "-"극의 전극와이어(52)를 이용하거나 이와 함께 견인와이어(53)를 더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치료행위는 동분야에서 알려져 있으며 기타 선행 특허에서 설명하고 있거나, 여러 가지 의료 수술에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해서, 신장 가능하고 휨되는 튜브에 전극을 구비한 가요성 단부 또는 직선형 단부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세부 기술적 사항 뿐이며, 이러한 본 고안의 설명은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상에서 설명한 고안의 원리 내에서 본 고안을 수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고, 그에 따라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한 양호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에 대한 여러 가지 수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있음은 당연 한다.
상기에 의해 인출된 "+"극과 "-"극의 전극와이어(52)의 전극팁(55)은 집도의가 가압한 조작간(12)의 압력을 해지함으로서 이 조작간(12)을 탄발로 지지한 스프링(11)에 의해 상기 조작간(12)이 복귀되면서 순차적인 복귀로 상기 전극팁(55)이 환부삽입관(30) 끝단부측과 밀착되도록 복귀되어 다음의 사용에 대비하거나 파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기존의 전기수술장치에서 단순히 첨단부위에 전극들을 위치시켜 인위적으로 전극을 환부에 접촉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 즉, 환부와 전극의 접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체의 내부로 침투하는 전극을 환부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전극을 자유로이 힙으로 절곡할 수 있고, 또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이상에서의 본 고안은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상에서 설명한 고안의 원리 내에서 본 고안을 수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고, 그에 따라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한 양호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에 대한 여러 가지 수정을 포함한다.
10 : 몸체부 11 : 스프링 12 : 조작간
13 : 총신부 14 : 힌지축 15 : 가이드공
20 : 연동부재 21 : 가이드봉 22 : 슬라이드관
23 : 고정홈 24 : 고정판 25 : 안내관
30 : 환부삽입관 31 : 캡 40 : 와이어견인간
41 : 가이드부재 43 : 스톱퍼 50 : 수지재튜브
51 : 분할격벽 52 : 전극와이어 53 : 견인와이어
55 : 전극팁 60 : 플러그

Claims (2)

  1. 집도의가 쉽게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스프링(11)으로 탄력설치된 조작간(12)을 구비한 건(gun)형태의 손잡이부로 구비되는 몸체부(10)와 총신부(13)로 구성되는 상기 몸체부(10)에 힌지된 조작간(12)의 연동부재(20)에 고정된 슬라이드관(22)을 연동시켜 전극팁(55)을 환부삽입관(30)에서 입출입과 절곡되도록 하는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로서,

    상기 총신부(13)에 환부삽입관(30)이 고정되는 캡(31)으로 체결된 안내관(25)내에서 활주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관(22)을 연동부재(20)로 연동되도록 연동부재(20)의 가이드공(15)에 조작간(12)의 가이드봉(21)이 결합되어 연동됨과,

    분할격벽(51)으로 분할되고 굽힘가능한 수지재튜브(50)을 환부삽입관(30) 끝단까지 도달시켜 한쌍의 전극팁(55)을 구성하고, 슬라이드관(22)을 관통하는 상기 수지재튜브(50)의 전극와이어(52)는 몸체부(10)의 가이드부재(41)와 힌지부(14)로 힌지된 와이어견인간(40)에 고정됨과,

    상기 수지재튜브(50)의 분할격벽(51)내에 "+"과 "-"극으로 이루워지는 각각의 전극와이어(52)와 견인와이어(53)를 수납시켜 견인와이어(53)의 당김으로 수지재튜브(50)의 끝단이 환부삽입관(30)에서 돌출과 함께 굽힘과 당김이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상기 전극와이어(52)의 "+","-" 중 하나의 전극와이어(52)는 연동부재(20)로부터 몸체부(10)외부로 연결되어 플러그(60)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와이어(52)는 몸체부(10)에 고정된 가이드부재(41)를 와이어견인간(40)을 거친 후 일정거리에 스톱퍼(43)를 형성한 다음 상기 외부로 연결된 플러그(60)와 접속되게 구성되며,

    상기 전극와이어(52) "+","-"극 단부에는 반원형형상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전극팁(55)이 각각의 극과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격벽(51)으로 분활구성된 수지재튜브(50)에 "+"극과 "-"극으로 이루워지는 각각의 전극와이어(52)를 구성하되, 상기 분할격벽(51)으로 분할된 어느 하나에 견인와이어(53)를 더 구성시켜 굽힘과 당김 기능을 보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
KR2020130008235U 2013-10-07 2013-10-07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 KR200478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35U KR200478381Y1 (ko) 2013-10-07 2013-10-07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35U KR200478381Y1 (ko) 2013-10-07 2013-10-07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53U KR20150001453U (ko) 2015-04-15
KR200478381Y1 true KR200478381Y1 (ko) 2015-09-25

Family

ID=5303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235U KR200478381Y1 (ko) 2013-10-07 2013-10-07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3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563B1 (ko) * 2020-05-06 2022-07-11 주식회사 바이오유닛 고주파 열치료술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53U (ko)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8448B2 (en) Surgical devices and mechanisms
EP2526993A2 (en) Treatment tool
TWI503135B (zh) 方向調節電極導管組件
EP1974683B1 (en) Ablation therapeutic device
CA2168968C (en) Medical device with improved actuating handle
CN109394306A (zh) 具有组织止挡件的钳
US20200352422A1 (en) Treatment tool, endoscope device, endoscope system, and treatment method
DE69630602D1 (de) Elektrochirurgisches gerät mit einer auslösevorrichtung
JP2001517528A (ja) 偏向可能間質切除装置
JP2004532074A (ja) 医療用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の設計
IL205798A (en) Anchored rf ablation device for the destruction of tissue masses
US20120059219A1 (en) Bipolar resection device having simplified rotational control and better visualization
US20220273363A1 (en) Expandable abl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e
JPH09206309A (ja) 内視鏡用高周波切開装置
US9956029B2 (en) Telescoping device with saline irrigation line
CN114795076A (zh) 辅助装置的致动手柄
JPH11192205A (ja) 内視鏡用ドレナージチューブ留置具
US20100331621A1 (en) Bipolar resection device having simplified rotational control and better visualization
KR200478381Y1 (ko) 조직 치료를 위한 일회용 전자 수술 핸드피스
US20210015349A1 (en) Medical device
WO2015016139A1 (ja) 腎動脈用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及びその使用方法
JP5312868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00342600A (ja) 内視鏡用スネア
KR101157808B1 (ko) 다이얼-슬라이드 방식 수술기구
EP2046220B1 (en) Med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