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27Y1 - 터미널 및 터미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터미널 및 터미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327Y1
KR200478327Y1 KR2020130009354U KR20130009354U KR200478327Y1 KR 200478327 Y1 KR200478327 Y1 KR 200478327Y1 KR 2020130009354 U KR2020130009354 U KR 2020130009354U KR 20130009354 U KR20130009354 U KR 20130009354U KR 200478327 Y1 KR200478327 Y1 KR 200478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rib
engag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940U (ko
Inventor
이용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9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32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9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9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3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널 및 터미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저면부에 비하여 상기 상면부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저면부의 전단에서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되는 결합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미널 및 터미널 어셈블리{TERMINAL AND TERMINAL ASSEMBLY}
본 고안은 터미널 및 터미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이란, 기판이나 와이어와 같은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터미널은, 리셉터클 터미널과,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탭 터미널을 포함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상기 탭 터미널은, 1개의 금속 부재를 절개 및 밴딩하여 형성되는 본체부, 및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캔틸레버(cantilver)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에 삽입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탭 터미널 및 리셉터클 터미널이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휘어지거나 상기 본체부 및 결합부의 연결 부분이 손상될 우려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터미널 및 터미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저면부에 비하여 상기 상면부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저면부의 전단에서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절개홈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절개홈의 일측에 지지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면은, 상기 상면부의 저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된다.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본체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절개홈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절개홈의 일측에 지지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측면부 및 상면부가 정의하는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된다.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제1본체부 및 상기 제1본체부에서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탭 터미널; 및 상기 탭 터미널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 슬롯을 정의하는 제2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부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저면부에 비하여 상기 상면부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저면부의 전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본체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절개홈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절개홈의 일측에 지지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면은, 상기 상면부의 저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된다.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측면부 및 상면부가 정의하는 상기 제1본체부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된다.
삭제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결합부와의 접촉 과정에서 상기 제2본체부에 대하여 탄성 변형한다.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결합부에는, 제1접촉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부에는, 상기 제1접촉 리브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2접촉 리브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결합부에는, 안착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 리브는, 상기 제1접촉 리브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서 상기 안착 개구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접촉부에는, 상기 제2접촉 리브를 상기 안착 개구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조작 리브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및 터미널 어셈블리의 실시예에서는, 탭 터미널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보강 리브가 본체부의 일측에 지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탭 터미널이 리셉터클 터미널에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가 손상되는 현상이 감소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 및 동작신뢰성이 증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의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의 실시예에서 탭 터미널 및 리셉터클 터미널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의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는, 탭 터미널(100) 및 리셉터클 터미널(200)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탭 터미널(100) 및 리셉터클 터미널(200)은, 기판, 예를 들면, LED가 실장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탭 터미널(100) 및 리셉터클 터미널(200)은 각각 제1 및 제2기판(B1)(B2)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탭 터미널(100)은, 1개의 금속 부재를 절개 및 밴딩하여 형성되는 제1본체부(110) 및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다면체,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제1본체부(110)의 일측에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된다.
상기 제1본체부(110)는, 저면부(111), 2개의 측면부(112) 및 상면부(113)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저면부(111), 측면부(112) 및 상면부(113)는 1개의 금속 부재를 대략 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도록 밴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면부(111)의 양단에서 상기 측면부(112)가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면부(112)의 상단에서 상기 상면부(113)가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1본체부(110)를 형성하는 금속 부재의 단부는 상기 상면부(113)의 중앙에서 맞닿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본체부(110)에는 절개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114)은, 상기 측면부(112) 및 상면부(113)가 정의하는 상기 제1본체부(1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절개홈(114)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측면부(112) 및 상면부(113)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저면부(111)에 비하여 상기 상면부(113)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저면부(111)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0)의 상면은, 상기 상면부(113)의 저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20)는, 대략 'U'자 형상으로 밴딩되는 2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0)에는 안착 개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 개구(121)는 상기 결합부(120)의 선단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20)에는 제1접촉 리브(123)가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접촉 리브(123)는, 상기 안착 개구(121)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개된 상기 결합부(120)의 일부가 상기 결합부(120)에 대하여 하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접촉 리브(123)는, 상기 결합부(120)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을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120)에 보강 리브(125)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 리브(125)는, 상기 제1본체부(110)와 결합부(120)의 연결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강 리브(125)는, 상기 결합부(12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절개홈(114)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홈(114)의 일측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2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결합부(120)가 상기 제1본체부(110)에 대하여 휘거나 상기 제1본체부(110) 및 결합부(120)의 연결 부분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200)은, 1개의 금속 부재를 절개 및 밴딩하여 형성되는 제2본체부(210) 및 접촉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본체부(210)는, 전후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20)는 상기 제2본체부(2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부(120)와 접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본체부(210)에는 결합 슬롯(2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슬롯(211)은, 상기 결합부(120)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곳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 슬롯(211)은 상기 제2본체부(210)의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20)는, 상기 제2본체부(210)의 저면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탄성 연장부(221)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연장부(221)는, 상기 제2본체부(210)의 저면 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밴딩되어 상기 제2본체부(210)의 내부, 즉 상기 결합 슬롯(211)을 관통하여 상기 제2본체부(210)의 후면을 통하여 상기 결합 슬롯(211)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20)에는, 탄성 절개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 절개부(223)는, 상기 접촉부(220)의 일부, 즉 상기 탄성 연장부(22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촉부(220)에는 제2접촉 리브(22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접촉 리브(225)는, 상기 탄성 절개부(223)의 형성을 위하여 절개된 상기 탄성 연장부(221)의 일부가 상기 탄성 연장부(221)에 대하여 하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접촉 리브(225)는, 상기 결합부(120), 예를 들면, 상기 제1접촉 리브(123)와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안착 개구(121) 상에 위치되어 상기 탭 터미널(100) 및 리셉터클 터미널(200)의 임의 분리를 방지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20)에는 조작 리브(227)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 리브(227)는, 상기 접촉부(220)를 상기 제2본체부(210)에 대하여 탄성 변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외력을 전달받는 곳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조작 리브(227)는, 상기 제2본체부(210)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탄성 연장부(221)의 후단 일부가 상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어셈블리의 실시예에서 탭 터미널 및 리셉터클 터미널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B1)에 고정된 탭 터미널(100) 및 제2기판(B2)에 고정된 리셉터클 터미널(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서 양자를 결합한다. 즉, 상기 탭 터미널(100) 및 리셉터클 터미널(200)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결합부(120)가 결합 슬롯(2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접촉부(220)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탭 터미널(100) 및 리셉터클 터미널(200)이 서로 결합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기판(B1)(B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20)가 상기 결합 슬롯(2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부(220)가 탄성 변형하여 상기 결합부(120) 및 접촉부(220)가 서로 접촉된다. 실질적으로는, 제1 및 제2접촉 리브(225)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촉 리브(225)가 안착 개구(121) 상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결합부(120) 및 접촉부(220)의 접촉 해제, 즉 상기 탭 터미널(100) 및 리셉터클 터미널(200)의 임의 분리가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탭 터미널(100) 및 리셉터클 터미널(200)의 분리를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리브(227)를 조작하여 상기 접촉부(220)를 탄성 변형시켜서, 상기 제2접촉 리브(225)가 상기 안착 개구(121)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탭 터미널(100) 및 리셉터클 터미널(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서, 상기 결합부(120)를 상기 결합 슬롯(211)의 외부로 탈거시킨다. 따라서 상기 탭 터미널(100) 및 리셉터클 터미널(200)이 상호 분리되고, 상기 제1 및 제2기판(B1)(B2)의 전기적 연결도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20)가 상기 제1본체부(110)의 저면부(111)에서 밴딩되어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120)에 구비되는 보강 리브(125)가 각각 절개홈(114)의 내부에서 상기 절개홈(114)의 일측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탭 터미널(100) 및 리셉터클 터미널(200)의 결합 및 분리과정에서, 상기 결합부(12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120)의 휘어짐이나 상기 제1본체부(110) 및 결합부(120)의 연결 부분이 손상되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탭 터미널 110: 제1본체부
111: 저면부 112: 측면부
113: 상면부 114: 절개홈
120: 결합부 121: 안착 개구
123: 제1접촉 리브 125: 보강 리브
200: 리셉터클 터미널 210: 제2본체부
211: 결합 슬롯 220: 접촉부
221: 탄성 연장부 223: 탄성 절개부
225: 제2접촉 리브 B1, B2: 기판

Claims (12)

  1.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저면부에 비하여 상기 상면부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저면부의 전단에서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 및 상면부가 정의하는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합부의 연결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절개홈 상에서 위치되어 상기 절개홈의 일측에 지지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되는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면은, 상기 상면부의 저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되는 터미널.
  3. 삭제
  4. 삭제
  5. 제1본체부 및 상기 제1본체부에서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탭 터미널; 및
    상기 탭 터미널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 슬롯을 정의하는 제2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부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저면부에 비하여 상기 상면부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저면부의 전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면부 및 상면부가 정의하는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합부의 연결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절개홈 상에서 위치되어 상기 절개홈의 일측에 지지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되는 터미널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면은, 상기 상면부의 저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되는 터미널 어셈블리.
  7. 삭제
  8. 삭제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결합부와의 접촉 과정에서 상기 제2본체부에 대하여 탄성 변형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제1접촉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에는, 상기 제1접촉 리브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2접촉 리브가 구비되는 터미널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안착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 리브는, 상기 제1접촉 리브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서 상기 안착 개구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터미널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는, 상기 제2접촉 리브를 상기 안착 개구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조작 리브가 구비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2020130009354U 2013-11-13 2013-11-13 터미널 및 터미널 어셈블리 KR200478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354U KR200478327Y1 (ko) 2013-11-13 2013-11-13 터미널 및 터미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354U KR200478327Y1 (ko) 2013-11-13 2013-11-13 터미널 및 터미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40U KR20150001940U (ko) 2015-05-21
KR200478327Y1 true KR200478327Y1 (ko) 2015-09-30

Family

ID=5351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354U KR200478327Y1 (ko) 2013-11-13 2013-11-13 터미널 및 터미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3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614B1 (ko) 2016-05-27 2016-10-25 (주)연호엠에스 터미널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184Y1 (ko) 2003-07-08 2003-10-1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접지단자
JP2004327380A (ja) 2003-04-28 2004-11-18 Kyoshin Kogyo Co Ltd タブ端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380A (ja) 2003-04-28 2004-11-18 Kyoshin Kogyo Co Ltd タブ端子
KR200330184Y1 (ko) 2003-07-08 2003-10-1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접지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614B1 (ko) 2016-05-27 2016-10-25 (주)연호엠에스 터미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40U (ko)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0893U (ja) 電気コネクタ
KR101486179B1 (ko)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US20090275237A1 (en) SIM Card Connector
US20130137307A1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20122350A1 (en) Board-to-board-type connector
JP2012182110A (ja)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JP2007165195A (ja) コネクタ
US20100068947A1 (en) Contact terminal for burn-in-test-socket
US20080254676A1 (en) Coaxial connector
JP6085527B2 (ja) 雌端子
TWI487208B (zh) Terminals improved structure
US9537240B2 (en) Electric connector
US9033727B2 (en) Terminal platform block
US20110117772A1 (en) Electrical jumper with retaining arrangements
US8668511B2 (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KR200478327Y1 (ko) 터미널 및 터미널 어셈블리
JP4220400B2 (ja) コネクタ
US7207821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uction portion
JP6331173B2 (ja)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US907712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ow profile
US20100105218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receiving cpu
US9461380B2 (en) Connector and connecting port assembly therewith
JP6723567B2 (ja) コネクタ
JP5499873B2 (ja) プラグ誤嵌合防止構造付き角型コネクタソケット
JP2003045543A (ja) 接続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