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09Y1 - 회전축교정용 경첩 - Google Patents

회전축교정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309Y1
KR200478309Y1 KR2020130010094U KR20130010094U KR200478309Y1 KR 200478309 Y1 KR200478309 Y1 KR 200478309Y1 KR 2020130010094 U KR2020130010094 U KR 2020130010094U KR 20130010094 U KR20130010094 U KR 20130010094U KR 200478309 Y1 KR200478309 Y1 KR 200478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bush
insertion groove
hinge shaft
hinge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272U (ko
Inventor
최대명
Original Assignee
최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명 filed Critical 최대명
Priority to KR2020130010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30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2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3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첩에 있어서, 상부힌지축의 외주면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상부힌지축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힌지축의 저면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형성된 결합핀; 상기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직경으로 이루어진 제1삽입홈을 구비한 제1편심부시; 상기 제1편심부시가 삽입될 수 있는 제2직경으로 이루어진 제2삽입홈을 구비한 제2편심부시; 하부힌지축의 외주면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하부힌지축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힌지축은 상기 제2편심부시가 삽입될 수 있는 제3직경으로 이루어진 삽입홈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은 상기 제1편심부시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고, 상기 제2삽입홈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은 상기 제2편심부시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고,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문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문틀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는 각각 고정용 체결공이 다수개 형성된 회전축교정용경첩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다수개의 경첩을 마련하여 문을 고정하거나 무거운 문을 고정하는 경우, 결합되는 경첩간의 회전축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제1편심부시 및 제2편심부시의 위치이동에 의해 문이 큰 마찰없이 개폐될 수 있어, 경첩의 파손 및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축교정용 경첩{HINGE}
본 고안은 경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회전축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원활히 회전할 수 있고 무게분산을 원만히 할 수 있는 회전축교정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문과 문틀 사이에 고정 설치하여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기 위한 문이나 창문, 또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 등에 널리 쓰이는 힌지부재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경첩구조는 문틀의 내측면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110), 문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힌지축(130)을 중심으로 일정범위 회전되는 회전 플레이트(120), 두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축(130)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플레이트(120)는 문틀의 내측면 일측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힌지축(130)을 중심으로 일정범위 회전되는 것으로 회전플레이트(120)는 문의 일측면에 회전플레이트(120)의 고정용 체결공(40)을 나사 또는 못을 결합함으로써 결합된다.
따라서, 문틀과 문의 일측에 고정 플레이트(110)와 회전플레이트(120)를 나사나 못 등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문틀에 문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첩구조는 무거운 문, 예컨대, 커다란 공장의 문이나 그 외 육중한 회전문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한 짝의 문에 수개의 경첩을 마련하여 문의 중량을 나누어 고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중량을 분산하기 위해 수개의 경첩을 설치해야 하므로 경첩 상호간에 회전축선을 정확히 맞추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개폐시 하중에 의해 중간에 마련된 경첩이 자꾸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9366호에는 도어용 경첩구조에 대해 게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문의 하중을 분산하고 파손의 우려가 없는 회전축교정용 경첩을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첩에 있어서, 상부힌지축의 외주면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상부힌지축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힌지축의 저면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형성된 결합핀; 상기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직경으로 이루어진 제1삽입홈을 구비한 제1편심부시; 상기 제1편심부시가 삽입될 수 있는 제2직경으로 이루어진 제2삽입홈을 구비한 제2편심부시; 하부힌지축의 외주면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하부힌지축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힌지축은 상기 제2편심부시가 삽입될 수 있는 제3직경으로 이루어진 삽입홈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은 상기 제1편심부시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고, 상기 제2삽입홈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은 상기 제2편심부시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고,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문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문틀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는 각각 고정용 체결공이 다수개 형성된 회전축교정용경첩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다수개의 경첩을 마련하여 문을 고정하거나 무거운 문을 고정하는 경우, 결합되는 경첩간의 회전축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제1편심부시 및 제2편심부시의 위치이동에 의해 문이 큰 마찰없이 개폐될 수 있어, 경첩의 파손 및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교정용 경첩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힌지축에 제1편심부시, 제2편심부시 및 결합핀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 2a는 결합핀이 하부힌지축의 삽입홈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도 2b 및 도 2c는 결합핀이 하부힌지축의 삽입홈의 중앙이 아닌 일측에 각각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교정용 경첩의 동작상태도로, 도 3a는 결합핀이 하부힌지축의 삽입홈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도 3b는 결합핀이 하부힌지축의 삽입홈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도 3c는 결합핀이 하부힌지축의 삽입홈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경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교정용 경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교정용 경첩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힌지축에 제1편심부시, 제2편심부시 및 결합핀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 2a는 결합핀이 하부힌지축의 삽입홈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도 2b 및 도 2c는 결합핀이 하부힌지축의 삽입홈의 중앙이 아닌 일측에 각각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교정용 경첩의 동작상태도로, 도 3a는 결합핀이 하부힌지축의 삽입홈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도 3b는 결합핀이 하부힌지축의 삽입홈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도 3c는 결합핀이 하부힌지축의 삽입홈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교정용 경첩은 상부힌지축(20)의 외주면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상부힌지축(20)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 상부플레이트(10)와, 상기 힌지축(20)의 저면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형성된 결합핀(21)과, 제1편심부시(30)와, 제2편심부시(40)와, 하부힌지축(50)의 외주면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하부힌지축(50)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 하부플레이트(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하부힌지축(50)은 상기 제2편심부시(40)가 삽입될 수 있는 제3직경(a3)으로 이루어진 삽입홈(51)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0)는 문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60)는 문틀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0)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60)에는 문과 문틀에 나사나 못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체결공(11, 61)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편심부시(30)는 제1직경(a1)을 가진 제1삽입홈(31)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1삽입홈(31)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은 제1편심부시(30)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직경(a1)은 상기 결합핀(21)이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편심부시(40)는 제2직경(a2)을 가진 제2삽입홈(41)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2삽입홈(41)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은 제2편심부시(40)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직경(a2)은 상기 제1편심부시(30)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힌지축(50)은 내부에 제3직경(a3)을 가진 삽입홈(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직경은 상기 제2편심부시(40)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51)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은 상기 제1삽입홈(31) 및 상기 제2삽입홈(41)과는 달리 하부힌지축(50)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과 일치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교정용 경첩은 상기 삽입홈(51)에 제2편심부시(40)가, 제2편심부시(40)의 제2삽입홈(41)에 제1편심부시(30)가, 제1편심부시(30)의 제1삽입홈(31)에 결합핀(21)이 삽입되어 조립되며, 문의 하중에 의해 결합핀(21)과 하부힌지축(50)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이 일치되지 않더라도 제1편심부시(30)와 제2편심부시(40)의 위치이동에 의해 경첩이 파손되지 않고 문이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결합핀(21), 제1편심부시(30), 제2편심부시(40) 및 하부힌지축(50)이 서로 조립되었을 경우, 각각 유격없이 조립되고 회전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결합핀(21), 제1편심부시(30), 제2편심부시(40) 및 하부힌지축(5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각 구성요소 사이에 윤활유나 마찰감소오일을 도포할 수 있으며, 오일레스 탄소용 재질로 제1편심부시(30), 및 제2편심부시(40)를 가공하는 경우에는 윤활유나 마찰감소오일을 도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서, 결합핀(21)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이 하부힌지축(50)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과 일치할 경우에는, 하부힌지축(50), 제1, 2편심부시(30, 40), 및 결합핀(21)은, 각각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또한, 결합핀(21)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이 하부힌지축(50)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과 달리 다른 한 쪽으로 편심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부힌지축(50)의 삽입홈(51) 내에서 제2편심부시(40)의 제2삽입홈(41)이 이동되고, 제2편심부시(40)의 제2삽입홈(41) 내에서 제1편심부시(30)의 제1삽입홈(31)이 이동되어, 도 2b 및 도 2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51) 내에서 제1,2삽입홈(31, 41)이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21)이 하부힌지축(50)의 중심축에 위치될 때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21)이 하부힌지축(50)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제1, 2편심부시(30, 40)의 제1,2삽입홈(31, 41)이 위치된다.
그리고, 결합핀(21)이 하부힌지축(50)의 중심축으로부터 좌측으로 위치될 때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힌지축(50) 내부에 조립된 제1, 2편심부시(30, 40)의 제1, 2삽입홈(31, 41)은 좌측으로 이동되어 문이 원활히 개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핀(21)이 하부힌지축(50)의 중심축으로부터 우측으로 위치될 때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힌지축(50) 내부에 조립된 제1,2편심부시(30, 40)의 제1,2삽입홈(31, 41)은 우측으로 이동되어 문이 원활히 개폐될 수 있게 된다.
10, 60 : 상부, 하부플레이트 20, 50 : 상부, 하부힌지축
21 : 결합핀 30 : 제1편심부시
31: 제1삽입홈 40 : 제2편심부시
41 : 제2삽입홈 51: 삽입홈
11, 61 : 고정용 체결공 a1, a2, a3 : 제1,2,3직경

Claims (2)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첩에 있어서,
    상부힌지축의 외주면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상부힌지축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힌지축의 저면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형성된 결합핀;
    상기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직경으로 이루어진 제1삽입홈을 구비한 제1편심부시;
    상기 제1편심부시가 삽입될 수 있는 제2직경으로 이루어진 제2삽입홈을 구비한 제2편심부시;
    하부힌지축의 외주면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하부힌지축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힌지축은 상기 제2편심부시가 삽입될 수 있는 제3직경으로 이루어진 삽입홈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은 상기 제1편심부시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고,
    상기 제2삽입홈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은 상기 제2편심부시의 수직방향에 따른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고,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문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문틀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는 각각 고정용 체결공이 다수개 형성된 회전축교정용경첩.
  2. 삭제
KR2020130010094U 2013-12-06 2013-12-06 회전축교정용 경첩 KR200478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094U KR200478309Y1 (ko) 2013-12-06 2013-12-06 회전축교정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094U KR200478309Y1 (ko) 2013-12-06 2013-12-06 회전축교정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272U KR20150002272U (ko) 2015-06-16
KR200478309Y1 true KR200478309Y1 (ko) 2015-09-30

Family

ID=5351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094U KR200478309Y1 (ko) 2013-12-06 2013-12-06 회전축교정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30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116B2 (ja) 1993-04-05 1996-08-14 日本ドアーチエック製造株式会社 ピボットヒン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116B2 (ja) 1993-04-05 1996-08-14 日本ドアーチエック製造株式会社 ピボットヒ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272U (ko) 201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2164B2 (ja) ヒンジ装置
EP1718832B1 (en) Hinge
US9104381B2 (en) Biaxial hinge
US6564428B2 (en) Compound hinge
US9765559B2 (en) Multi-directional rotational sliding door self-closing device
US8381355B2 (en) Adjustable hinge
KR101206621B1 (ko) 노출 차단형 경첩
KR102147878B1 (ko) 개방 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도어 힌지용 스토퍼
KR200478309Y1 (ko) 회전축교정용 경첩
KR101482725B1 (ko)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CN207813329U (zh) 铰链
JP5358042B2 (ja) 隠し丁番
US11739579B2 (en) Displaceable hinge unit
KR100851964B1 (ko) 힌지 장치
JP4101259B2 (ja) ガラス製扉用の蝶番機構
CN209874809U (zh) 一种门扇连接件
JPH08184254A (ja) 自動復帰型ヒンジ
US4139925A (en) Door hinge, particularly for refrigerators
EP2354400B1 (en) A hinge with integrated door-stop device for vehicle doors
KR200287926Y1 (ko)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RU112707U1 (ru) Петля шарнирная
KR20230007159A (ko) 접이식 문의 연결구조
CN114776160A (zh) 一种内折叠铰链结构
KR20190000574U (ko) 스윙 도어
KR200283691Y1 (ko)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