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08Y1 - 봉함케이스 - Google Patents

봉함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308Y1
KR200478308Y1 KR2020120009700U KR20120009700U KR200478308Y1 KR 200478308 Y1 KR200478308 Y1 KR 200478308Y1 KR 2020120009700 U KR2020120009700 U KR 2020120009700U KR 20120009700 U KR20120009700 U KR 20120009700U KR 200478308 Y1 KR200478308 Y1 KR 200478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insertion groove
wedge
torn
enclosur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613U (ko
Inventor
진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웅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to KR2020120009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30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6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3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0Break-in flaps, or members adapted to be torn-off, to provide pouring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삽입홈을 포함하는 뚜껑부, 및 삽입홈에 삽입되는 하부 쐐기를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뚜껑부의 최초 개봉시, 삽입홈과 뚜껑부의 말단 사이가 하부 쐐기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통해, 본 고안인 봉함케이스에 수용된 내용물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봉함케이스{A sealed case}
본 고안은 봉함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초 개봉시 뚜껑부의 칼홈이 찢어져 내용물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봉함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봉함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에 수용할 수 있는 내용물은 다양하며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본 고안은 의약품의 케이스에서 시작되었다.
의약품의 경우 내용물의 변조가 반드시 금지되어야 하나, 현재 사용되는 의약품 케이스에서는 봉인 스티커 정도가 변조 방지 기능을 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봉인 스티커는 변조 방지 기능을 완벽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봉인 스티커를 제거한 후 내용물을 변조하고 새로운 봉인 스티커로 대체하는가 하면, 봉인 스티커를 뚜껑부를 개봉할 수 있는 정도만 때어낸 후 내용물을 변조하고 다시 붙이는 경우도 있다.
또한, 봉인 스티커는 스티커를 케이스에 붙이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어 추가적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의 변조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봉함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삽입홈을 포함하는 뚜껑부;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하부 쐐기를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의 최초 개봉시, 상기 삽입홈과 상기 뚜껑부의 말단 사이가 상기 하부 쐐기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삽입홈과 상기 뚜껑부의 말단 사이에 형성된 칼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의 최초 개봉시, 상기 칼홈이 상기 하부 쐐기에 의해 찢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부 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쐐기 및 상기 상부 쐐기는 크기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뚜껑부의 말단으로부터 2 내지 5 mm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부 칼선을 포함하는 뚜껑부; 및 상기 하부 칼선에 삽입되는 하부 쐐기를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의 최초 개봉시, 상기 하부 칼선과 상기 뚜껑부의 말단 사이가 상기 하부 쐐기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케이스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뚜껑부는 상부 칼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는 상기 상부 칼선에 삽입되는 상부 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칼선 및 상기 상부 칼선은 "11"자 형태로 상기 뚜껑부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봉함케이스에 수용된 내용물의 변조가 방지된다.
특히, 내용물이 의약품인 경우는 변조뿐만 아니라, 소분 판매를 막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자동화 생산이 가능하여 제작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봉함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봉함케이스의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봉함케이스로서, 뚜껑부가 개봉되기 전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봉함케이스로서, 뚜껑부가 개봉되기 전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봉함케이스의 구조의 설명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봉함케이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인 봉함케이스의 일례인 육면체형의 봉함케이스에 대하여 서술하나, 본 고안인 봉함케이스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삼각기둥형, 원기둥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음은 본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봉함케이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100), 측면부(200), 및 저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부(100)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개폐가 가능한 부분이다. 일례로서, 뚜껑부(100)는 상면(110) 및 절곡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향하는 면으로서 일측이 측면부(200)와 연결된다.
절곡면(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과 연결되며 상면(110)과 약 90°의 각도를 이루며 꺾여 측면부(200) 방향으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보강부(250)가 접혀져서 생긴 홈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절곡면(120)은 삽입된 상태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절곡면(120)은, 일례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21), 및 칼홈(123)을 포함한다.
삽입홈(121)은, 이하에서 서술할 쐐기(210, 220)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다.
삽입홈(121)은,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과 절곡면(120)의 말단(122) 사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삽입홈(121)은 직사각형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 자동화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에 드는 비용 및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홈(121)은 절곡면(120)의 말단(122)으로부터 2 내지 5 mm 이격된다. 만약 2 mm 보다 이격거리가 적은 경우에는 유통과정 등에서 의도하지 않게 이하에서 서술할 칼홈(123)이 찢어질 수 있으며, 만약 5 mm 보다 이격거리가 큰 경우에는 소비자가 뚜껑부(100)를 개봉하기 위해 과도한 힘이 요구될 수 있다.
칼홈(123)은, 삽입홈(121)과 절곡면(120)의 말단(122) 사이에 형성되어 뚜껑부(100)의 개봉시 칼홈(123)을 통해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한다.
칼홈(123)은,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뚜껑부(100)의 개봉시 쉽게 찢어질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측면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면을 포함하고 절곡부(230a, 230b, 230c)에서 절곡되어 육면체형의 봉함케이스의 측면을 형성한다. 일례로서 접합부(240)를 더 포함하며, 접합부(240)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측면부(200)와 접착되어 육면체의 측면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측면부(200)는, 일례로서 하부 쐐기(210) 및 상부 쐐기(220)를 포함한다.
하부 쐐기(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21)에 삽입되며 아래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를 통해, 뚜껑부(100)의 개봉시 삽입홈(121)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해서 삽입홈(121)과 말단(122) 사이를 찢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칼홈(123)을 찢는 역할을 한다.
하부 쐐기(210)는,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일 수 있으나, 뚜껑부(100)의 개봉시 삽입홈(121)에 압력을 가해 칼홈(123)이 찢어지도록 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상부 쐐기(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21)에 삽입되며 윗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개봉시 칼홈(123) 찢어지는 현상을 피하기 위해, 뚜껑부(100)를 아래로 밀어 넣어 뚜껑부(100)를 개봉하는 것을 막는다.
상부 쐐기(220)는, 하부 쐐기(210)와 마찬가지로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일 수 있으나, 뚜껑부(100)를 아래로 밀어 넣어 개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하부 쐐기(210)와 상부 쐐기(220)는 크기가 상이하다. 일례로서 도 3은 하부 쐐기(210)가 상부 쐐기(220) 보다 크기가 큰 경우를 도시한다. 이를 통해, 하부 쐐기(210) 및 상부 쐐기(220)의 종이 결이 엇갈려 쐐기(210, 220) 부분이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저면부(300)는,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봉함케이스의 저면을 형성하며 봉함케이스에 수용된 내용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의 역할을 보다 견고히 수행하도록 측면부(200)의 보강부(250)와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함케이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함케이스는, 뚜껑부(100), 측면부(200), 및 저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부(100)는 삽입홈(121) 대신 하부 칼선 및 상부 칼선을 포함한다.
하부 칼선에는 하부 쐐기(210)가 삽입되며, 뚜껑부(100)의 최초 개봉시, 하부 칼선과 뚜껑부(100)의 말단(122) 사이가 하부 쐐기(210)에 의해 찢어진다.
상부 칼선에는 상부 쐐기(220)가 삽입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뚜껑부(100)를 아래로 밀어넣어 개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하부 칼선 및 상부 칼선은 "11"자 형태로 뚜껑부(100)의 절곡면(120) 상에 배치된다.
하부 칼선 및 상부 칼선의 길이 및 너비는 하부 쐐기(210) 및 상부 쐐기(2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함케이스에서 상기한 하부 칼선 및 상부 칼선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위에서 서술한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봉함케이스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봉함케이스의 조립과정의 설명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봉함케이스의 조립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봉함케이스의 전개도를 도시한다.
먼저, 측면부(200)를 절곡부(230a, 230b, 230c)를 따라 접어 측면의 4면을 형성한다. 그런 후, 접합부(240)에 접착제를 도포해 만나는 측면부(200)와 접합시킨다.
이렇게 측면을 형성한 후, 저면부(300)를 조립한다. 저면부(300)를 조립한 후 봉함케이스 내부에 의약품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시킨다.
내용물이 수용된 봉함케이스의 뚜껑부(100)의 절곡면(120)을 측면부(200)를 향해 삽입한다. 이때, 보강부(250) 사이의 틈으로 삽입된다.
삽입된 절곡면(120)의 삽입홈(121) 내로 하부 쐐기(210) 및 상부 쐐기(220)가 삽입되면 조립이 완료된다.
봉함케이스의 개봉과정의 설명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봉함케이스의 개봉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봉함케이스의 뚜껑부(100)의 상면(110)을 잡고 위 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이를 통해, 하부 쐐기(210)는 삽입홈(121)에 삽입된 상태로 삽입홈(121)에 아랫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이 힘은 결국 칼홈(123)이 찢어지도록 하며 칼홈(123)이 찢어지면서 삽입되어 있던 뚜껑부(100)의 절곡면(120)이 외부로 나오면서 개봉된다.
따라서, 봉함케이스는 최초 개봉시, 반드시 칼홈(123)이 뜯겨진 상태가 되므로 최초 개봉인지 여부가 확인가능하다. 이를 통해 내용물의 변조 및 의약품의 소분 판매를 막을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본 고안의 이러한 특징을 인지한 상태에서 칼홈(123)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부(100)를 밀어넣어 개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 쐐기(220)에 의해 뚜껑부(100)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뚜껑부
110 : 상면
120 : 절곡면
121 : 삽입홈
122 : 말단
123 : 칼홈
200 : 측면부
210 : 하부 쐐기
220 : 상부 쐐기
230a, 230b, 230c : 절곡부
240 : 접합부
250 : 보강부
300 : 저면부

Claims (9)

  1. 일측에 위치하는 절곡면 및 상기 절곡면의 말단(122)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삽입홈(121)을 포함하는 뚜껑부; 및
    상기 삽입홈(121)에 삽입되는 하부 쐐기를 포함하는 측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의 최초 개봉시, 상기 삽입홈(121)과 상기 절곡면의 말단(122) 사이가 상기 하부 쐐기에 의해 찢어지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삽입홈(121)과 상기 절곡면의 말단(122) 사이에서 상기 삽입홈(121)의 양측 말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칼홈(12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절곡면의 말단으로부터 2 내지 5 mm 이격되어, 상기 칼홈이 유통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찢어지거나 상기 뚜껑부를 개봉하기 위해 과도한 힘이 요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최초 개봉시, 상기 칼홈이 상기 하부 쐐기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부 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쐐기 및 상기 상부 쐐기는 크기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케이스.
  6. 삭제
  7. 일측에 위치하는 절곡면 및 상기 절곡면의 말단(122)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절곡면의 말단(122)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하부 칼선을 포함하는 뚜껑부; 및
    상기 하부 칼선에 삽입되는 하부 쐐기를 포함하는 측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의 최초 개봉시, 상기 하부 칼선과 상기 절곡면의 말단(122) 사이가 상기 하부 쐐기에 의해 찢어지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하부 칼선과 상기 절곡면의 말단(122) 사이에서 상기 하부칼선의 양측 말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칼홈(123)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칼선은 상기 절곡면의 말단(122)으로부터 2 내지 5 mm 이격되어, 상기 칼홈(123)이 유통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찢어지거나 상기 뚜껑부를 개봉하기 위해 과도한 힘이 요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하부 칼선의 상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부 칼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는 상기 상부 칼선에 삽입되는 상부 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케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칼선 및 상기 상부 칼선은 뉘어진 "11"자 형태로 상기 절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케이스.
KR2020120009700U 2012-10-25 2012-10-25 봉함케이스 KR200478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700U KR200478308Y1 (ko) 2012-10-25 2012-10-25 봉함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700U KR200478308Y1 (ko) 2012-10-25 2012-10-25 봉함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613U KR20140002613U (ko) 2014-05-07
KR200478308Y1 true KR200478308Y1 (ko) 2015-09-16

Family

ID=5244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700U KR200478308Y1 (ko) 2012-10-25 2012-10-25 봉함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3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509B1 (ko) 2021-04-28 2022-02-09 손만호 방연마스크를 보관하는 방재케이스로 이루어지는 비상대피용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553Y1 (ko) * 2002-11-25 2003-02-19 주식회사은성사 제품 보관 및 전시용 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553Y1 (ko) * 2002-11-25 2003-02-19 주식회사은성사 제품 보관 및 전시용 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509B1 (ko) 2021-04-28 2022-02-09 손만호 방연마스크를 보관하는 방재케이스로 이루어지는 비상대피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613U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7289B2 (en) Packaging Box
JP5366325B2 (ja) 包装用箱
JP6550369B2 (ja) 確実な可聴式の封止手段を備える容器
US5190155A (en) Tamper proof folding box
US20170283139A1 (en) Tamper evident container
WO2005110867A1 (ja) 包装箱
JP6589742B2 (ja) 梱包材
JP5420089B1 (ja) 梱包箱
KR200478308Y1 (ko) 봉함케이스
JP6303876B2 (ja) 二重容器
JP5420053B1 (ja) 梱包箱
JP2017132483A (ja) 包装箱
JP2006199371A (ja) 段ボール製包装箱
JP3177596U (ja) 包装箱
WO2005110868A1 (ja) 包装箱
JP6376350B2 (ja) 包装用箱
US20060112571A1 (en) Cardboard tool for opening glass ampoules
JP4886604B2 (ja) 変形包装箱
JP5944737B2 (ja) 包装箱
JP5768538B2 (ja) 包装箱
JP2005231707A (ja) 改ざん防止用箱
JP6234209B2 (ja) 包装体
JP4893713B2 (ja) 包装容器
KR20120004618U (ko) 플랩을 구비한 봉함 케이스.
US20210053713A1 (en) Tamper-evident paperboard food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