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231Y1 - 리모컨 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231Y1
KR200478231Y1 KR2020150002415U KR20150002415U KR200478231Y1 KR 200478231 Y1 KR200478231 Y1 KR 200478231Y1 KR 2020150002415 U KR2020150002415 U KR 2020150002415U KR 20150002415 U KR20150002415 U KR 20150002415U KR 200478231 Y1 KR200478231 Y1 KR 200478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voltage
port
usb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은
Original Assignee
박세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은 filed Critical 박세은
Priority to KR2020150002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231Y1/ko
Priority to PCT/KR2015/009576 priority patent/WO20161674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05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2J2007/0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모컨 장치로서, 원격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는,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컨 장치에 있어서, 5핀 포트, 8핀 포트, 및 USB 포트가 구비된 충방전 포트; 5핀 포트, 8핀 포트, 및 USB 포트를 통해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지는 배터리; 상기 5핀 포트의 전압 단자를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5핀 차단 스위치; 상기 8핀 포트의 전압 단자를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8핀 차단 스위치; 상기 USB 포트의 전압 단자를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USB 차단 스위치; 상기 5핀 포트의 전압 단자의 전압인 5핀 전압을 검출하는 5핀 전압 검출부; 상기 8핀 포트의 전압 단자의 전압인 8핀 전압을 검출하는 8핀 전압 검출부; 상기 USB 포트의 전압 단자의 전압인 USB 전압을 검출하는 USB 전압 검출부; 사용자로부터 충전 모드 또는 방전 모드를 선택받는 충방전 모드 선택부; 및 상기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 상기 5핀 전압, 8핀 전압, 및 USB 전압 중에서 두 개 이상의 전압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되는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압만이 상기 배터리에 인가되도록 상기 5핀 차단 스위치, 8핀 차단 스위치, 및 USB 차단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모컨 장치{remote control}
본 고안은 리모컨 장치로서, 원격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첨단 IT 기술과 통신장비의 성능이 높아짐에 따라 리모컨, 스마트폰, PDA, 휴대용 카메라, 넷북, 노트북, MP3플레이어 등과 같은 각종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은 초등학생들도 휴대폰을 소지할 정도로 일반화되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의 특징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체 충전지를 내장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있다. 그렇지만 충전지 전원은 충방전 용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가끔 사용 시간이 길어지게 될 경우에 전원이 소진되어 단말기를 전혀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이때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케이블을 연결하여 충전지를 충전해야 하는데, 갑자기 충전할 곳도 마땅히 찾을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주고 급속 충전을 하더라도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사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컨의 경우 TV, 에어컨, 라디오,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를 전원 온/오프, 제어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충전지가 아닌 건전지를 배터리로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건전지는 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건전지의 용량이 다 떨어지면, 새로운 건전지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20-0264824호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건전지 교체의 불편없이도 리모컨을 동작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휴대폰 및 휴대장치 등의 충전 케이블 5핀 포트, 8핀 포트, 및 USB 포트를 활용하여 리모컨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리모컨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다른 5핀 포트, 8핀 포트, 및 USB 포트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는,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컨 장치에 있어서, 5핀 포트, 8핀 포트, 및 USB 포트가 구비된 충방전 포트; 5핀 포트, 8핀 포트, 및 USB 포트를 통해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지는 배터리; 상기 5핀 포트의 전압 단자를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5핀 차단 스위치; 상기 8핀 포트의 전압 단자를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8핀 차단 스위치; 상기 USB 포트의 전압 단자를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USB 차단 스위치; 상기 5핀 포트의 전압 단자의 전압인 5핀 전압을 검출하는 5핀 전압 검출부; 상기 8핀 포트의 전압 단자의 전압인 8핀 전압을 검출하는 8핀 전압 검출부; 상기 USB 포트의 전압 단자의 전압인 USB 전압을 검출하는 USB 전압 검출부; 사용자로부터 충전 모드 또는 방전 모드를 선택받는 충방전 모드 선택부; 및 상기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 상기 5핀 전압, 8핀 전압, 및 USB 전압 중에서 두 개 이상의 전압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되는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압만이 상기 배터리에 인가되도록 상기 5핀 차단 스위치, 8핀 차단 스위치, 및 USB 차단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5핀 전압, 8핀 전압, 및 USB 전압 중에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전압만이 상기 배터리에 인가되도록 상기 5핀 차단 스위치, 8핀 차단 스위치, 및 USB 차단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5핀 포트의 전압 단자, 상기 8핀 포트의 전압 단자, 및 상기 USB 포트의 전압 단자가 하나의 노드에 연결되어 통합 포트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리모컨 장치는, 상기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상기 통합 포트 노드를 상기 배터리에 연결하는 스위칭을 하며, 상기 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설정된 기준 전압으로 승압하여 상기 통합 포트 노드에 제공하는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는, 입력되는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으로 승압하여 상기 통합 포트 노드로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는 제1스위칭 단자와, 상기 통합 포트 노드와 연결되는 제2스위칭 단자와, 상기 DC/DC 컨버터와 연결된 제3스위칭 단자를 구비한 충방전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상기 제1스위칭 단자와 제2스위칭 단자를 연결하는 스위칭을 하며, 상기 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상기 제1스위칭 단자와 제3스위칭 단자를 연결하는 스위칭을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 상기 5핀 전압, 8핀 전압, 및 USB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전압이 검출되는 경우, 충전 중임을 LED램프로 표시하고, 전원 온/오프 제어만을 수행하고 나머지 다른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리모컨에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건전지를 교체하는 불편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케이블 5핀 포트, 8핀 포트, 및 USB 포트를 활용하여 충전할 수 있어, 가정 내에서 상황에 맞는 포트 케이블로 리모컨의 배터리가 부족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다른 5핀 포트, 8핀 포트, 및 USB 포트에 연결된 스마트폰 등을 충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리모컨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장치의 후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장치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장치의 충방전 구성 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가 구비된 리모컨 장치의 충방전 회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충전 모드로 동작 시에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방전 모드로 동작 시에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장치의 후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장치의 충방전 구성 회로도이다.
보편적으로 사용중인 가전 기기의 리모컨은 건전지를 사용하는데 배터리(B+) 용량이 소모되면 교체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이에 본 고안의 실시예는 충전지를 사용하여 배터리(B+) 소모시 재충전을 하여 사용함으로써 배터리(B+)의 소모량을 줄이며 환경을 보호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게임 리모컨 등은 전용 충전 거치대 및 충전 케이블이 있어서 다른 제품과 범용으로 사용할수 없다는 단점을 개선하여 많이 보급되어진 휴대폰 및 휴대장치 등의 충전 케이블 5핀 포트(111), 8핀 포트(112), 및 USB 포트(113)를 활용하여 충전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한다. 따라서 가정 내에서 상황에 맞는 포트 케이블로 리모컨의 배터리(B+)가 부족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리모컨 장치는, 충방전 포트(110), 배터리(B+), 5핀 차단 스위치(121), 8핀 차단 스위치(122), USB 차단 스위치(123), 5핀 전압 검출부(D1), 8핀 전압 검출부(D2), USB 전압 검출부(D3), 충방전 모드 선택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충방전 포트(110)는, 5핀 포트(111), 8핀 포트(112), 및 USB 포트(113)가 구비된 모듈이다.
5핀 포트(111)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외부 장치와 연결시키는 통신 포트로서, 예컨대,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방식을 포함한다. 5핀 포트(111)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의 데이터 13라인을 데이터 3라인으로 줄인 포트로서, 1개의 전압 단자, 1개의 접지 단자, 3개의 데이터 단자를 포함하여 데이터 송수신 및 전력 충전이 가능한 포트이다. 이러한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에는, 5핀 케이블 연결을 통하여 +5[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8핀 포트(112)는, 주로 아이폰의 전용 단자로 주로 사용되는 포트로서 마찬가지로 전압 단자, 접지 단자, 및 데이터 단자를 구비하여 충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에는, 8핀 케이블 연결을 통하여 +5[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USB 포트(113)(Universal Serial Bus Port)는, 병렬 포트, RS-232직렬 포트, PS/2 포트 등의 기존의 통신 인터페이스 포트를 대신하기 위해 제안된 인터페이스 포트이다. USB 1.0부터 제안되어 현재는 USB 3.0까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전압 단자, 접지 단자, 및 데이터 단자를 구비하여 충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USB 포트(113)의 전압 단자(113a)에는, USB 케이블 연결을 통하여 +5[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5핀 케이블은 5핀 포트(111)에 꽂힐 수 있으며, 8핀 케이블은 8핀 포트(112)에 꽂힐 수 있으며, USB 케이블은 USB 포트(113)에 꽂힐 수 있다.
배터리(B+)는 5핀 포트(111), 8핀 포트(112), 및 USB 포트(113)를 통해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배터리(B+)로는 니켈-카드뮴전지, 니켈-수소금속전지, 리튬이온전지, NAS전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리튬이온전지는 단위 체적 당 에너지 밀도 및 단위 질량 당 에너지 밀도가 크고, 그것을 탑재하는 기기의 소형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리튬이온전지는 일반 건전지와는 달리 축전기라는 것인데, 양쪽에 다른 금속판을 두어 한쪽에 전하를 쌓아두어 전위차(전압의 차이)를 만들어서 이때의 전위차를(이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가 흐르도록 하는 것이다.
5핀 차단 스위치(121)는 기계 릴레이(M-Relay) 또는 전자 릴레이(E-Relay)로 구현되어, 5핀 포트(111)내의 전압 단자(111a)를 개방(open)시키거나 또는 단락(short)시킬 수 있다. 즉, 5핀 차단 스위치(121)의 연결에 의하여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가 배터리(B+)에 연결되도록 단락(short)시켜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으며, 5핀 차단 스위치(121)의 차단에 의하여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가 배터리(B+)에 연결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개방(open)시켜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8핀 차단 스위치(122)는 기계 릴레이(M-Relay) 또는 전자 릴레이(E-Relay)로 구현되어, 8핀 포트(112)내의 전압 단자(112a)를 개방(open)시키거나 또는 단락(short)시킬 수 있다. 즉, 8핀 차단 스위치(122)의 연결에 의하여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가 배터리(B+)에 연결되도록 단락(short)시켜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으며, 8핀 차단 스위치(122)의 차단에 의하여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가 배터리(B+)에 연결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개방(open)시켜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SB 차단 스위치(123)는 기계 릴레이(M-Relay) 또는 전자 릴레이(E-Relay)로 구현되어, USB 포트(113)내의 전압 단자(113a)를 개방(open)시키거나 또는 단락(short)시킬 수 있다. 즉, USB 차단 스위치(123)의 연결에 의하여 USB 포트(113)의 전압 단자(113a)가 배터리(B+)에 연결되도록 단락(short)시켜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으며, USB 차단 스위치(123)의 차단에 의하여 USB 포트(113)의 전압 단자(113a)가 배터리(B+)에 연결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개방(open)시켜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할 수 있다.
5핀 전압 검출부(D1)는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의 전압(이하, '5핀 전압'이라 함)을 검출할 수 있다. 8핀 전압 검출부(D2)는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의 전압(이하, '8핀 전압'이라 함)을 검출할 수 있다. USB 전압 검출부(D3)는 USB 포트(113)의 전압 단자(113a)의 전압(이하, 'USB 전압'이라 함)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압 검출은,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 및 USB 포트(113)의 전압 단자(113a)마다 각각 전압 검출 저항(R)을 마련하여, 저항 양단의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각 전압 단자에 걸리는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모드로 동작시에 5핀 포트(111)에 5핀 케이블이 연결되어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5핀 전압이 검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충전 모드로 동작시에 8핀 포트(112)에 8핀 케이블이 연결되어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8핀 전압이 검출될 수 있으며, USB 포트(113)에 USB 케이블이 연결되어 USB 포트(113)의 전압 단자(113a)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USB 전압이 검출될 수 있다.
충방전 모드 선택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충전 모드 또는 방전 모드를 선택받는 선택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모드 선택부의 선택 수단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키패드 조작에 의하여 모드 선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 컨내의 배터리(B+)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충방전 모드 선택부(130)를 통하여 충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리모컨 내의 배터리(B+)에 충전된 전압을 이용하여 충방전 포트(110)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충방전 모드 선택부(130)를 통하여 방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모드로 선택되고, 5핀 차단 스위치(121)에 의해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가 단락(short)되도록 한 상태에서 5핀 포트(111)에 5핀 케이블이 연결되어 전압이 제공되는 경우,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를 통해 들어오는 전압은 배터리(B+)에 제공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8핀 차단 스위치(122)에 의해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가 단락(short)되도록 한 상태에서 8핀 포트(112)에 8핀 케이블이 연결되어 전압이 제공되는 경우,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를 통해 들어오는 전압은 배터리(B+)에 제공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USB 차단 스위치(123)에 의해 USB 포트(113)의 전압 단자(113a)가 단락(short)된 상태에서 USB 포트(113)에 USB 케이블이 연결되어 전압이 제공되는 경우, USB 포트(113)의 전압 단자(113a)를 통해 들어오는 전압은 배터리(B+)에 제공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방전 모드로 선택되고, 5핀 차단 스위치(121)가 단락(short)되도록 한 상태에서, 5핀 포트(111)에 5핀 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러한 5핀 케이블의 타단에 스마트폰에 연결된 경우, 리모컨의 배터리(B+)는 방전되어 5핀 케이블에 연결된 스마트폰을 충전시킬 수 있다. 이는 8핀 포트(112) 및 USB 포트(113)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한편, 충전 모드로 동작 상태에서 5핀 차단 스위치(121), 8핀 차단 스위치(122), 및 USB 차단 스위치(123)에 의해 각 전압 단자가 모두 단락(short)된 상태에서, 5핀 포트(111)에 5핀 케이블이, 8핀 포트(112)에 8핀 케이블이, USB 포트(113)에 USB 케이블이 모두 연결된 경우 각 포트의 전압이 모두 배터리(B+)로 인가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 및 USB 포트(113)의 전압 단자(113a)를 통해 들어오는 전압이 모두 동일한 전압(예컨대, 5[V])를 유지할 경우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케이블 영향, 제공 전압 차이로 인하여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 및 USB 포트(113)의 전압 단자(113a)를 통해 들어오는 전압이 차이가 발생한다면, 회로의 안정성에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배터리(B+) 충전 시에도 문제가 될 여지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부(140)는,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 5핀 전압, 8핀 전압, 및 USB 전압 중에서 두 개 이상의 전압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되는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압만이 배터리(B+)에 인가되도록 5핀 차단 스위치(121), 8핀 차단 스위치(122), 및 USB 차단 스위치(123)를 제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USB 포트(113)를 통해 USB 전압이 들오지는 않지만, 5핀 포트(111)에 5핀 케이블이 연결되어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를 통해 5핀 전압이 들어오고, 동시에, 8핀 포트(112)에 8핀 케이블이 연결되어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를 통해 8핀 전압이 들어오는 경우, 5핀 차단 스위치(121)를 제어하여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를 단락(short)시켜 5핀 포트(111)의 5핀 전압이 배터리(B+)로 전달되도록 하지만, 8핀 차단 스위치(122)를 제어하여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를 개방(open)시켜 8핀 포트(112)의 8핀 전압이 배터리(B+)로 전달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5핀 전압과 8핀 전압이 동시에 인가되는 경우, 반대로, 5핀 차단 스위치(121)를 제어하여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를 개방(open)시켜 5핀 포트(111)의 5핀 전압이 배터리(B+)로 전달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하지만, 8핀 차단 스위치(122)를 제어하여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를 단락(short)시켜 8핀 포트(112)의 8핀 전압이 배터리(B+)로 전달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5핀 전압, 8핀 전압, 및 USB 전압 중에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전압만이 배터리(B+)에 인가되도록 5핀 차단 스위치(121), 8핀 차단 스위치(122), 및 USB 차단 스위치(123)를 제어(ⓐ)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포트(113)는 다수의 단자핀으로 인하여 단자간 영향때문에 제공되는 USB 전압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5핀 포트(111)의 5핀 전압에 최우선 1순위를 부여하고 8핀 포트(112)의 8핀 전압에 2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럴 경우, 5핀 포트(111), 8핀 포트(112), 및 USB 포트(113)에 모두 케이블이 연결되어 전압이 제공되더라도, 5핀 차단 스위치(121)를 이용하여 5핀 포트(111)의 5핀 단자를 단락(short)하여 5핀 전압만이 배터리(B+)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나머지 8핀 전압과 USB 전압은 차단한다. 즉, 8핀 차단 스위치(122)를 이용하여 8핀 포트(112)의 8핀 단자를 개방(open)하여 차단하고, 마찬가지로 USB 차단 스위치(123)를 이용하여 USB 포트(113)의 USB 단자를 개방(open)하여 차단한다.
한편, 본 고안은 리모컨의 배터리(B+)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켜 다른 전자기기(예컨대, 스마트폰)을 충전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의 일단이 리모컨의 충방전 포트(110)에 연결되고, 케이블의 타단이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리모컨의 배터리(B+)의 전압이 방전되어 5핀 케이블, 8핀 케이블, USB 케이블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스마트폰을 충전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배터리(B+)로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의 경우, 양쪽에 다른 금속판을 두어 한쪽에 전하를 쌓아두어 전위차(전압의 차이)를 만들어서 이때의 전위차를(이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가 흐르도록 하는 방식인데, 실제로 대부분의 리튬이온전지는 3.7[V]로 방전된다. 충전시에 전하를 강제로 금속판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더 높은 전압인 5[V]의 충전 전압을 필요로 하지만, 방전시에는 이보다 작은 3.7[V]로 방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리모컨의 배터리(B+)에서 방전되는 3.7[V]의 방전 전압으로는 스마트폰의 배터리(B+)를 충전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아이폰, 갤럭시S 등 대부분의 스마트폰의 배터리(B+)는 공통적으로 Liion, 즉 리튬이온전지를 사용하는데, 충전을 할 때는 전하를 강제로 금속판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더 높은 전압인 5[V]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모컨의 배터리(B+)에서 방전되는 3.7[V]의 방전 전압을 5[V]로 승압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가 구비된 리모컨 장치의 충방전 회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충전 모드로 동작 시에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방전 모드로 동작 시에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150,160)는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통합 포트 노드(N1)를 배터리(B+)에 연결하는 스위칭을 하며, 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배터리(B+)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설정된 기준 전압으로 승압하여 통합 포트 노드(N1)에 제공한다. 여기서 통합 포트 노드(N1)란, 5핀 차단 스위치(121), 8핀 차단 스위치(122), 및 USB 차단 스위치(123)에 의해 각각 차단되지 않은 5핀 포트(111)의 전압 단자(111a), 8핀 포트(112)의 전압 단자(112a), 및 상기 USB 포트(113)의 전압 단자(113a)가 병렬로서 하나의 노드(node)에 연결되는데, 이렇게 집중하는 노드점을 말한다.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150,160)는, 입력되는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승압하여 통합 포트 노드(N1)로 출력하는 DC/DC 컨버터(160)를 구비한다. 또한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150,160)는 배터리(B+)와 연결되는 제1스위칭 단자(S1)와, 통합 포트 노드(N1)와 연결되는 제2스위칭 단자(S2)와, DC/DC 컨버터와 연결된 제3스위칭 단자(S3)를 구비한 충방전 스위치(150)를 구비한다.
제어부(140)는,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제1스위칭 단자(S1)와 제2스위칭 단자(S2)를 연결하는 충방전 스위치(150)의 스위칭 제어(ⓑ)를 한다. 따라서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방전 포트(110)를 통해 들어오는 전압이 제2스위칭 단자(S2) 및 제1스위칭 단자(S1)를 차례로 거쳐서 배터리(B+)로 제공되어 충전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40)는 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제1스위칭 단자(S1)와 제3스위칭 단자(S3)를 연결하는 충방전 스위치(150)의 스위칭 제어(ⓑ)를 한다. 따라서 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컨의 배터리(B+)를 통해 방전되는 전압이 제1스위칭 단자(S1) 및 제3스위칭 단자(S3)를 차례로 거쳐서 DC/DC 컨버터(160)에서 승압되어 충방전 포트(110)를 통해 외부의 전자기기(스마트폰 등)에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 및 도 7은 5핀 차단 스위치(121)를 단락시켜 5핀 포트(111)에 연결된 5핀 케이블을 통하여 배터리(B+)의 방전 전압을 이용하여 외부의 스마트폰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제어부(140)는,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 5핀 전압, 8핀 전압, 및 USB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전압이 검출되는 경우, 충전 중임을 LED램프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알 수 있게 알 수 있다. 또한 충전 중일 때는 전원 온/오프 제어만을 수행하고 나머지 다른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모컨이 TV 리모컨인 경우, 리모컨 충전 중 일 때는 사용자의 전원 온/오프 버튼의 입력을 받아들여 전원 온/오프 제어만을 수행하도록 구현한다. 사용자의 다양한 제어 요청에도 전원 온/오프 제어만을 수행하고 나머지 다른 제어는 수행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리모컨은 적외선(IrDA) 송신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리모컨 제어시에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충전 중인 상태에서는, 꼭 필요한 온/오프 제어 기능만 가능하게 하고 나머지 제어 기능을 차단하여, 빠른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컨의 전면부에 LED 빛을 비출 수 있는 후레쉬(1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리모컨의 표면에 후레쉬 조작 버튼(미도시)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하여 후레쉬의 온(ON)/오프(OFF)의 조작이 가능하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10:충방전 포트
111:5핀 포트
112:8핀 포트
113:USB 포트
121:5핀 차단 스위치
122:8핀 차단 스위치
123:USB 차단 스위치
130:충방전 모드 선택부
140:제어부
150:충방전 스위치
160:DC/DC 컨버터

Claims (4)

  1.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컨 장치에 있어서,
    5핀 포트, 8핀 포트, 및 USB 포트가 구비된 충방전 포트;
    5핀 포트, 8핀 포트, 및 USB 포트를 통해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지는 배터리;
    상기 5핀 포트의 전압 단자를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5핀 차단 스위치;
    상기 8핀 포트의 전압 단자를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8핀 차단 스위치;
    상기 USB 포트의 전압 단자를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USB 차단 스위치;
    상기 5핀 포트의 전압 단자의 전압인 5핀 전압을 검출하는 5핀 전압 검출부;
    상기 8핀 포트의 전압 단자의 전압인 8핀 전압을 검출하는 8핀 전압 검출부;
    상기 USB 포트의 전압 단자의 전압인 USB 전압을 검출하는 USB 전압 검출부;
    사용자로부터 충전 모드 또는 방전 모드를 선택받는 충방전 모드 선택부; 및
    상기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 상기 5핀 전압, 8핀 전압, 및 USB 전압 중에서 두 개 이상의 전압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되는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압만이 상기 배터리에 인가되도록 상기 5핀 차단 스위치, 8핀 차단 스위치, 및 USB 차단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5핀 포트의 전압 단자, 상기 8핀 포트의 전압 단자, 및 상기 USB 포트의 전압 단자가 하나의 노드에 연결되어 통합 포트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리모컨 장치는, 상기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상기 통합 포트 노드를 상기 배터리에 연결하는 스위칭을 하며, 상기 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설정된 기준 전압으로 승압하여 상기 통합 포트 노드에 제공하는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충방전 수행부는, 입력되는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으로 승압하여 상기 통합 포트 노드로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는 제1스위칭 단자와, 상기 통합 포트 노드와 연결되는 제2스위칭 단자와, 상기 DC/DC 컨버터와 연결된 제3스위칭 단자를 구비한 충방전 스위치;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상기 제1스위칭 단자와 제2스위칭 단자를 연결하는 스위칭을 하며, 상기 방전 모드로 동작될 때는 상기 제1스위칭 단자와 제3스위칭 단자를 연결하는 스위칭을 하는 리모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5핀 전압, 8핀 전압, 및 USB 전압 중에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전압만이 상기 배터리에 인가되도록 상기 5핀 차단 스위치, 8핀 차단 스위치, 및 USB 차단 스위치를 제어하는 리모컨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전 모드로 동작될 때 상기 5핀 전압, 8핀 전압, 및 USB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전압이 검출되는 경우, 충전 중임을 LED램프로 표시하고, 전원 온/오프 제어만을 수행하고 나머지 다른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리모컨 장치.
KR2020150002415U 2015-04-15 2015-04-15 리모컨 장치 KR200478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15U KR200478231Y1 (ko) 2015-04-15 2015-04-15 리모컨 장치
PCT/KR2015/009576 WO2016167421A1 (ko) 2015-04-15 2015-09-11 리모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15U KR200478231Y1 (ko) 2015-04-15 2015-04-15 리모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231Y1 true KR200478231Y1 (ko) 2015-09-10

Family

ID=5434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415U KR200478231Y1 (ko) 2015-04-15 2015-04-15 리모컨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8231Y1 (ko)
WO (1) WO20161674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645B1 (ko) 2020-01-06 2021-06-21 주식회사 부명 스마트폰 거치형 산업용 장비 제어 장치
KR102580209B1 (ko) * 2023-03-23 2023-09-20 주식회사 바이텔 터치 키보드와 터치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통합 리모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3320A (ja) * 1995-09-27 1997-04-04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の電力供給方式
KR20080064668A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에스비 단자를 갖춘 충전가능 리모콘
KR20080064652A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젼의 외부 입출력 단자를 이용한 리모콘 충전 장치
JP2012191744A (ja) * 2011-03-10 2012-10-0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携帯電子機器用の充電器
KR101241277B1 (ko) * 2011-07-14 2013-03-15 주식회사 로보테크 멀티 채널 자동 스위칭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645B1 (ko) 2020-01-06 2021-06-21 주식회사 부명 스마트폰 거치형 산업용 장비 제어 장치
KR102580209B1 (ko) * 2023-03-23 2023-09-20 주식회사 바이텔 터치 키보드와 터치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통합 리모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7421A1 (ko)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4118B2 (en) Battery pack
US8729867B2 (en) Sink current adaptation based on power supply detection
US8450973B2 (en) Lithium battery module
WO2021218169A1 (zh) 在位检测电路、充电器及电子设备
CN109149674A (zh) 电池模块及电子设备
EP2899775B1 (en) Battery pa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battery pack
CN102025002B (zh) Usb电池
KR200478231Y1 (ko) 리모컨 장치
JP6688568B2 (ja) 充放電制御回路、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バッテリ装置
CN10473429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0734128B1 (ko) 외부 배터리 기능과 메모리장치 기능을 겸비한 유에스비 방식 충전 및 데이터 링크 장치
CN104917245A (zh) 充电管理电路、移动终端以及移动终端的充电控制方法
TWI600252B (zh) 行動充放電裝置
KR101523699B1 (ko) 충방전기능을 갖는 배터리팩 파우치 장치
US11742675B2 (en) Method of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power station equipped with multiple battery packs
US10230244B2 (en) Multi-bay modular battery charging system
JP2014060861A (ja) 二次電池の充電装置
CN105978107A (zh) 一种电动汽车用多电池组自动充电及维护均衡诊断系统
KR101599492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어셈블리
KR20160121647A (ko) 휴대용 디바이스의 자동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WO2021073723A1 (en) Multiple batteries for optimized charging and cold use
JP3202196U (ja) 充電ケーブル及び充電器
KR101828564B1 (ko) 배터리팩 통합 젠더
JP6189417B2 (ja) 電源装置とこの電源装置に接続される電子機器への給電方法
US20170179743A1 (en) Charge-discharg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