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115Y1 -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 - Google Patents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115Y1
KR200478115Y1 KR2020140001899U KR20140001899U KR200478115Y1 KR 200478115 Y1 KR200478115 Y1 KR 200478115Y1 KR 2020140001899 U KR2020140001899 U KR 2020140001899U KR 20140001899 U KR20140001899 U KR 20140001899U KR 200478115 Y1 KR200478115 Y1 KR 2004781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upling
auxiliary
r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민
Original Assignee
김홍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민 filed Critical 김홍민
Priority to KR2020140001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1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1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1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골조파이프에 매달린 상태로 걸림체결되는 상부고리가 구비되고 상부고리의 하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결합소켓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소켓은 내측에 하부가 개구된 축결합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소켓의 전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축결합홈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걸이부와, 상부 일측이 개구된 하부고리가 구비되고 하부고리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결합축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축은 결합소켓의 개구부를 통해 축결합홈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걸림체결되어 결합축을 축으로 하부걸이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고리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내주면에 걸림단이 형성된 관통홀이 수직으로 천공되어 있는 하부걸이부와, 상부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하부고리와 다른 내경을 지닌 보조고리가 구비되고 보조고리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연결축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축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하부고리의 관통홀을 통해 연결축이 하방에서 억지끼움되면서 걸림돌기가 관통홀의 걸림단에 걸림체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걸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A rotating double hanger for greenhouse cultivation}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나 온실 등에서 각종 농작물을 시설재배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나 온실의 골조파이프에 걸림체결되면서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를 고정 지지하여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설재배용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골조파이프에 매달린 상태로 걸림체결되는 상부고리가 구비되고 상부고리의 하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결합소켓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소켓은 내측에 하부가 개구된 축결합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소켓의 전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축결합홈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걸이부와, 상부 일측이 개구된 하부고리가 구비되고 하부고리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결합축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축은 결합소켓의 개구부를 통해 축결합홈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걸림체결되어 결합축을 축으로 하부걸이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고리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내주면에 걸림단이 형성된 관통홀이 수직으로 천공되어 있는 하부걸이부와, 상부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하부고리와 다른 내경을 지닌 보조고리가 구비되고 보조고리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연결축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축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하부고리의 관통홀을 통해 연결축이 하방에서 억지끼움되면서 걸림돌기가 관통홀의 걸림단에 걸림체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걸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각종 채소나 과일, 버섯류, 화훼류 등을 재배하거나 열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비닐로 만든 온실로서, 반원형으로 라운드진 골조파이프를 지면위에 전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설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골조파이프 양측면과 상부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직선형의 지지파이프를 맞닿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맞닿은 부분을 용접하거나 철사 또는 끈 등으로 묶어 비닐하우스구조물을 형성한 후 상기 비닐하우스구조물 위에 비닐을 전체적으로 덮어 통상적인 비닐하우스를 완성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비닐하우스 등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의 내측 천장부분의 골조파이프에 "S"자 형상의 걸이구를 걸림체결하고 걸이구의 하부에는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가 관통 개재되도록 하여 상기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로부터 물이 뿌려져 농작물에 지속적인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비닐하우스용 걸이구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58943호에서는 골주결속구와 호스걸이구를 분리 구성하며 골주결속구는 골주결속구 하방에 사각지지부를, 상기 사각지지부의 전후와 좌우에는 조립공을 구비하여서 구성하고, 호스걸이구는 호스걸이구 본체 상부 일방의 지지판 중앙에는 지지핀을, 타측 상부의 지지판 중앙에는 조립공을 형성하여서 구성하고, 상기 골주결속구의 조립공을 선택하여 상기 호스걸이구의 지지판에 구비한 지지핀을 끼우고 타측 선단의 조립공으로 조립하여서 구성되며, 상기 용수호스와 대각으로 구성되는 비닐하우스 골주 또는 용수호스와 평행되는 비닐하우스 횡주에 골주결속구를 결합하고, 상기 골주결속구 하방에 조립공을 선택하여 호스걸이구를 조립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방향에 구애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수막재배용 용수호스 걸이대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하측의 호스걸이구가 특정된 직경을 지닌 링형상으로 되어 있어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의 직경이 이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적용불가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측의 골주결속구와 그 하부에 결합체결되는 호스걸이구가 상하로 서로 평행하게 조립되거나 90°로 교차되게 조립되도록 되어 있어 다양한 각도로 조립 설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걸이부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소켓의 내측에는 하부걸이부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축이 삽입되면서 걸림체결되도록 하여 하부걸이부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하부걸이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골조파이프와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의 설치각도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설치가능하도록 하며, 하부걸이부에 구비된 하부고리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걸림단이 형성된 관통홀을 천공하고 하부고리와 다른 내경을 지닌 보조고리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연결축을 돌출형성하여 하부고리의 관통홀을 통해 하방에서 억지끼움되면서 걸림체결되어 하부걸이부의 하측에 보조걸이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지닌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가 설치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의 골조파이프에 매달린 상태로 걸림체결되는 상부고리가 구비되고 상부고리의 하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결합소켓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소켓은 내측에 하부가 개구된 축결합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소켓의 전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축결합홈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걸이부와, 상부 일측이 개구된 하부고리가 구비되고 하부고리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결합축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축은 결합소켓의 개구부를 통해 축결합홈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걸림체결되어 결합축을 축으로 하부걸이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고리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내주면에 걸림단이 형성된 관통홀이 수직으로 천공되어 있는 하부걸이부와, 상부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하부고리와 다른 내경을 지닌 보조고리가 구비되고 보조고리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연결축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축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하부고리의 관통홀을 통해 연결축이 하방에서 억지끼움되면서 걸림돌기가 관통홀의 걸림단에 걸림체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걸이부로 구성된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걸이부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소켓의 내측에는 하부걸이부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축이 삽입되면서 걸림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하부걸이부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상부걸이부가 회전되게 연결됨으로써 골조파이프와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의 설치각도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걸이부에 구비된 하부고리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걸림단이 형성된 관통홀이 천공되고 하부고리와 다른 내경을 지닌 보조고리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연결축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하부고리의 관통홀을 통해 하방에서 억지끼움되면서 걸림체결되어 하부걸이부의 하측에 보조걸이부가 회전되게 연결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지닌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의 상부걸이부와 하부걸이부가 상하결합된 상태로 하부걸이부의 하측에 보조걸이부가 끼움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의 전체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에서 상부걸이부와 하부걸이부가 분해되고 하부걸이부의 하측에 보조걸이부가 끼움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개략도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개략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1)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나 온실 등에서 각종 농작물을 시설재배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나 온실의 골조파이프(9)에 걸림체결되면서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10)를 고정 지지하여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설재배용 걸이구로서, 비닐하우스의 골조파이프(9)에 매달린 상태로 걸림체결되는 상부고리(3)가 구비되고 상부고리(3)의 하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결합소켓(4)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소켓(4)은 내측에 하부가 개구된 축결합홈(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소켓(4)의 전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축결합홈(5)과 연통되는 개구부(6)가 형성된 상부걸이부(2)와, 상부 일측이 개구된 하부고리(12)가 구비되고 하부고리(12)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결합축(13)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축(13)은 결합소켓(4)의 개구부(6)를 통해 축결합홈(5)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걸림체결되어 결합축(13)을 축으로 상부걸이부(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고리(12)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내주면에 걸림단(15)이 형성된 관통홀(14)이 수직으로 천공되어 있는 하부걸이부(11)와, 상부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하부고리(12)와 다른 내경을 지닌 보조고리(20)가 구비되고 보조고리(20)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연결축(21)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축(21)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22)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하부고리(12)의 관통홀(14)을 통해 연결축(21)이 하방에서 억지끼움되면서 걸림돌기(22)가 관통홀(14)의 걸림단(15)에 걸림체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걸이부(19)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걸이부(2)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도시하지 않음)의 내측에 설치되는 골조파이프(9)에 매달린 상태로 걸림체결되는 부분으로, 통상의 고리형상으로 비닐하우스의 골조파이프(9)에 매달린 상태로 걸림체결되는 상부고리(3)가 구비되고 상부고리(3)의 하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결합소켓(4)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소켓(4)은 내측에 하부가 개구된 축결합홈(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소켓(4)의 전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축결합홈(5)과 연통되는 개구부(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소켓(4)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가운데부분에 원통형의 홈으로 된 축결합홈(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결합홈(5)의 상부에는 축결합홈(5)보다 큰 내경을 지닌 헤드부삽입홈(7)이 일체로 연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6)의 상부에는 헤드부삽입홈(7)과 연통되는 헤드부관통부(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하부걸이부(11)의 결합축(13)이 개구부(6)를 통해 축결합홈(5)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축(13)의 상부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결합축(13) 보다 큰 직경을 지닌 헤드부(16)가 헤드부관통부(8)를 통해 헤드부삽입홈(7)에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결합소켓(4)과 결합축(13)이 회전가능하게 걸림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걸이부(2)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6)는 결합축(13)보다 그 폭이 좁게 형성되고 헤드부관통부(8)는 헤드부(16)보다 그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 결합축(13)과 헤드부(16)를 각각 개구부(6)와 헤드부관통부(8)의 전방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면 개구부(6)와 헤드부관통부(8)가 벌어지면서 축결합홈(5)과 헤드부삽입홈(7)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결합소켓(4)에 삽입된 결합축(13)에 전방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는 경우에만 개구부(6)를 통해 외측으로 분리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걸이부(11)는 도 1 내지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파이프(9)의 하측에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10)가 걸림체결되게 설치되어 지상위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부 일측이 개구된 하부고리(12)가 구비되고 하부고리(12)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결합축(13)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축(13)은 결합소켓(4)의 개구부(6)를 통해 축결합홈(5)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걸림체결되어 결합축(13)을 축으로 하부걸이부(11)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고리(12)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내주면에 걸림단(15)이 형성된 관통홀(14)이 수직으로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축(13)은 도 1 내지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짧은 원기둥형상으로 상단부에는 결합축(13)보다 큰 직경을 지닌 헤드부(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결합축(13)이 결합소켓(4)에 구비된 개구부(6)를 통해 축결합홈(5)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축(13)의 헤드부(16)는 개구부(6)의 상부에 일체로 연통형성된 헤드부관통부(8)를 통해 축결합홈(5)의 상부에 일체로 연통형성되어 있는 헤드부삽입홈(7)에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하부걸이부(11)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경우에도 결합축(13)의 헤드부(16)가 헤드부삽입홈(7)에 걸림체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원기둥형으로 된 결합축(13)이 원통형홈으로 된 축결합홈(5)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걸림체결되어 비닐하우스의 골조파이프(9)와 그 하측에 설치되는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10)의 설치각도에 맞춰 상부걸이부(2)나 하부걸이부(11)를 회전시켜 안정되게 골조파이프(9)의 하측에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10)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걸이부(2)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소켓(4)의 헤드부삽입홈(7) 상단면에 반원형으로 된 걸림홈(17)이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걸이부(11)의 결합축(13)은 헤드부(16)의 상단면에 반구형상의 걸림구(18)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결합소켓(4)에 결합축(13)이 삽입 체결시 헤드부(16)의 걸림구(18)가 헤드부삽입홈(7)의 걸림홈(17)에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자유회전되지 않고 상부걸이부(2) 또는 하부걸이부(11)의 회전조작에 따라 일정각도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걸이부(11)는 하부고리(12)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관통홀(14)이 수직하방으로 천공되어 있되 관통홀(14)은 하부 내경보다 상부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관통홀(14)의 내주면 중간높이에 걸림단(15)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걸이부(19)의 보조고리(20) 상부에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연결축(21)이 관통홀(14)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억지끼움결합되면 연결축(21)의 걸림돌기(22)가 걸림단(15)에 걸림체결되어 하부걸이부(11)의 하부에 서로 다른 내경을 지닌 보조걸이부(19)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조걸이부(19)는 도 1 내지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직경을 지닌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10)가 걸림체결되게 설치되어 지상위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부 일측이 개구되고 하부고리(12)와 다른 내경을 지닌 보조고리(20)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고리(20)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연결축(21)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축(21)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22)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하부고리(12)의 관통홀(14)을 통해 연결축(21)이 하방에서 억지끼움되면서 걸림돌기(22)가 관통홀(14)의 걸림단(15)에 걸림체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축(21)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짧은 원기둥형상으로 관통홀(14)의 하부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지니도록 되어 있고 연결축(21)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2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관통홀(14)의 하부 내경보다 걸림돌기(22)가 형성된 부분의 연결축(21)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되, 상기 걸림돌기(22)는 상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게 테이퍼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하부고리(12)의 관통홀(14) 하방에서 연결축(21)을 일정한 힘으로 상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복수개의 걸림돌기(22) 하부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관통홀(14)의 상측으로 관통되면서 억지끼움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14)의 걸림단(15)에 걸림돌기(22)의 하면부가 걸림체결되어 하부걸이부(11)의 하부에 서로 다른 내경을 지닌 보조걸이부(19)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축(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4)에 걸림체결된 상태에서 연결축(21)의 상단부가 하부고리(12)의 관통홀(14)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하부고리(12)의 내측에 끼움체결되는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10)가 연결축(21)의 상단부에 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걸이부(19)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고리(20)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보조관통홀(23)이 수직하방으로 천공되어 있되 보조관통홀(23)은 하부 내경보다 상부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보조관통홀(23)의 내주면 중간높이에 보조걸림단(24)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다른 보조걸이부(19)의 보조고리(20) 상부에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연결축(21)이 보조관통홀(23)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억지끼움결합되면 연결축(21)의 걸림돌기(22)가 보조걸림단(24)에 걸림체결되어 보조걸이부(19)의 하부에 다른 보조걸이부(19)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의 골조파이프(9)에 매달린 상태로 걸림체결되는 상부고리(3)가 구비되고 상부고리(3)의 하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결합소켓(4)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소켓(4)은 내측에 하부가 개구된 축결합홈(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소켓(4)의 전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축결합홈(5)과 연통되는 개구부(6)가 형성된 상부걸이부(2)와, 상부 일측이 개구된 하부고리(12)가 구비되고 하부고리(12)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결합축(13)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축(13)은 결합소켓(4)의 개구부(6)를 통해 축결합홈(5)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걸림체결되어 결합축(13)을 축으로 상부걸이부(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걸이부(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걸이부(11)는 하부고리(12)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수직하방으로 연결대(25)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25)의 하단부에는 보조걸이부(1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보조걸이부(19)는 상부 일측 또는 타측이 개구된 상태로 하부고리(12)와 다른 내경을 지닌 보조고리(20)가 구비되어 있고 보조고리(20)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수직하방으로 보조결합축(26)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보조결합축(26)의 하단부에는 보조헤드부(27)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하부걸이부(11)의 결합축(13)을 결합소켓(4)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걸이부(19)의 보조결합축(26)을 상기 결합소켓(4)의 개구부(6)를 통해 축결합홈(5)의 내측에 삽입하여 걸림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보조결합축(26)을 축으로 보조걸이부(19)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1)를 비닐하우스나 온실의 골조파이프(9)에 걸림체결하면서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10)를 고정 지지하여 비닐하우스 등의 내부에서 시설재배되는 각종 농작물에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지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걸이부(11)의 결합축(13)을 상부걸이부(2)의 결합소켓(4)에 삽입하여 걸림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축(13)을 결합소켓(4)에 구비된 개구부(6)를 통해 축결합홈(5)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축(13)의 헤드부(16)는 개구부(6)의 상부에 일체로 연통 형성된 헤드부관통부(8)를 통해 축결합홈(5)의 상부에 일체로 연통형성된 헤드부삽입홈(7)에 삽입되도록 하여 하부걸이부(11)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결합축(13)의 헤드부(16)가 헤드부삽입홈(7)에 걸림체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걸이부(2)와 하부걸이부(11)를 결합체결하는 과정에서 상부걸이부(2)가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고 결합소켓(4)의 개구부(6)는 결합축(13)보다 그 폭이 좁게 형성되며 헤드부관통부(8)는 헤드부(16)보다 그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 결합축(13)과 헤드부(16)를 각각 개구부(6)와 헤드부관통부(8)의 전방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면 개구부(6)와 헤드부관통부(8)가 벌어지면서 축결합홈(5)과 헤드부삽입홈(7)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결합소켓(4)에 삽입된 결합축(13)에 전방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는 경우에만 개구부(6)를 통해 외측으로 분리가능하게 되며, 상기 하부고리(12)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천공된 관통홀(14)에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걸이부(19)의 보조고리(20) 상부에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연결축(21)을 하부고리(12)의 관통홀(14) 하방에서 일정한 힘으로 상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연결축(21)의 상부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돌기(22) 하부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관통홀(14)의 상측으로 관통되면서 억지끼움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14)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단(15)에 걸림돌기(22)의 하면부가 걸림체결되어 하부걸이부(11)의 하부에 서로 다른 내경을 지닌 보조걸이부(19)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걸이부(2)와 하부걸이부(11) 및 보조걸이부(19)가 상하 차례로 결합체결된 상태에서 상부걸이부(2)의 상부고리(3)를 골조파이프(9)에 걸어 걸림체결되도록 하고 하부걸이부(11)나 보조걸이부(19)를 회전시켜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10)가 설치되는 각도에 맞게 조절하며 서로 다른 내경을 지닌 하부걸이부(11)의 하부고리(12)나 보조걸이부(19)의 보조고리(20)에는 이에 부합되는 직경을 지닌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10)를 선택적으로 걸림체결되게 설치하여 시설재배과정에서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10)가 유동되면서 하부고리(12)나 보조고리(20)로부터 이탈되어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급수용 호스나 파이프(10)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지면에서 재배되는 각종 농작물에 안정적으로 뿌려지도록 한다.
1. 회전형 이중걸이구 2. 상부걸이부
3. 상부고리 4. 결합소켓
5. 축결합홈 6. 개구부
7. 헤드부삽입홈 8. 헤드부관통부
9. 골조파이프 10. 호스나 파이프
11. 하부걸이부 12. 하부고리
13. 결합축 14. 관통홀
15. 걸림단 16. 헤드부
17. 걸림홈 18. 걸림구
19. 보조걸이부 20. 보조고리
21. 연결축 22. 걸림돌기
23. 보조관통홀 24. 보조걸림단
25. 연결대 26. 보조결합축
27. 보조헤드부

Claims (5)

  1. 비닐하우스의 골조파이프(9)에 매달린 상태로 걸림체결되는 상부고리(3)가 구비되고 상부고리(3)의 하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결합소켓(4)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소켓(4)은 내측에 하부가 개구된 축결합홈(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소켓(4)의 전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축결합홈(5)과 연통되는 개구부(6)가 형성된 상부걸이부(2)와, 상부 일측이 개구된 하부고리(12)가 구비되고 하부고리(12)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결합축(13)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축(13)은 결합소켓(4)의 개구부(6)를 통해 축결합홈(5)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걸림체결되어 결합축(13)을 축으로 하부걸이부(11)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고리(12)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내주면에 걸림단(15)이 형성된 관통홀(14)이 수직으로 천공되어 있는 하부걸이부(11)와, 상부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하부고리(12)와 다른 내경을 지닌 보조고리(20)가 구비되고 보조고리(20)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연결축(21)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축(21)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22)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하부고리(12)의 관통홀(14)을 통해 연결축(21)이 하방에서 억지끼움되면서 걸림돌기(22)가 관통홀(14)의 걸림단(15)에 걸림체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걸이부(19)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소켓(4)은 내측 가운데부분에 원통형의 홈으로 된 축결합홈(5)이 형성되고 축결합홈(5)의 상부에는 축결합홈(5)보다 큰 내경을 지닌 헤드부삽입홈(7)이 연통 형성되며 개구부(6)의 상부에는 헤드부삽입홈(7)과 연통되는 헤드부관통부(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하부걸이부(11)의 결합축(13)이 개구부(6)를 통해 축결합홈(5)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결합축(13)의 상부에 결합축(13)보다 큰 직경을 지니도록 돌출형성된 헤드부(16)가 헤드부관통부(8)를 통해 헤드부삽입홈(7)에 삽입되면서 결합소켓(4)과 결합축(13)이 회전가능하게 걸림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6)는 결합축(13)보다 그 폭이 좁게 형성되고 헤드부관통부(8)는 헤드부(16)보다 그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 결합축(13)과 헤드부(16)를 억지끼움식으로 개구부(6)와 헤드부관통부(8)를 통해 축결합홈(5)과 헤드부삽입홈(7)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걸이부(19)는 연결축(21)의 직경이 관통홀(14)의 하부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지니도록 되어 있고 연결축(21)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2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관통홀(14)의 하부 내경보다 걸림돌기(22)가 형성된 부분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되, 상기 걸림돌기(22)는 상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게 테이퍼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하부고리(12)의 관통홀(14) 하방에서 연결축(21)을 상방으로 가압하면 복수개의 걸림돌기(22) 하부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관통홀(14)의 상측으로 관통되면서 억지끼움되고 상기 관통홀(14)의 걸림단(15)에 걸림돌기(22)의 하면부가 걸림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걸이부(19)는 보조고리(20)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보조관통홀(23)이 수직하방으로 천공되어 있되 보조관통홀(23)은 하부 내경보다 상부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보조관통홀(23)의 내주면 중간높이에 보조걸림단(24)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다른 보조걸이부(19)의 보조고리(20) 상부에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연결축(21)이 보조관통홀(23)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억지끼움결합되면 연결축(21)의 걸림돌기(22)가 보조걸림단(24)에 걸림체결되어 보조걸이부(19)의 하부에 다른 보조걸이부(19)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
  5. 비닐하우스의 골조파이프(9)에 매달린 상태로 걸림체결되는 상부고리(3)가 구비되고 상부고리(3)의 하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결합소켓(4)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소켓(4)은 내측에 하부가 개구된 축결합홈(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소켓(4)의 전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축결합홈(5)과 연통되는 개구부(6)가 형성된 상부걸이부(2)와, 상부 일측이 개구된 하부고리(12)가 구비되고 하부고리(12)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결합축(13)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축(13)은 결합소켓(4)의 개구부(6)를 통해 축결합홈(5)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걸림체결되어 결합축(13)을 축으로 상부걸이부(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걸이부(11)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걸이부(11)는 하부고리(12)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수직하방으로 연결대(25)가 돌출형성되고 연결대(25)의 하단부에는 보조걸이부(1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보조걸이부(19)는 상부 일측 또는 타측이 개구된 상태로 하부고리(12)와 다른 내경을 지닌 보조고리(20)가 구비되고 보조고리(20)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수직하방으로 보조결합축(26)이 돌출형성되며 보조결합축(26)의 하단부에는 보조헤드부(27)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
KR2020140001899U 2014-03-10 2014-03-10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 KR2004781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899U KR200478115Y1 (ko) 2014-03-10 2014-03-10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899U KR200478115Y1 (ko) 2014-03-10 2014-03-10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115Y1 true KR200478115Y1 (ko) 2015-08-28

Family

ID=5433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899U KR200478115Y1 (ko) 2014-03-10 2014-03-10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1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50B1 (ko) * 2016-07-22 2018-10-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볼트 체결구조
GB2562085A (en) * 2017-05-04 2018-11-07 Haygrove Ltd Polytunnel bracket and polytunnel structure incorporating such a polytunnel bracket
KR101921149B1 (ko) * 2015-12-07 2018-11-22 배보경 토크 컨트롤 볼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182A (ja) 2003-11-11 2005-06-09 Tetsuo Kasai 配管類固定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182A (ja) 2003-11-11 2005-06-09 Tetsuo Kasai 配管類固定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149B1 (ko) * 2015-12-07 2018-11-22 배보경 토크 컨트롤 볼트
KR101902850B1 (ko) * 2016-07-22 2018-10-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볼트 체결구조
GB2562085A (en) * 2017-05-04 2018-11-07 Haygrove Ltd Polytunnel bracket and polytunnel structure incorporating such a polytunnel brac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276B1 (ko) 식물의 수직 재배용 장치의 기둥 요소
US10736284B2 (en) Vertical hydroponic system
KR200478115Y1 (ko)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
KR102310263B1 (ko)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US20070266627A1 (en) Trellis and tool system
CN208724489U (zh) 一种具有松土结构的花盆
JP2009278952A (ja) 植物栽培用の開閉式支柱及びこれを構成する支柱相互の連結具
KR20190045544A (ko)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US20050184203A1 (en) Hose holder
US20150209805A1 (en) Low Pressure Fogging Device
KR101395747B1 (ko) 조립식 농작물 지지대
US7740195B1 (en) Sprinkler assembly
US20170118928A1 (en) Subsurface Water, Air and/or Nutrient Delivery Tube
KR200483978Y1 (ko) 공중재배포트용 분무호스설치구
KR102239095B1 (ko) 조립식 이중 화분
US20140215908A1 (en) Tree Ring Assembly
JP2006296310A (ja) 灌水用チューブ、並びに、灌水用チューブの設置構造
JP2010000008A (ja) 園芸用支柱の転倒防止具
KR200462432Y1 (ko) 곶감 건조용 조립식 걸이구
KR20120008743U (ko) 농작물 재배용 물분사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지면 고정대
KR20150130697A (ko) Diy 다용도 말뚝
JP2012105630A (ja) 植物栽培用の機能性支柱構成用の機能性キャップ具
KR20150002814U (ko) 식물 지지대
US11751703B2 (en) Modular flower bed systems
KR102261440B1 (ko) 조립설치가 용이한 스프링클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