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544A -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 Google Patents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544A
KR20190045544A KR1020170138260A KR20170138260A KR20190045544A KR 20190045544 A KR20190045544 A KR 20190045544A KR 1020170138260 A KR1020170138260 A KR 1020170138260A KR 20170138260 A KR20170138260 A KR 20170138260A KR 20190045544 A KR20190045544 A KR 20190045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water supply
supply hos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식
Original Assignee
최승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식 filed Critical 최승식
Priority to KR102017013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5544A/ko
Publication of KR2019004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544A/ko
Priority to KR1020200009239A priority patent/KR102310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B05B3/0409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with moving, e.g. rotating, outlet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공급부와, 물공급호스와, 연결구부와, 수직물공급호스와, 스프링쿨러 헤드부와, 지주대로 구성하여 농업 및 원예에 생육되는 농작물 및 화훼, 과수, 채소등의 생작물에 물을 스프링쿨러 헤드부의 제1분사관에 분사되는 물을 회전대로 회동되게 분사되게 하고 제2분사관으로 물이 직사되게 하여 물이 분사범위를 농업 및 원예지역에 안정적으로 신속하고 손쉽게 확대 공급시켜 농작물 및 화훼, 과수, 채소등의 생작물을 물을 통해 안정적으로 생육시키고, 물공급호스관에 구비된 연결너트부와 연결구부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연결구부와 스프링쿨러 헤드부와, 지주대와, 수직물공급호스의 조립 및 분해가 손쉬워 농업 및 원예를 원하는 지역에 손쉽고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기립되게 조립설치하거나 분해 제거하여 이동 및 보관을 손쉽게 하도록한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SPRINGCOOLER DEVICE}
본 발명은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공급부와, 물공급호스와, 연결구부와, 수직물공급호스와, 스프링쿨러 헤드부와, 지주대로 구성하여 농업 및 원예에 생육되는 농작물 및 화훼, 과수, 채소등의 생작물에 물을 스프링쿨러 헤드부의 제1분사관에 분사되는 물을 회전대로 회동되게 분사되게 하고 제2분사관으로 물이 직사되게 하여 물이 분사범위를 농업 및 원예지역에 안정적으로 신속하고 손쉽게 확대 공급시켜 농작물 및 화훼, 과수, 채소등의 생작물을 물을 통해 안정적으로 생육시키고, 물공급호스관에 구비된 연결너트부와 연결구부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연결구부와 스프링쿨러 헤드부와, 지주대와, 수직물공급호스의 조립 및 분해가 손쉬워 농업 및 원예를 원하는 지역에 손쉽고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기립되게 조립설치하거나 분해 제거하여 이동 및 보관을 손쉽게 하도록한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쿨러는 농업 및 원예지역에 재배되는 농작물, 화훼, 과수, 채소 등에 일정 범위 영역에 용수를 고루게 공급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농작물, 화훼, 과수, 채소 등의 재배 시설에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 쿨러는 분사 노즐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바람이나, 수압의 반동에도 스프링 쿨러로 용수를 공급하는 지주관이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쇠파이프 또는 휨발생이 거의 없는 PVC관을 매설하여 용수 분로를 형성시키고, 각 용수 분로의 중간 중간에 스프링클러 지주관을 결합시켜 시설하였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시설 방식은 원하는 형태로 관로인 물공급호스관을 분해 및 조립을 자유롭게 해서 관로를 손쉽고 자유롭게 바꾸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물공급호스관에서 공급되어 물을 분사시키는 스프링쿨러 헤드를 상부에 구비한 상기 지주관은 별도의 삼각발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삼각발을 지면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아니어서 높고 안정적인 지지력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삼각발을 무게가 무겁고 크기가 커져야 하기 때문에 이동 및 보관이 어렵고 점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프링쿨러는 농작물, 화훼, 과수, 채소 등이 재배되는 지역에 손쉽게 조립설치 또는 분해는데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물공급부와, 물공급호스와, 연결구부와, 수직물공급호스와, 스프링쿨러 헤드부와, 지주대로 구성하여 농업 및 원예에 생육되는 농작물 및 화훼, 과수, 채소등의 생작물에 물을 스프링쿨러 헤드부의 제1분사관에 분사되는 물을 회전대로 회동되게 분사되게 하고 제2분사관으로 물이 직사되게 하여 물이 분사범위를 농업 및 원예지역에 안정적으로 신속하고 손쉽게 확대 공급시켜 농작물 및 화훼, 과수, 채소등의 생작물을 물을 통해 안정적으로 생육시키고, 물공급호스관에 구비된 연결너트부와 연결구부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연결구부와 스프링쿨러 헤드부와, 지주대와, 수직물공급호스의 조립 및 분해가 손쉬워 농업 및 원예를 원하는 지역에 손쉽고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기립되게 조립설치하거나 분해 제거하여 이동 및 보관을 손쉽게 하도록한 새로운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압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와 연계되어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수압을 갖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호스와; 상기 물공급호스에 연결설치되는 수평연결구와, 상기 수평연결구와 연통되게 상기 수평연결구의 상부에 연결형성된 수직연결구와, 상기 수평연결구의 양측에 상기 물공급호스가 연결설치되어 구성된 연결구부와; 상기 수직연결구와 연결설치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물공급호스와; 하부가 상기 수직물공급호스와 연결되고, 측방으로 분사되는 제1분사관과, 헤드상단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대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사이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수압에 의해 회동분사되는 스프링쿨러 헤드부와;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부의 일측에 연결형성된 삽입부에 결합되어 지반에 고정설치되는 지주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부는 상기 제1분사관은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분사관에 결합되고 분사공을 갖는 노즐과, 상기 본체의 하부외측둘레에 상기 수직물공급호스에 삽입되어 연결되게 쐐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분사관과 대향되게 형성된 제2분사관과, 상기 제2분사관은 상부로 경사지게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관에 결합되고 분사공을 갖는 노즐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대의 일측에 절곡형성된 보조지주대와, 상기 보조지주대는 일측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측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대의 외측둘레가 삽입되는 제1하우징관과, 상기 보조지주대의 외측둘레가 삽입되는 제2하우징관과, 상기 제1하우징관과 상기 제2하우징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지반에 삽입고정되는 삽입하우징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연결구의 외측둘레에 삽입되게 결합공을 갖는 결합관부와, 상기 결합관부의 외측둘레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결합관부의 상단 외측둘레에 형성된 외측나사산과, 상기 수직연결구의 외측둘레에 복수개로 형성되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이탈되게 상기 결합관부의 양측에 경사지게 결합이 탈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나산과 결합되게 내측나사산이 구비된 결합조립공을 갖는 결합이탈부재와, 상기 수직물공급관이 상기 결합조립공을 통과되어 삽입되어 상기 결합관부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부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부외측둘레에 형성된 결합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를 복수개를 구비한 상기 수직연결구는 상기 수평연결구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의 내측둘레에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수직연결구의 하부의 외측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호스와 연결된 제1수평연결관과, 상기 물공급호스와 연결된 제2수평연결관과, 상기 수평연결구의 좌측의 전후방과, 그 우측의 전후방에 복수개로 설치된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연결구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공과, 양 상기 결합구의 사이에 하부가 삽입되어 설치된 회동결착구와, 양 상기 결합구 및 상기 회동결착구에 수평으로 관통삽입된 힌지와, 상기 회동결착구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은 상기 결합공에 삽입통과되어 상기 수평연결구의 좌측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제1수평연결관과 상기 수평연결구의 우측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제2수평연결관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호스의 내측둘레가 상기 제1수평연결관의 외측둘레에 삽입되고, 상기 물공급호스의 외측둘레에 관압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호스의 내측둘레가 상기 제2수평연결관의 외측둘레에 삽입되고, 상기 물공급호스의 외측둘레에 관압착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공급부와, 물공급호스와, 연결구부와, 수직물공급호스와, 스프링쿨러 헤드부와, 지주대로 구성하여 농업 및 원예에 생육되는 농작물 및 화훼, 과수, 채소등의 생작물에 물을 스프링쿨러 헤드부의 제1분사관에 분사되는 물을 회전대로 회동되게 분사되게 하고 제2분사관으로 물이 직사되게 하여 물이 분사범위를 농업 및 원예지역에 안정적으로 신속하고 손쉽게 확대 공급시켜 농작물 및 화훼, 과수, 채소등의 생작물을 물을 통해 안정적으로 생육시키고, 물공급호스관에 구비된 연결너트부와 연결구부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연결구부와 스프링쿨러 헤드부와, 지주대와, 수직물공급호스의 조립 및 분해가 손쉬워 농업 및 원예를 원하는 지역에 손쉽고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기립되게 조립설치하거나 분해 제거하여 이동 및 보관을 손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주대는 보조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지주대가 지반에 삽입설치된 제1하우징관과 상기 보조지지대가 제2하우징관에서 손쉽게 결합 및 분리하도록하여 스프링쿨러 헤드부를 지지하는 상기 지주대 및 상기 보조지지대로 구성하여 농업 및 원예지역에 스프링쿨러장치를 설치 및 해체를 손쉽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부에 설치된 회동결착구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 헤드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대 및 보조지주대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하우징관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관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이탈부재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부에 설치된 회동결착구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쿨러 헤드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대 및 보조지주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하우징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이탈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는 물공급부(10)와, 물공급호스(20)와, 연결구부(30)와, 수직물공급호스(40)와, 스프링쿨러 헤드부(50)와, 지주대(60)로 구성된다.
상기 물공급부(10)은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용수로서 일정한 수압으로 용수 즉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공급부(10)은 상수도관과 연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저수지, 강에 설치된 펌프와 연계된 상수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호스(20)는 상기 물공급부(10)와 연결되어 상기 물공급부(10)로 부터 일정한 수압을 갖는 물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공급호스(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호스로 구성되나, 그 재질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물공급호스(20)와 연결된 제1수평연결관(21a)과, 상기 물공급호스(20)와 연결된 제2수평연결관(2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부(30)는 상기 물공급호스(20)에 연결설치되는 수평연결구(31)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좌측에 상기 물공급호스(20)와 연결된 상기 제1수평연결관(21a)이 연결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우측에 상기 물공급호스(20)와 연결된 제2수평연결관(21b)이 연결고정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부(30)는 상기 수평연결구(31)와 연통되게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상부에 연결형성된 수직연결구(3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물공급호스(20)와 연결된 제1수평연결관(21a)과, 상기 물공급호스(20)와 연결된 제2수평연결관(21b)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좌측의 전후방과, 그 우측의 전후방에 복수개로 설치된 결합구(33a,33b)로 구성된다.
양 상기 결합구(33a,33b)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공(34)으로 구성된다.
양 상기 결합구(33a,33b)의 사이에 하부가 삽입되어 설치된 회동결착구(35)로 구성된다.
양 상기 결합구 (33a,33b)및 상기 회동결착구(35)에 수평으로 관통삽입된 힌지(36)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결착구(35)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37)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37)은 상기 결합공(34)에 삽입통과되어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좌측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제1수평연결관(21a)과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우측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제2수평연결관(21b)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걸림홈(38)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좌측에 상기 제1수직연결관(21a)이 연결되고,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우측에 상기 제2수직연결관(21b)이 연결된 다음에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좌측전후방에서 설치된 상기 회동결착구(35)의 상기 걸림턱(37)으로 상기 수평연결구(31)의 내부에 결합되어진 상기 제1수직연결관(21a)의 상기 걸림홈(38)에 걸리도록 하며,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우측전후방에서 설치된 상기 회동결착구(35)의 상기 걸림턱(37)으로 상기 수평연결구(31)의 내부에 결합되어진 상기 제2수직연결관(21b)의 상기 걸림홈(38)에 걸리도록 하는 것은,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좌우 전후방에서 상기 회동결착구(35)를 작동하여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좌우측 내부에 상기 제1,2수직연결관(21a,21b)을 원터치식으로 결합 분리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물공급호스(20)의 내측둘레가 상기 제1수평연결관(21a)의 외측둘레에 삽입되고, 상기 물공급호스(20)의 외측둘레에 관압착부재(39)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호스(20)의 내측둘레가 상기 제2수평연결관(21a)의 외측둘레에 삽입되고, 상기 물공급호스의 외측둘레에 관압착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물공급호스(20)의 좌,우측에 결합된 상기 제1,2수평연결관(21a,21b)과, 상기 물공급호스(20)의 외측둘레에 상기 관압착부재(39)가 설치된 것은,
상기 물공급호스(20)의 내측둘레가 상기 제1,2수평연결관(21a,21b)의 외측둘레에 긴밀하게 압착고정되어 상기 물공급호스(20)의 내측둘레와 상기 제1,2수평연결관(21a,21b)의 외측둘레가 서로 긴밀하게 압착하여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수직연결구(32)에 결합관부(9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결합관부(90)는 상기 수직연결구(32)의 외측둘레에 삽입되게 결합공(9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관부(90)의 외측둘레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92)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92)는 성가 결합관부(90)를 손가락으로 손쉽게 잡아서 상기 결합관부(90)를 상기 수직연결구(32)에서 결합 및 이탈을 손쉽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관부(90)의 상단 외측둘레에 형성된 외측나사산(n2)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연결구(32)의 외측둘레에 복수개로 형성되 결합돌기(32a)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32a)를 복수개를 구비한 상기 수직연결구(32)는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nh1)의 내측둘레에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수직연결구(32)의 하부의 외측둘레에 나사산(n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돌기(32a)에 결합이탈되게 상기 결합관부(90)의 양측에 경사지게 결합이탈장홈(9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결합이탈장홈(93)은 하부는 개방되고, 양측 및 상부는 폐쇄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이탈장홈(93)은 상기 결합관부(90)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32a)가 상기 결합이탈장홈(93)의 상부로 상승되어 고정되면 상기 결합관부(90)가 상기 수직연결구(32)에 결합된 것이고, 상기 결합돌기(32a)가 상기 결합이탈장홈(93)의 하부로 하강되면 상기 결합관부(90)가 상기 수직연결구(32)에서 이탈되는 것을 준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관부(90)를 상기 수직연결구(32)에 설치하는 것은 상기 결합관부(90)와 연결된 상기 수직물공급호스(40)를 상기 연결구부(30)의 상기 수직연결구(32)에서 결합 및 분리를 보다 손쉽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외측나사산(n2)과 결합되게 내측나사산(n3)이 구비된 결합조립공(101)을 갖는 결합이탈부재(10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물공급관(40)이 상기 결합조립공(101)을 통과되어 삽입되어 상기 결합관부(90)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부(94)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94)의 하부외측둘레에 형성된 결합나사산(95)에 나사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이탈부재(100)는 상기 결합관부(90)의 상기 삽입부(94)에 결합된 상기 수직물공급호스(40)가 상기 결합관부(90)의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직물공급호스(40)는 상기 수직연결구(32)와 연결설치되어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수직물공급호스(40)는 상기 결합관부(90)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50)는 그 하부가 상기 수직물공급호스(40)와 연결되고, 측방으로 분사되는 제1분사관(51)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50)의 헤드상단(52) 중심축(52a)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대(53)가 장착된 본체(50a)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0a)와의 사이에 스프링(54)을 장착하여 수압에 의해 회동분사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부(50)는 상기 제1분사관(51)은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분사관(51)에 결합되고 분사공(51b)을 갖는 노즐(51a)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0a)의 하부외측둘레에 상기 수직물공급호스(40)에 삽입되어 연결되게 쐐기부(56)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50a)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분사관(51)과 대향되게 형성된 제2분사관(57)과, 상기 제2분사관(57)은 상부로 경사지게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관(57)에 결합되고 분사공(57b)을 갖는 노즐(57a)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부(50)에 상기 헤드상단(52)을 상기 중심축(52a)으로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회전대(53)에 의해 상기 제1분사관(51)에서 분사되는 물을 회동분사되도록하고, 상기 제2분사관(57)에 의해 물을 직사분사되도록 하여 물의 분사범위를 확대 균등하게 분사하도록 하여 농작물, 과수, 화훼, 채소 등이 재배되는 농작지에 원예지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2분사관(52,57)을 하향지게 형성하여 분사되는 물이 농작지 및 원예지에 보다 안정적으로 낙하분사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주대(60)는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부(50)의 일측에 연결형성된 삽입부(55)에 결합되어 지반에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대(60)의 일측에 절곡형성된 보조지주대(7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보조지주대(70)는 일측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수평부(70a)와, 상기 수평부(70a)의 일측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70b)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대(60)와 상기 수직물공급호스(40)는 다수개의 고정타이(41)로 고정하여 상기 수직물공급호스(40)가 상기 지주대(60)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주대(60)의 일측에 절곡된 상기 보조지주대(70)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 지주대(60) 및 상기 보조지주대(70)를 지반에 삽입설치시 상기 지주대(60)가 상기 보조지주대(70)에 의해 안정적으로 수직기립되게하여 지반상에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주대(60)의 외측둘레가 삽입되는 제1하우징관(81)과, 상기 보조지주대(70)의 외측둘레가 삽입되는 제2하우징관(8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관(81)과 상기 제2하우징관(8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83)로 구성되어 지반에 삽입고정되는 삽입하우징관부(8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주대(60)가 삽입되는 제1하우징관(81)과, 상기 보조지주대(70)가 삽입되는 제2하우징관(82)을 구비한 상기 삽입하우징관부(80)를 구비하는 것은, 상기 삽입하우징관부(80)를 지반에 삽입 고정설치하여 상기 삽입하우징관부(80)의 상기 제1하우징관(81) 및 상기 제2하우징관(82)에서 상기 지주대(60) 및 상기 보조지주대(70)를 손쉽게 결합 및 이탈되게 하여 상기 지주대(60)와 결합된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부(50)를 농작지 및 원예지에 신속하고 편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부(50)를 지지하는 상기 지주대(60) 및 상기 보조지지대(70)로 구성하여 농업 및 원예지역에 스프링쿨러장치를 설치 및 해체를 손쉽게하기 위함이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물공급부(10)와, 상기 물공급호스(20)와, 상기 연결구부(30)와, 상기 수직물공급호스(40)와,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부(50)와, 상기 지주대(60)로 구성하여 농업 및 원예에 생육되는 농작물 및 화훼, 과수, 채소등의 생작물에 물을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부(50)의 상기 제1분사관(51)에 분사되는 물을 상기 회전대(53)로 회동되게 분사되게 하고 상기 제2분사관(57)으로 물이 직사되게 하여 물이 분사범위를 농업 및 원예지역에 안정적으로 신속하고 손쉽게 확대 공급시켜 농작물 및 화훼, 과수, 채소등의 생작물을 물을 통해 안정적으로 생육시키고, 상기 물공급호스관(20)에 구비된 상기 연결너트부(35)와 상기 연결구부(30)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상기 연결구부(30)와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부(50)와, 상기 지주대(60)와, 상기 수직물공급호스(40)의 조립 및 분해가 손쉬워 농업 및 원예를 원하는 지역에 손쉽고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기립되게 조립설치하거나 분해 제거하여 이동 및 보관을 손쉽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물공급부 20: 물공급호스
21a: 제1수평연결관 21b: 제2수평연결관
30: 연결구부 31: 수평연결구
32: 수직연결구 32a: 결합돌기
33a, 33b: 결합구 34: 결합공
35: 회동결합구 36: 힌지
37: 걸림턱 38: 걸림홈
39: 관압착부재 40: 수직물공급호스
50: 스프링쿨러 본체 50a: 본체
51: 제1분사관 51a: 노즐
51b: 분사공 52: 헤드상단
52a: 중심축 53: 회전대
54: 스프링 55: 삽입부
56: 쐐기부 57: 제2분사관
57a: 노즐 57b: 분사공
60: 지주대 70: 보조지주대
70a: 수평부 70b: 수직부
80: 삽입하우징관부 81: 제1하우징관
82: 제2하우징관 90: 결합관부
91: 결합공 92: 손잡이
93: 결합이탈장홈 94: 삽입부
95: 결합나사산 100: 결합이탈부재
101: 결합이탈공 nh1: 나사공
n1: 내측나사산 n2: 외측나사산
n3: 나사산

Claims (8)

  1. 수압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부(10)와;
    상기 물공급부(10)와 연계되어 상기 물공급부(10)로부터 수압을 갖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호스(20)와;
    상기 물공급호스(20)에 연결설치되는 수평연결구(31)와, 상기 수평연결구(31)와 연통되게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상부에 연결형성된 수직연결구(32)와,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양측에 상기 물공급호스(20)가 연결설치되어 구성된 연결구부(30)와;
    상기 수직연결구(32)와 연결설치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물공급호스(40)와;
    하부가 상기 수직물공급호스(40)와 연결되고, 측방으로 분사되는 제1분사관(51)과, 헤드상단(52) 중심축(52a)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대(53)가 장착된 본체(50a)와, 상기 본체(50a)와 사이에 스프링(54)을 장착하여 수압에 의해 회동분사되는 스프링쿨러 헤드부(50)와;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부(50)의 일측에 연결형성된 삽입부(55)에 결합되어 지반에 고정설치되는 지주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부(50)는 상기 제1분사관(51)은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분사관(51)에 결합되고 분사공(51b)을 갖는 노즐(51a)과, 상기 본체(50a)의 하부외측둘레에 상기 수직물공급호스(40)에 삽입되어 연결되게 쐐기부(56)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50a)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분사관(51)과 대향되게 형성된 제2분사관(57)과, 상기 제2분사관(57)은 상부로 경사지게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관(57)에 결합되고 분사공(57b)을 갖는 노즐(57a)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60)의 일측에 절곡형성된 보조지주대(70)와, 상기 보조지주대(70)는 일측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수평부(70a)와, 상기 수평부(70a)의 일측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7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60)의 외측둘레가 삽입되는 제1하우징관(81)과, 상기 보조지주대(70)의 외측둘레가 삽입되는 제2하우징관(82)과, 상기 제1하우징관(81)과 상기 제2하우징관(8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83)로 구성되어 지반에 삽입고정되는 삽입하우징관부(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구(32)의 외측둘레에 삽입되게 결합공(91)을 갖는 결합관부(90)와, 상기 결합관부(90)의 외측둘레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92)와, 상기 결합관부(90)의 상단 외측둘레에 형성된 외측나사산(n2)과, 상기 수직연결구(32)의 외측둘레에 복수개로 형성되 결합돌기(32a)와, 상기 결합돌기(32a)에 결합이탈되게 상기 결합관부(90)의 양측에 경사지게 결합이탈장홈(93)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나산(n2)과 결합되게 내측나사산(n3)이 구비된 결합조립공(101)을 갖는 결합이탈부재(100)와, 상기 수직물공급관(40)이 상기 결합조립공(101)을 통과되어 삽입되어 상기 결합관부(90)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부(94)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94)의 하부외측둘레에 형성된 결합나사산(95)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32a)를 복수개를 구비한 상기 수직연결구(32)는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nh1)의 내측둘레에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수직연결구(32)의 하부의 외측둘레에 나사산(n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호스(20)와 연결된 제1수평연결관(21a)과, 상기 물공급호스(20)와 연결된 제2수평연결관(21b)과,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좌측의 전후방과, 그 우측의 전후방에 복수개로 설치된 결합구(33a,33b)와, 양 상기 결합구(33a,33b)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공(34)과, 양 상기 결합구(33a,33b)의 사이에 하부가 삽입되어 설치된 회동결착구(35)와, 양 상기 결합구 (33a,33b)및 상기 회동결착구(35)에 수평으로 관통삽입된 힌지(36)와, 상기 회동결착구(35)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37)과, 상기 걸림턱(37)은 상기 결합공(34)에 삽입통과되어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좌측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제1수평연결관(21a)과 상기 수평연결구(31)의 우측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제2수평연결관(21b)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걸림홈(38)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호스(20)의 내측둘레가 상기 제1수평연결관(21a)의 외측둘레에 삽입되고, 상기 물공급호스(20)의 외측둘레에 관압착부재(39)가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호스(20)의 내측둘레가 상기 제2수평연결관(21a)의 외측둘레에 삽입되고, 상기 물공급호스의 외측둘레에 관압착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KR1020170138260A 2017-10-24 2017-10-24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KR20190045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260A KR20190045544A (ko) 2017-10-24 2017-10-24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KR1020200009239A KR102310263B1 (ko) 2017-10-24 2020-01-23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260A KR20190045544A (ko) 2017-10-24 2017-10-24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239A Division KR102310263B1 (ko) 2017-10-24 2020-01-23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544A true KR20190045544A (ko) 2019-05-03

Family

ID=6658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260A KR20190045544A (ko) 2017-10-24 2017-10-24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55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8505A (zh) * 2019-08-07 2021-02-09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管柱连接拆卸装置
CN113179918A (zh) * 2021-04-30 2021-07-30 徐增珍 一种用于绿化工程的多向浇灌行走单元系统及其控制方法
CN114258844A (zh) * 2022-01-18 2022-04-01 江西旺来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形塑料灌溉喷洒装置及其喷灌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8505A (zh) * 2019-08-07 2021-02-09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管柱连接拆卸装置
CN113179918A (zh) * 2021-04-30 2021-07-30 徐增珍 一种用于绿化工程的多向浇灌行走单元系统及其控制方法
CN114258844A (zh) * 2022-01-18 2022-04-01 江西旺来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形塑料灌溉喷洒装置及其喷灌方法
CN114258844B (zh) * 2022-01-18 2022-12-27 江西旺来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形塑料灌溉喷洒装置及其喷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0263B1 (ko)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KR20190045544A (ko)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US20100236142A1 (en) Planting container for the do-it-yourself market
US20170087580A1 (en) Multipurpose, Adjustable, Portable Stand
KR101440467B1 (ko) 분사노즐이 구비된 과실수용 가지 견인장치
US20180147593A1 (en) Multipurpose, Adjustable, Portable Stand
KR101437734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어댑터 장치
CN112042446B (zh) 一种智慧农业大棚蔬菜种植智能灌溉系统
KR20150080116A (ko) 안개분무를 이용한 재배장치
CN206082901U (zh) 一种旋转喷水器
CN210537863U (zh) 一种园林绿化工程用树木栽培架
US9533322B2 (en) Irrigation
US7740195B1 (en) Sprinkler assembly
KR200478115Y1 (ko) 시설재배용 회전형 이중걸이구
CN213756108U (zh) 一种园艺花卉专用节水灌溉装置
KR102175802B1 (ko) 방제액 분사기구
CN209299726U (zh) 一种农业育苗灌溉装置
CN207443785U (zh) 一种茶叶种植用灌溉设备
CN209283913U (zh) 一种绿化苗木灌溉装置
CN217428854U (zh) 一种农业用多喷头可旋转灌溉装置
CN216163691U (zh) 一种农艺种植用土壤培育箱
CN220654131U (zh) 一种悬挂种植装置
CN217986235U (zh) 一种用于猕猴桃密植栽培的栽培架
CN214430793U (zh) 一种用于农业种植的自动化灌溉装置
CN216492505U (zh) 一种风景园林用花草灌溉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