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55Y1 - Cd케이스 - Google Patents

Cd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55Y1
KR200477455Y1 KR2020140006002U KR20140006002U KR200477455Y1 KR 200477455 Y1 KR200477455 Y1 KR 200477455Y1 KR 2020140006002 U KR2020140006002 U KR 2020140006002U KR 20140006002 U KR20140006002 U KR 20140006002U KR 200477455 Y1 KR200477455 Y1 KR 200477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opper
edge
foldable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엽
Original Assignee
이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엽 filed Critical 이엽
Priority to KR2020140006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목하게 CD수납공간이 형성된 CD수납부가 결합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면의 어느 한 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몸체부의 다른 한 측면에 제1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의 내측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며,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부케이스; 접힌 상태로 내부에 상기 내부케이스가 삽입되는 입구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판 및 상판과, 상기 하판의 외측면에서 내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고 접힌 상태에서 상기 하판의 내측에 접착되어 에지가 상기 제1 걸림부의 에지와 상호 맞닿아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1 스토퍼와, 상기 상판의 외측면에서 내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부의 에지가 접힘 영역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며,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CD케이스를 제공하여, 종이 재질로 이루어짐에도 내부케이스가 쉽고 안정적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CD케이스{Compact Disc case}
본 고안은 CD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케이스 안에 CD를 수납한 내부케이스가 삽입되는 CD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콤팩트디스크(이하, "CD"라 칭함)를 CD의 기록면이 스크래치 등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별도의 케이스에 수납하여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43284호(1998.09.25.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CD케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의 CD케이스는 케이스본체와 케이스본체를 수납하는 함체를 포함한다. 케이스본체에는 원판 형의 디스크가 놓이는 디스크자리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디스크 자라의 중앙에는 디스크에 형성된 구멍이 끼워지는 걸림부가 마련된다. 함체는 케이스본체에 대응되게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랍 식으로 개구부가 전방으로 형성된다.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본체가 삽입되거나 인출된다. 이와 같은 CD케이스는 CD가 수납된 케이스본체를 서랍 식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보관하여 CD의 기록면을 보호하면서도 사용 편의성을 높인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CD케이스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때문에 CD케이스를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외력이 부가되는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본체와 이를 수납하는 함체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기 쉽고 반복 사용에 따른 파손의 위험이 크고 조작감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본 문헌의 CD케이스는 케이스본체가 함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본체의 인출 과정에서 수납된 CD를 떨어뜨릴 위험이 크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43284호(1998.09.25. 공개)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이를 사용하여 CD를 수납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내부케이스가 쉽고 안정적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CD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오목하게 CD수납공간이 형성된 CD수납부가 결합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면의 어느 한 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몸체부의 다른 한 측면에 제1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의 내측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며,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부케이스와, 접힌 상태로 내부에 상기 내부케이스가 삽입되는 입구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판 및 상판과, 상기 하판의 외측면에서 내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고 접힌 상태에서 상기 하판의 내측에 접착되어 에지가 상기 제1 걸림부의 에지와 상호 맞닿아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1 스토퍼와, 상기 상판의 외측면에서 내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부의 에지가 접힘 영역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며,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CD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걸림부의 길이와 상기 제2 걸림부의 길이는 상기 제1 걸림부의 에지가 상기 제1 스토퍼의 에지에 맞닿을 때, 상기 제2 걸림부의 에지가 상기 제2 스토퍼의 걸림영역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D수납부에는 원형의 CD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CD수납공간의 테두리에서 오목하게 확장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인출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케이스에는 상기 입구의 반대측의 측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외부케이스를 노출시키는 인출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은 CD수납부가 보이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CD를 수납하는 내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를 수납하는 외부케이스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를 분리를 제한하는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가 내부케이스에 구비됨으로써, 종이 재질로 이루어짐에도 내부케이스가 쉽고 안정적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내부케이스의 측면의 접힘 영역의 일부가 절개되어 내부케이스의 상부 및 하부 측에서 외부케이스와 구속되는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케이스에서 내부케이스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내부케이스의 하면에서는 제1 걸림부가 외부케이스의 내측에 접착되어 고정된 제1 스토퍼에 맞닿아 걸리도록 형성하고, CD수납부가 형성된 내부케이스의 상면에서는 유동적인 제2 스토퍼에 제2 걸림부가 걸리도록 형성함으로써, CD를 보다 원활하게 인입하고 인출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CD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내부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2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외부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가 각각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CD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내부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2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외부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CD케이스(1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100)는 외부케이스(200)가 삽입되어 수납되고, 수납된 상태에서 외부케이스(200) 밖으로 일부 영역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내부케이스(100)는 CD수납부(150)를 포함한다. CD수납부(150)는 오목하게 CD수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CD수납공간(S)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통상적인 CD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CD수납부(150)는 수납 상태에서 CD를 물리적인 충격으로 보호하기 위해 완충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케이스(100)는 몸체부(110)와, 접힘부(120)와, 제1 걸림부(130)와, 제2 걸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CD수납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접힘부(120)는 몸체부(110)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며 CD수납부(150)를 향하도록 접힐 수 있다.
제1 걸림부(130)는 몸체부(110)의 다른 한 측면에 접이선(131)을 기준으로접힘 가능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부(130)는 몸체부(110)의 하면 즉, CD수납부(150)가 배치되지 않은 방향을 향하여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40)는 제1 걸림부(130)의 내측 일부가 절개되어 몸체부(110)의 다른 한 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걸림부(140)는 몸체부(110)의 상면 즉, CD수납부(150)가 배치된 방향을 향하여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병행 참조하면, 제1 걸림부(130)는 몸체부(110)의 하면측으로 접히게 된다. 반면에, 제1 걸림부(130)의 내측 일부가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제2 걸림부(140)는 제1 걸림부(130)와 반대로 몸체부(110)의 상면측으로 접히게 된다.
이러한 제1 걸림부(130) 및 제2 걸림부(140)는 외부케이스(200)의 제1 스토퍼(230)와 제2 스토퍼(240)에 걸려 외부케이스(200)에서 내부케이스(100)가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1 걸림부(130)와 제2 걸림부(140)가 내부케이스(100)의 상면 및 하면 양측에서 잡아 주기 때문에 내부케이스(100)를 인출하는 과정 중에 구조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케이스(200)는 하판(210)과, 상판(220)과, 제1 스토퍼(230)와 제2 스토퍼(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판(210) 및 상판(220)은 접힌 상태로 내부에 내부케이스(1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케이스(100)가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가 각각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스토퍼(230)는 하판(210)의 외측면에서 접이선(231)을 기준으로 내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고, 접힌 상태에서 하판(210)의 내측에 접착되어 에지(230a)가 제1 걸림부(130)의 에지(130a)와 상호 맞닿아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토퍼(240)는 상판(220)의 외측면에서 접이선(241)을 기준으로 내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고, 접힌 상태에서 접힘 영역(240a))에 제2 걸림부(140)의 에지(140a)와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토퍼(240)는 제1 스토퍼(230)와 달리, 상판(220)의 내측면과 떨어져 형성된다.
이렇게 도 6의 A와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200)에서 내부케이스(100)를 인출하는 과정 중에 제1 걸림부(130) 및 제2 걸림부(140)가 각각 제1 스토퍼(230)와 제2 스토퍼(240)에 걸리게 되어 내부케이스(100)가 외부케이스(200)에서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1 걸림부(130)의 길이(도 2의 L1)와 제2 걸림부(140)의 길이(도 2의 L2)는 제1 걸림부(130)의 에지(130a)가 제1 스토퍼(230)의 에지(230a)에 맞닿을 때, 제2 걸림부(140)의 에지(140a)가 제2 스토퍼(240)의 접힘 영역(240a)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내부케이스(100)의 하면에서는 제1 걸림부(130)가 외부케이스(200)의 내측에 접착되어 고정된 제1 스토퍼(230)에 맞닿아 걸리도록 형성하고, CD수납부(150)가 형성된 내부케이스(100)의 상면에서는 유동적인 제2 스토퍼(240)에 제2 걸림부(140)가 걸리도록 형성함으로써, CD를 보다 원활하게 인입하고 인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CD수납부(150)에는 원형의 CD수납공간(S)이 형성되고, CD수납공간(S)의 테두리에서 오목하게 확장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인출홈부(16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케이스(200)에는 입구의 반대측의 측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외부케이스(200)를 노출시키는 인출유도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출유도부(250)를 통해 노?된 내부케이스(100)를 눌러 보다 용이하게 CD를 인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CD케이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CD케이스
100: 내부케이스
110: 몸체부
120: 접힘부
130: 제1 걸림부
140: 제2 걸림부
150: CD수납부
200: 외부케이스
210: 상판
220: 하판
230: 제1 스토퍼
240: 제2 스토퍼
160: 인출홈부
250: 인출유도부

Claims (5)

  1. 오목하게 CD수납공간이 형성된 CD수납부가 결합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어느 한 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몸체부의 다른 한 측면에 제1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의 내측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며,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부케이스; 및
    접힌 상태로 내부에 상기 내부케이스가 삽입되는 입구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판 및 상판과, 상기 하판의 외측면에서 내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고 접힌 상태에서 상기 하판의 내측에 접착되어 에지가 상기 제1 걸림부의 에지와 상호 맞닿아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1 스토퍼와, 상기 상판의 외측면에서 내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부의 에지가 접힘 영역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며,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걸림부의 길이와 상기 제2 걸림부의 길이는 상기 제1 걸림부의 에지가 상기 제1 스토퍼의 에지에 맞닿을 때 상기 제2 걸림부의 에지가 상기 제2 스토퍼의 걸림영역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부의 길이(L1)와 제2 걸림부의 길이(L2)는 제1 걸림부의 에지가 제1 스토퍼의 에지에 맞닿을 때 제2 걸림부의 에지가 제2 스토퍼의 접힘 영역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CD수납부에는 원형의 CD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CD수납공간의 테두리에서 오목하게 확장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인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에는 상기 입구의 반대측의 측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외부케이스를 노출시키는 인출유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톱퍼는 하판의 외측면에서 접이선을 기준으로 내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고 접힌 상태에서 하판의 내측에 접착되어 에지가 제1 걸림부의 에지와 상호 맞닿아 걸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톱퍼는 상판의 외측면에서 접이선을 기준으로 내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고 접힌 상태에서 접힘 영역에 제2 걸림부의 에지와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6002U 2014-08-11 2014-08-11 Cd케이스 KR200477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02U KR200477455Y1 (ko) 2014-08-11 2014-08-11 Cd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02U KR200477455Y1 (ko) 2014-08-11 2014-08-11 Cd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455Y1 true KR200477455Y1 (ko) 2015-06-09

Family

ID=5351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002U KR200477455Y1 (ko) 2014-08-11 2014-08-11 Cd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816B1 (ko) 2021-08-26 2021-11-10 주식회사 네오오라 씨디케이스용 씨디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229A (ko) * 2001-11-10 2003-05-16 장순식 종이 씨디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229A (ko) * 2001-11-10 2003-05-16 장순식 종이 씨디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816B1 (ko) 2021-08-26 2021-11-10 주식회사 네오오라 씨디케이스용 씨디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141764A (en) Package
JP2015505526A (ja) 喫煙品用パック
KR200477455Y1 (ko) Cd케이스
JP2015509890A (ja) 喫煙品用パック
JP6407571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ケース
JP2007167341A (ja) コンパクト容器
US20060175211A1 (en) Disk package
JP2019018901A (ja) カード等収納ケース
CA2876843C (en) Packing box for display
JP2010168061A (ja) 収納ケース
KR200397676Y1 (ko) 시디 케이스 수납 구조를 갖는 책 커버
JP5271253B2 (ja) メモリカードトレイおよびメモリカードトレイを装備したディスクケース
JP2011057228A (ja) ディスクケース
JP3166029U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収納体
KR200310880Y1 (ko) 휴대용 하드디스크 보관케이스
JP2007069924A (ja) 包装ケース
JP2018090300A (ja) メモリカードアタッチメント
KR200456339Y1 (ko) 책갈피 삽입형 씨디케이스
JP2616896B2 (ja) 光ディスク収納体
KR200477901Y1 (ko) 종이포장용기
US20070241005A1 (en) Laser disc casing device
JP2010095282A (ja) ディスク収容ケースと、ディスク収容ケース形成用シート
JP5587835B2 (ja) カップホルダ
JP2005271925A (ja) ディスク固定装置
KR20140143253A (ko) 휴대폰용 후면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