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35Y1 - Bicycle parking apparatus of elevator, elevator including the same and eleva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icycle parking apparatus of elevator, elevator including the same and eleva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35Y1
KR200477435Y1 KR2020130007258U KR20130007258U KR200477435Y1 KR 200477435 Y1 KR200477435 Y1 KR 200477435Y1 KR 2020130007258 U KR2020130007258 U KR 2020130007258U KR 20130007258 U KR20130007258 U KR 20130007258U KR 200477435 Y1 KR200477435 Y1 KR 200477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bicycle
rod uni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2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1021U (en
Inventor
김종범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7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35Y1/en
Publication of KR20150001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02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3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4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 B66B17/28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electrically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가 개시되며, 상기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는 자전거의 바퀴의 적어도 일부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승강기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승강기 일측면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거치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상기 거치공간에 대한 상기 바퀴의 진입이 진행될수록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The elevator bike holder is provided with a mounting spac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wheels of the bicycle can be mounted and is provided outside the one side of the elevato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elevator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side A housing; And a door movable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in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door is moved rearward as the wheel enters the accommodation space.

Description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및 승강기 시스템{BICYCLE PARKING APPARATUS OF ELEVATOR, ELEVATOR INCLUDING THE SAME AND ELEVATOR SYSTEM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elevator, an elevator bicycle,

본원은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및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bicycle cradle, an elevator including the elevator cradle, and an elevator system.

사회 전반적으로 자전거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자전거의 수직운송 수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자전거 주차장 및 자전거 거치대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경향에도 불구하고, 일반 승강기에 자전거를 거치시키는 승객을 위한 장치, 시설 등은 보급되지 않고 있어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As the number of bicycle users increases in society as a whole, the necessity of vertical transportation means of bicycle is increasing, and a bicycle parking lot and a bicycle rack are spreading. Despite this social tendency, there are many problems because the devices and facilities for the passengers who ride the bicycle in the general elevator are not supplied.

예시적으로, 자전거의 거치를 위해 승객이 자전거를 승강기에 실을 때 승강기의 크기보다 자전거의 크기가 큰바, 자전거가 대각선으로 실리게 되므로, 동승한 탑승객에게 불편함을 제공할 수 있고, 승강기 내에 정원의 승객이 탑승하지 못할 수 있으며, 승강기에 흠집을 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전거를 싣는 동안에 승강기 문이 닫히는바, 자전거를 승강기에 싣는데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고 승강기 문이 파손되거나 승객이 승강기 문에 끼이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배경과 관련된 기술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87833호(2001.10.16)에 개시되어 있다.Illustratively, when a passenger puts the bicycle on the elevator for mounting the bicycle, the bicycle is mounted diagonally rather than the size of the elevato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inconvenience to the passengers who are traveling, Passengers in the garden may not be able to board and can scratch the elevator. In addition, when the bicycle is being loaded, the elevator door is closed. In addition,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in loading the bicycle in the elevator, the elevator door is broken, or the passenger is caught in the elevator door. A technique relating to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87833 (Oct. 16, 2001).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기에 대한 자전거의 거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및 승강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bicycle cradle capable of improving the stability of a bicycle with respect to an elevator, and an elevator and eleva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는, 자전거의 바퀴의 적어도 일부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승강기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승강기 일측면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거치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상기 거치공간에 대한 상기 바퀴의 진입이 진행될수록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bicycle cradl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mounting spac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wheels of the bicycle can be mounted; A housing disposed outside the one side of the elevator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elevator; And a door movable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in the stowage space, wherein the door is moved rearward as the wheel enters the stowage space.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승강기는,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comprise an elevator bicycle cradl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원의 제3 측면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은,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승강기; 승강장에 배치되는 자전거용 호출 버튼; 및 상기 자전거 전용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ll button for the bicycle placed on the platform;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the bicycle exclusive butt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승강기의 일측면의 외측에 자전거의 바퀴의 적어도 일부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공간을 통해 승강기 내에서 자전거가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승강기 내에서 자전거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어 동승한 탑승객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승강기 내에 정원의 승객이 탑승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바퀴의 진입이 진행될수록 후방으로 이동되는 도어를 통해 자전거를 거치하기 위해 도어를 열 필요가 없어 자전거의 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를 구현함으로써, 승강기를 이용한 자전거의 이동 시 승객의 편리함 및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icycle from being arranged diagonally in the elevator through the mounting space where at least a part of the wheels of the bicycle can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one side of the elevator,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the passengers traveling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allowing passengers in the passenger cabin to ride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and mounting the bicycle through the door that moves rearward as the wheels enter the passenger compartment. By implementing the elevator bicycle cradle which can easily mount the bicycle without the need to open the door, the convenience and stability of the passenger can be increased when the bicycle is moved using the elevator.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를 포함하는 승강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돌기, 동작링크기구 및 탄성부재의 구성을 생략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가이드 홈부를 설명하기 위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해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의 내부 거치공간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vator including an elevator bicycle cradl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in which the protrusions, the operating link mechanism and the elastic members are omitted to explain the arrangement of the pinion gear and the rack gear.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elevator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a guide groove.
FIG. 4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mounting space of the elevator bicycle cradle in order to explain driving of the elevator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of a button portion including a call button for a bi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 on "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taken to mean the approximation of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sense,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used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step for.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전방, 전면, 후방, 후면, 상측, 하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한 면이 전면,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한 면이 후면,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등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 및 도 2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한 면이 전면,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한 면이 후면 등이 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terms related to direction and position (front, front, rear, rear, top, bottom, etc.)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set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each structure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FIG. 4, the 9 o'clock direction is generally front, the 9 o'clock direction generally faces the front, the 3 o'clock direction is generally rear, the 3 o'clock direction is the rear, The direction may be the upper side, the 6 o'clock direction may be the lower side and the like. 1 and 2, when the 6 o'clock direction is generally front, the entire 6 o'clock direction is the front, the 12 o'clock direction is generally rear, and the 12 o'clock direction generally faces the rear And the like.

본원은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및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bicycle cradle, an elevator including the elevator cradle, and an elevator system.

우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이하 '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an elevator bicycle crad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elevator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를 포함하는 승강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돌기, 동작링크기구 및 탄성부재의 구성을 생략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가이드 홈부를 설명하기 위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해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의 내부 거치공간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개념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vator including an elevator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inion gear and a rack g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elevator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a guide groove, and FIG. 4 is a front elevation view of the elevator bicycle cad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from the side view of the internal mounting space of the bicycle cradle.

도 1을 참조하면, 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는 승강기(100)에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 the elevator bike cradle is provided in the elevator 100.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는 하우징(1)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4, the elevator bicycle cradle includes a housing 1.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은 자전거의 바퀴(이하 '바퀴'라 함)의 적어도 일부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공간(11)이 마련된 것이다.Referring to FIG. 4, the housing 1 is provided with a mounting space 11 in which at least a part of a wheel of a bicy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heel) can be mounted.

예시적으로, 자전거의 전륜이 거치공간(11)에 거치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the front wheel of the bicycle can be mounted in the stationary space 11.

또한, 하우징(1)은 도 1을 참조하면,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승강기(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승강기(100)의 일측면의 외측에 구비된다.1, the housing 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levator 10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elevator 100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side.

하우징(1)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승강기 도어(110)와 대향하는 면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기(100)를 거쳐 하우징(1)의 거치공간(11)으로 진입하는 자전거의 진입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housing 1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urface facing the elevator door 110, as shown in Fig. Thus, the ease of entry of the bicycle into the stationary space 11 of the housing 1 through the elevator 100 can be improved.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는 바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하우징(1)의 하측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elevator bike holder may include guide grooves 3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guide movement of the wheels.

가이드 홈부(3)를 따라 자전거의 바퀴가 진입 또는 후퇴할 수 있다. 바퀴가 가이드 홈부(3)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바퀴의 거치공간(11) 내로의 진입 및 후퇴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 홈부(3)의 바닥면의 높이는 승강기(100) 내부의 바닥면(101)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The wheels of the bicycle can enter or retreat along the guide groove portion 3. [ As the wheel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portion 3, the entering and retreating of the wheel into the mounting space 11 can be performed stably. 4,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portion 3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101 inside the elevator 100. As shown in FIG.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1)은 가이드 홈부(3)가 형성되도록 가이드 홈부(3)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턱(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턱(13)은 하우징(1) 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3, the housing 1 may include a jaw 13 opposed to the guide groove 3 through the guide groove 3 so that the guide groove 3 is formed. As shown in Fig. 4, the jaw 13 can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housing 1. As shown in Fig.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는 도어(2)를 포함한다.2 and 4, the present elevator bicycle cradle includes the door 2. [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2)는 바퀴의 진입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개구부에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oor 2 may be located in the opening before the entry of the wheel.

도어(2)는 거치공간(11)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도어(2)는 거치공간(11)에 대한 바퀴의 진입이 진행될수록 후방으로 이동된다.The door 2 is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mounting space 11. Further, the door 2 is moved backward as the wheel enters the stationary space 11.

도 1, 도 2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바퀴는 거치공간(11)으로 진입할 때 도어(2)를 밀게 되며, 도어(2)는 진입하는 바퀴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다.1, 2 and 4, the wheel pushes the door 2 when it enters the seating space 11, and the door 2 can be pushed rearward by the entering wheel.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는 도어(2)와 연동되도록 도어(2)의 후면과 연결되며 가이드 홈부(3)를 따라 그 이동이 가이드 되는 로드 유닛(4)을 포함할 수 있다.4, the present elevator bicycle cradle may include a rod unit 4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door 2 and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3, have.

도 3 및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드 유닛(4)은 연결부재(41)에 의해 도어(2)의 후면과 연결될 수 있다.3 and 4, the rod unit 4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 by the connecting member 41. [

로드 유닛(4)은 가이드 홈부(3)를 따라 그 이동이 가이드 되는바,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드 유닛(4)은 가이드 홈부(3)에 배치되어 도어(2)와 연동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rod unit 4 is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portion 3 so that the rod unit 4 can be stably moved. Illustratively, as shown in Fig. 3, the rod unit 4 can be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3 and interlocked with the door 2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부(3)의 바닥면의 후측에는, 로드 유닛(4)이 가이드 홈부(3)를 따라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을 때 로드 유닛(4)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1)가 설치될 수 있다.2 and 4, when the rod unit 4 is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guide groove 3, the rod unit 4 is moved forward A stopper 31 may be provided.

도 4를 참조하면, 스토퍼(31)는 로드 유닛(4)이 스토퍼(31)의 후측에 위치하게 되면 로드 유닛(4)의 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4, when the rod unit 4 is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stopper 31, the stopper 31 can limit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od unit 4. [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토퍼(31)는 가이드 홈부(3)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스토퍼(31)는 누름 압력이 작용하면 하측으로 이동되어 가이드 홈부(3)의 바닥면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31)의 전측부는 로드 유닛(4)이 이를 자연스럽게 누르며 지나갈 수 있도록 비스듬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stopper 31 may be dispos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portion 3. As shown in Fig. Further, illustratively, the stopper 31 may be moved downward and press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3 when a pressing pressure is applied. 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stopper 31 may be formed as an oblique slope so that the rod unit 4 can naturally push the rod unit 4 therethrough.

이에 따라, 스토퍼(31)의 구동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로드 유닛(4)이 후방으로의 이동 중 스토퍼(31)와 접촉하게 되면, 로드 유닛(4)은 스토퍼(31)의 전측부의 경사면을 따라 스토퍼(31)에 누름 압력을 가하면서 스토퍼(31)를 지나가게 되고, 로드 유닛(4)의 누름 압력에 의해 스토퍼(31)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가이드 홈부(3)의 바닥면에 내장 배치되며, 로드 유닛(4)이 스토퍼(31)를 지나 스토퍼(31)의 후측에 위치하게 되면 스토퍼(31)에 가해지는 누름 압력이 사라지는바, 스토퍼(31)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돌출 배치될 수 있고, 로드 유닛(4)의 전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31)의 후측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스토퍼(31)가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는 한, 로드 유닛(4)의 전방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ing of the stopper 31 can be exemplified as follows. When the rod unit 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31 during its rearward movement, the rod unit 4 applies a pressing pressure to the stopper 31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topper 31, The stopper 31 is moved downward by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rod unit 4 and is built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portion 3 so that the rod unit 4 passes through the stopper 31 When the stopper 31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stopper 31, the pushing pressure applied to the stopper 31 disappears, so that the stopper 31 can be moved upward and projected, have. At this time, since the rear portion of the stopper 31 is not provided with the inclined surface,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od unit 4 can be restricted as long as the stopper 31 is not moved downward.

또한, 로드 유닛(4)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설정된 거리는 거치공간(11)에 대한 바퀴의 진입 완료 시까지 로드 유닛(4)이 이동되는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distance at which the rod unit 4 is moved may mean a distance at which the rod unit 4 is moved until the completion of the entry of the wheel into the mounting space 11. [

여기에서, 진입 완료 시점은 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의 설계자가 설정할 수 있는데, 자전거의 스펙, 바퀴의 사이즈, 승강기의 규모 등이 고려되어 설정될 수 있다. 즉, 이렇게 설정된 진입 완료 시점에서, 로드 유닛(4)의 전방 이동이 제한되도록 스토퍼(31)와 로드 유닛(4)이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entry completion time can be set by the designer of the elevator bicycle cradle,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bicycle, the size of the wheel, the size of the elevator, and the like can be set in consideration. That is, the stopper 31 and the rod unit 4 can be set so that forward movement of the rod unit 4 is restricted at the entry completion time set as described above.

도 4를 참조하면, 도어(2)의 후면에는 돌기(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의 후측벽의 내면에는 누름 입력 시 승강기(100)의 도어를 닫히게 하는 닫힘 버튼(9)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protrusions 21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 A closing button 9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wall of the housing 1 to close the door of the elevator 100 when the user pushes the door.

돌기(21)는 거치공간(11)에 대한 바퀴의 진입 완료 시 닫힘 버튼(9)을 누르도록 닫힘 버튼(21)과 전후 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protrusion 2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losing button 21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as to press the closing button 9 upon completion of the entry of the wheel into the receiving space 11. [

이에 따라, 바퀴의 진입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던 도어(2)의 돌기(21)는 바퀴의 거치공간(11)에 대한 진입 완료 시에 닫힘 버튼(9)을 누르게 되고, 닫힘 버튼(9)이 눌리게 되면 승강기(100)의 도어는 닫히게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닫힘 버튼(9)이 눌리면 승강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닫힘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The projection 21 of the door 2 which has been moved rearward due to the entry of the wheel pushes the closing button 9 when the wheel enters the mounting space 11 and the closing button 9 The door of the elevator 100 can be closed. Illustratively, when the closing button 9 is depressed, a closing signal may be outputted to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100. [

또한, 닫힘 버튼(9)이 눌릴 때 승강기(100)의 도어뿐만 아니라 승강장의 도어도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시적으로, 닫힘 버튼(9)이 눌리게 되면 승강기(100)의 도어 및 승강장의 도어는 동시에 닫힐 수 있다.Further, when the closing button 9 is pressed, not only the door of the elevator 100 but also the door of the platform can be closed. Accordingly, illustratively, when the closing button 9 is pressed, the door of the elevator 100 and the door of the platform can be closed at the same time.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부(3)의 바닥면의 전측에는, 누름 압력 작용 시 스토퍼(31)에 의한 로드 유닛(4)의 전방 이동의 제한을 해제하는 스토퍼 해제 버튼(32)이 설치될 수 있다.  2 and 4,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3, there are provided a stopper releasing button (releasing button) for releasing restriction of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od unit 4 by the stopper 31 32 may be installed.

거치공간(11)에 대한 바퀴의 후퇴가 이루어지는 경우, 바퀴는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스토퍼 해제 버튼(32)에 누름 압력을 가하게 될 수 있다. 스토퍼 해제 버튼(32)에 누름 압력이 가해지면, 스토퍼(31)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가이드 홈부(3)의 바닥면에 내장 배치됨으로써 로드 유닛(4)의 전방 이동의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이렇게 로드 유닛(4)의 전방 이동의 제한이 해제되면 로드 유닛(4) 및 로드 유닛(4)과 연동 이동되는 도어(2)는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예시적으로, 도어(2)는 후술할 탄성부재(7)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When the wheel is retracted with respect to the stationary space 11, the wheel may be moved forward to apply a pressing pressure to the stopper release button 32. When the stopper release button 32 is depressed, the stopper 31 is moved downward and is built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3, so that the limitation of forward movement of the rod unit 4 can be released. When the limitation of forward movement of the rod unit 4 is released, the door 2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rod unit 4 and the rod unit 4 becomes movable forward. At this time, by way of example, the door 2 can be moved forward by an elastic member 7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는 탄성부재(7)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7)는 도어(2)를 개구부로 밀어내는 탄성 회복력을 갖도록 거치공간(11)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탄성 압축될 수 있다.4, the present elevator bicycle cradle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7. The elastic member 7 can be elastically compr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mounting space 11 so as to have an elastic recovery force pushing the door 2 to the opening.

이에 따라, 스토퍼 해제 버튼(31)에 누름 압력이 가해져 로드 유닛(4) 및 도어(2)가 전방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탄성부재(7)에 의해 로드 유닛(4) 및 도어(2)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퀴가 거치공간(11)으로부터 온전히 벗어나면 도어(2)는 개구부에 재 배치될 수 있다.The rod unit 4 and the door 2 are moved forward by the pushing force of the stopper releasing button 31 so that the rod unit 4 and the door 2 are moved forward by the resilient member 7. [ Can be moved forward. Accordingly, the door 2 can be relocated to the opening portion when the wheel is completely deviated from the mounting space 11. [

예시적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성부재(7)는 후술할 로드 유닛(4)의 후면과 하우징(1)의 후측벽의 내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4, the elastic member 7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rod unit 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wall of the housing 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어린이의 장난 방지 등을 위하여, 탄성부재(7)는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에 한하여 도어(2)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탄성계수 이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7)는 어린이가 미는 힘으로는 도어(2)가 후방으로 거의 이동되지 않을 정도 및 성인이 자전거 바퀴를 밀어넣기 위해 도어(2)에 가할 수 있는 힘으로는 도어(2)가 후방으로 이동될 정도의 탄성계수로 구비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7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modulus or more so that the door 2 can be moved backward only when a certain force or more is applied. In other words, the elastic member 7 is provided on the door 2 in such a manner that the door 2 is not moved rearward almost by the pushing force of the child and the force that the adult can attach to the door 2 to push the bicycle wheel, May be provided with a modulus of elasticity such that the elastic modulus can be moved backward.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는 도어(2)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도어(2)와 하우징(1)을 연결하는 동작링크기구(8)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elevator bicycle cradle may include an operating link mechanism 8 for connecting the door 2 and the housing 1 so as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oor 2.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동작링크기구(8)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2)와 힌지 연결되는 제1 링크(81), 하우징(2)의 후측벽과 힌지 연결되는 제2링크(82) 및 제2 링크(82)에 대한 제1 링크(81)의 상대적인 회전을 전달하도록 제1 링크(81)와 제2 링크(82)를 연결하는 회전기어(83)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perating link mechanism 8 includes a first link 81 hinged to the door 2, a second link 82 hinged to the rear wall of the housing 2, And a rotary gear 83 connecting the first link 81 and the second link 82 to transmit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link 81 with respect to the second link 82. [

회전기어(83)는 제1 링크(81)와 제2 링크(82)의 상호 동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어(2)는 회전기어(83)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 및 전방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회전기어(83)를 통해 제1 링크(81)와 제2 링크(82)의 회전 동작이 일정한 속도로 가이드될 수 있다.The rotary gear 83 may serve to guide the mutual operation of the first link 81 and the second link 82. That is, the door 2 can be guided by the rotary gear 83 to move backward and forwardly. Illustrativel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link 81 and the second link 82 through the rotary gear 83 can be guided at a constant speed.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는 로드 유닛(4)에 장착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5)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present elevator bicycle cradle may include a pinion gear 5 mounted on the rod unit 4. [

예시적으로, 피니언 기어(5)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드 유닛(4)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로드 유닛(4)과 피니언 기어(5)는 연결부재(5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pinion gear 5 can be dispos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d unit 4 as shown in Fig. Further, the rod unit 4 and the pinion gear 5 can b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51. [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는 로드 유닛(4)의 이동에 따라 피니언 기어(5)와 맞물리도록 하우징(1)의 내측에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랙 기어(rack gear)(6)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present elevator bicycle cradle is provided with a rack gear (not shown)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side the housing 1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5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od unit 4 6).

즉, 도 2를 참조하면, 피니언 기어(5)는 랙 기어(6)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2, the pinion gear 5 can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rack gear 6. Fig.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랙 기어(6)는 로드 유닛(4)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랙 기어(6)는 턱(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rack gear 6 can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d unit 4. Further,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rack gear 6 can be disposed on the jaw 13.

거치공간(11)에 대한 바퀴의 진입에 따른 도어(2)의 이동 속도는 랙 기어(6)에 대한 피니언 기어(5)의 맞물림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The moving speed of the door 2 in accordance with the entry of the wheel into the stationary space 11 can be limited according to the engagement of the pinion gear 5 with respect to the rack gear 6. [

로드 유닛(4)이 피니언 기어(5)와 연결된바, 로드 유닛(4)의 이동 속도는 피니언 기어(5)와 랙 기어(6)의 기어 감속비에 의해 특정 속도 이하로 제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로드 유닛(4)과 연결된 도어(2)를 밀면서 진입하는 바퀴의 진입 속도도 특정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될 수 있다.The rod unit 4 is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5 so that the moving speed of the rod unit 4 can be limited to a specific speed or less by the gear reduction ratio of the pinion gear 5 and the rack gear 6, The entry speed of the entering wheel while pushing the door 2 connected to the rod unit 4 can also be restricted so as not to exceed the specific speed.

즉, 도어(2)의 이동 속도는 피니언 기어(5)와 랙 기어(6)의 기어 감속비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퀴를 거치공간(11)으로 진입시키기 위해 자전거에 작용되는 힘의 불규칙한 변화에도 바퀴는 일정 속도로 거치공간(11) 내로 진입될 수 있고 갑작스런 속도의 변화가 방지될 수 있다.That is, the moving speed of the door 2 can be kept constant by the gear reduction ratio of the pinion gear 5 and the rack gear 6. Accordingly, the wheel can be introduced into the stationary space 11 at a constant speed even when the power applied to the bicycle is changed to allow the wheel to enter the stationary space 11, and sudden change in the speed can be prevented.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들을 바탕으로 구현될 수 있는 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의 구동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driving of the elevator bicycle cradle, which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거치공간(11)으로 바퀴가 진입하면 진입하는 바퀴에 의해 도어(2) 및 도어(2)와 연결된 로드 유닛(4)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퀴의 진입이 완료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던 로드 유닛(4)이 스토퍼(31)의 후측에 위치하게 되면 스토퍼(31)는 로드 유닛(4)의 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바퀴의 진입 완료 시에 도어(2)의 돌기(21)는 닫힘 버튼(9)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자전거 거치의 완료와 함께 승강기 도어(110)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될 수 있다.When the wheel enters the stationary space 11, the rod unit 4 connected to the door 2 and the door 2 by the entering wheel can be moved backward. The stopper 31 can limit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od unit 4 when the rod unit 4 which has moved rearwar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ntry of the wheel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topper 31. [ The protrusion 21 of the door 2 presses the closing button 9 upon completion of the entry of the wheel so that the elevator door 110 can be automatically closed with the completion of the bike station.

바퀴가 거치공간(11)으로부터 후퇴하는 경우, 바퀴는 전방으로의 이동 중에 스토퍼 해제 버튼(32)에 누름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31)는 해제되며, 로드 유닛(4)은 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고, 탄성부재(7)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 유닛(4) 및 도어(2)는 전방으로 이동되며, 도어(2)는 개구부에 재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2)가 개구부에 재배치되면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진 탄성부재(7)에 의해 도어(2)에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2)는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어린이의 장난, 안전 사고 등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wheel is retrac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11, the wheel applies a pressing pressure to the stopper release button 32 during forward movement, whereby the stopper 31 is released, and the rod unit 4 is moved forward The rod unit 4 and the door 2 can be moved for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 and the door 2 can be relocated to the opening. Further, when the door 2 is relocated to the opening, the door 2 is not moved backward unless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2 by the elastic member 7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modulus. Accordingly, jokes, safety accidents, etc. of children can be prevented.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를 포함하는 승강기(이하 '본 승강기'라 함)는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를 포함한다. 본 승강기에 포함되는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의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살펴본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an elev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elevator') including the elevator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elevator bike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elevator bicycle cradle included in the present elevator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승강기는 위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의 구성 이외에 승강기에 적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기의 통상적인 구성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elevator can include conventional configur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elevator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elevator bike holder. Since typical configurations of such elevator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ir description is omitted.

또한,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를 포함하는 승강기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이하 '본 승강기 시스템'이라 함)에 관하여 살핀다. 다만,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levator system including an elevator including a elevator bik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foregoing embodiment,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simplified or omitted.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button unit including a call button for a bi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승강기 시스템은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를 포함하는 승강기를 포함한다.The elevator system includes an elevator including an elevator bicycle crad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승강장에 배치되는 자전거용 호출 버튼(200)을 포함한다.5, includes a call button 200 for a bicycle which is disposed at a platform.

예시적으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전거용 호출 버튼(200)은 버튼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는 승강장에 배치될 수 있다.Illustratively, as shown in FIG. 5, the call button for bicycle 200 may be included in the button portion. Further, the button portion can be disposed at the platform.

또한, 본 승강기 시스템은 자전거용 호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승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The elevator system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call button for the bicycle.

제어부는 자전거용 호출 버튼(200)에 입력이 발생하면 자전거용 호출 버튼(200)에 입력이 발생한 층으로 승강기를 호출하고 닫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승강기 도어(110)를 열림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an call the elevator to the floor where the call button 200 for bicycle is generated when the input is made to the call button 200 for the bicycle and can keep the elevator door 110 in the open state until receiving the closing signal .

닫힘 신호는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의 닫힘 버튼(9)이 눌리면 출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에 대한 바퀴의 진입 완료 시에 도어(2)의 후면에 형성된 돌기(21)가 닫힘 버튼(9)을 누름으로써 닫힘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는 닫힘 신호를 수신하면 승강기 도어(110)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losure signal may be output when the closing button 9 of the elevator bicycle cra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As described above, the closing signal can be outputted by pressing the closing button 9 on the projection 2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 upon completion of the entry of the wheel into the elevator bicycle rest.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elevator door 110 to close when receiving the close signal.

즉, 본 승강기 시스템에 따르면,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에 바퀴의 진입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승강기 도어(110)의 열림 상태가 유지되는바, 승강기 도어(110)에 자전거 또는 승객이 끼이는 안전사고 및 승강기 도어(110)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levator system, since the elevator door 110 is kept open until the completion of the entry of the wheels into the elevator bike holder, a safety accident involving a bicycle or a passenger in the elevator door 110, Breakage or the like of the battery 110 can be prevented.

또한, 제어부는, 본 승강기 시스템이 승강기 도어(110) 및 승강장 도어를 포함하는 경우, 닫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승강기 도어(110) 및 승강장 도어의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elevator system includes the elevator door 110 and the landing door, the control unit can maintain the elevator door 110 and the landing door open state until receiving the closing signal.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에 따른 본 승강기 시스템의 구동을 간략히 설명하겠다. 자전거용 호출 버튼(200)에 입력이 발생하면(S110), 입력이 발생한 층으로 승강기가 호출될 수 있고(S130), 승강기 도어(110)가 열릴 수 있다(S150). 이때, 승강기 도어(110)는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에 바퀴의 진입이 완료되면서 도어(2)의 후면에 형성된 돌기(21)가 닫힘 버튼(9)을 누름으로써 닫힘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된 닫힘 신호를 제어부가 수신하면(S170), 열림 상태이던 승강기 도어(110)는 닫힐 수 있다(S190).With reference to FIG. 6, the driving of the present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hen an input is generated in the bicycle call button 200 in step S110, the elevator can be called to the floor where the input is generated in step S130, and the elevator door 110 can be opened in step S150. At this time, the elevator door 110 can maintain the open state. In addition, when the wheel enters the above-mentioned elevator bicycle cradle, the projection 2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 presses the closing button 9 to output a closing signal, and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output closing signal (S170), the elevator door 110 which is in the open state can be closed (S190).

또한, 예시적으로, 승강기 도어(110)가 닫힌 후 승강기 탑승객은 승강기 내에 배치된 입력 버튼을 통해 목적층을 입력할 수 있다.Also, illustratively, after the elevator door 110 is closed, the elevator passenger may enter the destination floor through an input button disposed in the elevator.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하우징 2: 도어
21: 돌기 3: 가이드 홈부
31: 스토퍼 32: 스토퍼 해제 버튼
4: 로드 유닛 41: 연결부재
5: 피니언 기어 51: 연결부재
6: 랙 기어 7: 탄성부재
8: 동작링크기구 81: 제1 링크
82: 제2 링크 83: 회전기어
13: 턱 9: 닫힘버튼
100: 승강기 101: 승강기 내부의 바닥면
200: 자전거용 호출 버튼 11: 거치공간
110: 승강기 도어
1: Housing 2: Door
21: projection 3: guide groove
31: Stopper 32: Stopper release button
4: rod unit 41: connecting member
5: Pinion gear 51: Connecting member
6: Rack gear 7: Elastic member
8: operating link mechanism 81: first link
82: second link 83: rotary gear
13: chin 9: closing button
100: elevator 101: bottom surface inside the elevator
200: Call button for bicycle 11: Station space
110: Elevator door

Claims (13)

승강기에 구비되는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로서,
자전거의 바퀴의 적어도 일부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승강기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승강기 일측면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거치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도어;
상기 바퀴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
상기 도어와 연동하도록 상기 도어의 후면과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홈부를 따라 그 이동이 가이드 되는 로드 유닛;
상기 가이드 홈부의 바닥면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 유닛이 상기 가이드 홈부를 따라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을 때 상기 로드 유닛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가이드 홈부의 바닥면의 전측에 구비되어 누름 압력 작용시 상기 스토퍼에 의한 상기 로드 유닛의 전방 이동의 제한을 해제하는 스토퍼 해제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상기 거치공간에 대한 상기 바퀴의 진입이 진행될수록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
An elevator bicycle cradle provided in an elevator,
A housing provided on an outer side of one side of the elevato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elevator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provided with a mounting spac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wheels of the bicycle can be mounted;
A door movable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in the mounting space;
A guide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to guide movement of the wheel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rod unit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door and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A stopper provided at a rear side of a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to limit forward movement of the rod unit when the rod unit is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guide groove; And
And a stopper release button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for releasing restriction of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od unit by the stopper when a pressing pressure is applied,
Wherein the door is moved rearward as the wheel enters the mounting spa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유닛에 장착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로드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랙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공간에 대한 상기 바퀴의 진입에 따른 상기 도어의 이동 속도는 상기 랙 기어에 대한 상기 피니언 기어의 맞물림에 따라 제한되는 것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inion gear mounted on the rod unit;
Further comprising a rack gear disposed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so as to engage with the pinion gear as the rod unit moves,
Wherein the moving speed of th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entry of the wheel into the stowage space is limited by the engagement of the pinion gear with respect to the rack gea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거리는 상기 거치공간에 대한 상기 바퀴의 진입 완료 시까지 상기 로드 유닛이 이동되는 거리인 것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a distance at which the load unit is moved until completion of entry of the wheel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상기 개구부로 밀어내는 탄성 회복력을 갖도록 상기 거치공간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탄성 압축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compress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mounting space so as to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pushing the door to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동작링크기구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ng link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door and the housing to guide the door to move back and fort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링크기구는,
상기 도어와 힌지 연결되는 제1 링크;
상기 하우징의 후측벽과 힌지 연결되는 제2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에 대한 상기 제1 링크의 상대적인 회전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를 연결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것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perating link mechanism includes:
A first link hinged to the door;
A second link hinged to the rear wall of the housing; And
And a rotary gear connect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o transmit a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link to the second li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후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측벽의 내면에는 누름 입력 시 상기 승강기의 도어를 닫히게 하는 닫힘 버튼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거치공간에 대한 상기 바퀴의 진입 완료 시 상기 닫힘 버튼을 누르도록 상기 닫힘 버튼과 전후 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ojection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a closing butt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wall of the housing to close the door of the elevator when the door is pressed,
Wherein the protrus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losing butt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as to press the closing button upon completion of entry of the wheel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승강기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른 승강기 자전거 거치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In the elevator,
An elevator comprising an elevator bicycle cradle according to claim 1.
승강기 시스템에 있어서,
제11항에 따른 승강기;
승강장에 배치되는 자전거용 호출 버튼; 및
상기 자전거용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In an elevator system,
An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1;
A call button for the bicycle placed on the platform;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the button for bicyc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전거용 호출 버튼에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자전거용 호출 버튼에 입력이 발생한 층으로 상기 승강기를 호출하고, 닫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승강기 도어를 열림 상태로 유지하는 것인 승강기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calls the elevator to the floor in which an input is made to the call button for the bicycle if an input is made to the bicycle call button and keeps the elevator door in an open state until receiving a close signal, .
KR2020130007258U 2013-08-29 2013-08-29 Bicycle parking apparatus of elevator, elevator including the same and eleva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04774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258U KR200477435Y1 (en) 2013-08-29 2013-08-29 Bicycle parking apparatus of elevator, elevator including the same and eleva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258U KR200477435Y1 (en) 2013-08-29 2013-08-29 Bicycle parking apparatus of elevator, elevator including the same and eleva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21U KR20150001021U (en) 2015-03-11
KR200477435Y1 true KR200477435Y1 (en) 2015-06-16

Family

ID=5303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258U KR200477435Y1 (en) 2013-08-29 2013-08-29 Bicycle parking apparatus of elevator, elevator including the same and eleva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35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7883A (en) * 2000-04-05 2001-10-1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Control device for elevator door
JP2004123343A (en) * 2002-10-04 2004-04-22 Fujitec Co Ltd Elevator car with trunk
JP2004262644A (en) * 2003-03-04 2004-09-24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c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7883A (en) * 2000-04-05 2001-10-1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Control device for elevator door
JP2004123343A (en) * 2002-10-04 2004-04-22 Fujitec Co Ltd Elevator car with trunk
JP2004262644A (en) * 2003-03-04 2004-09-24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c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21U (en)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12097A (en) Mechanism for a glove box lid
JP2003118397A (en) Mounting structure for battery device
KR200477435Y1 (en) Bicycle parking apparatus of elevator, elevator including the same and eleva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JPH0524437A (en) Sunshade device
KR101624167B1 (en) A scalable cargo for three wheel vehicle
KR20150094857A (en) Locking device of glove box for vehicle
KR101776461B1 (en) Fuel door opener
US9840203B2 (en)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JP2018001982A (en) Console box
CN112957750A (en) Track toy parking overload protection subassembly
JP6278743B2 (en) Slope device for vehicle
KR20160148946A (en) Smart key for vehicles
JP3556084B2 (en) Two-way elevator car
KR102586269B1 (en) Locking apparatus of seat rail for vehicle
JP2001113995A (en) Lock mechanism of seat slide device
JP5099443B2 (en) Deck board moving mechanism
KR100284228B1 (en) Brake mechanism for carts
KR101316994B1 (en) Locking device for seat-track of vehicle
US11890239B2 (en) Vehicle
KR102456320B1 (en) ON/OFF button click device for Elevator door
JPH07172740A (en) Door device of dumbwaiter
JP2009067308A (en) Load-carrying platform with tail gate
JP2011255992A (en) Forklift
KR100921090B1 (en) Switching Device of Console Box for an Automobile
JP2023044457A (en) Wheelchair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