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356Y1 -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356Y1
KR200477356Y1 KR2020110001379U KR20110001379U KR200477356Y1 KR 200477356 Y1 KR200477356 Y1 KR 200477356Y1 KR 2020110001379 U KR2020110001379 U KR 2020110001379U KR 20110001379 U KR20110001379 U KR 20110001379U KR 200477356 Y1 KR200477356 Y1 KR 200477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heater
accommodating portion
heat
h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026U (ko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이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수 filed Critical 이승수
Priority to KR2020110001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356Y1/ko
Priority to PCT/KR2011/006854 priority patent/WO2012111898A1/ko
Publication of KR201200060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0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3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039Means for influencing the rupture process of the fusible element
    • H01H85/0047Heating means
    • H01H85/0056Heat conducting or heat absorb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fusible member, e.g. for providing time d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01H2085/0412Miniature fus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퓨즈의 고정성을 향상시켜 히트에서 발생 된 열이 퓨즈로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과열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퓨즈로 전달되는 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열기기의 과열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단선 되도록 하는 퓨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전열기기의 히터에 일측이 밀착되고 밀착된 일측에 트랙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퓨즈가 수용되는 퓨즈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FUSE ASSEMBLY FOR HAIR IRON}
본 고안은 퓨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 아이론과 같은 전열기기의 과열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단선 되도록 하는 퓨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열기기 중 헤어 아이론은 전열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로 머리카락을 압착하여 머리카락을 웨이브지게 형성하거나 또는 곱슬머리를 스트레이트의 직모로 펴는 데에 널리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전열기기은 대부분 한 쌍의 손잡이의 일단부가 힌지에 의해 결합 되어 집게 형상을 이루고, 각 손잡이의 타단 내측면에 전원을 인가 받아 발열 되는 히터가 대향 설치된다.
상기 헤어 아이론에는 히팅 플레이트가 설정 값 이상으로 과열되어 머리카락이 타거나 머리에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히팅 플레이트가 일정한 온도를 이루도록 온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나아가 온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이 고장을 유발하여 온도제어가 되지 않고 과열되었을 때 과열 온도를 감지하여 규정 값 이상의 온도가 되면 단선 되는 온도퓨즈(thermal fuse)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온도퓨즈를 히팅 플레이트에 설치함에 있어서, 온도퓨즈를 그대로 설치하지 못하고 온도퓨즈를 사각으로 된 세라믹 속에 몰딩하여 히팅 플레이트를 가열하는 히터의 표면에 접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실시 방법에서는 세라믹을 히팅 플레이트에 접착하는 작업이 아주 까다로운 것은 물론 접착이 잘 되지 않고, 사용 중 접착된 부위가 떨어져 히팅 플레이트의 온도가 온도퓨즈로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온도퓨즈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히팅 플레이트가 과열되어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5747호(2005.05.25) "헤어아이론의 온도퓨즈장착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온도퓨즈를 헤어아이론의 발열판이나 이를 가열하는 히터에 설치함에 있어서, 텐숀을 갖는 판재를 절곡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숀암을 구성한 몸체를 구성하여 몸체의 텐숀암과 후단이 히터나 발열판의 표면에 밀착 지지되고 절곡된 등허리상면이 발열판의 히터장착홈 단부의 걸림턱에 지지되어서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몸체에서 연장되는 텐숀목에 의하여 발열판과 히터의 표면으로 밀착되도록 온도퓨즈누름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텐숀암과 후단에 의해서 몸체가 발열판에 고정되고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온도퓨즈누름부에 의해서 세라믹이나 히터를 고정하나, 텐쇼암과 후단만으로 몸체를 고정하므로 고정력이 약하고, 세라믹이나 히터의 일측 만이 온도퓨즈누름부에 의해서 지지 되므로 타측 방향의 지지력이 약하여 장기간 사용시 세라믹이나 히터가 유동 되어 발열판 과의 접촉력 감소로 세라믹이나 히터의 기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퓨즈의 고정성을 향상시켜 히트에서 발생 된 열이 퓨즈로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과열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퓨즈로 전달되는 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전열기기의 과열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단선 되도록 하는 퓨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전열기기의 히터에 일측이 밀착되고 밀착된 일측에 트랙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퓨즈가 수용되는 퓨즈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퓨즈와 히터사이의 밀착력과 고정성을 향상시켜 히터에서 발생 된 열이 퓨즈로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헤아 아이론의 퓨즈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퓨즈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된 트랙홈에 의해서 히터 열이 축적되도록 하여 퓨즈수용부 내에 장착되는 퓨즈에 열이 집중되도록 하고, 퓨즈와 퓨즈고정프레스 사이에 설치되는 갭패드에 의해서 휴즈수용부의 바닥면을 히터면에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되도록 하면서 절연 및 단열이 가능하므로 퓨즈로 전달되는 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셋째, 퓨즈고정프레스에 설치되는 퓨즈가압부에 의해서 퓨즈가 퓨즈수용부의 바닥에 밀착 접촉되므로 퓨즈의 열 반응성이 향상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에 채용된 퓨즈수용부의 저면 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에 채용된 퓨즈수용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1)는 퓨즈수용부(10), 퓨즈(20), 퓨즈고정프레스(30), 갭패드(40)를 포함한다.
퓨즈수용부(10)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10)와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히터(110)에서 발생 된 열이 퓨즈(20)로 전달되도록 함과 더불어 그 내부에 장착되는 퓨즈(20)에 히터 열이 최대한 손실 없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 벽에는 퓨즈(20)의 배선이 지나는 배선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퓨즈수용부(10) 바닥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11)은 퓨즈수용부(10)의 바닥면과 히터가 접촉하는 면적에 대응하여 히터(110)에서 전달되는 열이 퓨즈(20)에 손실 없이 전달되도록 요홈(11)의 공간으로 모이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요홈(11)에 의해 히터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히터열이 손실되지 않고 퓨즈(20)에 잘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히터(110)의 과열 온도를 정확히 인식하여 퓨즈(20)의 기능 및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퓨즈수용부(10)의 요홈(11)은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2개가 트랙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트랙 형상은 요홈(11)에 모이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결국 히터열이 퓨즈즈수용부(10) 내부에 있는 퓨즈(20)에 잘 전달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요홈(11)은 트랙 형상과 같은 폐곡선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퓨즈의 과열 감지 부위에 히터열을 집중시켜 과열 방지 기능을 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 라도 무방하며 본 고안의 권리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직선으로 다수개가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된 격자형 형상 또는 원호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폐곡선 형상이 아니더라도 일부가 개방되면서 그 패턴이 일정하거나 불규칙한 형상 등 퓨즈(20)의 열감지 부위로 열을 최대한 손실 없이 전달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퓨즈수용부(10)의 하측과 히터(110) 사이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수용부(10)의 요홈(11)과 히터(110) 사이의 미세 공간 제거로 방열성이 최대한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여 히터(110)에서의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도록 방열 그리스(G)를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 그리스(G)는 대부분 열전달을 높이기 위해 방열 표면에 얇은 두께로 도포되는 내열성 재료로서, 바닥 표면이 불규칙하거나 열전달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도포 방열 표면에 도포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열그리스(G) 도포 작업은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작업자 마다 도포량과 두께가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방열그리스(G) 도포량이 이처럼 다르게 되면 일정 과열 온도에서 전원 차단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어 큰 문제를 야기 하게 된다.
또한, 퓨즈수용부(10)는 주로 세라믹 재질로 소성 가공되어 성형되는데, 그 바닥면이 평면이라 하더라도 작업자 마다 방열 그리스(G)의 도포량이 일정하지 않게 도포되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 도포될 수 있으며, 퓨즈수용부(10)의 바닥이 고르지 못한 퓨즈수용부(10)인 경우는 더 심한 두께 차이로 도포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트랙 형상의 요홈(11)이 바닥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퓨즈수용부(10) 바닥에 방열그리스(G)를 도포한 후에 한 번의 스크레이퍼 작업을 하게 되면 상기 요홈(11)사이로 방열그리스(G)가 충진되면서 고르게 도포되고, 그로 인해 요홈 사이의 바닥면에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로 방열그리스(G)가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열그리스(G)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본 고안의 요홈(11) 패턴을 갖는 퓨즈수용부(10)에 의하면 히터열이 퓨즈수용부(10) 바닥면을 통해 내부의 퓨즈(20)로 열이 잘 전달되게 함으로써 히터 과열 온도점을 정확히 감지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헤어아이론 사용 과정에서의 전기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퓨즈(2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수용부(10)의 바닥에 후술할 퓨즈고정프레스(30)에 의해서 밀착 고정되며, 히터(110)에서 전달되는 열이 과열되었을 때 단선 되어 사용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퓨즈(20)가 수용된 퓨즈수용부(10)의 내부에는 열전도성과 고정성이 향상되도록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물질(C)이 충전된다. 상기 충전물질(C)은 바람직하게는 경화제와 열전도율이 높은 충진재 분말이 혼합된 혼합물을 퓨즈수용부(10)에 넣은 후 가열 건조하는 과정에 의해 성형되며, 충진재는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분말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퓨즈(20)는 대부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원형의 퓨즈(20)를 퓨즈수용부(10)에 단순히 장착하면 퓨즈수용부(10) 내측 바닥면과 퓨즈(20)의 외면이 점접촉 할 수 밖에 없어 히터 열이 퓨즈수용부(10)를 통해 전달되더라도 온도 차이로 인하여 과열 온도를 정확히 감지할 수 없어 안전사고를 유발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퓨즈수용부(10)와 퓨즈(20)의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세라믹 분말과 경화제를 혼합하여 충진 한 후 소정 높은 온도에 소성 가공을 통해 경화시켜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퓨즈수용부(10)의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히터열이 퓨즈(20)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여 과열 감지 동작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퓨즈고정프레스(30)는 일측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10)와 히팅 플레이트(120)의 내부 사이에 고정되고 타측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플레이트(120)의 측벽에 고정되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플레이트(120)에 결합 되는 히팅 플레이트커버(130)에 의해서 2차로 가압 되는 구조로서, 퓨즈수용부(10)를 히터(110) 표면에 고정되도록 함과 더불어 퓨즈수용부(10)의 바닥면이 히터(110)에 더욱 밀착시켜 히터 열이 퓨즈수용부(10)에 잘 전달되도록 조립된다.
상기 퓨즈고정프레스(30)는 히팅 플레이트(120)에 결합 되며 절곡부(130a)를 갖는 히팅 플레이트 커버(130)에 의해서 가압 되어 상기 퓨즈수용부(10)의 바닥면이 상기 히터(110) 표면에 잘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베이스플레이트(3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의 양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히팅 플레이트(120)의 측벽에 스냅 형태로 걸려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32)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히터(110)와 히팅 플레이트(120)의 내부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 되어 히터(110) 표면이 히팅 플레이트(120) 표면과 균일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33)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32)와 지지플레이트(33)의 형상적 특성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로 유동 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결합 된 상태에서 히팅 플레이트 커버(130)의 절곡부(130a)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2차 가압 되므로 하측으로 눌려지면서 퓨즈(20)가 수용되어 있는 퓨즈수용부(10)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그 바닥면이 히터(110)의 표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베이스플레이트(31)와 퓨즈수용부(10) 사이에 후술할 갭패드(40)가 설치되는 경우 전술한 원리에 의해서 베이스플레이트(31)는 갭패드(400)와 퓨즈수용부(10)를 순차적으로 가압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31)의 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굴곡부(32a)와, 상기 굴곡부(32a)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32a)보다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단부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플레이트(120)의 상부 걸림턱(121)에 지지 되는 제1경사부(32b)와, 상기 제1경사부(32b)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부(32b) 보다 급한 경사를 이루며 단부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플레이트(120)의 하부 걸림턱(122)에 지지 되는 제2경사부(32c)와, 상기 제2경사부(32c)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플레이트(120)의 하부 걸림턱(122)으로 절곡 되는 고정편(32d)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2)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부(32b)와 제2경사부(32c)가 접하는 부분이 히팅 플레이트(120)의 상부 걸림턱(121)에 1차적으로 지지되고, 제2경사부(32c)의 단부가 히팅 플레이트(120)의 하부 걸림턱(122)에 지지되면서 고정편에 의해서 고정되므로 지지력 및 고정성이 향상되고, 히팅 플레이트(120)에 결합 시에도 상기 구성에 의해서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므로 결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 제1,2경사부(32b,32c)와 고정편(32d)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의 무게가 감소 및 향상된 탄성력을 갖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절개부(32e)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31)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레그(33a)와, 상기 지지레그(33a)의 단부에서 지지레그(33a)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절곡편(33b)과, 상기 제1절곡편(33b)의 단부에서 제1절곡편(33b)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절곡편(33c)과, 상기 제2절곡편(33c)의 단부에서 제2절곡편(33c)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절곡편(33d)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레그(33a)는 탄성력을 갖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절곡편(33b,33c,33d)과 달리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절곡편 내지 제3절곡편(33b,33c,33d)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10)와 히팅 플레이트(120)의 내부 사이에 지지 되어 퓨즈고정프레스(30)가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절곡편 내지 제3절곡편(33b,33c,33d)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히팅 플레이트 커버(130)의 천정에 지지 되고 타측은 히터(110)에 지지 되므로 히터(110)가 히팅 플레이트(120)에 1차적으로 밀착되게 하고, 상기 지지레그(33a)는 탄성을 갖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누름 작용에 의해서 히터(110)가 히팅 플레이트(120)에 2차적으로 밀착되게 한다.
갭패드(4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수용부(10)와 퓨즈고정프레스(30)의 베이스플레이트(31) 사이에 설치되어 조립 시 퓨즈수용부(10)가 히터의 표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퓨즈수용부(10)에 전달된 열이 퓨즈고정프레스(30)에 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단열 및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갭패드(40)는 내열성 실리콘 패드 또는 소정 두께의 내열성 필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퓨즈고정프레스(30)와 퓨즈수용부(10) 사이의 미세 간격과 히터(110)와의 밀착력에 따른 퓨즈(20)의 온도 감지 테스트를 통해 가장 이상적인 동작이 되는 정도를 감안하여 실리콘 패드 또는 내열성필름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이 둘을 적층하여 단열 및 절연 기능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갭패드(40)를 실리콘 패드로 적용하면 그 가압이 실리콘 패드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적절하고 균일한 압력으로 퓨즈수용부(10)와 히터(110)가 밀착 조립이 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으며, 실리콘 자체의 점성에 의하여 퓨즈수용부(10)와 퓨즈고정스프링(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함께 발휘하게 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열기기(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 는 도 3a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3a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히터(110)와 히팅 플레이트(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히터(110)에서 발생 되는 열이 과열된 경우 단선 되어 사용자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20)가 퓨즈수용부(10)에 수용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퓨즈수용부(10)가 퓨즈고정프레스(30)에 의해서 히팅 플레이트(120)에 밀착 고정되므로 히터(110)에서 발생 된 열이 퓨즈(20)로 정확하게 전달되어 과열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수용부(10)의 일측에 형성된 트랙홈(11)에 히터(110)에서 전달되는 열이 모이게 되어 퓨즈(10)의 열감지 부위 영역으로 집중적으로 열전달이 될 수 있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20)와 퓨즈고정프레스(30) 사이에 설치되는 갭패드(40)에 의해서 절연 및 단열이 가능하므로 퓨즈(20)로 전달되는 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퓨즈(20)가 과열 온도점을 정확히 감지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10 : 퓨즈수용부
11 : 요홈 12 : 배선홈
20 : 퓨즈 30 : 퓨즈고정프레스
31 : 베이스플레이트 32 : 고정플레이트
32a : 굴곡부 32b : 제1경사부
32c : 제2경사부 32d : 고정편
32e : 절개부 33 : 지지플레이트
33a : 지지레그 33b : 제1절곡편
33c : 제2절곡편 33d : 제3절곡편
40 : 갭패드 100 : 전열기기
110 : 히터 120 : 히팅 플레이트
130 : 히팅 플레이트커버 130a : 절곡부
C : 충전물질

Claims (9)

  1. 전열기기의 과열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단선 되도록 하는 퓨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전열기기의 히터에 일측이 밀착되고 밀착된 일측에 요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퓨즈가 수용되는 퓨즈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열기기의 히팅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퓨즈수용부가 히터에 균일한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퓨즈고정프레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수용부와 퓨즈고정프레스 사이에는 상기 퓨즈에 전달되는 열이 방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 시 퓨즈수용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갭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가 수용된 퓨즈수용부의 내부에는 열전도성 충전물질이 충진되어 퓨즈수용부에서 전달되는 히터 열이 퓨즈의 열 감지 부위로 집중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고정프레스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레그와 상기 지지레그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절곡편을 갖는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에서 연장형성되는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굴곡부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는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부보다 급한 경사를 갖는 제2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트랙 형상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수용부와 전열기기의 히터 사이에는 방열 그리스가 도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고정프레스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에 결합 되며 절곡부를 갖는 히팅 플레이트 커버에 의해서 2차로 더 가압 되어 상기 퓨즈가 장착된 퓨즈수용부의 바닥이 히터에 견고하고 균일한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KR2020110001379U 2011-02-18 2011-02-18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KR200477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379U KR200477356Y1 (ko) 2011-02-18 2011-02-18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PCT/KR2011/006854 WO2012111898A1 (ko) 2011-02-18 2011-09-16 헤어아이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379U KR200477356Y1 (ko) 2011-02-18 2011-02-18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026U KR20120006026U (ko) 2012-08-28
KR200477356Y1 true KR200477356Y1 (ko) 2015-06-03

Family

ID=5351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379U KR200477356Y1 (ko) 2011-02-18 2011-02-18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35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67B1 (ko) * 2018-03-23 2023-08-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히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849A (ja) * 1998-06-18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ヒューズホルダー
JP2001280704A (ja) * 2000-03-31 2001-10-10 Toto Ltd 流体加熱器及び局部洗浄装置
JP2006138576A (ja) * 2004-11-15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洗浄装置
KR20100115980A (ko) * 2009-04-21 2010-10-29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과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849A (ja) * 1998-06-18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ヒューズホルダー
JP2001280704A (ja) * 2000-03-31 2001-10-10 Toto Ltd 流体加熱器及び局部洗浄装置
JP2006138576A (ja) * 2004-11-15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洗浄装置
KR20100115980A (ko) * 2009-04-21 2010-10-29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과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026U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11314A5 (ko)
EP2505339B1 (en) Impulse sealer heater covered with ceramics
KR200477356Y1 (ko) 전열기기의 퓨즈 어셈블리
KR20100114567A (ko) 무선 헤어 고데기용 방열판 및 무선 헤어 고데기
EP3649884B1 (en) A heater element for hair styling appliance
KR100668108B1 (ko) 고열전도성 세라믹 기판을 이용하여 전기적 절연특성을높인 헤어아이론의 히터와 발열판 결합 구조
JP2006527378A (ja) 電熱装置用の温度検出装置
CN105451606A (zh) 利用球振动传感器的温度调节装置及温度调节方法
KR101659141B1 (ko) 시편 열전달 성능 측정 장치
KR100696071B1 (ko) 퍼머롯드와 이러한 퍼머롯드에 효율적인 전열을 수행하는가열장치
ATE327650T1 (de) Elektrische heizbaugruppe
JP2015036689A (ja) 温度感知装置及びホブ
CN203814826U (zh) 一种防止发质损伤的硅胶卷发器
KR101074480B1 (ko) 헤어 아이론
KR100965224B1 (ko) 가스탱크 온도유지장치
KR100995193B1 (ko) 헤어 아이론용 일체형 가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EP3334249A1 (en) A spacer with an induction coil of an induction hob
KR101679817B1 (ko) 안전성이 개선된 찜질기
JPH0419838Y2 (ko)
US201900214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shell of a ski boot to a foot
CN213850084U (zh) 固定件及电器
GB2135158A (en) Heating equipment
KR20060028034A (ko) 정특성 서미스터를 이용한 히터
CN208925875U (zh) 一种烹饪器具
JPH07201454A (ja) 正特性サーミスタ発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