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179Y1 - 온오프 채크밸브를 갖는 진동 블로우 용기 - Google Patents

온오프 채크밸브를 갖는 진동 블로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179Y1
KR200477179Y1 KR2020120009938U KR20120009938U KR200477179Y1 KR 200477179 Y1 KR200477179 Y1 KR 200477179Y1 KR 2020120009938 U KR2020120009938 U KR 2020120009938U KR 20120009938 U KR20120009938 U KR 20120009938U KR 200477179 Y1 KR200477179 Y1 KR 200477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using
cosmetic
check valv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798U (ko
Inventor
이정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20009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179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1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오프 채크밸브를 갖는 진동 블로우 용기에 있어서, 특히 용기의 상부에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를 설치하고, 측면에는 공기가 출입되는 채크밸브를 설치하여 용기에 적절하게 공기가 유통되도록하여 용기의 하우징이 부푼 상태를 유지토록함으로서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 채크밸브를 갖는 진동 블로우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있어 화장용액을 담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용기 하우징과; 상기 용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며 토출홀이 형성되어 화장용액을 외부로 토출하고, 배터리와 진동수단 및 퍼프를 설치하여 퍼프로 진동이 출력되도록 구성된 용기캡과; 상기 용기캡의 토출홀 상부에 설치되어 화장액 토출을 제한하는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와; 상기 용기캡의 토출홀의 측면에 설치되며 용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가 인입되는 것을 한정하는 공기 인입용 채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온오프 채크밸브를 갖는 진동 블로우 용기{A Vivrating Blow Container having On-Off Check Valve}
본 고안은 온오프 채크밸브를 갖는 진동 블로우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의 상부에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를 설치하고, 측면에는 공기가 출입되는 채크밸브를 설치하여 용기에 적절하게 공기가 유통되도록하여 용기의 하우징이 부푼 상태를 유지토록함으로서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 채크밸브를 갖는 진동 블로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로우 용기는 화장용 내용물이 수납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내부용기와 내부용기를 감싸도록 구비된 외부용기를 동시에 성형하는 이중 블로우 용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블로우 용기는 펌핑수단에 의한 펌핑작업시 외부용기의 내주면으로부터 내부용기가 박리되면서 찌그러지고, 그에 의해 내부용기에 수납된 화장용 내용물이 토출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진동용기는 화장용 퍼프에 진동을 가하여 얼굴에 화장액을 고르게 펼쳐지게 하거나 얼굴 맛사지가 가능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진동용기는 화장용 용기의 캡부분에 진동자를 설치하고 화장액 토출장치를 마련하여 화장액이 토출되면서 진동작용을 하도록하여 보다 원할하게 화장용 퍼프의 진동하면서 화장액을 고르게 펴 바를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블로우 용기에 진동기능을 탑재한 경우 블로우 용기를 눌러 나면 공기가 스며드는 속도가 느려서 다시 펌핑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발생한다.
즉, 블로우 용기의 특성상 손으로 눌러서 펌핑을 하게 되며, 이때 공기가 내부로 스며들면서 부풀어야 다시 펌핑작용을 할 수 있는데, 용기의 부푸는 속도가 느리면 재펌핑이 곤란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화장용액의 입출을 단속하는 체크밸브와, 공기의 내부 인입을 단속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여 화장용액의 원할한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있어 화장용액을 담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용기 하우징(100)과; 상기 용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며 토출홀이 형성되어 화장용액을 외부로 토출하고, 배터리와 진동수단 및 퍼프를 설치하여 퍼프로 진동이 출력되도록 구성된 용기캡(200)과; 상기 용기캡(200)의 토출홀(210) 상부에 설치되어 화장액 토출을 제한하는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240)와; 상기 용기캡의 토출홀의 측면에 설치되며 용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가 인입되는 것을 한정하는 공기 인입용 채크밸브(25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상기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240)는, 토출홀(210)과 연결되며 상하가 개구된 제 1 하우징(241)과,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탄발 스프링(242)과, 제 1 임시차단용 패널(243)로 이루어지며, 토출홀(210)을 통해 화장액이 지나갈때 제 1 임시차단용 패널(243)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제 1 탄발 스프링(242)이 압축되면서 화장액이 제 1 하우징(241)을 통과하여 화장용 퍼프(10)가 위치한 지점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공기 인입용 채크밸브(250)는, 토출홀(210)의 측면에 연장되는 좌우가 개구된 제 2 하우징(251)과,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탄발 스프링(252)과, 제 2 임시차단용 패널(253)로 이루어지며, 토출홀(210)로 화장용액이 지나갈때에는 제 2 임시차단용 패널(250)이 차단상태를 유지하고, 용기 하우징이 다시 부풀어져서 복원될 때에는 제 2 임시차단용 패널(250)을 밀쳐서 제 2 탄발스프링(252)이 압축되면서 공기가 용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도록 동작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장용액의 입출을 단속하는 체크밸브와, 공기의 내부 인입을 단속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여 화장용액을 토출시킨 후에 빠른 속도로 용기의 하우징이 부풀어 오르도록 함으로서 재펌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진동 블로우 용기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진동 블로우 용기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진동 블로우 용기 수직 절단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진동 블로우 용기 수직 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동작도로서 화장용액을 분출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동작도로서 외부 공기가 하우징 용기에 인입되는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진동 블로우 용기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진동 블로우 용기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진동 블로우 용기 수직 절단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진동 블로우 용기 수직 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동작도로서 화장용액을 분출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동작도로서 외부 공기가 하우징 용기에 인입되는 상태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는 크게 용기 하우징(100)과, 용기캡(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있어 화장용액을 담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화장용액 토출구(110)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내장된 화장용액을 상부로 토출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용기 하우징 구조는 일반적인 형태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상기 용기캡(200)은 용기 하우징(100)의 화장용액 토출구(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에는 화장용액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홀(210)이 형성되고, 또한 배터리(220)와 진동수단(230)이 탑재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용기캡(200)의 외측 일단에는 작동 스위치(20)가 설치되어 있어서 진동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캡(200)의 토출홀(210)에 상부에는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240)가 설치되고, 토출홀의(210) 측면에는 공기 인입용 채크밸브(25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240)는 토출홀(210)과 연결되며 상하가 개구된 제 1 하우징(241)과,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탄발 스프링(242)과, 제 1 임시차단용 패널(243)로 이루어지며, 토출홀(210)을 통해 화장액이 지나갈때 제 1 임시차단용 패널(243)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제 1 탄발 스프링(242)이 압축되면서 화장액이 제 1 하우징(241)을 통과하여 화장용 퍼프(10)가 위치한 지점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인입용 채크밸브(250)는 토출홀(210)의 측면에 연장되는 좌우가 개구된 제 2 하우징(251)과,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탄발 스프링(252)과 제 2 임시차단용 패널(253)로 이루어지며, 토출홀(210)로 화장용액이 지나갈때에는 제 2 임시차단용 패널(250)이 차단상태를 유지하고, 용기 하우징이 다시 부풀어져서 복원될 때에는 제 2 임시차단용 패널(250)을 밀쳐서 제 2 탄발스프링(252)이 압축되면서 공기가 용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용기캡(200)의 상부에는 화장용 퍼프(1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화장용 퍼프(10)로 화장용액이 토출되어 화장용액이 뭍혀서 얼굴로 바를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용기 하우징(100)과 용기캡(2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 하우징(100)에는 화장용액이 담긴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캡(200)에는 토출홀(210)이 형성되고, 또한 배터리(220)와 진동수단(230)이 탑재되어 이루어지며, 용기캡(200)의 토출홀(210)에 상부에는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240)가 설치되고, 토출홀(210)의 측면에는 공기 인입용 채크밸브(250)가 설치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화장용액을 용기 하우징(100)에 담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 하우징(100)을 손으로 눌러 펌핑하게 되면 용기 하우징(100)에 존재하는 화장용액이 토출홀(210)을 지나서 화장용 토출용 채크밸브(240) 위치에 다다르게 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240)의 제 1 임시차단용 패널(243)을 누르면서 제 1 탄발 스프링(242)을 압축시키고 이에 따라 화장용액은 제 1 하우징(241)의 공간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화장용액이 화장용 퍼프(10)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240)를 통해 화장액이 토출되면, 이후 용기 하우징(100)이 부풀어 오르게 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인입용 채크밸브(250)를 구성하는 제 2 임시차단용 패널(253)을 누르면서 제 2 탄발스프링(252)을 압축시키고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들어와서 용기 하우징(100) 내부를 채우게 된다.
그리고, 용기 하우징(100)이 부풀어 오르게 되면 다시 펌핑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사용자가 용기 하우징(100)을 누르게 되면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240)를 통해 화장액이 통과되면서 화장용 퍼프(10)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진동자에 전원을 공급시키면 진동자가 진동을 일으키면서 화장용 퍼프를 이용한 화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100: 용기 하우징
110: 화장용액 토출구
200: 용기캡
210: 토출홀
220: 배터리
230: 진동수단
240: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
241: 제 1 하우징
242: 제 1 탄발 스프링
243: 제 1 임시차단용 패널
250: 공기 인입용 채크밸브
251: 제 2 하우징
252: 제 2 탄발 스프링
253: 제 2 임시차단용 패널

Claims (3)

  1.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있어 화장용액을 담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용기 하우징(100)과;
    상기 용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며 토출홀이 형성되어 화장용액을 외부로 토출하고, 배터리와 진동수단 및 퍼프를 설치하여 퍼프로 진동이 출력되도록 구성된 용기캡(200)과;
    상기 용기캡(200)의 토출홀(210) 상부에 설치되어 화장액 토출을 제한하는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240)와;
    상기 용기캡의 토출홀의 측면에 설치되며 용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가 인입되는 것을 한정하는 공기 인입용 채크밸브(250)를 포함하되,
    상기 상기 화장액 토출용 채크밸브(240)는,
    토출홀(210)과 연결되며 상하가 개구된 제 1 하우징(241)과,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탄발 스프링(242)과,
    제 1 임시차단용 패널(243)로 이루어지며,
    토출홀(210)을 통해 화장액이 지나갈때 제 1 임시차단용 패널(243)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제 1 탄발 스프링(242)이 압축되면서 화장액이 제 1 하우징(241)을 통과하여 화장용 퍼프(10)가 위치한 지점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기 인입용 채크밸브(250)는,
    토출홀(210)의 측면에 연장되는 좌우가 개구된 제 2 하우징(251)과,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탄발 스프링(252)과,
    제 2 임시차단용 패널(253)로 이루어지며,
    토출홀(210)로 화장용액이 지나갈때에는 제 2 임시차단용 패널(253)이 차단상태를 유지하고, 용기 하우징이 다시 부풀어져서 복원될 때에는 제 2 임시차단용 패널(253)을 밀쳐서 제 2 탄발스프링(252)이 압축되면서 공기가 용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캡(200)의 상부에는 화장용 퍼프(1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화장용 퍼프(10)로 화장용액이 토출되고,
    상기 용기 하우징(100)을 펌핑하게 되면 용기 하우징(100)에 존재하는 화장용액이 토출홀(210)을 지나서 화장용 토출용 채크밸브(240) 위치에 다다르게 되며,
    진동자에 전원을 공급시키면 진동자가 진동을 일으키면서 화장용 퍼프를 이용한 화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 체크밸브를 갖는 진동 블로우 용기.
  2. 삭제
  3. 삭제
KR2020120009938U 2012-10-31 2012-10-31 온오프 채크밸브를 갖는 진동 블로우 용기 KR200477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38U KR200477179Y1 (ko) 2012-10-31 2012-10-31 온오프 채크밸브를 갖는 진동 블로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38U KR200477179Y1 (ko) 2012-10-31 2012-10-31 온오프 채크밸브를 갖는 진동 블로우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98U KR20140002798U (ko) 2014-05-12
KR200477179Y1 true KR200477179Y1 (ko) 2015-05-15

Family

ID=5244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938U KR200477179Y1 (ko) 2012-10-31 2012-10-31 온오프 채크밸브를 갖는 진동 블로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17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394Y1 (ko) * 2006-12-12 2007-08-09 (주)아모레퍼시픽 진동자에 의한 마사지 수단이 내장된 캡을 갖는 화장품용기
KR100789290B1 (ko) * 2006-09-28 2007-12-28 변영광 튜브형 액상 화장품용기
KR20080037196A (ko) * 2006-10-25 2008-04-30 변영광 튜브형 화장품용기용 체크밸브의 구조
KR20100104496A (ko) * 2009-03-18 2010-09-29 (주)메딕콘 진동 볼을 구비한 액상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90B1 (ko) * 2006-09-28 2007-12-28 변영광 튜브형 액상 화장품용기
KR20080037196A (ko) * 2006-10-25 2008-04-30 변영광 튜브형 화장품용기용 체크밸브의 구조
KR200436394Y1 (ko) * 2006-12-12 2007-08-09 (주)아모레퍼시픽 진동자에 의한 마사지 수단이 내장된 캡을 갖는 화장품용기
KR20100104496A (ko) * 2009-03-18 2010-09-29 (주)메딕콘 진동 볼을 구비한 액상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98U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184Y1 (ko)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10098437B2 (en) Spuit-type container including flocking tip having temporary storage
US6471679B1 (en) Portable nasal mucus removing device
KR200452889Y1 (ko) 화장품 도포장치
US8079771B2 (en) Spray brush
KR200478584Y1 (ko)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 안전장치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150019242A (ko)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US6926175B2 (en) Constant discharge structure for nozzle head lowering type vacuum cosmetic container
KR200478110Y1 (ko) 화장품 용기
KR200450934Y1 (ko) 마사지 부재가 구비된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200475589Y1 (ko) 화장품 용기
KR200481202Y1 (ko) 다수의 도포용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펌프 용기
US20120279995A1 (en) Accordion bottle
KR200474796Y1 (ko) 토출 조절수단이 결합된 스포이드 화장용기
KR200477179Y1 (ko) 온오프 채크밸브를 갖는 진동 블로우 용기
US20070194147A1 (en) Liquid dispensing device
JP6342958B2 (ja) 臨時貯蔵所を有するフロックチップを具備したスポイト容器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150025000A (ko) 휴대용 구강세척기
EP3281550B1 (en) Spuit-type container including flocking tip having temporary storage
KR101973291B1 (ko) 리필형 화장품 용기
KR101281787B1 (ko) 용기 압착식 디스펜서
KR101638828B1 (ko) 저점도 자외선차단 화장료의 충전용기 및 충전방법
CN205492944U (zh) 具有泵送装置的染发剂容器
KR200473655Y1 (ko) 화장붓이 결합된 사이드 버튼 방식의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