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76Y1 -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 - Google Patents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76Y1
KR200476976Y1 KR2020130001194U KR20130001194U KR200476976Y1 KR 200476976 Y1 KR200476976 Y1 KR 200476976Y1 KR 2020130001194 U KR2020130001194 U KR 2020130001194U KR 20130001194 U KR20130001194 U KR 20130001194U KR 200476976 Y1 KR200476976 Y1 KR 200476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r
cover
sensor unit
operation unit
contro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776U (ko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주)코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트랩 filed Critical (주)코트랩
Priority to KR2020130001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7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7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7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28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6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magnet being removable, e.g. part of key pencil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는, 싱크대 버켓의 저면에 장착되며, 디스포저의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회로를 단속(斷續)하는 센서유닛과, 상기 버켓의 상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센서유닛이 선택적으로 반응되도록 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유닛은 버켓의 저면에 부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유닛은 버켓의 상면에 부착되는 고정지지부재와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커버와 상기 회전커버에 장착된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유닛의 하우징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는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내장된 상태에서 개방면이 커버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조작유닛의 회전커버내에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개방된 형태의 삽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삽입관내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조작유닛의 고정지지부재에는 상기 회전커버에 형성된 삽입관과 간섭되어 회전커버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한쌍의 걸림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는 조작이 간편하고, 센서유닛과 조작유닛이 분리되어 구성되는 특징상 치밀한 수밀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control switch of disposer}
본 고안은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는 디스포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포저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여 하수구를 통하여 그대로 배출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음식물 찌꺼기의 발생량이 많지 않은 가정에서는 디스포저를 이용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고, 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배출하는 등의 처리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디스포저는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싱크대의 버켓과 연결되는 분쇄조와, 분쇄조 내에 장착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그라인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분쇄조의 일측에는 오수 및 분쇄된 음식물찌꺼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포트가 갖추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구동모터에 의해 그라인더가 회전되고, 분쇄조내로 투입된 음식물 찌꺼기가 회전되는 그라인더에 의해 미세하게 파쇄됨으로써 배수관의 막힘없이 배출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디스포저의 작동제어를 위한 콘트롤스위치는 대개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하는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는 사용자가 설거지를 하는 도중에 배수통으로 버려지는 음식물찌꺼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수시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설거지할 때의 사용자의 위치와 근접되게 위치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물이 묻은 손으로 조작해도 감전이나 단락될 위험이 없도록 내부의 전기부품을 밀봉하는 수밀구조를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는 일정수준 이상의 수밀구조가 갖추어져야 하는 특성상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는 싱크대의 상면에 배치되어야 하는 반면 구동모터와의 배선연결은 싱크대 하부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배선연결을 위해서 싱크대 또는 버켓의 구조변경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지 않고 발로 조작하는 이른바 풋스텝방식의 디스포저 콘트롤 스위치가 안출된 바 있다.
종래 풋스텝방식의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는 싱크대 하부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그 상면을 발로 밟아서 내부의 접점이 단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풋스텝방식의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는 싱크대 하부에 위치되어 디스포저의 구동모터와 배선연결되므로 싱크대의 구조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위치되는 특성상 음식조리과정이나 설거지과정에서 싱크대의 상면에서 비산되는 물기와도 접할 가능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물기와 접하여 생기는 작동오류나 기기손상 등의 우려가 적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로 밟는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특성상, 부주의하게 체중을 실어서 강하게 밟거나 하는 경우 강한 충격이 가해지게 됨으로써 파손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물기에 의한 훼손이나 오작동이 적극적으로 방지됨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한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는, 싱크대 버켓의 저면에 장착되며, 디스포저의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회로를 단속(斷續)하는 센서유닛과, 상기 버켓의 상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센서유닛이 선택적으로 반응되도록 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유닛은 버켓의 저면에 부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유닛은 버켓의 상면에 부착되는 고정지지부재와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커버와 상기 회전커버에 장착된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유닛의 하우징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는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내장된 상태에서 개방면이 커버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조작유닛의 회전커버내에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개방된 형태의 삽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삽입관내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조작유닛의 고정지지부재에는 상기 회전커버에 형성된 삽입관과 간섭되어 회전커버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한쌍의 걸림턱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걸림턱은 자성체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는 조작이 간편하고, 센서유닛과 조작유닛이 분리되어 구성되는 특징상 치밀한 수밀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a, 1b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의 구조를 상면과 저면에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에 있어서, 리미트스위치의 장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를 상면과 저면에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1a 부터 도 4b 까지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1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10)는, 싱크대의 버켓(5)(도 3a, 3b 참조) 저면에 장착되며, 디스포저(7)의 구동모터(9)(도 3a, 3b 참조)로 공급되는 전원회로와 배선(241)을 통해 연결되어 전원회로를 단속(斷續)하는 센서유닛(20)과, 상기 버켓(5)의 상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센서유닛(20)이 선택적으로 반응되도록 하는 조작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유닛(20)은 버켓(5)의 저면에 부착되는 하우징(22)과, 상기 하우징(22)에 내장되는 리미트스위치(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유닛(20)의 하우징(22)은 상기 리미트스위치(24)와 배선(24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착홈부(22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홈부(22a)는 예시적으로 대략 “T”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안착홈부(22a)에 리미트스위치(24)가 내장된 상태에서 개방면이 커버(221)에 의해 덮혀서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221)는 그 일단이 안착홈부(22a)와 연접되도록 하우징(22)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와 같은 커버(221)와 하우징(22)의 일체성형구조에 의하면, 커버를 별도로 성형하여 하우징(22)과 결합할 필요가 없으며, 센서유닛(20) 조립시에 커버(221)를 절곡하여 안착홈부(22a)를 덮는 형태로 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에 따른 작업량이 감소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커버(221)를 열어서 리미트스위치(24)를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유닛(30)은 버켓(5)의 상면에 부착되는 고정지지부재(32)와, 상기 고정지지부재(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커버(34)와, 상기 회전커버(34)에 장착된 마그네트(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지지부재(32)는 원반형태의 받침부(321)와, 상기 받침부(321)의 중심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포스트부(322)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커버(34)의 중심에는 상기 고정지지부재(32)의 포스트부(322)에 삽입되는 회전축부(341)가 갖추어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커버(34)는, 고정지지부재(32)의 포스트부(322)에 삽입된 회전축부(341)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부재(32)의 포스트부(322)와 회전커버(34)의 회전축부(34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핀(35)에 의해 상기 회전커버(34)와 고정지지부재(32)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상기 조작유닛(30)의 회전커버(34)내에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개방된 형태의 삽입관(342)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36)는 상기 삽입관(342)내에 삽입 장착되며, 마그네트(36)가 삽입관(342)내에서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관(342)은 마개(343)에 의해 밀봉 처리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30)의 고정지지부재(32)에는 상기 회전커버(34)에 형성된 삽입관(342)과 간섭되어 회전커버(34)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한쌍의 걸림블럭(33)(33')이 구비된다.
상기 양 걸림블럭(33)(33')은 고정지지부재(32)의 받침부(321)에 일정간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자성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는, 도 3a,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유닛(20)와 조작유닛(30)이 완전히 서로 분리된 상태로 구성되어 싱크대 버켓(5)의 저면과 상면에 각각 부착되기 때문에 센서유닛(20)의 리미트스위치(24)와 구동모터(9)를 연결하는 배선(241)의 구성을 위하여 싱크대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물기에 취약한 리미트스위치(24)는 싱크대 버켓(5)의 저면에 부착된 센서유닛(20)내에 구비되며, 싱크대 버켓(5)의 상면에 배치된 조작유닛(30)은 물기와 접하여 문제가 발생될 만한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치밀한 수밀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1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디스포저(7)가 가동되지 않는 이른바 오프(off)상태에서는 조작유닛(30)의 마그네트(36)가 센서유닛(20)의 리미트스위치(24)에 대하여 반응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게 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24)의 접점은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디스포저(7)의 구동모터(9)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디스포저(7)를 가동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유닛(30)의 회전커버(34)를 손으로 잡고 일측으로 돌리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커버(34)의 삽입관(342) 내에 장착된 마그네트(36)가 센서유닛(20)의 리미트스위치(24)와 근접하여 반응범위내에 들어오게 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24)가 마그네트(36)의 자력에 반응하여 그 내부의 접점이 연결됨으로 구동모터(9)로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마그네트(36)가 리미트스위치(24)의 반응범위내에 있는 동안에는 구동모터(9)로 전원이 계속 공급되어 디스포저(7)가 가동되는 이른바 온(on) 상태가 지속된다.
디스포저(7)를 다시 오프(off)하기 위해서는 다시 조작유닛(30)의 회전커버(34)를 타측으로 돌려서 마그네트(36)가 리미트스위치(24)의 반응범위 밖으로 벗어나도록 하여, 리미트스위치(24)의 접점이 다시 분리되어 구동모터(9)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10)는 디스포저(7)를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커버(34)를 회전 조작하는 경우, 도 4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삽입관(342)이 일측 걸림블럭(33)에 걸리는 위치에서 마그네트(36)가 리미트스위치(24)의 반응범위에 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회전커버(34)의 회전각도가 정확한 위치에서 제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마그네트(36)가 반응범위를 지나치는 정도로 회전커버(34)가 회전되지 않는다.
반대로 디스포저(7)를 온에서 오프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커버(34)를 회전조작하는 경우에는 도 4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삽입관(342)이 타측 걸림블럭(33')에 걸리어 회전커버(34)의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회전커버(34)를 많이 돌려서 마그네트(36)가 다시 리미트스위치(24)의 반응위치 범위로 돌아오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걸림블럭(33)(33')이 자성체로 이루어진 특성상 삽입관(342)이 걸림블럭(33)(33')에 걸린 상태에서는, 삽입관(342)내 마그네트(36)의 자력에 의해 걸림블럭(33)(33')과 삽입관(342)이 서로 붙게 됨으로써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포저(7)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 등과 같은 미약한 힘에 의해서는 걸림블럭(33)(33')과 삽입관(342)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회전커버(34)가 회전됨으로써 디스포저(7)의 온.오프 작동이 의도하지 않게 전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10: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 20: 센서유닛
22: 하우징 221: 커버
24: 리미트스위치 30: 조작유닛
32: 고정지지부재 33: 걸림블럭
34: 회전커버 342: 삽입관
36: 마그네트

Claims (5)

  1. 싱크대 버켓의 저면에 장착되며, 디스포저의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회로를 단속(斷續)하는 센서유닛과, 상기 버켓의 상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센서유닛이 선택적으로 반응되도록 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유닛은
    버켓의 저면에 부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유닛은
    버켓의 상면에 부착되는 고정지지부재와,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커버와, 상기 회전커버에 장착된 마그네트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의 하우징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는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내장된 상태에서 개방면이 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의 회전커버내에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개방된 형태의 삽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삽입관내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조작유닛의 고정지지부재에는 상기 회전커버에 형성된 삽입관과 간섭되어 회전커버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한쌍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걸림턱은 자성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
KR2020130001194U 2013-02-18 2013-02-18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 KR200476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194U KR200476976Y1 (ko) 2013-02-18 2013-02-18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194U KR200476976Y1 (ko) 2013-02-18 2013-02-18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776U KR20140004776U (ko) 2014-08-27
KR200476976Y1 true KR200476976Y1 (ko) 2015-05-21

Family

ID=5244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194U KR200476976Y1 (ko) 2013-02-18 2013-02-18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7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820A (ja) * 2002-03-19 2004-01-08 Ego Elektro Geraete Blanc & Fischer 電気器具の操作装置
JP2007109649A (ja) * 2005-10-12 2007-04-26 Ego Elektro Geraete Blanc & Fischer 電気器具用の操作装置と電気器具の操作方法
JP2012195150A (ja) * 2011-03-16 2012-10-11 Canon Inc 回転型スイッチ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820A (ja) * 2002-03-19 2004-01-08 Ego Elektro Geraete Blanc & Fischer 電気器具の操作装置
JP2007109649A (ja) * 2005-10-12 2007-04-26 Ego Elektro Geraete Blanc & Fischer 電気器具用の操作装置と電気器具の操作方法
JP2012195150A (ja) * 2011-03-16 2012-10-11 Canon Inc 回転型スイッチ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776U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1025A1 (en) Control panel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8396518B (zh) 一种洗衣机
JP2019526415A (ja) 内槽と外槽の間に水が存在しない洗濯機
KR102415396B1 (ko) 세탁기
CN215305588U (zh) 基站和清洁系统
KR200476976Y1 (ko) 디스포저 콘트롤스위치
KR101237506B1 (ko) 음식물 분쇄기용 커버
KR20200037046A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CN110505940A (zh) 切割式打磨机
JP4811296B2 (ja) 家庭用精米機
KR0147593B1 (ko) 세탁기의 배수장치
CN114587207A (zh) 基站和清洁系统
KR100923916B1 (ko) 탈수 장치가 구비된 싱크볼
KR100660518B1 (ko) 절수기용 밸브장치
JPH11156084A (ja) 洗濯機
KR100465698B1 (ko) 세탁기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JP2004344294A (ja) 洗濯機
JP7198979B2 (ja) 洗濯機
KR200238998Y1 (ko) 믹서의 용기 탄성 누름구조
CN114960137A (zh) 衣物处理装置
KR200281303Y1 (ko) 가정용 믹서기
KR100277584B1 (ko) 세탁기
KR0128871Y1 (ko) 세탁기 도어 자동개폐용 스위치
KR20030008636A (ko) 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KR20160085155A (ko) 디스포저용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