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675Y1 - 이중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이중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675Y1
KR200476675Y1 KR2020130003737U KR20130003737U KR200476675Y1 KR 200476675 Y1 KR200476675 Y1 KR 200476675Y1 KR 2020130003737 U KR2020130003737 U KR 2020130003737U KR 20130003737 U KR20130003737 U KR 20130003737U KR 200476675 Y1 KR200476675 Y1 KR 200476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s
plate
pair
fasten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888U (ko
Inventor
박희갑
Original Assignee
대영이앤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이앤디(주) filed Critical 대영이앤디(주)
Priority to KR2020130003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675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8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8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6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the member having the form of a closed ring, e.g. used for the function of two adjacent pip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분배기에 연결하는 난방배관 및 급수/급탕배관을 슬라브에 매설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이중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는 이중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판상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이중관이 삽입되는 2이상의 결합홀; 및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전산볼트;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하측으로 압착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압착고정부; 및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전산볼트의 하측부의 노출을 막는 한 쌍의 제1보호관을 포함한다. 따라서, 배관을 난방분배기와 연결할 때 용이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배관을 변형없이 수직으로 난방분배기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슬라브에서 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시공 단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관 고정장치{DOUBLE PIPE FIXTURE}
본 고안은 난방분배기에 연결하는 난방배관 및 급수/급탕배관을 슬라브에 매설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이중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급수, 급탕관 및 난방배관을 설치하기 위해서 슬라브에 이중관을 매설한다.
도 10은 종래의 이중관이 전산볼트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중관(150)을 매설하기 위해 거푸집(1) 바닥에 직결피스(5)를 설치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보호관(4)이 체결된 전산볼트(121)를 직결피스(5)에 체결한다.
이미 고정된 전산볼트(121)의 보호관(4) 외주면에 이중관(150)을 고정한다. 보호관(4)에 고정되는 이중관(150)은 결속선(6)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거푸집 바닥에는 철근이 배치되는데, 철근이 배치되는 과정에서 결속선의 파손으로 인해 이중관이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무게로 인해 이중관이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437763호에는 슬라브에 배관을 설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의 설치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상기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는 슬라브 시공시 배관 슬리브를 바르고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몸체와 결합체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는, 상단 내부에 너트체를 형성한 결합홈과, 결합홈의 하부에 외주연하여 상기 결합홈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하부에 결합되고 슬리브의 개구단부가 끼워져 슬리브를 거푸집에 고정하는 원형철판과, 상기 플랜지 하부에 일체로써 일정길이의 볼트체를 형성한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구비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체는, 결합체 상단에 원형으로 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하부에는 볼트체가 형성되는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에 구비되어 슬리브를 상기 몸체와 조임 결합하는 조임너트와, 상기 조임너트의 힘을 슬리브 전체에 분산 전달하여 거푸집에 압착효과를 주기 위한 압착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배관 슬리브 고정구를 포함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몸체, 결합체, 슬리브, 플랜지, 원형철판, 조임너트 및 압착지지대 등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슬라브에 매설된 슬리브를 통해 다수개의 배관을 삽입하여 사용함에 따라 난방분배기에 체결하는 배관 등이 휘어져 굴곡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리브는 슬라브에 매설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시공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배관을 난방분배기와 연결할 때 용이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배관을 변형없이 수직으로 난방분배기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이중관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슬라브에서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시공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중관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중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판상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이중관이 삽입되는 2이상의 결합홀; 및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전산볼트;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하측으로 압착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압착고정부; 및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전산볼트의 하측부의 노출을 막는 한 쌍의 제1보호관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양끝단에 위치되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2이상의 결합홀은 서로 동일한 크기 또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이상의 결합홀은 서로 상이한 크기 또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산볼트는 상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철근봉 또는 손잡이볼트일 수 있다.
상기 압착고정부는 나비볼트 또는 너트일 수 있다.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압착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산볼트의 상측부 하단의 노출을 막는 한 쌍의 제2보호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보호관 및 제2보호관은 난연CD관 또는 PVC관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슬라브에 고정되며, 상기 전산볼트를 지지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부에 너트가 형성되는 직결피스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며, 슬라브와 상기 플레이트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보호필름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배관을 난방분배기와 연결할 때 용이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배관을 변형없이 수직으로 난방분배기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슬라브에서 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시공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가 알미늄거푸집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에 이중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에 이중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급수/급탕배관 및 난방배관이 난방분배기에 결합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이중관이 전산볼트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장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중관 고정장치(100)는 난방분배기(160)에 연결하는 난방배관(130) 및 급수/급탕배관(140)을 슬라브(3)에 매설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도 7참조).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가 알미늄거푸집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100)는 슬라브(3)에 매설되는 이중관(150)을 정확한 위치에 슬라브(3)의 상측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부재(110) 및 지지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10)는 알미늄거푸집(1) 바닥에 배치된 이중관(150)을 고정시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부재(110)는 플레이트(111) 및 보호필름(117)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11)는 사각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될 제1보호관(1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111)는 파지부(116), 관통홀(114) 및 결합홀(112)을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116)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상기 플레이트(111)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116)는 슬라브(3)에서 고정부재(110)가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한다.
상기 관통홀(114)은 상기 파지부(116)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산볼트(121)가 관통되어 삽입되며, 상기 제1보호관(124)의 상측 끝단에 지지된다.
상기 결합홀(112)은 이중관(15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상기 이중관이 크게 흔들리지 않을 정도로 조금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11)에 적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다만, 여기서 동일이란 완전히 동일한게 아니라 이중관(150)의 외경과 유사한 외경을 의미한다.
상기 결합홀(112)은 이중관(150)이 삽입되어 난방분배기(160)와 체결될 위치에 배치한다.
상기 보호필름(117)은 상기 플레이트(11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11)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보호필름(117)은 알미늄거푸집(1)에 콘크리트 타설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콘크리트가 굳어져 슬라브(3)를 형성하는데, 슬라브(3)와 플레이트(111)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슬라브(3) 위에 고정부재(110)가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부재(110)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전산볼트(121), 압착고정부(123), 제1보호관(124) 및 체결부재(126)를 포함한다.
상기 전산볼트(12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손잡이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122)는 상기 전산볼트(121)를 체결부재(126)에 체결할 때 회전시켜 고정한다. 상기 손잡이부(122)는 철근봉 또는 손잡이볼트를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압착고정부(123)는 상기 전산볼트(121)에 삽입되어 고정부재(110)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부재(110)를 하측 방향으로 압착하여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알미늄거푸집(1)에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가 고르지 못하여 고정부재(110)의 일측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1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전산볼트(121)에 고정된 압착고정부(12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측으로 밀착 고정한다.
상기 압착고정부(123)는 나비너트 또는 너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보호관(124)은 상기 체결부재(126)와 상기 관통홀(114) 사이에 위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보호관(124)은 내부에 상기 전산볼트(121)가 삽입되어 상기 전산볼트(121) 하측부의 노출을 막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체결부재(126)에 결합된 상기 전산볼트(121)가 알미늄거푸집(1)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에 묻히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전산볼트에서 고정부재 아래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하측부라 하고, 상기 전산볼트에서 고정부재 상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상측부라고 정의한다.
상기 제1보호관(124)은 난연CD관 또는 PVC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체결부(126)는 상부에 너트가 형성되는 직결피스로 형성되며, 상기 전산볼트(121)의 하단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126)는 상기 제1보호관(124)의 하부에 위치되며, 알미늄거푸집(1) 바닥에 고정된다.
알미늄거푸집(1) 바닥에 고정된 상기 체결부(126)는 건물의 다른 층에 재사용시 알미늄거푸집(1)을 그대로 다른 층에 설치하여 상기 고정부재(110) 및 지지부재(120)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에 이중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에 이중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100)는 알미늄거푸집(1) 바닥에 체결부재(126)가 고정되고, 상기 알미늄거푸집(1) 바닥면에 스티로폼(2)을 설치한다.
상기 스티로폼(2)은 알미늄거푸집(1)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 콘크리트가 굳으면서 슬라브(3)가 형성되는데, 슬라브(3)에서 알미늄거푸집(1)을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한다.
상기 전산볼트(121)에는 압착고정부(123), 고정부재(110) 및 제1보호관(124)이 순차적으로 체결되며, 상기 전산볼트(121)의 하단이 나사홈(127)에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1보호관(124)은 슬라브(3)의 두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126)와 고정부재(11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압착고정부(12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재(110)가 상기 제1보호관(124)에 압착하여 고정한다.
아울러, 이중관(150) 내부에 난방공급관(130a), 난방환수관(130b), 급수배관(140a) 및 급탕배관(140b)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홀(1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알미늄거푸집(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관 고정장치(100)는 해체 작업시 상기 손잡이부(122)를 회전하여 상기 전선볼트(121)를 상기 체결부재(126)에서 분리한다.
상기 압착고정부(123)가 자연스럽게 상기 전산볼트(121)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0)에서 이탈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0)는 상기 플레이트(111) 상측으로 돌출된 파지부(116)를 이용하여 슬라브(3)에서 분리한다.
상기 전산볼트(121)에서 분리된 상기 체결부재(126)는 알미늄거푸집(1)에 고정된 상태에서 알미늄거푸집(1)을 해체한다. 알미늄거푸집(1) 상측에 형성된 스티로폼(2)으로 인해 슬라브(3)에서 용이하게 분리된다.
상기 스티로폼(2)은 슬라브(3)에 고정된 상태에서 별도의 해제작업 필요없이 슬라브(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시공 방법은 슬라브에서 분리된 고정부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시공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7은 급수/급탕배관 및 난방배관이 난방분배기에 결합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100)는 상기 이중관 고정장치(100)가 해체되어 난방공급관(130a), 난방환수관(130b), 급수배관(140a) 및 급탕배관(140b)이 슬라브(3)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난방분배기(160)에 설치된 상태이다.
즉, 배관을 난방분배기와 연결할 때 용이한 작업이 가능하고, 배관의 변형없이 수직으로 난방분배기에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한 실시예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고정장치(100)는 제2보호관(125)을 포함한다.
상기 제2보호관(125)은 상기 압착고정부(123)와 상기 고정부재(110) 사이에 위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보호관(125)은 내부에 상기 전산볼트(121)가 삽입되어 상기 전산볼트(121) 상측부 하단의 노출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보호관(125)은 알미늄거푸집(1)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슬라브(3)를 형성하는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산볼트(121)와 압착고정부(123)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굳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100: 이중관 고정장치 110: 고정부재
111: 플레이트 112: 결합홀
114: 관통홀 116: 파지부
117: 보호필름 120: 지지부재
121: 전산볼트 122: 손잡이부
123: 압착고정부 124: 제1보호관
125: 제2보호관 126: 체결부재
127: 나사홈 130a: 난방공급관
130b: 난방환수관 140a: 급수배관
140b: 급탕배관 150: 이중관
160: 난방분배기 1: 알미늄거푸집
2: 스티로폼 3: 슬라브

Claims (12)

  1. 이중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판상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이중관이 삽입되는 2이상의 결합홀과,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것으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전산볼트와,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하측으로 압착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압착고정부와,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전산볼트의 하측부의 노출을 막는 한 쌍의 제1보호관과,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압착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산볼트의 상측부 하단의 노출을 막는 한 쌍의 제2보호관을 구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압착고정부는 나비너트 또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고정장치.
  2. 이중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판상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이중관이 삽입되는 2이상의 결합홀과,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것으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전산볼트와,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하측으로 압착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압착고정부와,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전산볼트의 하측부의 노출을 막는 한 쌍의 제1보호관을 구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양끝단에 위치되며, 상측으로 돌출되어 돌기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며, 슬라브와 상기 플레이트가 극히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고정장치.
  3. 이중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판상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이중관이 삽입되는 2이상의 결합홀과,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것으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전산볼트와,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하측으로 압착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압착고정부와,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전산볼트의 하측부의 노출을 막는 한 쌍의 제1보호관을 구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전산볼트는 상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철근봉 또는 손잡이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고정장치.
  4. 이중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판상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이중관이 삽입되는 2이상의 결합홀과,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것으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전산볼트와,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하측으로 압착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압착고정부와,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전산볼트의 하측부의 노출을 막는 한 쌍의 제1보호관과,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압착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산볼트의 상측부 하단의 노출을 막는 한 쌍의 제2보호관을 구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압착고정부는 나비너트 또는 너트이며,
    상기 플레이트는 양끝단에 위치되며, 상측으로 돌출되어 돌기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며, 슬라브와 상기 플레이트가 극히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보호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전산볼트는 상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철근봉 또는 손잡이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고정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산볼트는 상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철근봉 또는 손잡이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고정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고정부는 나비너트 또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고정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압착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산볼트의 상측부 하단의 노출을 막는 한 쌍의 제2보호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고정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관 및 제2보호관은 난연CD관 또는 PVC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고정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슬라브에 고정되며, 상기 전산볼트를 지지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고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부에 너트가 형성되는 직결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고정장치.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며, 슬라브와 상기 플레이트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고정장치.
KR2020130003737U 2013-05-13 2013-05-13 이중관 고정장치 KR200476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737U KR200476675Y1 (ko) 2013-05-13 2013-05-13 이중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737U KR200476675Y1 (ko) 2013-05-13 2013-05-13 이중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888U KR20140005888U (ko) 2014-11-21
KR200476675Y1 true KR200476675Y1 (ko) 2015-03-20

Family

ID=5245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737U KR200476675Y1 (ko) 2013-05-13 2013-05-13 이중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67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206Y1 (ko) * 2006-04-28 2006-07-25 신은숙 분배기용 분기관의 정렬구조
KR200437763Y1 (ko) * 2007-02-15 2007-12-26 정병욱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
KR20080001006U (ko) * 2006-11-08 2008-05-14 강철 배관을 정렬하고 못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206Y1 (ko) * 2006-04-28 2006-07-25 신은숙 분배기용 분기관의 정렬구조
KR20080001006U (ko) * 2006-11-08 2008-05-14 강철 배관을 정렬하고 못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플레이트
KR200437763Y1 (ko) * 2007-02-15 2007-12-26 정병욱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888U (ko)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017B1 (ko) 건축용 에이치 빔 파이프 행거 고정용 클램프
KR101332415B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JP2010150871A (ja) 型枠兼用外断熱材の化粧板取付工法と外壁取付用掛止め部材
KR101713408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0476675Y1 (ko) 이중관 고정장치
KR101026854B1 (ko) 조립식 물탱크용 저판 시공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100996578B1 (ko) 거푸집 지지 웨일러
KR20120002178U (ko) 바닥 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200486198Y1 (ko)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CN104453209B (zh) 脚手架跳板压杆式固定装置及方法
KR101648698B1 (ko) 배관 서포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75757Y1 (ko) 수전 고정대
KR101403385B1 (ko) 건축시설물 배관의 지지가대 고정용 브라켓
KR101413039B1 (ko) 중공재 부력 방지 장치
KR200477197Y1 (ko) 냉온수 배관 설치용 어셈블리
KR101769291B1 (ko)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KR20100009320U (ko) 배관 연결용 관통 슬리브
JP2009299419A (ja) 型枠の位置ずれ防止施工方法及び施工冶具
KR20160035253A (ko) 수전구 고정대 및 이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
KR20160027360A (ko) 외단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442551Y1 (ko) 거푸집 지지장치용 브라켓
JP7124253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における貫通孔の施工方法および貫通孔形成に使用可能な筒状部材
JP3186347U (ja) 床スリーブ
KR20090004401U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