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495Y1 - 수세미 - Google Patents

수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495Y1
KR200476495Y1 KR2020140006779U KR20140006779U KR200476495Y1 KR 200476495 Y1 KR200476495 Y1 KR 200476495Y1 KR 2020140006779 U KR2020140006779 U KR 2020140006779U KR 20140006779 U KR20140006779 U KR 20140006779U KR 200476495 Y1 KR200476495 Y1 KR 200476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detergent
pad
present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완성
Original Assignee
최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완성 filed Critical 최완성
Priority to KR2020140006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4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4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 세척에 사용되되 거품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수세미(100)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수용 공간을 갖는 공간부(110)와; 상기 공간부(110)의 상측면을 이루면서 공간부(110)의 외측으로는 세척모(121)가 형성된 상측 패드부(120)와; 상기 공간부(110)의 하측면을 이루면서 공간부(110)의 외측으로는 세척모(131)가 형성된 하측 패드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측 패드부(120,130)에는 각각 상기 공간부(110)와의 통로로서 복수의 통공(122,132)들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측 패드부(120,130)의 내측면에는 각각 격자(123,133)들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22,132)들이 각각 격자(123,133)들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세제가 저장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부를 확보하여 식기를 설거지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부연하자면, 수세미의 패드부 표면에 묻어있는 세제 일부가 통공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공간부내로 들어가서 격자구조에 저장되게 되고 설거지하는 동안 저장된 세제가 통공을 통하여 패드부 외측으로 조금씩 토출되면서 거품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세미{SCRUBBER}
본 고안은 수세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기 등의 세척에 사용되되 지속적으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미는 청소하는데 사용되기도 하고, 식기 세척(설거지)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현재 가정에서 사용되는 수세미는 재질과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3개월 정도 사용한 수세미에서 세균이 2억2000만CFU/g, 대장균 56만CFU/g가 검출되었고, 이 수세미로 손설거지한 접시는 세균이 530CFU/g, 대장균이 20CFU/g이라는 수치로 검출되었다는 뉴스가 보도되기도 하였다. 통상 신발 깔창이 170CFU/cm2, 변기가 92CFU/cm2인 것에 비하면 엄청난 세균이 수세미에서 나온 것이다.
이와 같이, 수세미에서 세균이 번식하는 이유는 통상 수세미가 젖은 상태로 상온에서 저장되기 때문이다.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끊는 물에 삶거나 표백제(예, 락스)에 담거두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하루에도 몇 번 씩 사용하는 수세미를 매번 이처럼 소독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라서, 보통은 며칠에 한 번, 또는 아예 소독을 하지 않고 수세미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는 스펀지나 부직포 재질의 수세미는 본질적으로 세균 번식을 막기에 어려운 재질이며, 스펀지의 경우 물에 삶는 경우 열에 약하여 부서지기 쉬우며, 표백제와 같은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것은 그 자체로 식기에 직접 화학약품이 묻어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콘 돌기들로 수세미를 구성함으로써 1차적으로 세균 번식으로부터 자유로운 수세미를 만들 수 있고, 2차적으로는 살균 및 소독이 용이한 수세미가 개발되었다.
종래 실리콘 재질의 수세미로서 앞면에 다수의 실리콘 돌기를 구비하고, 수세미의 실리콘 돌기는 제 1 높이 돌기들과 제 2 높이 돌기들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이러한 수세미에 세제를 묻혀 식기를 설거지하는 경우, 그 구조 상 수세미 표면에 묻어있는 세제를 통해 거품이 일시적으로는 발생될 수 있으나 지속적으로 발생되지 않아 세제가 상대적으로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개 2013-0105590호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제가 일시 저장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부를 확보하여 식기를 설거지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세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는, 일정한 수용 공간을 갖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측면을 이루면서 공간부의 외측으로는 세척모가 형성된 상측 패드부와; 상기 공간부의 하측면을 이루면서 공간부의 외측으로는 세척모가 형성된 하측 패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측 패드부에는 각각 상기 공간부와의 통로로서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측 패드부 내측면에는 각각 격자들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들이 각각 격자들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세척모는 각각 상,하측 패드부로부터 돌출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으로부터 각각 베이스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돌출되는 미세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는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세미의 재질이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세제가 일시 저장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부를 확보하여 식기를 설거지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부연하자면, 수세미의 패드부 표면에 묻어있는 세제 일부가 통공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공간부내로 들어가서 격자구조에 저장되게 되고, 설거지하는 동안 일시 저장 중인 세제가 통공을 통하여 패드부 외측으로 조금씩 지속적으로 토출되면서 오랫동안 거품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세제를 절감하여 경제적이며 환경 오염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수세미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고도의 탄력성을 갖는 2단 구조의 세척모에 의해 식기 등의 표면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식기 등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게 되고 상대적으로 건조가 빠를 뿐만 아니라 열탕이나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고온에서의 살균 및 멸균이 가능하므로 항상 위생적이고 청결한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격자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는 세제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부를 확보하여 식기를 설거지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는 크게는 내부 공간부(110), 상측 패드부(120) 및 하측 패드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공중에 걸어둘 수 있도록 걸이홈을 구비한다.
상기 공간부(110)는 본 고안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으로서 지속적으로 거품을 발생하기 위하여 세제를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일정한 수용 공간을 갖는다. 즉, 세제를 일시 저장함으로써 설거지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거품을 발생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상측 패드부(120)는 상기 공간부(110)의 상측면을 이루면서 공간부(110)의 외측으로는 세척모(121)가 형성된다.
상기 하측 패드부(130)는 상기 공간부(110)의 하측면을 이루면서 공간부(110)의 외측으로는 세척모(131)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측 패드부(120,130)에는 각각 상기 공간부(110)와의 통로로서 복수의 통공(122,132)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공(122,132)들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지 않게 적절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측 패드부(120,130)의 내측면에는 각각 양각 형태로 격자(123,133)들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22,132)들이 각각 격자(123,133)들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설거지를 시작하는 초기에 수세미의 상,하측 패드부(120,130)의 외측면 표면에 묻어있는 세제 일부가 통공(122,132)들을 통하여 공간부(110)내로 자연스럽게 들어가서 각각의 격자(123,133)들내에 저장되게 되고, 설거지하는 동안 일시 저장 중인 세제가 통공(122,132)들을 통하여 상,하측 패드부(120,130)의 외측으로 조금씩 토출되면서 지속적으로 거품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공간부(110)의 격자(123,133)들내의 공간에 저장 중인 세제는 표면장력에 의해 저장 상태가 유지되면서 통공(122,132)들을 통하여 상,하측 패드부(120,130)의 외측으로 조금씩, 조금씩 토출되면서 지속적으로 거품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의 수세미의 경우, 별도의 공간부를 구비하지 않아 일시적으로 세제가 소모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세미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세제를 사용하여 많은 양의 설거지를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세제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제품인 것이다.
상기 세척모(121,131)는 각각 상,하측 패드부(120,130)로부터 돌출되는 베이스부(121-1,131-1)와, 상기 베이스부(121-1,131-1)의 선단으로부터 각각 베이스부(121-1,131-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돌출되는 미세부(121-2,131-2)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21-1,131-1)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인해 미세부(121-2,131-2)가 지나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면서도 미세부(121-2,131-2)가 상,하측 패드부(120,130)로부터 절단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의 미세부(121-2,131-2)는 자체의 우수한 탄력성을 갖고 유동하면서 식기 등의 표면에 잔류하는 기름이나 각종 음식물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공간부(110)의 일측에는 개방구(1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설거지를 마무리하게 되면 개방구(111)를 통하여 공간부(110)내의 세제나 이물질을 깨끗이 씻어낼 수 있다. 또는, 필요한 경우 개방구(111)에 손을 집어넣은 상태에서 설거지를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재질이 내열성 연질 탄력재인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연질이고 탄력성이 뛰어난 재질이다. 특히 내열성을 갖고 있어 고온이나 전자레인지 등에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는 수세미가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실리콘 이외에도 탄력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내열성을 갖고 있는 다양한 공지의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세미를 사용하게 되면, 세제가 저장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부를 확보하여 식기를 설거지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부연하자면, 수세미의 패드부 표면에 묻어있는 세제 일부가 통공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공간부내로 들어가서 격자구조에 저장되게 되고 설거지하는 동안 저장된 세제가 통공을 통하여 패드부 외측으로 조금씩 토출되면서 거품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수세미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고도의 탄력성을 갖는 2단 구조의 세척모에 의해 식기 등의 표면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식기 등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게 되고 상대적으로 건조가 빠를 뿐만 아니라 열탕이나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고온에서의 살균 및 멸균이 가능하므로 항상 위생적이고 청결한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를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수세미 110 : 공간부
111 : 개방구 120 : 상측 패드부
121,131 : 세척모 122,123 : 통공
123,133 : 격자 130 : 하측 패드부
121-1,131-1 : 베이스부 121-2,131-2 : 미세부

Claims (5)

  1. 삭제
  2. 수세미(100)에 있어서,
    일정한 수용 공간을 갖는 공간부(110)와;
    상기 공간부(110)의 상측면을 이루면서 공간부(110)의 외측으로는 세척모(121)가 형성된 상측 패드부(120)와;
    상기 공간부(110)의 하측면을 이루면서 공간부(110)의 외측으로는 세척모(131)가 형성된 하측 패드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측 패드부(120,130)에는 각각 상기 공간부(110)와의 통로로서 복수의 통공(122,132)들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측 패드부(120,130)의 내측면에는 각각 격자(123,133)들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22,132)들이 각각 격자(123,133)들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121,131)는 각각 상,하측 패드부(120,130)로부터 돌출되는 베이스부(121-1,131-1)와, 상기 베이스부(121-1,131-1)의 선단으로부터 각각 베이스부(121-1,131-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돌출되는 미세부(121-2,13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10)의 일측에는 개방구(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
  5. 청구항 2에 있어서,
    수세미의 재질이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
KR2020140006779U 2014-09-17 2014-09-17 수세미 KR200476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79U KR200476495Y1 (ko) 2014-09-17 2014-09-17 수세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79U KR200476495Y1 (ko) 2014-09-17 2014-09-17 수세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495Y1 true KR200476495Y1 (ko) 2015-03-06

Family

ID=5304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779U KR200476495Y1 (ko) 2014-09-17 2014-09-17 수세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49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283B1 (ko) * 2017-04-17 2018-11-09 신예현 비누 주머니
KR200489458Y1 (ko) 2018-01-09 2019-06-20 황형철 돌기형 수세미
KR200489932Y1 (ko) 2019-05-30 2019-08-29 서우석 수세미
KR102245029B1 (ko) * 2019-11-12 2021-04-27 주식회사 소셜빈 실리콘 샤워타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442A (ja) * 2001-03-05 2002-09-10 Shinko Silk:Kk 洗浄用具
KR20120095057A (ko) * 2011-02-18 2012-08-28 남해미 내열성 연질 탄력재로 성형된 수세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442A (ja) * 2001-03-05 2002-09-10 Shinko Silk:Kk 洗浄用具
KR20120095057A (ko) * 2011-02-18 2012-08-28 남해미 내열성 연질 탄력재로 성형된 수세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283B1 (ko) * 2017-04-17 2018-11-09 신예현 비누 주머니
KR200489458Y1 (ko) 2018-01-09 2019-06-20 황형철 돌기형 수세미
KR200489932Y1 (ko) 2019-05-30 2019-08-29 서우석 수세미
KR102245029B1 (ko) * 2019-11-12 2021-04-27 주식회사 소셜빈 실리콘 샤워타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495Y1 (ko) 수세미
KR20170001311U (ko) 설거지용 실리콘 수세미 장갑
KR20120102224A (ko) 다용도 세척용 패드
KR20130105590A (ko) 수세미
KR101248037B1 (ko) 내열성 연질 탄력재로 성형된 수세미
KR101374762B1 (ko) 수세미
KR101992684B1 (ko) 수세미 장갑
KR20180116655A (ko) 비누 주머니
KR102110077B1 (ko) 주방용기 세정구
KR101983914B1 (ko) 드라이 수세미
KR101504826B1 (ko) 비눗갑
KR200422240Y1 (ko) 수세미
JP3190819U (ja) 食器洗い泡立てスポンジ
JP6899780B2 (ja) ヘチマスポンジ
KR200489932Y1 (ko) 수세미
KR20160018935A (ko) 다용도 목욕타올 겸용 수세미
KR101933119B1 (ko) 수세미
KR200304453Y1 (ko) 수세미의 구조
JP3228099U (ja) 箸立て
KR20180002582U (ko) 싱크대 주방 수세미용 자석식 선반
KR200205437Y1 (ko) 식기세척용 수세미
JP2017070645A (ja) たわし
RU2690722C1 (ru) Губка, мочалка со средством для мыть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ухода, уборки и личной гигиены
KR20180002016U (ko) 수세미
KR101476917B1 (ko) 컬럼형 플렉시블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