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932Y1 - 수세미 - Google Patents

수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932Y1
KR200489932Y1 KR2020190002232U KR20190002232U KR200489932Y1 KR 200489932 Y1 KR200489932 Y1 KR 200489932Y1 KR 2020190002232 U KR2020190002232 U KR 2020190002232U KR 20190002232 U KR20190002232 U KR 20190002232U KR 200489932 Y1 KR200489932 Y1 KR 200489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ad body
detergent
bas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석
Original Assignee
서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우석 filed Critical 서우석
Priority to KR2020190002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9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07Bristl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76Bristles having pointed 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3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containing soap or other cleaning ingredients, e.g. impregnate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33Household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in the house or di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1차적으로 세균 번식을 막을 수 있고, 2차적으로 살균 및 소독이 용이하도록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세미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평면상 장방형의 패드 몸체; 및 상기 패드 몸체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드 몸체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속하여 일체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세척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척돌부는: 상기 패드 몸체의 일면에 열과 행을 이루며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베이스돌부들; 및 상기 베이스돌부들의 각각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베이스돌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세척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척모는: 상기 베이스돌부로부터 돌출되는 뿌리부와, 상기 뿌리부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선단이 첨예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세미{scrubber}
본 고안은 수세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 또는 설거지에 사용되는 실리콘 재질로 성형한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수세미는 재질과 디자인에 따라 여러가지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수세미는 청소에 사용되기도 하고, 식기세척에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3개월정도 사용한 수세미에서 세균이 2억2000만CFU/g, 대장균 56만CFU/g가 검출되었고, 이 수세미로 손설거지한 접시는 세균이 530CFU/g, 대장균이 20CFU/g이라는 수치로 검출되었다는 뉴스가 보도되기도 하였다. 통상 신발 깔창이 170CFU/cm2, 변기가 92CFU/cm2인 것에 비하면 엄청난 세균이 수세미에서 나온 것이다.
이처럼 수세미에서 세균이 번식하는 이유는 통상 수세미가 젖은 상태로 상온에서 보관되기 때문이다.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끊는 물에 삶거나 표백제(예, 락스)에 담거두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하루에도 몇 번 씩 사용하는 수세미를 매번 이처럼 소독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라서, 보통은 며칠에 한 번, 또는 아예 소독을 하지 않고 수세미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는 스펀지나 부직포 재질의 수세미는 본질적으로 세균 번식을 막기에 어려운 재질이며, 스펀지의 경우 물에 삶는 경우 열에 약하여 부서지기 쉬우며, 표백제와 같은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것은 그 자체로 식기에 직접 화학약품이 묻어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248037호, 내열성 연질 탄력재로 성형된 수세미.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374762호, 수세미.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6-0134114호, 투톤타입 캐릭터 수세미.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76495호, 수세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1차적으로 세균 번식을 막을 수 있고, 2차적으로 살균 및 소독이 용이하도록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세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홈부와 거둠유도용 미세돌부로 이루어지는 세정제저장부를 구성함으로서 인해 수세미의 사용시 거품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도록 한 수세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평면상 장방형의 패드 몸체; 및 상기 패드 몸체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드 몸체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속하여 일체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세척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척돌부는: 상기 패드 몸체의 일면에 열과 행을 이루며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베이스돌부들; 및 상기 베이스돌부들의 각각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베이스돌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세척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척모는: 상기 베이스돌부로부터 돌출되는 뿌리부와, 상기 뿌리부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선단이 첨예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세척모는: 상기 베이스돌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4~8개의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돌부들이 패드 몸체의 일면에 열과 행을 이루게 배열 설치됨에 의해 상기 제1 세척모가 패드 몸체의 일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평면상 장방형의 패드 몸체; 상기 패드 몸체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드 몸체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속하여 일체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세척돌부; 및 상기 패드 몸체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드 몸체의 다른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속하여 일체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 세척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척돌부는: 상기 패드 몸체의 일면에 열과 행을 이루며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베이스돌부들; 및 상기 베이스돌부들의 각각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베이스돌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세척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척모는: 상기 베이스돌부로부터 돌출되는 뿌리부와, 상기 뿌리부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선단이 첨예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세척돌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자는 다단 구조를 이루는 제2 세척모;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세척모는: 상기 패드 몸체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뿌리돌부; 상기 뿌리돌부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뿌리돌부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지지돌부; 및 상기 중간지지돌부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중간지지돌부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세사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돌부에는: 세제나 비누 또는 세정제가 풍부한 거품을 내도록 유도할 수 있는 역할을 하도록 세제나 비누 또는 세정제를 일시 저정할 수 있는 세제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저장부는: 상기 베이스돌부의 안쪽에 상기 베이스돌부와 동심원을 이루며 요입되도록 형성되어 세제나 비누 혹은 세정제를 일시 저장할 수 있는 저장홈부; 및 상기 저장홈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부돌부에 원주방향으로 배열 형성되는 제1 세척모의 안쪽으로 위치되어 상기 저장홈부에 일시 저장되는 세제나 비누 혹은 세정제로부터 풍부한 거품을 내도록 유도하는 거품유도용 미세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는: 상기 제1 세척모의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를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세척모의 안쪽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실시예에서,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는: 상기 베이스돌부의 중심부에 1개 혹은 원주 방향을 따라 2~5개의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돌부들이 패드 몸체의 일면에 열과 행을 이루게 배열 설치됨에 의해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가 패드 몸체의 일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실시에에서, 상기 패드 몸체에는, 세제나 비누 혹은 세정제로부터 발생한 거품이 패드 몸체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패드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도록 테두리돌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실시예에서, 상기 패드 몸체에는, 상기 패드 몸체를 관통하도록 걸이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에 의하면, 실리콘 재질로 수세미를 성형함으로서 1차적으로 세균 번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고, 2차적으로는 살균 및 소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저장홈부와 거품유도용 미세돌부로 이루어지는 세적제저장부에 의해 수세미의 사용시 거품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에는 패드 몸체(1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 몸체(10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평면상 장방형을 이루게 형성된다.
상기 패드 몸체(100)의 크기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에는 제1 세척돌부(1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세척돌부(110)는 패드 몸체(100)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드 몸체(100)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속하여 일체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세척돌부(110)는 상기 패드 몸체(100)의 일면에 원형의 베이스돌부(112)들이 열과 행을 이루며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돌부(112)들의 각각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세척모(114)가 배열되도록 상기 베이스돌부(11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세척모(114)는 베이스돌부(112)로부터 돌출되도록 뿌리부(114a)가 형성되고, 상기 뿌리부(114a)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선단이 첨예부(114b)를 구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세척모(114)는 베이스돌부(112)에 원주 방향을 따라 4~8개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개의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하나의 베이스돌부(112)에 6개의 제1 세척모(114)가 형성되고, 이러한 베이스돌부(112)들이 패드 몸체의 일면에 열과 행을 이루게 배열되도록 형성됨에 의해 상기 제1 세척모(114)가 패드 몸체(100)의 일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에는 제2 세척돌부(1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세척돌부(120)는 패드 몸체(100)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드 몸체(100)의 다른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속하여 일체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세척돌부(110)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자는 다단 구조를 이루는 제2 세척모(12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세척모(122)는 패드 몸체(100)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도록 뿌리돌부(122a)가 형성되고, 상기 뿌리돌부(122a)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도록 중간지지돌부(122b)가 형성되는데, 상기 중간지지돌부(122b)의 직경은 상기 뿌리돌부(122a)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중간지지돌부(122b)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도록 세사돌부(122c)가 형성되는데, 상기 세사돌부(122c)의 직경은 상기 중간지지돌부(122b)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세사돌부(122c)는 그릇 등의 세척에 직접 관여하는 부분으로 최대한 가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간지지돌부(122b)는 세사돌부(122c)의 꺾음등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며, 최종족으로는 상기 뿌리돌부(122a)에 의해 패드 몸체(100)에 견고하게 지지됨에 의해 세사돌부(122c)에 의해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에는 세제저장부(1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저장부(130)는 베이스돌부(112)에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세제저장부(130)는 세제나 비누 또는 세정제가 풍부한 거품을 내도록 유도할 수 있는 역할을 하도록 세제나 비누 또는 세정제를 일시 저정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세제저장부(130)는 저장홈부(132)와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홈부(132)는 베이스돌부(112)의 안쪽에서 상기 베이스돌부(112)와 동심원을 이루며 요입되도록 형성되어 세제나 비누 혹은 세정제를 일시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저장홈부(132)의 형상은 원형이 아닌 다각형상으로 요입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는 상기 저장홈부(13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돌부(112)에 원주방향으로 배열 형성되는 제1 세척모(114)의 안쪽으로 위치되어 상기 저장홈부(132)에 일시 저장되는 세제나 비누 혹은 세정제로부터 풍부한 거품을 내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는 제1 세척모(114)의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를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세척모(114)의 안쪽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가 상기 제1 세척모(114)에 감싸지는 형상으로 구성됨에 의해 상기 제1 세척모(114)에 의해 그릇 등을 세척할 경우 제1 세척모(114)의 안쪽으로 세제가 위치되는데, 이러한 세제는 저장홈부(132)에 일시 저장되면서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에 의해 거품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는 직접적으로 그릇 등의 세척에도 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세척모(114)에 의해 그릇 등을 세척시 상기 제1 세척모(114)가 휘어지게 되면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가 직접 그릇에 접촉하여 세척에 직접 관여하여 더욱 확실한 세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는 상기 베이스돌부(112)의 중심부에 1개가 형성되거나, 혹은 베이스돌부(112)에 원주 방향을 따라 2~5개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돌부(112)들이 패드 몸체(100)의 일면에 열과 행을 이루게 배열 설치됨에 의해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 역시 패드 몸체(100)의 일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세척모(114)와 제2 세척모(122) 및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가 실리콘 재질로 구성됨에 의해 가요성(flexibility)이 뛰어나다. 이에 따라, 실리콘 재질의 특성상 종래의 스펀지나 부직포 재질의 수세미보다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정도가 약하기는 하지만, 본 고안은 다수의 제1,제2 세척모 및 미세돌부에 의해 가요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패드 몸체(100)에 세제나 비누 혹은 세정제로부터 발생한 거품이 패드 몸체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패드 몸체(100)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도록 테두리돌부(10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테두리돌부(102)에 의해 그릇 등의 세척시 발생하는 거품이 패드 몸체(1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아 세척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패드 몸체(100)에 걸이구멍(104)을 형성하여 상기 걸이구멍(104)을 통해 수세미를 걸어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구멍(104)은 패드 몸체(1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걸이구멍(104)을 이용하여 수세미를 걸어 보관하게 되면 위생상 용이하게 수세미를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제미를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여 1차적으로는 세균 번식으로부터 자유로운 수세미를 만들 수 있고, 2차적으로는 살균 및 소독이 용이한 수세미를 만들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제1 세척돌부(110)를 구성하는 제1 세척모(114)의 선단이 첨예부(114b)를 이루게 구성되고, 그 안쪽으로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가 형성됨에 의해 그릇 등의 세척시 거품을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패드 몸체(100)의 일면과 다른 일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세척돌부(110)의 제1 세척모(114)와, 제2 세척돌부(120)의 제2 세척모(122)의 형상 모양이 다르고, 그릇의 세척시 휘어짐이 다름에 의해 각각의 용도에 알맞은 세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세척모들이 실리콘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종래의 스펀지나 부직포 재질의 스펀지보다 세균증식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실리콘 재질은 살균하거나 삶아서 사용하기에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세미는 실리콘 재질의 다수의 돌기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식기의 표면을 구석구석 세척하기에 용이하며, 다양한 형태의 그릇을 닦기에 용이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패드 몸체 102 - 테두리돌부
104 - 걸이구멍 110 - 제1 세척돌부
112 - 베이스돌부 114 - 제1 세척모
120 - 제2 세척돌부 122 - 제2 세척모
130 - 세제저장부 132 - 저장홈부
134 - 거품유도용 미세돌부

Claims (7)

  1.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평면상 장방형의 패드 몸체(100); 및
    상기 패드 몸체(100)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드 몸체(100)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속하여 일체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세척돌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척돌부(110)는:
    상기 패드 몸체(100)의 일면에 열과 행을 이루며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베이스돌부(112)들; 및
    상기 베이스돌부(112)들의 각각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베이스돌부(11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돌부(112)로부터 돌출되는 뿌리부(114a)와, 상기 뿌리부(114a)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선단이 첨예부(114b)를 구성하는 제1 세척모(11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척모(114)는:
    상기 베이스돌부(112)에 원주 방향을 따라 4~8개의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돌부(112)들이 패드 몸체(100)의 일면 전체에 열과 행을 이루게 배열 설치됨에 의해 상기 제1 세척모(114)가 패드 몸체(100)의 일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
  2. 삭제
  3.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평면상 장방형의 패드 몸체(100);
    상기 패드 몸체(100)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드 몸체(100)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속하여 일체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세척돌부(110); 및
    상기 패드 몸체(110)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드 몸체(100)의 다른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속하여 일체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 세척돌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척돌부(110)는:
    상기 패드 몸체(100)의 일면에 열과 행을 이루며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베이스돌부(112)들; 및
    상기 베이스돌부(112)들의 각각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베이스돌부(11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세척모(11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척모(114)는:
    상기 베이스돌부(112)로부터 돌출되는 뿌리부(114a)와, 상기 뿌리부(114a)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선단이 첨예부(114b)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세척돌부(120)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자는 다단 구조를 이루는 제2 세척모(12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세척모(122)는:
    상기 패드 몸체(100)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뿌리돌부(122a);
    상기 뿌리돌부(122a)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뿌리돌부(122a)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지지돌부(122b); 및
    상기 중간지지돌부(122b)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중간지지돌부(122b)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세사돌부(122c);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돌부(112)에는:
    세제나 비누 또는 세정제가 풍부한 거품을 내도록 유도할 수 있는 역할을 하도록 세제나 비누 또는 세정제를 일시 저정할 수 있는 세제저장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저장부(130)는:
    상기 베이스돌부(112)의 안쪽에 상기 베이스돌부(112)와 동심원을 이루며 요입되도록 형성되어 세제나 비누 혹은 세정제를 일시 저장할 수 있는 저장홈부(132); 및
    상기 저장홈부(13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부돌부(112)에 원주방향으로 배열 형성되는 제1 세척모(114)의 안쪽으로 위치되어 상기 저장홈부(132)에 일시 저장되는 세제나 비누 혹은 세정제로부터 풍부한 거품을 내도록 유도하는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는:
    상기 제1 세척모(114)의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를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세척모(114)의 안쪽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돌부(112)에는:
    세제나 비누 또는 세정제가 풍부한 거품을 내도록 유도할 수 있는 역할을 하도록 세제나 비누 또는 세정제를 일시 저정할 수 있는 세제저장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저장부(130)는:
    상기 베이스돌부(112)의 안쪽에 상기 베이스돌부(112)와 동심원을 이루며 요입되도록 형성되어 세제나 비누 혹은 세정제를 일시 저장할 수 있는 저장홈부(132); 및
    상기 저장홈부(13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부돌부(112)에 원주방향으로 배열 형성되는 제1 세척모(114)의 안쪽으로 위치되어 상기 저장홈부(132)에 일시 저장되는 세제나 비누 혹은 세정제로부터 풍부한 거품을 내도록 유도하는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는:
    상기 제1 세척모(114)의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를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세척모(114)의 안쪽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는:
    상기 베이스돌부(112)의 중심부에 1개 혹은 원주 방향을 따라 2~5개의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돌부(112)들이 패드 몸체(100)의 일면 전체에 열과 행을 이루게 배열 설치됨에 의해 상기 거품유도용 미세돌부(134)가 패드 몸체(100)의 일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몸체(100)에는, 세제나 비누 혹은 세정제로부터 발생한 거품이 패드 몸체(10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패드 몸체(100)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도록 테두리돌부(1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몸체(100)에는, 상기 패드 몸체(100)를 관통하도록 걸이구멍(10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
KR2020190002232U 2019-05-30 2019-05-30 수세미 KR200489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32U KR200489932Y1 (ko) 2019-05-30 2019-05-30 수세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32U KR200489932Y1 (ko) 2019-05-30 2019-05-30 수세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932Y1 true KR200489932Y1 (ko) 2019-08-29

Family

ID=6776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32U KR200489932Y1 (ko) 2019-05-30 2019-05-30 수세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932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170U (ja) * 2004-06-25 2004-12-16 株式会社ラッキーコーポレーション 洗顔用具
KR20120095057A (ko) * 2011-02-18 2012-08-28 남해미 내열성 연질 탄력재로 성형된 수세미
KR101374762B1 (ko) 2011-12-29 2014-03-17 곽경수 수세미
KR200476495Y1 (ko) 2014-09-17 2015-03-06 최완성 수세미
KR20160134114A (ko) 2015-05-14 2016-11-23 (주) 대일코리아 투톤타입 캐릭터 수세미
KR200489458Y1 (ko) * 2018-01-09 2019-06-20 황형철 돌기형 수세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170U (ja) * 2004-06-25 2004-12-16 株式会社ラッキーコーポレーション 洗顔用具
KR20120095057A (ko) * 2011-02-18 2012-08-28 남해미 내열성 연질 탄력재로 성형된 수세미
KR101248037B1 (ko) 2011-02-18 2013-03-27 주식회사 베이비원코리아 내열성 연질 탄력재로 성형된 수세미
KR101374762B1 (ko) 2011-12-29 2014-03-17 곽경수 수세미
KR200476495Y1 (ko) 2014-09-17 2015-03-06 최완성 수세미
KR20160134114A (ko) 2015-05-14 2016-11-23 (주) 대일코리아 투톤타입 캐릭터 수세미
KR200489458Y1 (ko) * 2018-01-09 2019-06-20 황형철 돌기형 수세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32119A (en) Utility holder
KR200489932Y1 (ko) 수세미
KR200476495Y1 (ko) 수세미
KR20130105590A (ko) 수세미
US2064860A (en) Brush
KR101248037B1 (ko) 내열성 연질 탄력재로 성형된 수세미
WO2014081319A1 (es) Utensilio multiuso para facilitar el lavado y mejorar la higiene al lavar los biberones y otros artículos de bebe y/o ninõs pequeños
KR101374762B1 (ko) 수세미
KR101992684B1 (ko) 수세미 장갑
CN214965259U (zh) 刀叉托盘以及洗碗机
CN205268005U (zh) 一种洗澡擦身手套
KR20160134114A (ko) 투톤타입 캐릭터 수세미
JP2015160027A (ja) 食器洗い機
KR20070062294A (ko) 식기 세척기의 스푼 바스켓
CN211270611U (zh) 置物架和具有其的清洗机
KR20130003393U (ko) 기능성 컵 건조받침대
JP2015160028A (ja) 食器洗い機
JP3190819U (ja) 食器洗い泡立てスポンジ
CN211155016U (zh) 筷子消毒存放器
JPH0649Y2 (ja) 食器洗浄機用食器籠
CN215128233U (zh) 一种新型洗碗球
CN209984643U (zh) 一种碗架及消毒柜
UA151403U (uk) Мильниця
CN208851436U (zh) 一种洗碗机用餐具固定结构及洗碗机
CN211862532U (zh) 一种安全卫生的组合式茶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