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414Y1 - 문어 건조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문어 건조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414Y1
KR200476414Y1 KR2020130002774U KR20130002774U KR200476414Y1 KR 200476414 Y1 KR200476414 Y1 KR 200476414Y1 KR 2020130002774 U KR2020130002774 U KR 2020130002774U KR 20130002774 U KR20130002774 U KR 20130002774U KR 200476414 Y1 KR200476414 Y1 KR 200476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opus
pair
frame
dry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437U (ko
Inventor
김민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코피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코피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코피앤티
Priority to KR2020130002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41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4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4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4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어 건조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선형의 부재가 특정 구조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프레임에 문어의 동체 부분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효율적으로 문어 건조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문어 건조용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문어 건조용 프레임은, 탄성력을 갖는 선형의 부재가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특정 구조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가 개방된 원형상으로 이루어져 문어의 동체 부분에 삽입되는 동체고정부와; 상기 동체고정부의 개방된 하측 양단으로부터 각각 내주면 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절곡된 한 쌍의 이탈방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부로부터 각각 절곡된 상태에서 개방된 하측을 향해 직선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호 간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동체고정부의 직경을 가변시키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문어 건조용 프레임{FRAME FOR OCTOPUS DRYING}
본 고안은 문어 건조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형의 부재가 특정 구조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프레임을 문어의 동체 측에 삽입 고정시켜 효율적으로 문어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문어 건조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문어는 여덟 개의 다리를 가진 연체동물의 일종으로 바다 밑에 서식하고 있으며, 작은 연체동물과 갑각류 등을 먹고 살면서 위급시에는 먹물을 뿜고 도망가는 생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문어는 약리학적으로 풍부한 타우린이 함유되어 있어 혈액중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며, 또한 타우린이 간의 해독작용을 도와 피로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외의 성분으로는 나이아신, 나트륨, 단백질, 당질, 레티놀, 카로틴, 비타민A, [0005] 비타민B,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E, 아연, 엽산, 인, 지질, 철분, 칼륨, 칼슘, 콜레스테롤, 회분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지질과 당질의 양이 극히 적고 단백질이 풍부해 다이어트 식품으로서도 선호되고 있다.
한편, 상기 문어의 가공이나 요리방법은 건조과정을 통해 육포를 만들어 직접 취식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더운 물에 설익게 데쳐 회로 취식하기도 하며, 또는 튀김, 조림, 볶음 등과 같은 다양한 조리 과정을 거쳐 취식하기도 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문어의 가공이나 요리방법 중, 소정 건조과정을 거쳐 직접 취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문어의 건조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문어의 동체(문어 대가리) 부분에 있는 아구리를 통해 내장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문어는 동체 내의 내장이 제거되어 비워지게 됨에 따라, 일정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임의로 그 형태가 찌그러지면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문어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전체가 고르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문어의 동체 내에 특정 형태의 프레임 등이 삽입된 상태로 건조작업이 진행되어야만 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문어의 동체 내부에 대략 "∩" 형상으로 절곡된 대나무를 삽입하거나, 칡넝쿨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건조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대나무나 칡넝쿨 등의 도구는 천연자원의 희소성이 높아짐에 따라, 충분한 수량을 제공하기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해당 도구의 수집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 및 인건비가 소요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고안은 선형의 부재가 특정 구조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프레임에 문어의 동체 부분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효율적으로 문어 건조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문어 건조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문어 건조용 프레임은, 탄성력을 갖는 선형의 부재가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특정 구조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가 개방된 원형상으로 이루어져 문어의 동체 부분에 삽입되는 동체고정부와; 상기 동체고정부의 개방된 하측 양단으로부터 각각 내주면 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절곡된 한 쌍의 이탈방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부로부터 각각 절곡된 상태에서 개방된 하측을 향해 직선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호 간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동체고정부의 직경을 가변시키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체고정부의 외주면 및 상기 파지부의 외면 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문어 건조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선형의 부재의 폭은 1 내지 2센티미터[cm]의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문어 건조를 위해 특정 구조의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서, 매우 견고하면서도 간편하게 문어의 동체 부분을 프레임에 고정시켜 효율적으로 문어의 건조작업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문어의 건조를 위한 프레임이 합성수지재질의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됨으로서, 저비용으로 다량의 제품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게 되며, 이에 종래의 천연재료인 대나무나 칡넝쿨 등을 사용하는데 비해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문어 건조용 프레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문어 건조용 프레임의 탄성력에 의한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어 건조용 프레임에 건조를 위한 문어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문어 건조용 프레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문어 건조용 프레임의 탄성력에 의한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어 건조용 프레임에 건조를 위한 문어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문어 건조용 프레임은, 특정 구조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문어 건조용 프레임(10)을 문어(100)의 동체 부분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문어 건조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한, 상기 문어 건조용 프레임(10)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재질의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문어 건조용 프레임(10)은 선형의 부재가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특정 구조로 절곡된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외력의 인가 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수축된 후 외력 해제 시 자동으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형의 부재가 절곡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는 상기 문어 건조용 프레임(10)은 그 하측부분이 개방된 대략 원형상으로 이루어져 문어(100)의 동체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동체고정부(12)가 구성되고, 상기 동체고정부(12)의 개방된 하측부분의 양단으로부터는 각각 내주면 측을 향해서는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절곡된 한 쌍의 이탈방지부(1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부(14)로부터는 그로부터 각각 절곡된 상태에서 개방된 하측을 향해 직선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파지부(16)가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한 쌍의 파지부(16)는 상호 간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프레임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동체고정부(12)의 직경이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한 쌍의 파지부(16) 상호 간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그 하단부 측에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파지부(16)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동체고정부(12)는 그 직경이 축소되도록 이루어지며, 외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파지부(16) 및 동체고정부(12)가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동체고정부(12)의 외주면 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미끄럼 방지돌기(18)가 돌출 형성되어 문어(100) 동체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지부(16)의 외면 측에도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미끄럼 방지돌기(18)가 돌출 형성되어 파지 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문어 건조용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선형의 부재의 폭은 대략 1 내지 2센티미터[cm] 정도의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어 건조용 프레임(10)은 그 가로 길이가 대략 10 내지 15센티미터[cm] 정도, 그 세로 길이가 대략 15 내지 20센티미터[cm] 정도의 치수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건조하고자 하는 문어(1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제작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문어 건조용 프레임을 매개로 문어 건조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는, 먼저 어획된 문어(100)의 내장을 제거한 상태에서 각 문어의 동체(대가리) 마다 본 발명에 따른 문어 건조용 프레임(10)의 동체고정부(12)를 삽입한다.
즉, 상기 문어 건조용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파지부(16)에 상호 간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동체고정부(12)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동체고정부(12)를 해당 문어(100)의 동체 내에 삽입한 후, 상기 파지부(16)에 인가된 외력을 해제시킴에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동체고정부(12)의 직경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해당 문어(100)의 동체 내에 견고하게 장착 고정되게 된다.
이때, 해당 문어(100)의 동체 내에 상기 동체고정부(12)를 삽입하는 작업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의 특성에 의해 그 직경이 축소된 동체고정부(12)가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면서 원활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동체고정부(12)가 삽입된 후 그 직경이 원상태로 복원된 상태에서는 상기 동체고정부(12)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미끄럼 방지돌기(18)를 매개로 해당 문어(100)의 동체 부분이 임의적인 유동없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됨과 동시에 해당 문어(100)의 동체 하측부분이 상기 동체고정부(12)의 양측 하부에 구비된 이탈방지부(14)에 단속된 상태가 됨으로서 임의적인 분리 또는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량의 문어(100)가 각 프레임(10)의 동체고정부(12)를 매개로 일정 형상으로 펼져진 상태로 건조 준비가 완료되면, 덕장 등에 설치된 건조대(도시안됨)에 문어 건어용 프레임(10)에 고정된 다량의 문어(100)를 설치하여 효율적으로 문어 건조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해당 문어(100)의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문어 건조용 프레임(10)에 구비된 한 쌍의 파지부(16)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동체고정부(12)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함에 따라, 건조된 문어(100)를 프레임(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가 있게 되며, 이때 건조가 완료된 문어(100)는 상기 프레임(10)의 작용에 의해 그 형태가 임의적으로 변형되거나 찌부러짐이 방지됨으로 높은 상품성을 갖을 수 있게 된다.
또, 건조된 문어(100)로부터 분리된 상기 문어 건조용 프레임(10)은 그 재질의 특성에 의해 반복적인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자원의 낭비가 해소됨과 동시에 경제성을 높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 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문어 건조용 프레임, 12: 동체고정부,
14: 이탈방지부, 16: 파지부,
18: 미끄럼 방지돌기, 100: 문어.

Claims (3)

  1. 탄성력을 갖는 선형의 부재가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특정 구조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가 개방된 원형상으로 이루어져 문어의 동체 부분에 삽입되는 동체고정부와;
    상기 동체고정부의 개방된 하측 양단으로부터 각각 내주면 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절곡된 한 쌍의 이탈방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부로부터 각각 절곡된 상태에서 개방된 하측을 향해 직선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호 간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동체고정부의 직경을 가변시키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체고정부의 외주면 및 상기 파지부의 외면 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 건조용 프레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어 건조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선형의 부재의 폭은 1 내지 2센티미터[cm]의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 건조용 프레임.
KR2020130002774U 2013-04-11 2013-04-11 문어 건조용 프레임 KR2004764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774U KR200476414Y1 (ko) 2013-04-11 2013-04-11 문어 건조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774U KR200476414Y1 (ko) 2013-04-11 2013-04-11 문어 건조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37U KR20140005437U (ko) 2014-10-21
KR200476414Y1 true KR200476414Y1 (ko) 2015-03-02

Family

ID=5245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774U KR200476414Y1 (ko) 2013-04-11 2013-04-11 문어 건조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41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686Y1 (en) * 1983-05-31 1985-08-16 Park Jae Shik Drying vessel for anchovy
KR930000898Y1 (ko) * 1990-05-25 1993-02-27 이성우 문어 건조용 버팀테
KR970003856Y1 (ko) * 1994-11-19 1997-04-24 신수학 농산물 건조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686Y1 (en) * 1983-05-31 1985-08-16 Park Jae Shik Drying vessel for anchovy
KR930000898Y1 (ko) * 1990-05-25 1993-02-27 이성우 문어 건조용 버팀테
KR970003856Y1 (ko) * 1994-11-19 1997-04-24 신수학 농산물 건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37U (ko)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1022613S1 (en) Insulating device
USD893813S1 (en) Animal harness
USD833688S1 (en) Animal harness
USD884919S1 (en) Diagnostic test stick
USD839609S1 (en) Brush
US9357750B2 (en) Pet chew toy
USD844067S1 (en) Delta wing kite with fin and tubes
USD789611S1 (en) Cleaning and drying tool for cosmetic brushes
USD861737S1 (en) Electric farm tractor
USD798025S1 (en) Edible pet chew
USD845003S1 (en) Pet hair removing brush
USD821647S1 (en) Electric hair dryer
USD862005S1 (en) Dog harness
USD827950S1 (en) Futon dryer
USD666872S1 (en) Poultry roasting rack
USD808085S1 (en) Bird feeder
USD824339S1 (en) Electrical connector
USD827948S1 (en) Futon dryer
USD717385S1 (en) Potty training indoor toilet tent
USD822129S1 (en) Alligator-shaped stuffed plush toy
USD931440S1 (en) Diaper
KR200476414Y1 (ko) 문어 건조용 프레임
USD901105S1 (en) Incubator for animal
USD928438S1 (en) Garment folding apparatus
USD930763S1 (en) Multi-position horizontal elliptical exercise 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