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395Y1 - Cake box - Google Patents

Cake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395Y1
KR200476395Y1 KR2020130010659U KR20130010659U KR200476395Y1 KR 200476395 Y1 KR200476395 Y1 KR 200476395Y1 KR 2020130010659 U KR2020130010659 U KR 2020130010659U KR 20130010659 U KR20130010659 U KR 20130010659U KR 200476395 Y1 KR200476395 Y1 KR 200476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ke
face
cake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6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혁
성신애
이민정
Original Assignee
권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 filed Critical 권혁
Priority to KR2020130010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39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39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8Contents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크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크상자 상부에 케이크받침대를 고정할 수 있는 돌출부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케이크상자에 케이크를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케이크상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k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ke box having an effect that a user can more reliably arrange a cake in a cake box by providing a protrusion for fixing the cake support on the cake box.

Description

케이크상자{Cake box}Cake box {Cake box}

본 고안은 케이크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크상자의 상부에 케이크를 거치시킬 수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케이크상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k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ke box having a protrusion capable of placing a cake on the top of the cake box.

일반적으로 케이크상자는 케이크를 포장하여 운반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이다.A cake box is a device that makes it possible to pack and transport cakes.

케이크상자는 케이크를 이용하여 축하할 때 케이크를 지지하여 받쳐주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케이크를 지지해줄 수 있는 케이크상자 연구가 필요했다.Cake boxes can be used to support and support cakes when they are celebrated with cakes. Users need to study cakes that can support the cakes more safely and firmly.

이러한 종래의 케이크상자는 별도의 거치부분을 구비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케이크상자를 이용하여 케이크를 거치시킬 때 케이크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고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conventional cake box does not have a separate mounting p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ke can not be securely and accurately fixed when the cake box is used.

또한, 종래의 케이크상자는 상자 상부에 케이크를 거치시 상자와 같은 방향으로 거치시키기 때문에 외부에서 충격을 받으면 쉽게 분리되어 제품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cake box is moun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ox when the cake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x,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k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side and damaged the product.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90,518호에 개시되어 있는 케이크 상자는 상자의 용적률을 높이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지만, 케이크를 상자 상부에 거치시킬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사용자가 간소하고, 안전하게 케이크를 거치시켜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lthough the cake box disclosed in Utility Model No. 390,518 of the Republic of Korea discloses a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volume ratio of the box, there is no device for placing the cake on the box top,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securely use the cake There was no problem.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84,469호에 개시되어 있는 케이크 받침대는 케이크를 받쳐줄 수 있는 바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지만, 별도로 케이크 바를 소지해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소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84,469 discloses a cake support which can support a cake but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is not simple because it requires a separate cake ba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크상자 상부에 돌출부를 마련함으로써, 케이크를 케이크상자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만들어 보다 안정적으로 케이크를 거치시킬 수 있는 케이크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ke box in which a cake can be fixed to a cake box by providing a protrusion on the top of the cake box, thereby stably mounting the cake.

또한, 돌출부를 케이크상자의 상부 모서리에 구비하여 팔각형 모양의 홈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케이크를 상자 상부에 거치시킬 수 있는 케이크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ke box in which a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upper edge of a cake box to provide an octagonal groove, whereby the cake can be more stably placed on the box.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ubjects mentioned above and that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른, 케이크상자에 있어서, 케이크상자 상부에 모서리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케이크상자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an be solved by providing a cake box including a protruding portion formed at an edge on a cake box in a cake box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케이크상자에 있어서, 밑면; 상기 밑면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1 개봉면; 상기 밑면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 2 개봉면; 상기 밑면의 우단에 구비되는 제 1 붙임면; 상기 밑면의 좌단에 구비되는 제 1 측면; 상기 제 1 측면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3 개봉면; 상기 제 1 측면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 4 개봉면; 상기 제 1 측면의 좌단에 구비되는 상면; 상기 상면 상단에 마련되는 제 5 개봉면; 상기 상면 하단에 마련되는 제 6 개봉면; 상기 상면 좌단에 마련되는 제 2 측면; 상기 제 2 측면 상단에 마련되는 제 7 개봉면; 상기 제 2 측면 하단에 마련되는 제 8 개봉면; 상기 상면을 팔각형 모양으로 만드는 제 1 돌기선; 상기 제 1 측면, 제 2 측면, 제 5 개봉면 및 제 6 개봉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돌기선과 연결되며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2 돌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기선은 절취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돌기선의 일모서리는 절곡선으로 마련되고, 상기 일모서리와 상기 제 1 돌기선과 연결되는 선은 절취선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상자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A cake box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bottom surface; A first opening surfac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ttom surface; A second opening surfac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ttom surface; A first attaching surface provided at a right end of the bottom surface; A first side provided at a left end of the bottom surface; A third opening surfac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A fourth opening surfac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An upper surface provided at a left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A fifth opening surfac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A sixth opening surfac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rface; A second side surface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upper surface; A seventh opening surface provided on an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surface; An eighth opening surfac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surface; A first projection line for making the top surface an octagon; And a second projection line provided on the first side surface, the second side surface, the fifth opening surface and the sixth opening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first projection line and provided in a "C" shape, the first projection line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line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line, one corner of the second projecting line is provided with a folding line, and a line connected to the one edge and the first projecting line is provided as a perforated line. Can be solved.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케이크상자에 있어서, 밑면; 상기 밑면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1 개봉면; 상기 밑면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 2 개봉면; 상기 밑면의 우단에 구비되는 제 1 붙임면; 상기 밑면의 좌단에 구비되는 제 1 측면; 상기 제 1 측면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3 개봉면; 상기 제 1 측면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 4 개봉면; 상기 제 1 측면의 좌단에 구비되는 상면; 상기 상면 상단에 마련되는 제 5 개봉면; 상기 상면 하단에 마련되는 제 6 개봉면; 상기 상면 좌단에 마련되는 제 2 측면; 상기 제 2 측면 상단에 마련되는 제 7 개봉면; 상기 제 2 측면 하단에 마련되는 제 8 개봉면 및 상기 상면 모서리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상자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A cake box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bottom surface; A first opening surfac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ttom surface; A second opening surfac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ttom surface; A first attaching surface provided at a right end of the bottom surface; A first side provided at a left end of the bottom surface; A third opening surfac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A fourth opening surfac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An upper surface provided at a left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A fifth opening surfac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A sixth opening surfac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rface; A second side surface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upper surface; A seventh opening surface provided on an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surface; And an eighth opening surfac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surface and a protruding portion provided at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an be solved.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크상자 상부에 케이크받침대를 거치 고정할 수 있는 돌출부를 마련함으로써, 케이크를 이용하여 생일 파티나 축하 파티를 할 때 케이크를 거치시킬 수 있는 케이크상자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품의 손상을 줄이고 안정적으로 케이크상자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rotruding portion for fixing the cake support on the upper part of the cake box,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ke box that can mount the cake when the user uses the cake for a birthday party or a celebration party, And the cake box can be used stably.

또한, 케이크 팔각형 모양의 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케이크상자의 상단과 케이크받침대를 서로 어긋나게 맞물릴 수 있어 케이크받침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ake octagonal groove is formed, the upper part of the cake box and the cake pedestal can be misalig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ake pedesta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and thus, the cake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받침대와 케이크상자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상자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상자의 돌기선 및 절곡선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상자를 다른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상자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상자를 나타낸 제품 사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상자를 나타낸 제품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k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mbination of a cake tray and a cak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a cake box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rotruding line and a folding line of a cak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k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k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view of a cak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hotograph showing a cak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hotograph showing a cak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view of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Of course.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상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ke box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components not shown in FIG. 1 are referred to as separate reference drawings.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른 케이크상자는 케이크상자(100) 및 돌출부(10)로 구성된다.The cake box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ke box (100) and a projection (10).

본 고안의 일 양태에서, 케이크상자(100)는 케이크를 포장하여 이동 및 보관을 할 수 있는 상자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ke box 100 is a box in which the cake can be packaged for movement and storage.

돌출부(10)는 케이크상자(100) 모서리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출부(10)는 케이크상자(100)의 각 모서리에 삼각형 모양으로 구비되고,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마련된다.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돌출부(10)는 케이크받침대(5)와 체결하여 케이크받침대(5)를 고정할 수 있어 케이크상자(100)를 이용할 때 케이크를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0)는 케이크받침대(5)와 같거나 더 낮게 형성된다. 이는 케이크받침대(5)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게 만들고, 사용 후 케이크받침대(5)를 보다 간소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otrusion 10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cake box 100. More specifically, the protruding portions 10 are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cake box 100 in a triangular shape and are provided to have a constant height. The projections 10 provided at the respective corners can be fastened to the cake pedestal 5 to fix the cake pedestal 5 and the effect of stably mounting the cake when the cake box 100 is used. Specifically, the projections 10 are formed to be equal to or lower than the cake pedestal 5.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cake pedestal 5 and to remove the cake pedestal 5 more easily after use.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케이크받침대홈(20)은 돌출부(10)에 의하여 케이크상자(100)의 상단에 마련되고, 케이크받침대홈(20)은 팔각형으로 형성된다. 팔각형으로 형성되는 케이크받침대홈(20)은 케이크받침대(5)를 케이크상자(100)의 상부와 교차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케이크상자(100)의 미관을 보다 좋게 만들고, 돌출부(10)와 케이크받침대(5)가 보다 견고하게 맞물릴 수 있어 외부 충격을 받았을 시 케이크받침대(5)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종종 케이크상자(100)에 케이크받침대(5)를 거치하였을 때 사용자의 실수로 제품(케이크)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ke pedestal groove 2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ake box 100 by the protrusion 10, and the cake pedestal groove 20 is formed in an octagonal shape. The octagonal cake receiving groove 20 is provided so as to 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cake box 100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cake box 100 is improved and the size of the protruding portion 10 and the cake support 100 5 can be more firmly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ake pedestal 5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when an external shock is received. This often prevents the user from accidentally damaging the product (cake) when the cake tray 5 is placed on the cake box 100. [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손잡이(30)는 케이크상자(100) 상부에 마련된다. 손잡이(30)는 케이크상자(100)를 간소하게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30)는 케이크상자(100)의 상부에서 절곡되도록 마련되어 사용하지 않을 시 케이크상자(100) 상부에 밀착시켜 보관할 수 있게 만들어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30 is provided on top of the cake box 100. The handle 30 has the effect of simply moving the cake box 100. In addition, the handle 30 is provided to be bent at the upper part of the cake box 100, so that the handle 30 can be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cake box 100 when not in us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knob 30 more effectively.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른 케이크상자(100)는 밑면(110), 제 1 개봉면(120), 제 2 개봉면(130), 제 1 붙임면(140), 제 1 측면(150), 제 3 개봉면(160), 제 4 개봉면(170), 상면(180), 제 5 개봉면(190), 제 6 개봉면(200), 제 2 측면(210), 제 7 개봉면(220), 제 8 개봉면(230), 제 1 돌기선(240) 및 제 2 돌기선(250)으로 구성된다.3 and 4, the cake box 10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110, a first opening surface 120, a second opening surface 130, a first attachment surface 140, A third opening surface 160, a fourth opening surface 170, an upper surface 180, a fifth opening surface 190, a sixth opening surface 200, a second side surface 210, A seventh opening surface 220, an eighth opening surface 230, a first protrusion 240, and a second protrusion 250.

본 고안의 일 양태에서, 밑면(110)은 케이크상자(100)의 밑면으로 형성이다. 밑면(110)은 케이크상자(100)를 지지하고, 하부로부터 이물질이 상자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밑면(110)은 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110 is formed as the underside of the cake box 100. The bottom surface 110 supports the cake box 100 and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box. The bottom surface 110 may be rectangular.

제 1 개봉면(120)은 밑면(110)의 상단에 구비된다. 제 1 개봉면(120)과 밑면(11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1 개봉면(12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surface 12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opening face 120 and the bottom face 110 is provided with a folded line. The first opening surface 12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2 개봉면(130)은 밑면의 하단에 구비된다. 제 2 개봉면(130)과 밑면(11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2 개봉면(13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nd the second opening face 1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ttom face.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cond opening surface 130 and the bottom surface 11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second opening surface 13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1 붙임면(140)은 밑면(110)의 우단에 구비된다. 제 1 붙임면(140)과 밑면(11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1 붙임면(14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붙임면(140)은 케이크상자(100)를 조립할 때 후술할 제 2 측면(210)의 일단과 연결된다. 이때 연결은 접착제 또는 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attachment surface 140 is provided at the right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adhesive surface 140 and the bottom surface 11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first adhering surface 14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first attachment surface 14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ide surface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ake box 100 is assembled. At this time, the connection can be connected using an adhesive or a tape.

제 1 측면(150)은 밑면(110)의 좌단에 구비된다. 제 1 측면(150)과 밑면(11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1 측면(15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ide surface 150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150 and the bottom surface 11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first side 15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3 개봉면(160)은 제 1 측면(150)의 상단에 구비된다. 제 3 개봉면(160)과 제 1 측면(15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3 개봉면(16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opening face 16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face 15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third opening face 160 and the first side face 150 is provided with a folded line. The third opening face 16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4 개봉면(170)은 제 1 측면(150)의 하단에 구비된다. 제 4 개봉면(170)과 제 1 측면(15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4 개봉면(17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ourth opening face 17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ide face 15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ourth opening face 170 and the first side face 15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fourth opening face 17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상면(180)은 제 1 측면(150)의 좌단에 마련된다. 상면(180)과 제 1 측면(15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상면(18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180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15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180 and the first side surface 15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upper surface 18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5 개봉면(190)은 상면(180) 상단에 마련된다. 제 5 개봉면(190)과 상면(18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5 개봉면(19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fth opening surface 19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18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fth opening face 190 and the upper face 180 is provided with a folded line. The fifth opening face 19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6 개봉면(200)은 상면(180) 하단에 마련된다. 제 6 개봉면(200)과 상면(18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6 개봉면(20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ixth opening face 20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ace 18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ixth opening face 200 and the upper face 18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sixth opening face 2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2 측면(210)은 상면(180) 좌단에 마련된다. 제 2 측면(210)과 상면(18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2 측면(21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surface 210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upper surface 18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cond side surface 210 and the upper surface 18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second side surface 2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7 개봉면(220)은 제 2 측면(210) 상단에 마련된다. 제 7 개봉면(220)과 제 2 측면(21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7 개봉면(22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venth sealing surface 22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ide surface 21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venth opening surface 22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1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seventh opening surface 22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8 개봉면(230)은 제 2 측면(210) 하단에 마련된다. 제 8 개봉면(230)과 제 2 측면(21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8 개봉면(23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eighth sealing surface 2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surface 21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eighth sealing surface 23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1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eighth sealing surface 23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도 4를 참고하면, 제 1 돌기선(240)은 상면(180)을 팔각형 모양으로 형성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돌기선(240)은 상면(180)의 각 모서리에서 모서리를 연결하여 상면(180)을 팔각형 모양으로 형성시킨다. 제 1 돌기선(240)은 절취선으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서 절취할 수 있도록 만든다. 도 5 및 6을 참고하면, 제 1 돌기선(240)을 따라 절취를 하면 상면(180)이 팔각형 모양으로 마련되어 케이크받침대(5)를 거치시킬 수 있는 홈을 생성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케이크받침대(5)를 거치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projection line 240 forms an upper surface 180 in an octagonal shape.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rotrusion 240 connects the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180 at each corner to form an upper surface 180 in an octagonal shape. The first protrusion 240 is provided as a perforated line so that a user can cut it if necessary. 5 and 6, when the first protruding line 240 is cut along the upper surface 180, the upper surface 180 is provided in an octagonal shape to create a groove for receiving the cake support 5, ).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제 2 돌기선(250)은 제 1 측면(150), 제 2 측면(210), 제 5 개봉면(190) 및 제 6 개봉면(200)에 마련되고, 제 1 돌기선(240)과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ㄷ”자 모양의 선을 형성하고, 제 1 돌기선(240)과 연결되는 양 선은 절취선으로 구비되고, 양선과 연결되는 중앙선(일모서리)은 절곡선으로 마련된다. 이는 상면(180)의 모서리 부분을 돌출시킬 수 있게 만들어 케이크받침대(5)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게 만든다.4 to 6, the second projection line 250 is provided on the first side surface 150, the second side surface 210, the fifth opening surface 190, and the sixth opening surface 20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rojection line 240. More specifically, a "C" shaped line is formed, and both lines connected to the first projection line 240 are provided as a perforated line, and a center line (one corner) connected to both lines is provided as a folded line. This allows the corn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180 to be protruded, thereby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cake support 5 can be mounted.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상자(10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The cake box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as follows.

밑면(110)을 기준으로 제 1 측면(150)을 절곡하여 케이크상자(100)의 일측면을 만들고, 다시 제 1 측면(150)과 연결된 상면(180)을 절곡하여 케이크상자(100)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면(180)과 연결되는 제 2 측면(210)을 절곡하여 타측면을 만든다. 이때 제 1 붙임면(140)과 제 2 측면(210)을 접착제나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시켜 케이크상자(100)의 기본 하우징을 만든다. 제 3 개봉면(160)과 제 7 개봉면(220)을 케이크상자(100)의 내측으로 절곡하고, 그 다음 제 1 개봉면(120)과 제 5 개봉면(190)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케이크상자(10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마련한다. 제 4 개봉면(170)과 제 8 개봉면(230)을 케이크상자(100)의 내측으로 절곡하고, 제 2 개봉면(130)과, 제 6 개봉면(200)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케이크상자(10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마련한다. 이로써, 케이크상자(100)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제 1 돌기선(240)을 절개하고 제 2 돌기선(250)의 절취선 부분을 절개하여 케이크상자(100)의 상면(180)의 모서리 부분이 돌출될 수 있도록 만들고, 팔각형으로 형성되는 케이크상자 상면(180)을 밑면 쪽으로 형성시켜 케이크받침대(5)가 거치될 수 있도록 만든다. 이와 같은 케이크상자(100)는 케이크받침대(5)를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어 사용자 실수로 인한 제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만든다.The first side face 150 is bent with respect to the bottom face 110 to form one side face of the cake box 100 and then the upper face 180 connected to the first side face 150 is bent,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10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180 is bent to form the other side surface. At this time, the first attached surface 14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10 are bonded to each other using an adhesive or a tape to form a basic housing of the cake box 100. The third opening face 160 and the seventh opening face 220 are bent to the inside of the cake box 100 and then the first opening face 120 and the fifth opening face 190 are bent inward, So that the box 100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fourth opening face 170 and the eighth opening face 230 are bent to the inside of the cake box 100 and the second opening face 130 and the sixth opening face 200 are bent inward, (100) can be opened and closed. Thereby, the cake box 100 can be assembled. The first protruding line 240 is cut and the perforated line portion of the second protruding line 250 is cut so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top surface 180 of the cake box 100 can be protruded, So that the top surface 180 of the box is formed on the bottom side so that the cake support 5 can be mounted. The cake box 100 can securely fasten the cake support 5,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roduct due to user mistakes.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체결돌기면(260)은 제 5 개봉면(190) 및 제 6 개봉면(200)의 일단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5 개봉면(190)의 상단 제 6 개봉면(200)의 하단에 마련된다. 체결돌기면(260)은 케이크상자(100)의 개봉면의 체결을 도와 보다 안정적으로 케이크상자(100)를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rojection surface 26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fth opening surface 190 and the sixth opening surface 200. More specifically,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sixth opening-and-closing face 200 of the fifth opening face 190. The fastening projection surface 260 has an effect that the opening surface of the cake box 100 can be fastened and the cake box 100 can be fastened more stably.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체결홈(270)은 제 1 개봉면(120) 및 제 2 개봉면(130)의 일단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개봉면(120)의 상단에 마련되고, 제 2 개봉면(130)의 하단에 마련되어 체결돌기면(260)과 체결홈(270)을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는 케이크상자(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groove 27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opening surface 120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130. And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opening face 120 an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opening face 130 so as to be fastened to the locking protrusion face 260 and the locking groove 270. This makes the cake box 100 more stable to use.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3을 참고하면, 손잡이(30)는 상면(180)에 마련된다. 손잡이(30)는 절곡되도록 마련된다. 이는 케이크상자(100)에 손잡이(30)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케이크상자(100)를 보다 간소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handle 30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180. Fig. The handle 30 is provided to be bent. This is effective in that the user can move the cake box 100 more easily by providing the handle 30 on the cake box 100. [

절곡부(280)는 도 4를 참고하면, 제 5 개봉면(190) 및 제 6 개봉면(200)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돌기선(250)이 구비되는 라인을 좌우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이는 케이크를 케이크상자(100)에 보관할 때 제 5 개봉면(190) 및 제 6 개봉면(200)을 보다 간소하게 개봉할 수 있게 만들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Referring to FIG. 4, the bent portion 280 is provided on the fifth opening face 190 and the sixth opening face 20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projection line 250 is provided so as to extend to the left and right. This makes it easier for the user to open the fifth opening face 190 and the sixth opening face 200 when the cake is stored in the cake box 100.

도 7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른 케이크상자는 밑면, 제 1 개봉면, 제 2 개봉면, 제 1 붙임면, 제 1 측면, 제 3 개봉면, 제 4 개봉면, 상면, 제 5 개봉면, 제 6 개봉면, 제 2 측면, 제 7 개봉면, 제 8 개봉면 및 돌출부로 구성된다.7, the cake box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a first opening surface, a second opening surface, a first attachment surface, a first side surface, a third opening surface, a fourth opening surface, A fifth opening face, a sixth opening face, a second side, a seventh opening face, an eighth opening face, and a projection.

본 고안의 일 양태에서, 밑면(110)은 케이크상자(100)의 밑면으로 형성이다. 밑면(110)은 케이크상자(100)를 지지하고, 하부로부터 이물질이 상자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밑면(110)은 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110 is formed as the underside of the cake box 100. The bottom surface 110 supports the cake box 100 and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box. The bottom surface 110 may be rectangular.

제 1 개봉면(120)은 밑면(110)의 상단에 구비된다. 제 1 개봉면(120)과 밑면(11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1 개봉면(12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surface 12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opening face 120 and the bottom face 110 is provided with a folded line. The first opening surface 12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2 개봉면(130)은 밑면의 하단에 구비된다. 제 2 개봉면(130)과 밑면(11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2 개봉면(13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nd the second opening face 1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ttom face.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cond opening surface 130 and the bottom surface 11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second opening surface 13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1 붙임면(140)은 밑면(110)의 우단에 구비된다. 제 1 붙임면(140)과 밑면(11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1 붙임면(14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붙임면(140)은 케이크상자(100)를 조립할 때 후술할 제 2 측면(210)의 일단과 연결된다. 이때 연결은 접착제 또는 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attachment surface 140 is provided at the right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adhesive surface 140 and the bottom surface 11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first adhering surface 14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first attachment surface 14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ide surface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ake box 100 is assembled. At this time, the connection can be connected using an adhesive or a tape.

제 1 측면(150)은 밑면(110)의 좌단에 구비된다. 제 1 측면(150)과 밑면(11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1 측면(15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ide surface 150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150 and the bottom surface 11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first side 15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3 개봉면(160)은 제 1 측면(150)의 상단에 구비된다. 제 3 개봉면(160)과 제 1 측면(15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3 개봉면(16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opening face 16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face 15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third opening face 160 and the first side face 150 is provided with a folded line. The third opening face 16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4 개봉면(170)은 제 1 측면(150)의 하단에 구비된다. 제 4 개봉면(170)과 제 1 측면(15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4 개봉면(17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ourth opening face 17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ide face 15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ourth opening face 170 and the first side face 15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fourth opening face 17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상면(180)은 제 1 측면(150)의 좌단에 마련된다. 상면(180)과 제 1 측면(15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상면(18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180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15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180 and the first side surface 15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upper surface 18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5 개봉면(190)은 상면(180) 상단에 마련된다. 제 5 개봉면(190)과 상면(18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5 개봉면(19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fth opening surface 19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18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fth opening face 190 and the upper face 180 is provided with a folded line. The fifth opening face 19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6 개봉면(200)은 상면(180) 하단에 마련된다. 제 6 개봉면(200)과 상면(18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6 개봉면(20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ixth opening face 20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ace 18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ixth opening face 200 and the upper face 18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sixth opening face 2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2 측면(210)은 상면(180) 좌단에 마련된다. 제 2 측면(210)과 상면(18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2 측면(21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surface 210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upper surface 18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cond side surface 210 and the upper surface 18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second side surface 2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7 개봉면(220)은 제 2 측면(210) 상단에 마련된다. 제 7 개봉면(220)과 제 2 측면(21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7 개봉면(22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venth sealing surface 22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ide surface 21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venth opening surface 22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1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seventh opening surface 22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 8 개봉면(230)은 제 2 측면(210) 하단에 마련된다. 제 8 개봉면(230)과 제 2 측면(210)의 연결부는 절곡선으로 구비된다. 제 8 개봉면(23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eighth sealing surface 2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surface 210.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eighth sealing surface 23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10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The eighth sealing surface 23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도 7를 참고하면, 돌출부(10)는 상면(180) 모서리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10)의 상부 및 하부는 삼각형 모양으로 구비되고, 돌출부(10)에 의해서 상면(180)을 팔각형 모양의 홈이 구비된다. 돌출부(10)는 케이크받침대(5)를 거치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제품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7, protrusions 10 are provided at the edges of the top surface 180.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otruding portion 10 ar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nd the upper surface 180 of the protrud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n octagonal groove. The protruding portion 10 can mount the cake support 5,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product more stably.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상자는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A cake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as follows.

밑면(110)을 기준으로 제 1 측면(150)을 절곡하여 케이크상자(100)의 일측면을 만들고, 다시 제 1 측면(150)과 연결된 상면(180)을 절곡하여 케이크상자(100)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면(180)과 연결되는 제 2 측면(210)을 절곡하여 타측면을 만든다. 이때 제 1 붙임면(140)과 제 2 측면(210)을 접착제나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시켜 케이크상자(100)의 기본 하우징을 만든다. 제 3 개봉면(160)과 제 7 개봉면(220)을 케이크상자(100)의 내측으로 절곡하고, 그 다음 제 1 개봉면(120)과 제 5 개봉면(190)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케이크상자(10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마련한다. 제 4 개봉면(170)과 제 8 개봉면(230)을 케이크상자(100)의 내측으로 절곡하고, 제 2 개봉면(130)과, 제 6 개봉면(200)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케이크상자(10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마련한다. 이로써, 케이크상자(100)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0)를 구비함으로써, 케이크상자(100) 상부에 케이크받침대(5)를 거치시킬 수 있게 만든다.The first side face 150 is bent with respect to the bottom face 110 to form one side face of the cake box 100 and then the upper face 180 connected to the first side face 150 is bent,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10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180 is bent to form the other side surface. At this time, the first attached surface 14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10 are bonded to each other using an adhesive or a tape to form a basic housing of the cake box 100. The third opening face 160 and the seventh opening face 220 are bent to the inside of the cake box 100 and then the first opening face 120 and the fifth opening face 190 are bent inward, So that the box 100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fourth opening face 170 and the eighth opening face 230 are bent to the inside of the cake box 100 and the second opening face 130 and the sixth opening face 200 are bent inward, (100) can be opened and closed. Thereby, the cake box 100 can be assembled. Further, by providing the protruding portion 10, the cake support 5 can b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ke box 100.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체결돌기면(260)은 제 5 개봉면(190) 및 제 6 개봉면(200)의 일단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5 개봉면(190)의 상단 제 6 개봉면(200)의 하단에 마련된다. 체결돌기면(260)은 케이크상자(100)의 개봉면의 체결을 도와 보다 안정적으로 케이크상자(100)를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rojection surface 26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fth opening surface 190 and the sixth opening surface 200. More specifically,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sixth opening-and-closing face 200 of the fifth opening face 190. The fastening projection surface 260 has an effect that the opening surface of the cake box 100 can be fastened and the cake box 100 can be fastened more stably.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체결홈(270)은 제 1 개봉면(120) 및 제 2 개봉면(130)의 일단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개봉면(120)의 상단에 마련되고, 제 2 개봉면(130)의 하단에 마련되어 체결돌기면(260)과 체결홈(270)을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는 케이크상자(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groove 27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opening surface 120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130. And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opening face 120 an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opening face 130 so as to be fastened to the locking protrusion face 260 and the locking groove 270. This makes the cake box 100 more stable to use.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3을 참고하면, 손잡이(30)는 상면(180)에 마련된다. 손잡이(30)는 절곡되도록 마련된다. 이는 케이크상자(100)에 손잡이(30)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케이크상자(100)를 보다 간소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handle 30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180. Fig. The handle 30 is provided to be bent. This is effective in that the user can move the cake box 100 more easily by providing the handle 30 on the cake box 100. [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5 : 케이크받침대,
10 : 돌출부, 20 : 케이크받침대홈
30 : 손잡이,
100 : 케이크상자,
110 : 밑면, 120 : 제 1 개봉면,
130 : 제 2 개봉면, 140 : 제 1 붙임면,
150 : 제 1 측면, 160 : 제 3 개봉면,
170 : 제 4 개봉면, 180 : 상면,
190 : 제 5 개봉면, 200 : 제 6 개봉면,
210 : 제 2 측면, 220 : 제 7 개봉면,
230 : 제 8 개봉면, 240 : 제 1 돌기선,
250 : 제 2 돌기선, 260 : 체결돌기면,
270 : 체결홈, 280 : 절곡부.
5: cake stand,
10: projecting portion, 20: cake base groove
30: Handle,
100: cake box,
110: bottom surface, 120: first opening surface,
130: second opening face, 140: first attachment face,
150: first side, 160: third opening side,
170: fourth opening face, 180: upper face,
190: fifth opening face, 200: sixth opening face,
210: second side, 220: seventh opening side,
230: the eighth opening face, 240: the first projection wire,
250: second projection line, 260: fastening projection surface,
270: fastening groove, 280: bent portion.

Claims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밑면(110);
상기 밑면(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1 개봉면(120);
상기 밑면(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 2 개봉면(130);
상기 밑면(110)의 우단에 구비되는 제 1 붙임면(140);
상기 밑면(110)의 좌단에 구비되는 제 1 측면(150);
상기 제 1 측면(15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3 개봉면(160);
상기 제 1 측면(150)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 4 개봉면(170);
상기 제 1 측면(150)의 좌단에 구비되는 상면(180);
상기 상면(180) 상단에 마련되는 제 5 개봉면(190);
상기 상면(180) 하단에 마련되는 제 6 개봉면(200);
상기 상면(180) 좌단에 마련되는 제 2 측면(210);
상기 제 2 측면(210) 상단에 마련되는 제 7 개봉면(220);
상기 제 2 측면(210) 하단에 마련되는 제 8 개봉면(230);
상기 상면(180)을 팔각형 모양으로 만드는 제 1 돌기선(240);
상기 제 1 측면(150), 제 2 측면(210), 제 5 개봉면(190) 및 제 6 개봉면(200)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돌기선(240)과 연결되며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2 돌기선(25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기선(240)은 절취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돌기선(250)의 일모서리는 절곡선으로 마련되고, 상기 일모서리와 상기 제 1 돌기선(240)과 연결되는 선은 절취선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상자.
A bottom surface 110;
A first unsealing surface 12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A second unsealing surface 130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A first attachment surface 140 provided at a right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A first side 150 provided at a left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A third unsealing surface 16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150;
A fourth unsealing surface 170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ide 150;
An upper surface 180 provided at a left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150;
A fifth opening surface 19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180;
A sixth opening surface 20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rface 180;
A second side surface 210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upper surface 180;
A seventh opening surface 22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surface 210;
An eighth opening surface 230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surface 210;
A first protrusion 240 for making the top surface 180 an octagon;
Is formed on the first side surface 150, the second side surface 210, the fifth opening surface 190 and the sixth opening surface 20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rojection line 240 and has a " And a second projection line (250)
The first protrusion 240 is provided as a perforation line,
Wherein one corner of the second projection line (250) is provided in a folded line, and a line connected to one corner and the first projection line (240) is provided as a perforated lin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개봉면(190) 및 제 6 개봉면(200)의 일단에 마련되는 체결돌기면(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fastening protrusion surface (260)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fth opening surface (190) and the sixth opening surface (20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봉면(120) 및 제 2 개봉면(130)의 일단에 마련되는 체결홈(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coupling groove (270)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opening surface (120)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13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180)에 마련되는 손잡이(3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30)는 상기 상면(180)에 절곡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handle (3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80)
Wherein the handle (30) is provided to be bent on the upper surface (18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개봉면(190) 및 제 6 개봉면(200)에 마련되어 상기 제 5 개봉면(190) 및 제 6 개봉면(200)을 절곡시키는 절곡부(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bent portion 280 provided on the fifth opening face 190 and the sixth opening face 200 to bend the fifth opening face 190 and the sixth opening face 200. [ Box.
밑면(110);
상기 밑면(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1 개봉면(120);
상기 밑면(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 2 개봉면(130);
상기 밑면(110)의 우단에 구비되는 제 1 붙임면(140);
상기 밑면(110)의 좌단에 구비되는 제 1 측면(150);
상기 제 1 측면(15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3 개봉면(160);
상기 제 1 측면(150)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 4 개봉면(170);
상기 제 1 측면(150)의 좌단에 구비되는 상면(180);
상기 상면(180) 상단에 마련되는 제 5 개봉면(190);
상기 상면(180) 하단에 마련되는 제 6 개봉면(200);
상기 상면(180) 좌단에 마련되는 제 2 측면(210);
상기 제 2 측면(210) 상단에 마련되는 제 7 개봉면(220);
상기 제 2 측면(210) 하단에 마련되는 제 8 개봉면(230) 및
상기 상면(180) 모서리에 마련되는 돌출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상자.
A bottom surface 110;
A first unsealing surface 12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A second unsealing surface 130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A first attachment surface 140 provided at a right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A first side 150 provided at a left end of the bottom surface 110;
A third unsealing surface 16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150;
A fourth unsealing surface 170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ide 150;
An upper surface 180 provided at a left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150;
A fifth opening surface 19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180;
A sixth opening surface 20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rface 180;
A second side surface 210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upper surface 180;
A seventh opening surface 22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surface 210;
An eighth opening surface 23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surface 210,
And a protrusion (10) provided at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18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0)는 상부 및 하부가 삼각형 모양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0)에 의해 상기 상면(180)은 팔각형 모양의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상자.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trusions (10) are provided in a triangular shape at the top and bottom,
Wherein the upper surface (180) is provided with an octagonal groove by the protrusion (1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개봉면(190) 및 제 6 개봉면(200)의 일단에 마련되는 체결돌기면(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상자.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fastening protrusion surface (260)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fth opening surface (190) and the sixth opening surface (20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봉면(120) 및 제 2 개봉면(130)의 일단에 마련되는 체결홈(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상자.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coupling groove (270)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opening surface (120)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13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180)에 마련되는 손잡이(3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30)는 상기 상면(180)에 절곡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상자.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handle (3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80)
Wherein the handle (30) is provided to be bent on the upper surface (180).
KR2020130010659U 2013-12-23 2013-12-23 Cake box KR2004763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659U KR200476395Y1 (en) 2013-12-23 2013-12-23 Cake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659U KR200476395Y1 (en) 2013-12-23 2013-12-23 Cake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395Y1 true KR200476395Y1 (en) 2015-02-27

Family

ID=5259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659U KR200476395Y1 (en) 2013-12-23 2013-12-23 Cake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395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251Y1 (en) 2002-05-07 2002-08-13 김기원 A cake sta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251Y1 (en) 2002-05-07 2002-08-13 김기원 A cake 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834B1 (en) Packing box
US20150008147A1 (en) Support and packaging box for electronic device
KR200476395Y1 (en) Cake box
RU2673605C2 (en) Packaging for smoking and/or tobacco products and method
US20130292435A1 (en) Tissue box holder mountable on the console box of a vehicle
KR200465430Y1 (en) Foldabel handle for box
KR200390518Y1 (en) Cake box
KR200383756Y1 (en) Cake box
TWI557042B (en) Flower pot stationary base
JP6052767B2 (en) Packing box
JP3179017U (en) Cake tray
JP6362422B2 (en) Storage box
JP7481006B2 (en) Potted plant shipping box
KR20110121268A (en) Packaging box
JP2004175427A (en) Wireless corrugated board case
JP3145446U (en) Deco case assembly paper bottom plate
JPH1095419A (en) Storage container
JPS5837824Y2 (en) packing tools
US20170086316A1 (en)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packaging for an electronic device
JP6919532B2 (en) Flower packaging box
JP3064866U (en) Assembling storage case
JP3091807U (en) Assembly box
JP2002284142A (en) Folding packaging box
JP2009274749A (en) Packing structure
KR20000021318U (en) A box of a pizz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