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300Y1 -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300Y1
KR200476300Y1 KR2020130003885U KR20130003885U KR200476300Y1 KR 200476300 Y1 KR200476300 Y1 KR 200476300Y1 KR 2020130003885 U KR2020130003885 U KR 2020130003885U KR 20130003885 U KR20130003885 U KR 20130003885U KR 200476300 Y1 KR200476300 Y1 KR 200476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bile phone
hole
power ke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957U (ko
Inventor
김희철
고영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모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모드
Priority to KR2020130003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30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9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9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3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스탠드가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가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의 앞면을 보호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핸드폰이 일측단으로 삽입되고, 상기 핸드폰이 삽입되는 상면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폰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핸드폰의 뒷면을 보호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일측단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부가 존재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여닫을 수 있게 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Covered case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단차를 주어 케이스에 삽입된 핸드폰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고, 핸드폰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는 부재가 형성되어 핸드폰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는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10)는, 핸드폰의 전원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핸드폰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는 전원키 부재(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키 부재(30)는 측면에서 일자로 돌출된 리브(lib, 34)가 있고, 하면에는 핸드폰의 전원키와 맞닿는 받침부(32)가 돌출되어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이 핸드폰 케이스(10)에서 분리되어 있는 경우, 전원키 부재(30)의 받침부(32)는 항상 프레임(12) 아래로 내려와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핸드폰을 핸드폰 케이스(10)에 옆에서 슬라이딩시켜 삽입할 때 받침부(32)가 핸드폰의 전원키에 걸리므로, 핸드폰 케이스(10)를 뒤집어서 전원키 부재(30)의 받침부(32)를 올린 후에 핸드폰을 삽입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키 부재(30)는 리브(34)와 나사(36) 사이에 공간(40)이 존재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인다. 이로 인해, 핸드폰 케이스(10)를 흔들게 되면, 전원키 부재(30)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여서 덜그덕거리는 소리가 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는, 케이스에 핸드폰을 슬라이딩시켜 삽입하여도 케이스를 핸드폰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기울이게 되면 핸드폰이 케이스에서 빠질 염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5669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단차를 주어 케이스에 삽입된 핸드폰이 쉽게 빠지지 않게 할 수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드폰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는 부재에 탄성을 줘서 부재가 원래대로 돌아가므로, 핸드폰을 핸드폰 케이스에 삽입할 때 핸드폰의 전원키가 걸리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보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플레이트는 핸드폰의 앞면을 보호한다.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핸드폰이 일측단으로 삽입되고, 상기 핸드폰이 삽입되는 상면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폰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핸드폰의 뒷면을 보호한다.
보호 커버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일측단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부가 존재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여닫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의 제2 플레이트는, 제1 메인판, 슬라이드 틀 및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메인판은 상기 핸드폰의 뒷면을 보호한다.
슬라이드 틀은 상기 제1 메인판의 측단에 'ㄷ'자 모양으로 돌출되고, 상기 핸드폰의 전원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홀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잠기게 하는 제1 자석부재가 끼워지는 제1 틀이 형성되고, 상기 핸드폰의 전원코드를 꽂는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장방형 홀이 형성된다.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드 틀의 외측면을 따라 끼워지며, 상기 보호 커버의 끝단을 마감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보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플레이트는 핸드폰의 앞면을 보호하는 제2 메인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메인판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형성되어 덮개를 이중으로 형성시키는 이중 덮개가 형성된다.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핸드폰이 일측단으로 삽입되고, 상기 핸드폰이 삽입되는 상면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폰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핸드폰의 뒷면을 보호한다.
보호 커버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일측단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부가 존재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여닫을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로 핸드폰의 앞면 및 뒷면을 커버함으로써, 핸드폰이 충격 및 스크래치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제1 자석부재 및 제2 자석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핸드폰 케이스의 일측단을 잠글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제2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틀이 핸드폰의 볼륨 버튼이 위치하는 측면을 제외한 모든 측면을 차단시킴으로써, 핸드폰을 케이스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핸드폰의 볼륨 버튼을 사용하는데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의 전원코드를 꽂는 홀 및 이어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장방형 홀이 형성됨으로써, 핸드폰의 전원코드 및 이어폰을 연결하는데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의 전원키와 맞닿는 전원키 누름부에 탄성을 줘서 전원키 누름부가 원래대로 돌아가므로, 핸드폰을 핸드폰 케이스에 삽입할 때 핸드폰의 전원키가 걸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이 삽입되는 제2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단에 단차부가 형성됨으로써, 핸드폰 케이스에 삽입된 핸드폰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슬라이드 틀의 뒷면 테두리에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제2 플레이트의 뒷면에 부착되는 보호 커버의 높이를 맞추어 보호 커버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프레임으로 보호 커버의 끝단을 덮음으로써, 제2 플레이트의 뒷면에 부착되는 보호 커버가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제2 플레이트에 슬라이드 틀이 형성됨으로써, 프레임을 끼움과 동시에 프레임이 핸드폰에 닿지 않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제1 플레이트에 이중 덮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이중 덮개는 라미네이팅 테이프로 접착됨으로써, 제1 덮개와 제2 덮개가 강하게 접착됨과 동시에 빛의 투과율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이중 덮개의 제1 덮개 상면에 AF 코팅(Anti-Fingerprint coating) 처리를 하여 지문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이중 덮개의 제1 덮개 하면에 무전해 증착코팅을 함으로써, 제1 덮개의 상면 상측에서 볼 때 거울처럼 보이도록 하고, 정전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핸드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 제2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 슬라이드 틀의 단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있어 전원키 누름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의 제1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 이중 덮개의 결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100)는, 제1 플레이트(104) 및 제2 플레이트(106)로 핸드폰(102)의 앞면 및 뒷면을 커버함으로써, 핸드폰(102)이 충격 및 스크래치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100)는, 제1 플레이트(104), 제2 플레이트(106) 및 보호 커버(11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04)는 핸드폰(102)의 앞면을 보호한다. 당업자라면, 제1 플레이트(104)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제2 플레이트(106)는 핸드폰(102)이 일측단으로 삽입되고, 핸드폰(102)이 삽입되는 상면 일측단에 형성되어 핸드폰(102)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차부(108)가 형성되며, 핸드폰(102)의 뒷면을 보호한다.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는, 케이스에 핸드폰(102)을 삽입하여도 케이스를 핸드폰(102)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기울이게 되면 핸드폰(102)이 케이스에서 쉽게 빠질 염려가 있다. 종래에는 핸드폰 케이스의 핸드폰(102)이 삽입되는 면에 마찰이 있는 천을 부착해서 이용하기도 했으나, 그래도 핸드폰(102)이 핸드폰 케이스에서 빠지는 경우가 많았다.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2 플레이트(106)의 상면 일측단에 단차부(108)를 설치하여 핸드폰(102)의 측단에 걸리게 함으로써, 핸드폰 케이스에 삽입된 핸드폰(102)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100)는, 핸드폰이 삽입되는 제2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단에 단차부(108)가 형성됨으로써,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100)에 삽입된 핸드폰(102)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단차부(108)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보호 커버(110)는 제1 플레이트(104)의 상면과 제2 플레이트(106)의 하면에 부착되고, 제1 및 제2 플레이트(104, 106)의 일측단을 일체로 연결하며, 제1 플레이트(104) 및 제2 플레이트(106) 사이에 연결부(112)가 존재하고, 제1 플레이트(104)를 여닫을 수 있게 한다. 당업자라면, 보호 커버(110)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 제2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있어 슬라이드 틀의 단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06)는, 제1 메인판(300), 슬라이드 틀(302) 및 프레임(304)을 포함한다.
제1 메인판(300)은 핸드폰(102)의 뒷면을 보호한다.
슬라이드 틀(302)은 제1 메인판(300)의 측단에 'ㄷ'자 모양으로 돌출되고, 핸드폰(102)의 전원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홀(260)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104)를 잠기게 하는 제1 자석부재(280)가 끼워지는 제1 틀(282)이 형성되고, 핸드폰(102)의 전원코드를 꽂는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장방형 홀(284)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부재(280)는 제2 플레이트(106)의 슬라이드 틀(302) 일측부에 형성된 제1 틀(282)에 부착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틀(302)의 일측부를 제1 플레이트(104)의 일측부에 잠글 때, 제1 자석부재(280)는 자기력(즉, 인력)에 의해서 소정의 제2 자석부재(180)에 붙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틀(302)의 테두리에 맞추어 프레임(304)을 끼울 수 있게 한다. 또한, 슬라이드 틀(302)은 제1 메인판(3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여, 프레임(304)이 핸드폰(102)에 닿지 않게 한다.
제2 플레이트(106)의 슬라이드 틀(302)이 핸드폰(102)의 볼륨 버튼이 위치하는 측면을 제외한 모든 측면을 차단시킴으로써, 핸드폰(102)을 케이스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핸드폰(102)의 볼륨 버튼을 사용하는데 제한이 없다.
프레임(304)은 슬라이드 틀(302)의 외측면을 따라 끼워지며, 보호 커버(110)의 끝단을 마감한다.
프레임(304)은, 제2 홀(262) 및 제2 장방형 홀(290)을 포함한다. 프레임(304)으로 보호 커버(110)의 끝단을 덮음으로써, 제2 플레이트(106)의 뒷면에 부착되는 보호 커버(110)가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홀(262)은 슬라이드 틀(302)의 제1 홀(26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 장방형 홀(290)은 슬라이드 틀(302)의 제1 장방형 홀(284)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핸드폰(102)의 전원코드를 꽂는 홀 및 이어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장방형 홀(290)이 형성됨으로써, 핸드폰(102)의 전원코드 및 이어폰을 연결하는데 제한이 없다.
당업자라면, 제2 플레이트(106)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04)는, 제1 자석부재(28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자석부재(280)가 인력으로 붙는 제2 자석부재(180)가 끼워지는 제2 틀(182)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100)는, 제1 자석부재(280) 및 제2 자석부재(180)를 사용함으로써, 핸드폰 케이스의 일측단을 잠글 수 있다.
제2 자석부재(180)는, 슬라이드 틀(302)의 반대편 측부이자 제1 플레이트(104)의 하면 일측부에 형성된 제2 틀(182)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104)의 하면 일측부를 슬라이드 틀(302)의 상면 일측부에 잠글 때, 제2 자석부재(180)는 자기력(즉, 인력)에 의해서 제1 자석부재(280)에 붙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자석부재(280)와 제2 자석부재(18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자석부재(280)가 N극 자석이면 제2 자석부재(180)는 S극을 가지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제1 자석부재(280)가 S극 자석이면 제2 자석부재(180)는 N극을 가지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당업자라면, 제1 자석부재(280) 및 제2 자석부재(180)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슬라이드 틀(302)은, 단차(292), 끼움돌기(350), 받침부재(352) 및 전원키 누름부(250)를 포함한다.
단차(292)는 보호 커버(110)의 끝단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제1 메인판(300)의 뒷면 테두리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틀(302)의 뒷면 테두리에 단차(292)가 형성됨으로써, 제2 플레이트(106)의 뒷면에 부착되는 보호 커버(110)의 높이를 맞추어 보호 커버(110)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끼움돌기(350)는 제1 홀(260)의 양 측단에 형성된다. 또한, 끼움돌기(350)는 후술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전원키 누름부(250)에 형성된 고정 리브(256)의 고정홀(258)과 결합된다.
받침부재(352)는 제1 홀(260)과 끼움돌기(350)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받침부재(35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키 누름부(250)에 형성된 고정 리브(256)의 일부와 맞닿음으로써, 고정 리브(256)가 꺾이지 않게 함과 동시에 전원키 누름부(250)가 일정 높이 이상 내려가지 않게 방지한다.
당업자라면, 끼움돌기(350) 및 받침부재(352)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전원키 누름부(250)는 끼움돌기(350)에 결합되어, 핸드폰(102)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게 해준다.
도 7은 도 5에 있어 전원키 누름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의 A 및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키 누름부(250)는, 누름부 본체(252), 돌출부(254) 및 고정 리브(256)를 포함한다. 핸드폰(102)의 전원키와 맞닿는 전원키 누름부(250)를 구비함으로써, 핸드폰 케이스에 삽입된 핸드폰(102)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다.
누름부 본체(252)는 핸드폰(102)의 전원키를 누른다.
돌출부(254)는 누름부 본체(252)의 하면에 형성되어 핸드폰(102)의 전원키와 맞닿는다.
당업자라면, 누름부 본체(252) 및 돌출부(254)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고정 리브(256)는 누름부 본체(252)의 측면에서 일자로 돌출되다가 대각선 아래방향으로 꺾인 후 다시 일자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이고, 양 끝단에 형성되어 끼움돌기(350)에 삽입되는 고정홀(258)이 형성되며, 누름부 본체(252)를 눌렀을 때 탄성으로 인해 복원이 된다.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102)의 전원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핸드폰(102)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는 전원키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전원키 부재의 하단에 돌출된 받침부가 핸드폰(102)의 전원키에 걸려서, 핸드폰(102)이 핸드폰 케이스에 잘 안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누름부 본체(252)의 측면에 고정 리브(256)가 형성된다. 고정 리브(256)는 누름부 본체(252)의 측면에서 일자로 돌출되다가 대각선 아래방향으로 꺾인 후 다시 일자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리브(256)의 대각선 아래방향으로 꺾인 부분이 슬라이드 틀(302)의 받침부재(352)와 맞닿음으로써, 누름부 본체(252)의 하단에 돌출된 돌출부(254)가 항상 위에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돌출부(254)가 항상 위에 떠 있어서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100)에 핸드폰(102)을 삽입할 때, 핸드폰(102)의 전원키가 전원키 누름부(250)의 돌출부(254)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고정 리브(256)의 대각선 아래방향으로 꺾인 부분이 슬라이드 틀(302)의 받침부재(352)와 맞닿음으로써, 전원키 누름부(250)를 눌렀을 때 고정 리브(256)에 탄성이 생겨서 전원키 누름부(250)가 원래 상태로 회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리브(256)의 탄성으로 인해 핸드폰(102) 사용자가 전원키 누름부(250)를 눌러도 전원키 누름부(250)의 고정 리브(256)가 변형되지 않고 원래 모습으로 회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리브(256)의 탄성으로 인해 유격이 발생하여 전원키 누름부(250)가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핸드폰(102) 사용자가 전원키 누름부(250)를 눌렀을 때 전원키 누름부(250)가 일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전원키 누름부(250)가 핸드폰(102)의 전원키에 닿아서 핸드폰(102)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으며, 핸드폰(102) 사용자는 전원키 누름부(250)를 눌렀을 때 핸드폰(102)의 전원키를 누르는 느낌과 유사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100)는, 카메라홀(160) 및 보조 덮개(170)를 더 포함한다.
카메라홀(160)은 핸드폰(102)의 카메라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당업자라면, 카메라홀(160)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보조 덮개(170)는 제1 플레이트(104)의 하면과 제2 플레이트(106)의 상면에 결합되어, 핸드폰(102)이 부드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보조 덮개(170)는 스웨이드(suede)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보조 덮개(170)의 재질은 미끄러지지 않은 재질(Non-slip)이라면 어느 재질이든 상관없다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의 제1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는, 제1 플레이트(104), 제2 플레이트(106) 및 보호 커버(11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04)는 핸드폰(102)의 앞면을 보호하는 제2 메인판(202)이 형성되고, 제2 메인판(202) 중앙에 중공부(200)가 형성되고, 중공부(200)에 형성되어 덮개를 이중으로 형성시키는 이중 덮개(204)가 형성된다. 당업자라면, 중공부(200)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제2 플레이트(106)는 핸드폰(102)이 일측단으로 삽입되고, 핸드폰(102)이 삽입되는 상면 일측단에 형성되어 핸드폰(102)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차부(108)가 형성되며, 핸드폰(102)의 뒷면을 보호한다.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는, 케이스에 핸드폰(102)을 삽입하여도 케이스를 핸드폰(102)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기울이게 되면 핸드폰(102)이 케이스에서 빠질 염려가 있다. 종래에는 핸드폰 케이스의 핸드폰(102)이 삽입되는 면에 마찰이 있는 천을 부착해서 이용하기도 했으나, 그래도 핸드폰(102)이 핸드폰 케이스에서 빠지는 경우가 많았다.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2 플레이트(106)의 상면 일측단에 단차부(108)를 설치하여 핸드폰(102)의 측단에 걸리게 함으로써, 핸드폰 케이스에 삽입된 핸드폰(102)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100)는, 핸드폰(102)이 삽입되는 제2 플레이트(106)의 상면 일측단에 단차부(108)가 형성됨으로써,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100)에 삽입된 핸드폰(102)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단차부(108)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보호 커버(110)는 제1 플레이트(104)의 상면과 제2 플레이트(106)의 하면에 부착되고, 제1 및 제2 플레이트(104, 106)의 일측단을 일체로 연결하며, 제1 플레이트(104) 및 제2 플레이트(106) 사이에 연결부(112)가 존재하고, 제1 플레이트(104)를 여닫을 수 있게 한다. 당업자라면, 보호 커버(110)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덮개(204)는, 제1 덮개(212) 및 제2 덮개(214)를 포함한다.
제1 덮개(212)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덮개(214)는 제1 덮개(212)의 하면에 접착된다.
이중 덮개(204)는, 제1 덮개(212)의 하면과 제2 덮개(214)의 상면 사이에 라미네이팅 테이프(Optically Clear Adhensive, OCA, 224)를 접착시켜 제1 덮개(212)와 제2 덮개(214)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빛의 투과율을 높였다.
라미네이팅 테이프(224)는, 양면 테이프 형태의 광학용 점착제이며, 일반 양면 테이프에 비해 투과율이 높다. 이러한 라미네이팅 테이프(224)로 제1 덮개(212)와 제2 덮개(214) 사이를 접착시키면, 강한 결합성과 함께 빛의 투과율이 높아진다.
제1 덮개(212)는, 상면에 AF 코팅(Anti-Fingerprint coating, 220) 처리를 하여 지문을 방지한다.
AF 코팅(Anti-Fingerprint coating, 220)이란 지문 자국을 최소화하는 코팅으로, 제1 덮개(212)의 상면에 처리하여 핸드폰(102) 사용자의 지문이 묻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덮개(212)는, 하면에 무전해 증착코팅(222)을 하여 제1 덮개(212)의 상면 상측에서 볼 때 거울처럼 보이도록 하고, 정전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핸드폰(102)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무전해 증착코팅(222)이란, 알루미늄이나 주석, 또는 SUS(Steel Us Stainless, 스테인레스)를 녹인 액체를 물건에 발라 증착시키는 것으로, 물건에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만드는 방법이다. 무전해 증착코팅(222)이 된 제1 덮개(212)는 제1 덮개(212)의 상면 상측에서 볼 때 거울처럼 얼굴을 비출 수 있으며, 정전기가 관통하지 않게 되므로, 이중 덮개(204)를 덮은 상태에서 이중 덮개(204)의 윗면을 실수로 손으로 터치하더라도 핸드폰(102)이 작동하지 않아 핸드폰(102)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중 덮개(204)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 이중 덮개의 결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제2 메인판(202)과 중공부(200) 사이에 형성된 단턱 부분이 제1 덮개(212)의 하면 테두리와 결합되고, 제1 덮개(212)의 하면이 제2 덮개(214)의 상면과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1 덮개(212)는 상면에 AF 코팅(220)을 하고 하면에 증착 코팅(222)을 하였으며, 제1 덮개(212)의 하면과 제2 덮개(214)의 상면을 결합시키기 위해 증착 코팅(222)된 부분의 하면에 라미네이팅 테이프(224)를 부착한다.
도 9의 (b)는, 제2 메인판(202)과 중공부(200) 사이에 형성된 단턱 부분과 이중 덮개(204)의 테두리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의 (c)는, 제2 메인판(202)과 제2 메인판(202) 사이에 이중 덮개(204)의 테두리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의 (d)는, 제2 메인판(202)과 보호 커버(110)의 연결부(112)가 연결되는 곳의 반대편 측면에 제1 덮개(212)와 제2 덮개(214)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1 덮개(212)는 상면에 AF 코팅(220)을 하고 하면에 증착 코팅(222)을 하였으며, 제1 덮개(212)와 제2 덮개(214)를 결합시키기 위해 증착 코팅(222)된 부분의 하면에 라미네이팅 테이프(224)를 부착한다. 또한, 제2 메인판(202)과 중공부(200) 사이에 형성된 단턱 부분이 제1 및 제2 덮개(212, 214)의 일측 테두리와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06)는, 제1 메인판(300), 슬라이드 틀(302) 및 프레임(304)을 포함한다.
제1 메인판(300)은 핸드폰(102)의 뒷면을 보호한다.
슬라이드 틀(302)은 제1 메인판(300)의 측단에 'ㄷ'자 모양으로 돌출되고, 핸드폰(102)의 전원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홀(260)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104)를 잠기게 하는 제1 자석부재(280)가 끼워지는 제1 틀(282)이 형성되고, 핸드폰(102)의 전원코드를 꽂는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장방형 홀(284)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부재(280)는 제2 플레이트(106)의 슬라이드 틀(302) 일측부에 형성된 제1 틀(282)에 부착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틀(302)의 일측부를 제1 플레이트(104)의 일측부에 잠글 때, 제1 자석부재(280)는 자기력(즉, 인력)에 의해서 제2 자석부재(180)에 붙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틀(302)의 테두리에 맞추어 프레임(304)을 끼울 수 있게 한다. 또한, 슬라이드 틀(302)은 제1 메인판(3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여, 프레임(304)이 핸드폰(102)에 닿지 않게 한다.
제2 플레이트(106)의 슬라이드 틀(302)이 핸드폰(102)의 볼륨 버튼이 위치하는 측면을 제외한 모든 측면을 차단시킴으로써, 핸드폰(102)을 케이스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핸드폰(102)의 볼륨 버튼을 사용하는데 제한이 없다.
프레임(304)은 슬라이드 틀(302)의 외측면을 따라 끼워지며, 보호 커버(110)의 끝단을 마감한다.
프레임(304)은, 제2 홀(262) 및 제2 장방형 홀(290)을 포함한다. 프레임(304)으로 보호 커버(110)의 끝단을 덮음으로써, 제2 플레이트(106)의 뒷면에 부착되는 보호 커버(110)가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홀(262)은 슬라이드 틀(302)의 제1 홀(26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 장방형 홀(290)은 슬라이드 틀(302)의 제1 장방형 홀(284)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핸드폰(102)의 전원코드를 꽂는 홀 및 이어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장방형 홀(290)이 형성됨으로써, 핸드폰(102)의 전원코드 및 이어폰을 연결하는데 제한이 없다.
당업자라면, 제2 플레이트(106)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04)는, 제1 자석부재(28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자석부재(280)가 인력으로 붙는 제2 자석부재(180)가 끼워지는 제2 틀(182)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100)는, 제1 자석부재(280) 및 제2 자석부재(180)를 사용함으로써, 핸드폰 케이스의 일측단을 잠글 수 있다.
제2 자석부재(180)는, 슬라이드 틀(302)의 반대편 측부이자 제1 플레이트(104)의 하면 일측부에 형성된 제2 틀(182)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104)의 하면 일측부를 슬라이드 틀(302)의 상면 일측부에 잠글 때, 제2 자석부재(180)는 자기력(즉, 인력)에 의해서 제1 자석부재(280)에 붙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자석부재(280)와 제2 자석부재(18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자석부재(280)가 N극 자석이면 제2 자석부재(180)는 S극을 가지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제1 자석부재(280)가 S극 자석이면 제2 자석부재(180)는 N극을 가지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당업자라면, 제1 자석부재(280) 및 제2 자석부재(180)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슬라이드 틀(302)은, 단차(292), 끼움돌기(350), 받침부재(352) 및 전원키 누름부(250)를 포함한다.
단차(292)는 보호 커버(110)의 끝단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제1 메인판(300)의 뒷면 테두리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틀(302)의 뒷면 테두리에 단차(292)가 형성됨으로써, 제2 플레이트(106)의 뒷면에 부착되는 보호 커버(110)의 높이를 맞추어 보호 커버(110)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끼움돌기(350)는 제1 홀(260)의 양 측단에 형성된다. 또한, 끼움돌기(350)는후술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전원키 누름부(250)에 형성된 고정 리브(256)의 고정홀(258)과 결합된다.
받침부재(352)는 제1 홀(260)과 끼움돌기(350)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받침부재(35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키 누름부(250)에 형성된 고정 리브(256)의 일부와 맞닿음으로써, 고정 리브(256)가 꺾이지 않게 함과 동시에 전원키 누름부(250)가 일정 높이 이상 내려가지 않게 방지한다.
당업자라면, 끼움돌기(350) 및 받침부재(352)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전원키 누름부(250)는 끼움돌기(350)에 결합되어, 핸드폰(102)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게 해준다.
도 5의 A 및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키 누름부(250)는, 누름부 본체(252), 돌출부(254) 및 고정 리브(256)를 포함한다. 핸드폰(102)의 전원키와 맞닿는 전원키 누름부(250)를 구비함으로써, 핸드폰 케이스에 삽입된 핸드폰(102)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다.
누름부 본체(252)는 핸드폰(102)의 전원키를 누른다.
돌출부(254)는 누름부 본체(252)의 하면에 형성되어 핸드폰(102)의 전원키와 맞닿는다.
당업자라면, 누름부 본체(252) 및 돌출부(254)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고정 리브(256)는 누름부 본체(252)의 측면에서 일자로 돌출되다가 대각선 아래방향으로 꺾인 후 다시 일자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이고, 양 끝단에 형성되어 끼움돌기(350)에 삽입되는 고정홀(258)이 형성되며, 누름부 본체(252)를 눌렀을 때 탄성으로 인해 복원이 된다.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102)의 전원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핸드폰(102)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는 전원키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전원키 부재의 하단에 돌출된 받침부가 핸드폰(102)의 전원키에 걸려서, 핸드폰(102)이 핸드폰 케이스에 잘 안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누름부 본체(252)의 측면에 고정 리브(256)가 형성된다. 고정 리브(256)는 누름부 본체(252)의 측면에서 일자로 돌출되다가 대각선 아래방향으로 꺾인 후 다시 일자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리브(256)의 대각선 아래방향으로 꺾인 부분이 슬라이드 틀(302)의 받침부재(352)와 맞닿음으로써, 누름부 본체(252)의 하단에 돌출된 돌출부(254)가 항상 위에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돌출부(254)가 항상 위에 떠 있어서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100)에 핸드폰(102)을 삽입할 때, 핸드폰(102)의 전원키가 전원키 누름부(250)의 돌출부(254)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고정 리브(256)의 대각선 아래방향으로 꺾인 부분이 슬라이드 틀(302)의 받침부재(352)와 맞닿음으로써, 전원키 누름부(250)를 눌렀을 때 고정 리브(256)에 탄성이 생겨서 전원키 누름부(250)가 원래 상태로 회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리브(256)의 탄성으로 인해 핸드폰(102) 사용자가 전원키 누름부(250)를 눌러도 전원키 누름부(250)의 고정 리브(256)가 변형되지 않고 원래 모습으로 회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리브(256)의 탄성으로 인해 유격이 발생하여 전원키 누름부(250)가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핸드폰(102) 사용자가 전원키 누름부(250)를 눌렀을 때 전원키 누름부(250)가 일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전원키 누름부(250)가 핸드폰(102)의 전원키에 닿아서 핸드폰(102)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으며, 핸드폰(102) 사용자는 전원키 누름부(250)를 눌렀을 때 핸드폰(102)의 전원키를 누르는 느낌과 유사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100)는, 카메라홀(160) 및 보조 덮개(170)를 더 포함한다.
카메라홀(160)은 핸드폰(102)의 카메라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당업자라면, 카메라홀(160)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보조 덮개(170)는 제1 플레이트(104)의 하면과 제2 플레이트(106)의 상면에 결합되어, 핸드폰(102)이 부드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보조 덮개(170)는 스웨이드(suede)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보조 덮개(170)의 재질은 미끄러지지 않은 재질(Non-slip)이라면 어느 재질이든 상관없다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102: 핸드폰
104: 제1 플레이트 106: 제2 플레이트
108: 단차부 110: 보호 커버
112: 연결부 300: 제1 메인판
302: 슬라이드 틀 304: 프레임

Claims (18)

  1. 핸드폰의 앞면을 보호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핸드폰이 일측단으로 삽입되고, 상기 핸드폰이 삽입되는 상면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폰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핸드폰의 뒷면을 보호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일측단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부가 존재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여닫을 수 있게 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핸드폰의 뒷면을 보호하는 제1 메인판; 상기 제1 메인판의 측단에 'ㄷ'자 모양으로 돌출되고, 상기 핸드폰의 전원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홀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잠기게 하는 제1 자석부재가 끼워지는 제1 틀이 형성되고, 상기 핸드폰의 전원코드를 꽂는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장방형 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드 틀; 및 상기 슬라이드 틀의 외측면을 따라 끼워지며, 상기 보호 커버의 끝단을 마감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틀은, 상기 보호 커버의 끝단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1 메인판의 뒷면 테두리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차; 상기 제1 홀의 양 측단에 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제1 홀과 상기 끼움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끼움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핸드폰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게 해주는 전원키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드 틀의 제1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홀; 및
    상기 슬라이드 틀의 제1 장방형 홀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장방형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자석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자석부재가 인력으로 붙는 제2 자석부재가 끼워지는 제2 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키 누름부는,
    상기 핸드폰의 전원키를 누르는 누름부 본체;
    상기 누름부 본체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폰의 전원키와 맞닿는 돌출부; 및
    상기 누름부 본체의 측면에서 일자로 돌출되다가 대각선 아래방향으로 꺾인 후 다시 일자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이고, 양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에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 본체를 눌렀을 때 탄성으로 인해 복원이 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의 카메라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카메라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핸드폰이 부드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가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8. 핸드폰의 앞면을 보호하는 제2 메인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메인판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형성되어 덮개를 이중으로 형성시키는 이중 덮개가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핸드폰이 일측단으로 삽입되고, 상기 핸드폰이 삽입되는 상면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폰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핸드폰의 뒷면을 보호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일측단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부가 존재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여닫을 수 있게 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덮개는,
    투명 재질의 제1 덮개; 및
    상기 제1 덮개의 하면에 접착되는 제2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덮개는,
    상기 제1 덮개의 하면과 상기 제2 덮개의 상면 사이에 라미네이팅 테이프(Optically Clear Adhensive, OCA)를 접착시켜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2 덮개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빛의 투과율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는,
    상면에 AF 코팅(Anti-Fingerprint coating) 처리를 하여 지문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는,
    하면에 무전해 증착코팅을 하여 상기 제1 덮개의 상면 상측에서 볼 때 거울처럼 보이도록 하고, 정전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핸드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핸드폰의 뒷면을 보호하는 제1 메인판;
    상기 제1 메인판의 측단에 'ㄷ'자 모양으로 돌출되고, 상기 핸드폰의 전원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홀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잠기게 하는 제1 자석부재가 끼워지는 제1 틀이 형성되고, 상기 핸드폰의 전원코드를 꽂는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장방형 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드 틀; 및
    상기 슬라이드 틀의 외측면을 따라 끼워지며, 상기 보호 커버의 끝단을 마감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드 틀의 제1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홀; 및
    상기 슬라이드 틀의 제1 장방형 홀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장방형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자석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자석부재가 인력으로 붙는 제2 자석부재가 끼워지는 제2 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틀은,
    상기 보호 커버의 끝단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1 메인판의 뒷면 테두리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차;
    상기 제1 홀의 양 측단에 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제1 홀과 상기 끼움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끼움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핸드폰의 전원키를 누를 수 있게 해주는 전원키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키 누름부는,
    상기 핸드폰의 전원키를 누르는 누름부 본체;
    상기 누름부 본체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폰의 전원키와 맞닿는 돌출부; 및
    상기 누름부 본체의 측면에서 일자로 돌출되다가 대각선 아래방향으로 꺾인 후 다시 일자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이고, 양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에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 본체를 눌렀을 때 탄성으로 인해 복원이 되는 고정 리브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의 카메라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카메라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핸드폰이 부드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가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KR2020130003885U 2013-05-16 2013-05-16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KR200476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85U KR200476300Y1 (ko) 2013-05-16 2013-05-16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85U KR200476300Y1 (ko) 2013-05-16 2013-05-16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957U KR20140005957U (ko) 2014-11-28
KR200476300Y1 true KR200476300Y1 (ko) 2015-02-16

Family

ID=5245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885U KR200476300Y1 (ko) 2013-05-16 2013-05-16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3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723B1 (ko) * 2017-03-07 2017-09-12 황덕기 모바일 기기 슬라이딩 장치
KR102660605B1 (ko) * 2019-01-08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장치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008Y1 (ko) * 2004-05-04 2004-07-21 손승완 교구가방의 경첩구조
KR100988204B1 (ko) * 2010-07-26 2010-10-18 에스지피코리아 (주) 바 형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64166Y1 (ko) * 2012-09-28 2012-12-13 조영록 사출몰딩타입 휴대폰 커버
KR200465844Y1 (ko) * 2012-11-13 2013-03-12 이춘식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008Y1 (ko) * 2004-05-04 2004-07-21 손승완 교구가방의 경첩구조
KR100988204B1 (ko) * 2010-07-26 2010-10-18 에스지피코리아 (주) 바 형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64166Y1 (ko) * 2012-09-28 2012-12-13 조영록 사출몰딩타입 휴대폰 커버
KR200465844Y1 (ko) * 2012-11-13 2013-03-12 이춘식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957U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US8167126B2 (en) Button mechanisms for electronic device cases
US8363036B2 (en) Stylus retain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4765416B (zh) 用于保护盖的附接及拆离装置以及电子装置
US20160254836A1 (en) Waterproof casing with exposed display surface
US8605452B2 (en) Chip card hold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93401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227847B1 (ko) 휴대단말기의 보호커버
CN210075346U (zh) 一种电子设备
KR200476300Y1 (ko) 덮개있는 핸드폰 케이스
KR101390793B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CN105320228B (zh) 固定装置及其应用的电脑装置
KR200473245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7336781B2 (en) Latching assembly for a removable cover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50000251U (ko) 직선 운동이 가능한 휴대폰 홀더가 구비된 수첩형 휴대폰 케이스
KR101327370B1 (ko)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용 커버
TWI507923B (zh) 鍵盤裝置
US8219162B2 (en) Electronic device
TWI402023B (zh) 電池蓋卡鎖結構
KR20120103854A (ko) 바형 휴대기기용 케이스 및 바형 휴대기기와의 조립방법
US20100188805A1 (en) Cover releasing mechanisms
KR101255559B1 (ko)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KR20150000209U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67722Y1 (ko) 터치가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N112788170A (zh) 一种手机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