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55Y1 - 육묘판 이송 선반 - Google Patents

육묘판 이송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155Y1
KR200476155Y1 KR2020140005449U KR20140005449U KR200476155Y1 KR 200476155 Y1 KR200476155 Y1 KR 200476155Y1 KR 2020140005449 U KR2020140005449 U KR 2020140005449U KR 20140005449 U KR20140005449 U KR 20140005449U KR 200476155 Y1 KR200476155 Y1 KR 200476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drain
seedlings
seedling
drai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태
Original Assignee
이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태 filed Critical 이정태
Priority to KR2020140005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70Flowers; Pots;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송바퀴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다수의 육묘를 적재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육묘선반이 설치되고, 상기 육묘선반에 물빠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수로가 형성된 육묘판 이송 선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육묘판 이송 선반은, 1쌍의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사이를 일정길이로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선반프레임(120); 상기 선반프레임(120)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이격 배치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31)을 갖는 육묘선반(130); 상기 육묘선반(13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131)에 채워진 물을 하부에 배치된 다른 육모선반(130)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배수밸브(140); 를 포함하되, 상기 육묘선반(130)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배수로(132)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로(132)에는 상기 제1배수밸브(140)와 연결되는 배수구(133)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육묘판 이송 선반{ Seeding tray for transport }
본 고안은 육묘판 이송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량의 육묘를 손쉽게 적재 및 이송할 수 있는 육묘판 이송 선반에 관한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묘의 운송은 육묘 포트의 형태 그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골판지로 이루어진 운반상자 내에 담겨져서 경작지로 이송된다.
그런데, 육묘 포트의 형태로 육묘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운반중에 모종이 훼손될 수 있고, 1회 운송량이 적어서 운송작업에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골판지로 이루어진 운반상자 내에 담아서 이송하는 경우에는, 골판지 사용후 보관 등의 문제로 재활용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육묘가격의 상승으로 경제성 면에서 문제가 있고, 운송작업에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드는 결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3-0023627호 에는 다변형 육묘 폿트 운반상자가 개시된바 있다.
이 운반상자는 모종의 크기에 맞게 폿트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모종을 운반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운반상자는 육묘 폿트를 운반상자 내에 적재한 후에는 수동으로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노동력이 많이 들고 운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결점을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다량의 육묘를 파손됨이 없이 손쉽게 이송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3-0023627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송바퀴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다수의 육묘를 적재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육묘선반이 설치되고, 상기 육묘선반에 물빠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수로가 형성된 육묘판 이송 선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육묘판 이송 선반은, 1쌍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사이를 일정길이로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선반프레임과, 상기 선반프레임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이격 배치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육묘선반 및, 상기 육묘선반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고안에 채워진 물을 하부에 배치된 다른 육모선반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배수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육묘선반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배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로에는 상기 제1배수밸브와 연결되는 배수구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는 상기 육묘선반(130)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로부와, 상기 육묘선반의 세로 방향으로 길게 상기 가로부와 교차되게 형성되는 세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육묘선반의 배수로를 관통하여 상하 길게 설치되며, 하단에 상기 제1배수밸브가 연결되고, 측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파이프와, 상기 배수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공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파이프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물이 유입될 경우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수파이프를 개방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수위가 상기 배수공 보다 높아지면 상기 배수파이프를 차단하는 제2배수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2배수밸브의 하부에는 부력을 갖는 부력부재를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육묘판 이송 선반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다수개의 육묘선반이 상하 이격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이송바퀴가 구비되어 다량의 육묘판을 적재하여 쉽게 이송시킬 수 있고, 상기 육묘선반의 하부에 상기 배수로가 형성됨으로써, 물의 배출시 물을 유도하여 배수를 용이하게 하며, 특히, 상기 배수로가 가로부와 세로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육묘선반이 얇은 판재로 제작될 경우에도 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경량으로 제작하여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배수파이프의 배수공 상부에 부력을 갖는 제2배수밸브가 장착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일정한 높이로 물이 채워지도록 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있는 물을 한 번의 조작으로 모두 한꺼번에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의 육묘선반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의 작동 과정도이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의 육묘선반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은 1쌍의 베이스프레임(110), 선반프레임(120), 육묘선반(130) 및 제1배수밸브(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직사각형의 납작한 판재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이송바퀴(111)가 모서리 부근에 각각 하나씩 장착된다.
상기 이송바퀴(111)는 브레이크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일반적인 캐스터로 이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 상기 이송바퀴(111)가 장착됨으로써, 다수개의 육묘를 적재한 후에 쉽게 밀어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선반프레임(12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6개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좌,우측 테두리에 각각 3개씩 세워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선반프레임(120)은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선반프레임(120)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상기 육묘선반(13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육묘선반(130)은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31)을 갖으며, 10개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물론, 상기 육묘선반(130)의 개수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증감 가능하다.
상기 수용공간(131)은 육묘판을 수납하는 공간이며, 육묘의 발아를 위해 물이 일정 높이 만큼 채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육묘선반(130)의 상기 수용공간(131)의 내측 하면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배수로(132)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132)는 상기 육묘선반(130)의 가운대에 가로 방향으로 긴 가로부(132a)와, 상기 육묘선반(130)의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즉 상기 가로부(132a)와 직교되게 형성된 세로부(132b)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배수로(132)는 상기 가로부(132a) 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세로부(132b)가 교차 형성됨으로써, 상기 육묘선반(130)의 하부 강도를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상기 육묘선반(130)이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더라도 많은 하중을 버틸 수 있어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배수로(132)의 상기 가로부(132a)의 끝단에는 하방향으로 배수구(133)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133)는 상기 수용공간(131)에 채워진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상기 배수로(132)를 통해 유도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구멍이다.
이러한 상기 배수구(133)의 하단에는 상기 배수구(133)를 개폐하는 상기 제1배수밸브(14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배수밸브(140)는 일반적인 수도용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공간(131)에 채워진 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레버를 수동으로 작동회전시켜 상기 배수구(133)를 개방한다.
또한, 상기 제1배수밸브(140)의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연결파이프(14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파이프(141)는 하부에 배치된 다른 상기 육묘선반(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다른 상기 육묘선반(130)의 수용공간(131)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은 상기 제1배수밸브(140)를 최하단에 있는 것부터 개방하며, 최하단 육묘선반(130)의 물이 배출되면, 그 위에 배치된 다른 육묘선반(130)의 제1배수밸브(140)를 개방하여 물을 배출하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연결파이프(141)에 호스를 연결하여, 물을 빼내고 싶은 육묘선반(130)을 선택하여 별도로 배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은, 다수개의 육묘선반(130)이 상하 이격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이송바퀴(111)가 구비되어 다량의 육묘판을 적재하여 쉽게 이송시킬 수 있고, 상기 육묘선반(130)의 하부에 상기 배수로(132)가 형성됨으로써, 물의 배출시 물을 유도하여 배수를 용이하게 하고, 특히, 상기 배수로(132)가 가로부(132a)와 세로부(132b)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육묘선반이 얇은 판재로 제작될 경우에도 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경량으로 제작하여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의 작동 과정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은 베이스프레임(110), 선반프레임(120), 육묘선반(130), 제1배수밸브(140), 배수파이프(150), 제2배수밸브(160) 및 부력부재(170)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의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선반프레임(120), 육묘선반(130) 및 제1배수밸브(140)의 구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수파이프(150)는 내부에 물이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된 파이프로,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다수개의 상기 육묘선반(130)의 배수구(133)를 모두 관통하여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배수파이프(150)의 최하단에는 상기 제1배수밸브(140)가 1개 설치된다.
상기 제1배수밸브(140)는 제1실시예의 제1배수밸브(140)와 장착되는 위치 및 개수만 다를 뿐 구성은 동일하다.
또한, 상기 배수파이프(150)에는 상기 육묘선반(130) 방향으로 상기 육묘선반(130)의 개수만큼 배수공(151)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151)은 하나의 상기 육묘선반(130)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며, 상기 육묘선반(130)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육묘선반(130)의 수용공간(131)과 연통된다.
이러한 상기 배수파이프(150)의 내부에는 상기 배수파이프(150)를 개폐하는 상기 제2배수밸브(160)가 설치된다.
상기 제2배수밸브(160)는 납작한 판 형상이며, 상기 배수공(151)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 배수공(151)의 상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배수밸브(160)는 일단이 상기 배수파이프(150)의 배수공(15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배수파이프(150)의 통로에 배치되어 자유롭게 상하 절곡된다.
이러한 상기 제2배수밸브(160)는 상기 배수파이프(150)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물이 유입될 경우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수파이프(150)를 개방하고, 상기 수용공간(131)의 수위가 상기 배수공(151) 보다 높아지면 상기 배수파이프(150)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2배수밸브(160)의 하단에는 부력부재(170)가 장착된다. 상기 부력부재(170)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통으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물에 뜨는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부력부재(170)에 의해 상기 제2배수밸브(160)는 상기 수용공간(131)의 수위가 상기 배수공(151) 보다 높아지면 상승하여 상기 배수파이프(150)를 차단하게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육묘판 이송 선반은 맨 위의 상기 배수공(151)이나 상기 배수파이프(150)의 최상단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배수밸브(160)는 물의 하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수파이프(150)를 개방하게 되고, 물은 상기 배수파이프(150)를 통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최하단의 상기 배수공(151)으로 배출되어 상기 육묘선반(130)의 수용공간(131)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이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31)에 물의 수위가 상기 배수공(151) 보다 높아지게 되면 상기 제2배수밸브(160)의 부력에 의해 상기 배수밸브는 상승하여 상기 배수파이프(150)를 폐쇄하게 된다.
최하단의 제2배수밸브(160)가 잠기면 그 위의 배수공(151)으로 물이 배출되어 위쪽 육묘선반(130)의 수용공간(131)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계속적으로 거쳐 최상단의 육묘선반(130)의 수용공간(131)까지 물이 자동으로 채워지게 된다.
만약, 상기 수용공간(131)에 채워진 물을 배출할 때에는 상기 배수파이프(150)의 최하단에 장착된 상기 제1배수밸브(140)를 열어 한번에 모든 육묘선반(13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수파이프(150)의 배수공(151) 상부에 부력을 갖는 제2배수밸브(160)가 장착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수용공간(131)에 일정한 높이로 물이 채워지도록 하고, 물의 배출을 한번에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이송바퀴
120 : 선반프레임 130 : 육묘선반
131 : 수용공간 132 : 배수로
132a : 가로부 132b : 세로부
133 : 배수구 140 : 제1배수밸브
141 : 연결파이프 150 : 배수파이프
151 : 배수공 160 : 제2배수밸브
170 : 부력부재,

Claims (4)

1쌍의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사이를 일정길이로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선반프레임(120);
상기 선반프레임(120)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이격 배치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31)을 갖는 육묘선반(130);
상기 육묘선반(13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131)에 채워진 물을 하부에 배치된 다른 육모선반(130)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배수밸브(140);
상기 육묘선반(130)의 배수로(132)를 관통하여 상하 길게 설치되며, 하단에 상기 제1배수밸브(140)가 연결되고, 측부에 상기 수용공간(131)과 연통되는 배수공(151)이 형성된 배수파이프(150);
상기 배수파이프(1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공(15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파이프(150)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물이 유입될 경우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수파이프(150)를 개방하고, 상기 수용공간(131)의 수위가 상기 배수공(151) 보다 높아지면 상기 배수파이프(150)를 차단하는 제2배수밸브(160); 를 포함하고,
상기 육묘선반(130)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배수로(132)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로(132)에는 상기 제1배수밸브(140)와 연결되는 배수구(1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판 이송선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132)는 상기 육묘선반(130)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로부(132a)와, 상기 육묘선반(130)의 세로 방향으로 길게 상기 가로부(132a)와 교차되게 형성되는 세로부(132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판 이송선반.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밸브(160)의 하부에는 부력을 갖는 부력부재(17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판 이송 선반.
KR2020140005449U 2014-07-21 2014-07-21 육묘판 이송 선반 KR200476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449U KR200476155Y1 (ko) 2014-07-21 2014-07-21 육묘판 이송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449U KR200476155Y1 (ko) 2014-07-21 2014-07-21 육묘판 이송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155Y1 true KR200476155Y1 (ko) 2015-02-11

Family

ID=5259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449U KR200476155Y1 (ko) 2014-07-21 2014-07-21 육묘판 이송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15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7127A (zh) * 2017-06-21 2017-08-18 金海珍 一种便于幼苗移植的植物培养装置
KR101995537B1 (ko) 2018-03-29 2019-07-03 조준래 허리 부착형 다기능 거치대
KR20210028449A (ko) 2019-09-04 2021-03-12 조준래 허리 부착을 위한 착탈식 다기능 거치대
KR20220151302A (ko) * 2021-05-06 2022-11-15 주식회사 굴리 모판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팜 컨테이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956Y1 (ko) 2004-11-06 2005-03-11 최승수 화분의 급수장치
KR101157087B1 (ko) 2010-05-14 2012-06-21 전형기 조립식 받침상자가 구비된 간편 육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956Y1 (ko) 2004-11-06 2005-03-11 최승수 화분의 급수장치
KR101157087B1 (ko) 2010-05-14 2012-06-21 전형기 조립식 받침상자가 구비된 간편 육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7127A (zh) * 2017-06-21 2017-08-18 金海珍 一种便于幼苗移植的植物培养装置
KR101995537B1 (ko) 2018-03-29 2019-07-03 조준래 허리 부착형 다기능 거치대
KR20210028449A (ko) 2019-09-04 2021-03-12 조준래 허리 부착을 위한 착탈식 다기능 거치대
KR20220151302A (ko) * 2021-05-06 2022-11-15 주식회사 굴리 모판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팜 컨테이너
KR102646877B1 (ko) * 2021-05-06 2024-03-12 주식회사 굴리 모판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팜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155Y1 (ko) 육묘판 이송 선반
US11130614B2 (en) Stackable container
US20140017043A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DK2688391T3 (en) Opformeringsbeholder to plants and opformeringsplade with more such opformeringsbeholdere
NL2013161B1 (en)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using a carrier with a removable side support structure arranged thereon.
US20130174481A1 (en) Seedling tray
US9468155B2 (en) Planting wall container structure
CN208029823U (zh) 植物栽培柜
EP2975925B1 (en) Double tray system for seed sowing or seedling transplantation
JP2019058097A (ja) 水耕栽培装置
KR20150040434A (ko) 다단식 소채류 재배장치
US11284570B2 (en) System for cultivating plants or vegetables
RU160359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луковичных растений
KR200482126Y1 (ko) 다단식 소채류 재배장치
JP6585452B2 (ja) 植物培養装置及び植物工場
CN110463463A (zh) 一种多阶段蔬菜栽培装置
CN207560889U (zh) 一种家用智能花盆的自动浇水装置
KR101826930B1 (ko)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EP3308638B1 (en) Improved support device for hydroponic cultivation
JP2017127312A (ja) 段積設備
EP4096985A1 (en) System for cultivation of plants in receptacles with a supply hub and trolleys supporting the receptacles
JP2017063712A (ja) 植物培養装置
KR20130049070A (ko) 두채류 재배기
US20090139140A1 (en) Method and device to grow bulb-crops
JP5812218B2 (ja) 段積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