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45Y1 - Multipurpose support for cooking vessel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support for cooking ves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6145Y1 KR200476145Y1 KR2020140000553U KR20140000553U KR200476145Y1 KR 200476145 Y1 KR200476145 Y1 KR 200476145Y1 KR 2020140000553 U KR2020140000553 U KR 2020140000553U KR 20140000553 U KR20140000553 U KR 20140000553U KR 200476145 Y1 KR200476145 Y1 KR 2004761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hollow
- lid
- support
- cooking vesse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를 받치는 받침대로 사용되는 한편, 그 조리용기의 뚜껑을 거치하는 받침대로 사용 가능한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ooking vessel pedest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cooking vessel pedestal that is used as a pedestal for supporting a cooking vessel and can be used as a pedestal for holding a lid of the cooking vessel.
Description
본 고안은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를 받치는 받침대로 사용되는 한편, 그 조리용기의 뚜껑을 거치하는 받침대로 사용 가능한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ooking vessel pedest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cooking vessel pedestal that is used as a pedestal for supporting a cooking vessel and can be used as a pedestal for holding a lid of the cooking vessel.
일반적으로 조리용기 받침대는 냄비나, 프라이팬 등을 포함하는 조리용기를 식탁이나, 밥상 등에 올려놓을 때 받침으로 사용된다.Generally, a cooking vessel base is used as a base when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pot, a frying pan, and the like is placed on a table, a table or the like.
이와 같은 조리용기 받침대는 뜨거운 조리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를 차단하여 식탁이나, 밥상 등의 표면을 보호하는 한편, 그 식탁이나, 밥상 등의 표면으로부터 조리용기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Such a cooking vessel pedestal blocks heat generated from a hot cooking vessel to protect the surface of a table or a rice dish, and prevents the cooking vessel from slipping from the surface of the dining table or the rice dish.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32209호에는 이러한 냄비받침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32209 discloses such a pot support.
그러나, 종래의 조리용기 받침대는 단순히 조리용기를 받치는 용도로만 사용될 뿐 별도의 다른 용도로서의 기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oking vessel pedestal is used merely for supporting the cooking vessel,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a function as another use.
이로 인해, 조리용기를 사용한 음식물 조리시, 조리용기의 뚜껑을 개방한 후,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거치수단 등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cooking food using the cooking vessel,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mounting means for opening the lid of the cooking vessel after the lid is opened.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용기를 받치는 받침대로 사용되는 한편, 그 조리용기의 뚜껑을 거치하는 받침대로 사용 가능한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support which can be used as a pedestal for supporting a cooking utensil and as a pedestal for mounting a lid of the cooking utensil.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며, 별도의 뚜껑에 의해 그 상부가 개폐되는 조리용기를 받치는 받침대로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양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조리용기와 상기 뚜껑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거나, 거치되며, 상기 뚜껑은, 둘레를 이루는 외측이 상기 중공으로 인입되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apparatus for cooking a cooking utensil, the cooking utensil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n upper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utensil, the cooking utensil having a top and a bottom, A plate having at least one hollow formed in a straight or curved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of the plate;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plate, wherein either one of the cooking vessel and the lid is seated or mounted on the plate, and the outer side of the lid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is mounted. And a cooking cavity.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중공은, 양측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단부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측 또는 내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side end portions is inclined outwardly or inwardly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lower side.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중공은, 복수로 이루어지며, 양단부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각각 양단부 사이 중앙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통과하면서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low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hollows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both end portions or in such a manner that a central portion between both ends passes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and cross each other.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복수의 중공은, 양단부 사이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hollow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s between both end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복수의 중공은, 양측단부 사이 폭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hollow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s of the opposite end por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중공을 이루는 둘레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non-slip member provided around the hollow.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양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중공을 이루는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중공을 이루는 일측단부에 연결되며, 일측단부에 상기 뚜껑과 접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n-slip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oth end portions and both end portions, both ends of which extend in the direction of both ends of the hollow portion, the othe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one end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that contact each other are formed.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지바는, 상기 플레이트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세로로 펼쳐지거나, 가로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bar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and the other end extends downward,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re foldably connected to the plate, Or folded horizontally.
본 고안에 따르면, 뜨거워진 상태의 조리용기를 받칠 수 있음으로써 조리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를 차단하여 식탁이나, 밥상 등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식탁이나, 밥상 등의 표면으로부터 조리용기가 미끄러지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a cooking vessel in a hot state, thereby preventing heat generated from the cooking vessel and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dining table and the cooking utensil,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may be caused when the container slips.
또한, 음식물 조리시, 뜨거워진 조리용기의 뚜껑을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음식물 조리 후에는 세척된 조리용기의 뚜껑을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food is cooked, the lid of the hot cooking vessel can be easily mounted, and after the food is cooked, the lid of the cooked cooking vessel can be stored and stored.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에서 중공에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에서 플레이트에 복수의 중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에서 지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non-slip member is provided in the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plan views showing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hollows are formed on a plate in the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upport part in the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1)는 상부가 개구되며, 별도의 뚜껑(110)에 의해 그 상부가 개폐되는 조리용기(100)를 받치는 받침대로서, 상부에 상기 조리용기(100)가 안착되는 플레이트(10) 및 상기 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지지부(20)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1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11)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11)으로 상기 뚜껑(110)이 거치된다.1 to 8, a multi-purpose
상기 조리용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형태의 냄비나, 프라이팬 등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110)은 개폐에 의해 그 조리용기(100)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덮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플레이트(10)는 사각, 육각 형태 등을 포함하는 다각 형태나, 원형 형태 등으로 형성되며, 불연성 및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상기 중공(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11a,11b) 및 그 양단부(11a,11b)를 연결하는 양측단부(11c,11d)를 가지며, 그 양단부(11a,11b)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중공(11)은 그 중공(11)을 이루는 둘레가 양단부(11a,11b) 및 양측단부(11c,11d)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hollow 11 has both
상기 뚜껑(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즉, 외주면을 이루는 둘레가 상기 중공(11)으로 인입되어 거치되며, 그 거치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0)로부터 상, 하 방향으로 거치된다.4, the outer periphery of the
상기 중공(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11a,11b)가 라운딩되고, 양측단부(11c,11d)가 곡면을 이루면서 곡선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측단부(11c)는 만입되어 상기 뚜껑(110)의 상부 표면과 접하고, 타측단부(11d)는 만곡되어 그 뚜껑(110)의 하부와 대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hollow 11 is preferably rounded at both
이는, 상기 뚜껑(110)은 상부 표면이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인해 양측단부(11c,11d)가 곡면을 이루면서 그 뚜껑(110)의 거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중공(11)은 양측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단부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측 또는 내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side ends of the hollow 11 has a slope outward or inward as it go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이는, 상기 뚜껑(110)의 상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곡면을 이루는 한편, 일정크기를 갖기 때문에 상기 중공(11)을 이루는 양측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단부가 상기 뚜껑(110)과 접하면서 일측으로 경사를 이루며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플레이트(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11)을 이루는 둘레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재(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2)는 상기 중공(11)을 이루는 양측단부(11c,11d) 중 타측단부(11d)에 결합되며,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2)는 상기 중공(11)으로 인입되는 상기 뚜껑(11)의 하부 내측면과 접하면서 그 뚜껑(110)이 흔들림 없이 안정된 거치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The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2)는 양단부가 상기 중공(11)을 이루는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측단부가 그 중공(11)을 이루는 타측단부(11d)에 연결되고, 일측단부에 복수의 돌기(13)가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복수의 돌기(13)는 각각 반원이나, 삼각, 사각 등을 포함하는 다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상기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1)는 상기 뚜껑(110)의 거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하거나, 그 뚜껑(110)을 복수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11)이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ulti-purpose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중공(11)은 각각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 방향과 교차되는 양측단부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 사이 중앙부가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앙부를 통과하면서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된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상기 복수의 중공(11)은 각각 양단부 사이 길이(A)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거나, 양측단부 사이 폭(B)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이는, 상기 뚜껑(110)의 크기나, 모양 등에 따라 상기 복수의 중공(11) 중 상기 뚜껑(110)에 대응되는 형태의 중공을 선택하여 안정된 거치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It can be understood that a hollow corresponding to the
상기 지지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탁이나, 밥상 등의 상부면(200)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지지에 의해 상기 중공(11)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뚜껑(110)과 상기 상부면(200)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한다.3, the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0)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방항으로 연장 형성되는 링 형태를 이룰 수 있다.For this, the
또는, 상기 지지부(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바(21)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상기 복수의 지지바(21)는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10)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상기 복수의 지지바(21)가 상기 플레이트(10)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식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nner in which the plurality of
상기 복수의 지지바(21)는 절첩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0)의 하부면으로부터 세로로 펼쳐져 상기 상부면(200)과 상기 플레이트(10)와의 이격거리가 커질 수 있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이와 반대로, 상기 복수의 지지바(21)는 절첩에 따라 세로로 펼쳐진 상태로부터 가로로 접혀져 상기 상부면(200)과 상기 플레이트(10)와의 이격거리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한다.In contrast, the plurality of
이는, 상기 뚜껑(110)의 크기나, 모양 등에 따라 상기 중공(11)을 통해 인입되는 인입 정도가 다르기 때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지지바(21)는 절첩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0)와 상기 상부면(200)과의 이격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뚜껑(110)과 상기 상부면(200)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한다.This can be understood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degree of pull-in through the hollow 11 differs depending on the size, shape and the like of the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1)는 상기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상기 조리용기(100)를 받치는 받침대로 사용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중공(11)으로 상기 뚜껑(110)을 거치하여 거치대로 사용한다.1 to 8, the multi-purpose
이때에는, 거치되는 상기 뚜껑(110)의 크기나, 모양 등에 따라 상기 복수의 중공(11) 중 그에 대응되는 중공을 선택하여 상기 뚜껑(110)을 거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In this cas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select the hollow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지바(21)를 세로로 펼쳐 상기 상부면(200)과 상기 플레이트(10)와의 이격거리가 커질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세로로 펼쳐진 상기 복수의 지지바(21)를 가로로 절첩하여 상기 상부면(200)과 상기 플레이트(10)와의 이격거리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한다.If necessary, the plurality of
이로 인해, 상기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1)는 뜨거워진 상기 조리용기(100)를 안전하게 받칠 수 있다.Accordingly, the multi-purpose
또한, 상기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1)는 뜨거워진 상기 뚜껑(110)을 상기 중공(11)에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음식물 조리 후에는 세척된 상기 뚜껑(110)을 간편하게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applied to a cooking apparatus for a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skill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 10 : 플레이트
11 : 중공 20 : 지지부
21 : 지지바 100 : 조리용기
110 : 뚜껑 200 : 상부면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Multipurpose cooking vessel base 10: Plate
11: hollow 20:
21: Support bar 100: Cooking container
110: lid 200: upper surface
Claims (8)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양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중공을 이루는 둘레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조리용기와 상기 뚜껑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거나, 거치되며,
상기 뚜껑은,
둘레를 이루는 외측이 상기 중공으로 인입되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A pedestal for supporting a cooking utensil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and closed by a separate lid,
A plate having at least one hollow portion formed in a straight or curved shape extending in the directions of both ends thereof, the plate having both end portions and both end portions and penetrating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 non-slip member provided around the hollow; And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plate,
In the plate,
Wherein one of the cooking vessel and the lid is seated or mounted,
The lid,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periphery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is mounted.
상기 중공은,
양측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단부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측 또는 내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low,
Wherein at least one side end portion of the opposite end portions is inclined outwardly or inwardly from the lower portion toward the upper portion.
상기 중공은,
복수로 이루어지며,
양단부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각각 양단부 사이 중앙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통과하면서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low,
And,
They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both ends,
Wherein a center por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plate is disposed so as to cross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a center portion of the plate.
상기 복수의 중공은,
양단부 사이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hollows
And a length between both ends of the cooking cavity is differently formed.
상기 복수의 중공은,
양측단부 사이 폭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hollows
And the widths of the opposite end por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양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중공을 이루는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중공을 이루는 일측단부에 연결되며, 일측단부에 상기 뚜껑과 접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rotrusions, the protrusions being in contact with the lid, the protrusions being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protrusions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both ends of the hollow. A multi-purpose cooking vessel holder.
상기 지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지바는,
상기 플레이트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세로로 펼쳐지거나, 가로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4, 5, and 7,
The support por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xtended in a downward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Wherein the plate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plate so as to be vertically spread or horizontally fol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0553U KR200476145Y1 (en) | 2014-01-24 | 2014-01-24 | Multipurpose support for cooking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0553U KR200476145Y1 (en) | 2014-01-24 | 2014-01-24 | Multipurpose support for cooking vess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6145Y1 true KR200476145Y1 (en) | 2015-02-02 |
Family
ID=5259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0553U KR200476145Y1 (en) | 2014-01-24 | 2014-01-24 | Multipurpose support for cooking vess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6145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59225A (en) * | 2017-04-07 | 2017-06-20 | 宁波复新智能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ulti-functional coast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6276U (en) * | 1997-10-24 | 1999-05-25 | 홍동진 | Cookware pedestal |
KR200202920Y1 (en) * | 2000-06-16 | 2000-11-15 | 김재욱 | Thermal Container Support |
KR200350556Y1 (en) * | 2004-02-19 | 2004-05-17 | 정윤성 | Pot-lid stand |
-
2014
- 2014-01-24 KR KR2020140000553U patent/KR200476145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6276U (en) * | 1997-10-24 | 1999-05-25 | 홍동진 | Cookware pedestal |
KR200202920Y1 (en) * | 2000-06-16 | 2000-11-15 | 김재욱 | Thermal Container Support |
KR200350556Y1 (en) * | 2004-02-19 | 2004-05-17 | 정윤성 | Pot-lid stan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59225A (en) * | 2017-04-07 | 2017-06-20 | 宁波复新智能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ulti-functional coaster |
CN106859225B (en) * | 2017-04-07 | 2018-02-06 | 宁波复新智能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ulti-functional coas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115107A (en) | Combination condiment rack and barbecue tool holders | |
CN108065765B (en) | Food steamer and bracket system | |
EP2976976B1 (en) |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 |
US20150104555A1 (en) | Splatter shield for cooking | |
US20140224810A1 (en) | Multi-Functional Flat Lid | |
US20160338536A1 (en) | Barbecue grill comprising a height-adjustable cooking grill | |
US20180042426A1 (en) | Collapsible splatter guard | |
KR200476145Y1 (en) | Multipurpose support for cooking vessel | |
US20160338535A1 (en) | Charcoal grill | |
EP2036482A1 (en) | Support for glasses for dishwasher baskets | |
US2040648A (en) | Egg holder | |
US1453054A (en) | False bottom for cooking utensils | |
US20150233584A1 (en) | Rack for Holding Cookware on a Cooktop | |
WO2012083348A1 (en) | Improved cooktop safety assembly | |
KR200385652Y1 (en) | Frying pan supporter | |
US1620407A (en) | Bottle rack | |
US1339491A (en) | Receptacle-support | |
JP5177723B1 (en) | Triangle corner with Gotoku-shaped stand | |
US1194030A (en) | Ofeic | |
JP5432327B2 (en) | Pan lid stand | |
JP6144746B2 (en) | Lid holder | |
KR20150004092U (en) | A lid of vessel for cooking | |
KR102412233B1 (en) | Cover fixture for cup noodles | |
JP3175492U (en) | container | |
JP3729418B1 (en) | Food container pack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