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20Y1 - 편의성이 향상된 헤어아이론 - Google Patents

편의성이 향상된 헤어아이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120Y1
KR200476120Y1 KR2020110001376U KR20110001376U KR200476120Y1 KR 200476120 Y1 KR200476120 Y1 KR 200476120Y1 KR 2020110001376 U KR2020110001376 U KR 2020110001376U KR 20110001376 U KR20110001376 U KR 20110001376U KR 200476120 Y1 KR200476120 Y1 KR 200476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heating plate
hair
upper body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024U (ko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이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수 filed Critical 이승수
Priority to KR2020110001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20Y1/ko
Priority to PCT/KR2011/006854 priority patent/WO2012111898A1/ko
Publication of KR20120006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0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0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the jaws remaining parallel to each other during use, e.g. the jaws sliding parallel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1Hair straighten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6/14Simple clamps for hair curlers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돌기와 제2상부돌기가 구비되는 상부본체; 상부본체와 서로 힌지 결합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돌기와 제2하부돌기가 구비되는 하부본체;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일측과 결합되며,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접속부; 및 상부본체의 하측면과 하부본체의 상측면에 결합되며, 전원접속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편의성이 향상된 헤어아이론 {Hair ir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본 고안은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되거나 함돌되는 마크가 구비되어 작업시 가열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파지안내표시부를 기준으로 파지하도록 하여 올바른 시술 자세를 유지하면서 파지할 수 있으며, 상부돌기와 하부돌기에 의해 모발이 끼이지 않으며, 아울러 모발 퍼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아이론은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파지하는 부분인 아이론본체와 상기 아이론본체에 구비되는 가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가열판으로 전달되는 열을 이용하여 헤어를 펴고 또는 마는 등의 작업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스타일이 완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헤어아이론의 전체적인 형상은 사용자의 손바닥에 의해 파지되며 헤어와 접촉되어 열을 전달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수단과, 상기 열전달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코드부와, 상기 전기코드부와 열전달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주는 전원접속부로 구성된다.
종래의 머리카락이 끼이게 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헤어아이론 관련 기술인 등록특허 10-0896782호 '머리카락 끼임 방지기능을 구비한 헤어 아이언(HAIR IRON)'은, 수용부를 각각 구비하고, 축핀을 중심으로 맞물리는 두 분체로 이루어진 바디; 및 상기 분체의 수용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축핀 반대편의 일단부(一端部) 또는 타단부(他端部), 또는 이들 모두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非)직교하는 형상을 갖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누름부재는 양단부(兩端部) 모두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非)직교하는 형상을 갖고, 또 이 양단부는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끼임 방지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10-0896782호는 발열판의 단부 라인이 머리카락의 결 방향대로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곡선 내지는 직선을 형성해야만 하는 제조상의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등록특허 10-0408988호 '전자석을 이용한 전기헤어아이론'은, 일측에 두발을 수용하는 상부가열판이 부착되고 전열히터가 내장된 가열부를 가지며 타측에 손을 파지하는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작동부재와, 작동부재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두발을 수용하는 하부가열판을 갖는 전열히터가 내장된 가열부를 가지며 타측에 손을 파지하는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와, 상기의 작동부재와 고정부재가 손의 파지하는 힘에 의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탄성체를 갖는 힌지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파지부에 연결되는 전선을 갖는 전원공급용 플러그로 구성되는 전기헤어아이론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부가열판의 하부면에 종방향으로 상부굴곡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면에 가변저항을 갖는 전력세기 조정용 다이얼식 제1스위치와 가변저항을 갖는 발진주기 조정용 제2스위치가 설치되고, 하부면에는 제1스위치와 연결되고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이 설치되는 것과; 상기 고정부재는 하부가열판의 상부면에 상기 작동부재의 상부굴곡부와 치합되도록 종방향으로 하부굴곡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작동부재의 전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성체가 설치되는 것과; 상기 플러그는 상기 작동부재의 제2스위치에 연결되고 전류가 주기적으로 공급 및 차단되는 발진기와 상기 작동부재의 제1스위치에 연결되고 발진기에서 발생되는 발진주파수를 증폭하는 증폭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 10-0408988호에는, 케이스의 상단에 돌기 형태의 스위치가 케이스 중앙에 형성되며, 이러한 스위치의 작동을 위하여 손가락의 파지위치를 간접적으로 안내하는 기능이 있다고 하더라도, 스위치가 파지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아니므로 안내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서로 맞물리는 가열판으로 머리카락을 집고 시술할 때에 가열판과 케이스의 틈새로 머리카락이 끼이게 되어 끊어지거나 뜯겨지는 등 문제점이 생긴다.
아울러, 롤링(rolling)되거나 스트레이트(straight) 작업시에 모발량에 따라 그 차이는 있겠지만 대부분 모발을 파지하게 되면 모발이 열판 사이에서 양측으로 펴지게 됨으로써 열판 상에 모발이 모아지지 못하게 되는 등 모발 빠짐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됨으로써 반드시 빗을 대면서 시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여러 번의 작업을 반복해야 원하는 헤어스타일이 완성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편, 헤어아이론을 사용하다보면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열판 상으로 손가락이 이동될 수 있는데 종래에는 본체 케이스 상에 아무런 표시가 없었으므로 무의식중에 열판 상으로 손이 이동하여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되었다.
또한, 헤어아이론 중에서 특히, 플랫아이론은 주로 모발을 스트레이트 퍼머를 하거나 웨이브를 내기 위한 변형된 와인딩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플랫아이론을 잡는 자세에 따라서 모발의 형태가 결정된다.
종래에는 플랫아이론을 잡을 때 엄지손가락을 상부바디에 얹은 상태에서 스트레이트 작업을 하거나 스타일링을 위해 아이론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을 시키면서 시술을 하게 되는데 이때 그 기준이 없었기 때문에 아이론을 바른 자세로 잡지 못하고 작업하게 되는 현상이 있었다.
이로 인해 시술자마다 잡는 자세가 다르게 되면서 헤어스타일의 결과 또한 제각기 다르게 나오게 됨으로써 균일한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마크가 구비되어 작업시 가열판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여 올바른 시술 자세를 유지하면서 아이론을 파지하도록 하여 균일한 시술을 할 수 있으며, 파지안내표시부를 기준으로 정확한 파지가 가능하며, 상부돌기와 하부돌기에 의하여 열판과 케이스 사이로 모발이 끼이지 않도록 함을 물론 모발이 열판 사이에서 퍼지지 않아 앞뒤로 빠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모아지도록 이루어지는 것과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돌기와 제2상부돌기가 구비되는 상부본체; 상부본체와 서로 힌지 결합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돌기와 제2하부돌기가 구비되는 하부본체;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일측과 결합되며,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접속부; 및 상부본체의 하측면과 하부본체의 상측면에 결합되며, 전원접속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첫째,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마크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가열판이 위치한 곳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화상의 위험 없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둘째, 파지안내표시부가 구비되어 상부본체를 파지할 경우 파지안내표시부를 기준으로 정확한 파지가 가능하므로 작업시 균형된 파지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헤어아이론을 이용한 여러 시술 작업을 균일하며,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가열판의 네 꼭지점 부위에 상부돌기와 하부돌기가 구비되므로 머리카락의 양 끝단이 돌기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모아져 모발이 앞쪽이나 뒤쪽으로 빠지지 않고 헤어 성형이 용이해진다.
넷째, 가열판의 끝단 위치에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로부터 연장된 상부돌기와 하부돌기가 구비되어, 가열판 끝단 틈새에 머리카락이 끼이게 되어 끊어지거나 뜯겨지는 손상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헤어아이론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헤어아이론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헤어아이론의 분해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1의 헤어아이론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헤어아이론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헤어아이론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헤어아이론의 분해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1의 헤어아이론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은,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돌기(113)와 제2상부돌기(114)가 구비되는 상부본체(110); 상기 상부본체(110)와 서로 힌지 결합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돌기(123)와 제2하부돌기(124)가 구비되는 하부본체(120); 상기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일측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접속부(300); 및 상기 상부본체(110)의 하측면과 상기 하부본체(120)의 상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접속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판(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편의성의 향상된 헤어아이론은,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와 전원접속부(300)와 가열판(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한 쌍의 본체부(100)는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 쌍의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브라켓(150), 히터(140)가 수용되며, 히터(140)로 발생되는 열을 헤어로 전달하는 가열판(130)이 구비되며, 가열판(130)은 홀더(160)와 결합된다.
히터(140)에는 과전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퓨즈(17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체부(100)의 일측단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전기를 연결하는 전기코드부(200)가 구비되며, 전기코드부(200)와 본체부(1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전원접속부(300)가 구비된다.
상기의 가열판(130), 히터(140), 브라켓(150), 홀더(160) 및 퓨즈(170)는 하부본체(120)에도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서로 대칭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본체(110) 하부 일측에는 상부결합공(116)이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결합편(115)이 형성되며, 상부결합공(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결합공(126)이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결합편(125)이 하부본체(12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결합편(115) 사이로 하부결합편(125)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결합편(115)과 하부결합편(125) 사이에는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텐션스프링(180)이 삽입된다. 텐션스프링(180)은 회동시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리부 양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1경사부와 고리부 중단에서 상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원접속부(300)는 내부에 사용자의 과도한 사용에 의하여 전기코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회전코드모듈(310)이 내장되어 있으며, 본체부(100)의 힌지 및 전원접속부(300)의 일부를 감싸며 회동되고, 본체부(100)의 일측과 결합되는 본체회동부(500)가 구비된다. 본체회동부(500)는 상, 하로 회동이 가능하며, 이는 사용자의 과도한 힘의 전달로 인하여 전원접속부(300) 및 전기코드부(200)의 파손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본체(110) 하측면에는 제1상부돌기(113)와 제2상부돌기(114)가 구비되며, 하부본체(120) 상측면에는 제1하부돌기(123)와 제2하부돌기(124)가 구비된다. 즉 제1상부돌기(113) 아래에는 제1하부돌기(123)가 위치하며, 제2상부돌기(114) 아래에는 제2하부돌기(124)가 위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머리카락의 양 끝단이 제1상부돌기(113)와 제2상부돌기(114) 사이나 제1하부돌기(123)와 제2하부돌기(124) 사이로 자연스럽게 모아져 헤어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돌기(113), 제2상부돌기(114), 제1하부돌기(123), 및 제2하부돌기(124)는 상기 가열판(130) 끝단보다 더 낮은 높이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상부돌기(113), 제2상부돌기(114), 제1하부돌기(123), 및 제2하부돌기(124)가 가열판(13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가열판(130)에 의해 눌려진 머리카락이 자연스럽게 제1상부돌기(113), 제2상부돌기(114), 제1하부돌기(123), 및 제2하부돌기(124) 외면을 타고 모아지게 되며, 가열판(130) 끝단의 틈새로 머리카락이 끼이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110) 상측면 및 하부본체(120) 하측면에는 파지안내표시부(111)가 구비되고, 상기 파지안내표시부(111)는 홈, 돌기 또는 인쇄 등의 방법으로 직선라인으로 형성된다.
상부본체(110) 상측면에는 파지안내표시부(111)가 구비되며, 상부본체(110)와 힌지 결합되는 하부본체(120)의 하측면에도 동일한 파지안내표시부(111)가 구비된다. 파지안내표시부(111)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부본체(110) 상측이나 하부본체(120) 하측을 손바닥으로 파지할 경우 중심라인이 어디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충분한 파지력이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에 전달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작업시 발생하는 비틀림 등에 관계없이 헤어의 성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파지안내표시부(111)는 홈, 돌기 또는 인쇄 등의 방법으로 직선라인으로 형성된다. 가령,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홈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홈을 따라 엄지손가락을 위치시킴으로 정확한 중심라인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130)은 상기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 전단으로부터 중단까지의 범위내의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본체(110) 상측면은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지안내표시부(111)는, 상기 상부본체(110) 및 하부본체(120) 후단으로부터 상기 가열판(130) 후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본체(110) 상측면 및 하부본체(110) 하측면 중심라인을 따라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열판(130)은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 전단으로부터 중단까지의 범위내에 위치하며, 대략 중단부에 약간 못미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면 가열판(130)이 위치되지 않는 상부본체(110) 및 하부본체(120) 부분을 손바닥으로 파지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충분한 파지 영역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가열판(130)이 위치되지 않는 상부본체(110) 및 하부본체(120)에 파지안내표시부(111)가 구비된다. 즉 파지안내표시부(111)는 상부본체(110) 및 하부본체(120) 후단으로부터 가열판(130) 후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부본체(110) 상측면 및 하부본체(120) 하측면 중심라인을 따라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상부본체(110) 및 하부본체(120)를 잡는 경우 자연스럽게 중심라인이 어디인지 파악할 수 있으며,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손바닥 전체가 상부본체(110) 및 하부본체(120)의 정확히 위치를 인식하며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특히 손바닥이 파지안내표시부(111)에 밀착됨에 따라 비틀림모멘트 등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충분한 파지력을 계속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110) 하측면 좌우에는, 제1상부돌기(113)와 제2상부돌기(114)가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상부돌기(113)와 제2상부돌기(114)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에 대응하는 크기로 상기 가열판(130)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본체(120) 상측면 좌우에는, 제1하부돌기(123)와 제2하부돌기(124)가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하부돌기(123)와 제2하부돌기(124)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에 대응하는 크기로 상기 가열판(130)이 구비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본체(110) 하측면 좌우에는 제1상부돌기(113)와 제2상부돌기(114)가 구비되며, 하부본체(120) 상측면 좌우에는 제1하부돌기(123)와 제2하부돌기(124)가 구비된다. 즉 제1상부돌기(113) 아래에는 제1하부돌기(123)가 위치하며, 제2상부돌기(114) 아래에는 제2하부돌기(124)가 위치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제1상부돌기(113)와 제2상부돌기(114)는 사각형의 네 꼭지점에 위치된 것과 마찬가지로 이루어지며, 제1상부돌기(113)와 제2상부돌기(114)로 이루어지는 사각형 내에 가열판(130)이 위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열판(130)의 양 끝단에 유선형의 상부돌기와 하부돌기가 가열판(130)의 네 꼭지점 부위에 상부돌기와 하부돌기가 구비되므로 머리카락의 양 끝단이 상부돌기와 하부돌기 외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모아져 헤어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가열판(130) 끝단 틈새에 머리카락이 끼이게 되어 끊어지거나 뜯겨지는 손상이 방지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상기 파지안내표시부(111) 전단 끝단에 형성되며 돌출되거나 함몰된 마크(1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출 또는 함몰되는 마크(112)가 구비된다.
가령, 돌출되는 마크(112)는 파지안내표시부(111) 전단 끝단에 형성되며, 외부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며, 함몰되는 마크(112)는 내부로 함몰되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상부본체(110)를 파지하여 작업 중에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함몰된 마크(112)를 인식하게 되는 경우에는 가열판(130)이 가까이 위치함을 판별할 수 있게되므로 화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항상 사용자가 돌출되거나 함몰된 마크(112)를 벗어나지 않는 상부본체(110) 후단을 파지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돌출되거나 함몰된 마크(112)에는 시각이나 청각을 이용하여 가열판(130)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는 별도의 위험발생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령 사용자가 돌출되거나 함몰된 마크(112)를 터치하는 경우에 경보음이 울리거나 위험을 나타내는 LED 경고등이 점멸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촉각이외의 시각이나 청각에 의해서도 가열판(130)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 안전성이 추가적으로 더 확보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돌기(113), 제2상부돌기(114), 제1하부돌기(123), 및 제2하부돌기(124)는 상기 가열판(130) 끝단과 같은 높이로 이루어진다.
제1상부돌기(113), 제2상부돌기(114), 제1하부돌기(123), 및 제2하부돌기(124)가 가열판(130)과 같은 높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가열판(130)에 의해 눌려진 머리카락이 제1상부돌기(113), 제2상부돌기(114), 제1하부돌기(123), 및 제2하부돌기(124)에 의해서 가열판(130) 끝단에서 휘어지게 되므로 가열판(130) 끝단 틈새로 머리카락이 끼이는 현상이 좀 더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헤어아이론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작업자는 헤어아이론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헤어를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가열판(130)에 위치시키고,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를 가압하여 헤어결 방향으로 쓸어내리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파지안내표시부(111)를 중심으로 충분한 가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돌출되거나 함몰된 마크(112)가 위치한 범위 내에서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에 구비되는 제1상부돌기(113), 제2상부돌기(114), 제1하부돌기(123), 및 제2하부돌기(124)에 의해서 헤어 끝단이 돌기 외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모아지게 되며, 가열판(130) 끝단의 틈새에 헤어가 끼이지 않게 된다.
100 : 본체부
110 : 상부본체, 111 : 파지안내표시부, 112 : 마크, 113 : 제1상부돌기, 114 : 제2상부돌기, 115 : 상부결합편, 116 : 상부결합공
120 : 하부본체, 123 : 제1하부돌기, 124 : 제2하부돌기, 125 : 하부결합편, 126 : 하부결합공
130 : 가열판
140 : 히터
150 : 브라켓
160 : 홀더
170 : 퓨즈
180 : 텐션스프링
200 : 전기코드부
300 : 전원접속부, 310 : 회전코드모듈
500 : 본체회동부

Claims (7)

  1.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돌기와 제2상부돌기가 구비되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와 서로 힌지 결합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돌기와 제2하부돌기가 구비되는 하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일측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접속부; 및
    상기 상부본체의 하측면과 상기 하부본체의 상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접속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돌기, 제2상부돌기, 제1하부돌기, 및 제2하부돌기는 상기 가열판 끝단보다 더 낮은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 상측면 및 하부본체 하측면에는 파지안내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파지안내표시부는 홈, 돌기 또는 인쇄 등의 방법으로 직선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은 상기 상부본체와 하부본체 전단으로부터 중단까지의 범위내의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본체 상측면은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지안내표시부는, 상기 상부본체 및 하부본체 후단으로부터 상기 가열판 후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본체 상측면 및 하부본체 하측면 중심라인을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 하측면 좌우에는, 제1상부돌기와 제2상부돌기가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상부돌기와 제2상부돌기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에 대응하는 크기로 상기 가열판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본체 상측면 좌우에는, 제1하부돌기와 제2하부돌기가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하부돌기와 제2하부돌기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에 대응하는 크기로 상기 가열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안내표시부 전단 끝단에 형성되며 돌출되거나 함몰된 마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돌기, 제2상부돌기, 제1하부돌기, 및 제2하부돌기는 상기 가열판 끝단과 같은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
KR2020110001376U 2011-02-18 2011-02-18 편의성이 향상된 헤어아이론 KR200476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376U KR200476120Y1 (ko) 2011-02-18 2011-02-18 편의성이 향상된 헤어아이론
PCT/KR2011/006854 WO2012111898A1 (ko) 2011-02-18 2011-09-16 헤어아이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376U KR200476120Y1 (ko) 2011-02-18 2011-02-18 편의성이 향상된 헤어아이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024U KR20120006024U (ko) 2012-08-28
KR200476120Y1 true KR200476120Y1 (ko) 2015-01-30

Family

ID=5259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376U KR200476120Y1 (ko) 2011-02-18 2011-02-18 편의성이 향상된 헤어아이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1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105A (ko) 2018-09-06 2020-03-16 이성준 헤어 아이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0314A (ja) 2004-11-01 2006-05-25 Kica Inc ヘアーアイロン
JP2010500060A (ja) 2006-08-10 2010-01-07 ブラウン ゲーエムベーハー 誘導装置を備えた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とヘア・スタイリングする為の方法
JP3157846U (ja) * 2009-12-17 2010-03-04 インターポート・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ヘアーアイロン
JP2011098007A (ja) 2009-11-04 2011-05-19 Kikuboshi:Kk ヘアアイロ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0314A (ja) 2004-11-01 2006-05-25 Kica Inc ヘアーアイロン
JP2010500060A (ja) 2006-08-10 2010-01-07 ブラウン ゲーエムベーハー 誘導装置を備えた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とヘア・スタイリングする為の方法
JP2011098007A (ja) 2009-11-04 2011-05-19 Kikuboshi:Kk ヘアアイロン
JP3157846U (ja) * 2009-12-17 2010-03-04 インターポート・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ヘアーアイロ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105A (ko) 2018-09-06 2020-03-16 이성준 헤어 아이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024U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35174A1 (en) Cordless Hairstyling Tools with Rechargeable and Interchangeable Batteries
EP1598171B1 (en) A welding device
US20150144610A1 (en) Hair iron controlled by usage dete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196553U (ja) 電熱式ヘアカーラー装置
US20070272725A1 (en) Soldering Iron
US7637040B2 (en) Glove iron
US4553021A (en) Pincer-gun for electrically heating metal hinges of thermoplastic eyeglass frames
KR200476120Y1 (ko) 편의성이 향상된 헤어아이론
KR101828816B1 (ko) 전기 이미용 기구의 커넥터
KR101646595B1 (ko) 전기 헤어롤
KR20210059780A (ko) 속눈썹 컬링기
KR20140121619A (ko) 충전식 무선인두장치
JP2003310335A (ja) 睫毛成形具
KR200426341Y1 (ko) 헤어 아이론
KR200428417Y1 (ko) 아이언
KR200477846Y1 (ko) 저항성 탄력 소재의 모발 결합면을 구비한 헤어 스타일링 기구
KR100640069B1 (ko) 속눈썹 성형구
US20120024834A1 (en) Melting pen
KR102363155B1 (ko) 모발 세팅 장치
KR101783481B1 (ko) 헤어아이론
JP5545305B2 (ja) ボタン電池用絶縁シート
KR20100041659A (ko) 탈거와 식별이 용이한 전기 플러그
JP3157846U (ja) ヘアーアイロン
KR200427443Y1 (ko) 양손잡이용 헤어 아이론
KR101535092B1 (ko) 프리블러 내장형 열선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