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023Y1 -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023Y1
KR200476023Y1 KR2020140004210U KR20140004210U KR200476023Y1 KR 200476023 Y1 KR200476023 Y1 KR 200476023Y1 KR 2020140004210 U KR2020140004210 U KR 2020140004210U KR 20140004210 U KR20140004210 U KR 20140004210U KR 200476023 Y1 KR200476023 Y1 KR 200476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ag
high voltage
negative ion
generato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순
Original Assignee
이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순 filed Critical 이길순
Priority to KR2020140004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0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칩에 저장된 정보를 감지 및 인식하는 키태그(key tag); 및 상기 키태그를 결합시키기 위한 키태그 삽입공간부가 구비된 음이온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발생기는 상기 키태그용 RFID 판독기로부터 고주파를 수신하면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Necklace Type Air Purifier Combined with Key Tag}
본 고안은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용 키태그와 휴대가 가능한 소형 공기청정기를 결합하여 목에 걸어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식별 또는 출입용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는 일종의 키태그(key tag)로서 물체나 동물 혹은 사람 등을 식별하는 데 사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RFID 기술은 흔히 스마트 라벨링(Smart Labeling) 기술로 알려져 있다. RFID 기술은 키태그의 마이크로칩에 저장된 정보가 전파를 통해 원격에서 감지 및 인식되는 기술로서, 사용자 식별을 위한 출입관리 장치, 대중교통요금 징수 시스템, 물류 추적장치 등에 상용화되어 있으며, RFID 기술을 적용한 키태그는 제조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욱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있다.
공기청정기라 함은 주변의 오염된 공기 중의 각종 유해성분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 공기청정기뿐만 아니라 주로 음이온의 발생을 통해 공기를 정화하며, 필요한 공간마다 벽면 콘센트에 직접 공기청정기 본체를 꽂아 사용할 수 있는 소형 공기청정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으며, 목걸이 형태로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공기청정기도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출입용 키태그는 빈번하게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키태그 표면이 오염되는 등 위생 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걸이 형태의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경우, 출입용 키태그를 휴대하는 회사원 등의 사용자는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키태그와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키태그는 일반적으로 목걸이 형태로 구비되는 데, 여기에 목걸이 형태의 휴대용 공기청정기까지 2개의 목걸이를 따로 따로 목에 걸어야 하는 것은 불편하고 모양도 좋지 않다.
회사원 등의 사용자는 키태그를 출입문 근처의 RFID 판독기에 태그하여 사용자 식별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출입문이 개방될 때 출입문을 열고 실내로 들어간다. 이후, 사용자는 별도로 휴대하고 있는 공기청정기의 전원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해야만 비로소 공기청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불편이 있다.
사용자는 실내로 들어간 뒤 주변 공기의 청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잊어버리고 장시간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436006호 "휴대용 공기청정기"(2007. 4. 2. 등록) 등록실용신안 제422565호 " RFID를 이용한 지능형 생활환경 설정시스템"(2006. 7. 21. 등록) 등록특허 제720390호 "RFID를 이용한 어린이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안전관리방법"(2007. 5. 15. 등록)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출입용 키태그 기능과 주변 공기의 청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공기청정기가 오프(off)인 상태에서 키태그의 RFID 인식이 이루어질 때, 공기청정기가 자동으로 온(on) 상태로 되어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목걸이형으로서 휴대가 간편하며, 키태그의 표면에 존재 가능한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진균 등의 생물학적 오염물질이나 각종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칩에 저장된 정보를 감지 및 인식하는 키태그(key tag); 및 상기 키태그를 결합시키기 위한 키태그 삽입공간부가 구비된 음이온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발생기는 상기 키태그용 RFID 판독기로부터 고주파를 수신하면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발생기는, 상기 키태그 삽입공간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부; 상기 고전압발생부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부; 상기 키태그용 RFID 판독기의 고주파를 수신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의 전기에너지 변환에 대응하여 오프(off) 상태의 상기 고전압발생부를 온(on) 상태로 스위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전압발생부를 수동으로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버튼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발생기는, 상기 음이온발생부로부터 연장된 음이온통로의 벽과 키태그 삽입공간부의 벽 사이에 연결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칩에 저장된 정보를 감지 및 인식하는 키태그(key tag); 및 정면 내부에 키태그가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음이온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발생기는 상기 키태그용 RFID 판독기로부터 고주파를 수신하면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출입용 키태그 기능과 주변 공기의 청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특히, 키태그의 RFID 인식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를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서 휴대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키태그 삽입공간부의 표면 및 키태그의 표면에 존재 가능한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진균 등의 생물학적 오염물질이나 각종 먼지 등을 제거하여 위생적으로 키태그를 키태그 삽입공간부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의 키태그와 음이온발생기 및 목걸이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이온발생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 A-A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RFID 기술을 지원하는 키태그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키태그(100), 음이온발생기(200), 목걸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태그(10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스마트 라벨링(Smart Labeling) 기술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칩에 저장된 정보를 전파를 이용하여 감지 및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키태그(100)는 RFID 통신이 가능한 사원증, RFID 통신이 가능하고 신용카드로 겸용될 수 있는 사원증, RFID 통신이 가능한 출입 관리용 펜던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키태그(100)의 형상은 사각형 또는 원형 플레이트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음이온발생기(200)는 키태그(100)와 결합된 본체(210)를 포함한다. 본체(210)는 음이온발생기(200)용 내부 구성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분해 가능하게 제작된 케이싱 또는 하우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발생기(200)는 키태그(10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키태그(100)를 수용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직육면체형, 다면체형, 달걀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안테나부(250)가 키태그용 RFID판독기로부터 고주파를 수신할 경우, 제어부(270)는 안테나부(250)의 전기에너지 변환에 대응하여 오프(off) 상태의 음이온발생기(200)의 고전압발생부(230)를 자동으로 온(on)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제어부(270)가 음이온발생기(200)의 고전압발생부(230)의 오프(off) 상태를 온(on) 상태로 스위칭하고, 이와 함께, 음이온발생부(240)가 고전압발생부(230)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아 음극과 양극에 의한 대전으로 음이온을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음이온발생기(200)에서 음이온이 발생된다. 즉, 음이온발생기(200)의 온(on) 상태는 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청정을 수행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목걸이부(300)는 본체(210)의 고리(21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휴대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목걸이부(300)는 상기 고리(211)에 묶일 수 있는 끈이나, 또는 상기 고리(211)에 체결되는 착탈형 클립을 갖는 신분증 홀더용 스트링(string)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고리(211) 및 목걸이부(300)를 통해서 사용자는 본 고안의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키태그의 고유 식별 기능과 주변 공기의 청정기능 및 키태그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체(210)는 키태그(100)와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키태그 삽입공간부의 입구(212) 쪽에 형성되는 손가락 삽입홈(218)을 가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의 키태그와 음이온발생기 및 목걸이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키태그(100)는 음이온발생기(200)의 본체(210)에 마련된 키태그 삽입공간부(215)의 입구(212)를 통해서 삽입되는 방식으로 음이온발생기(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키태그(100)의 표면에는 키태그(100)의 용도에 대응한 사용자의 정보(예: 회사명, 회사로고, 아이디카드 또는 신용카드임을 보이는 문구 또는 문양, 성명, 증명사진 등)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키태그(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RFID 또는 스마트 라벨링 기술을 지원하는 마이크로칩(101)과, 이 마이크로칩(101)에 연결된 인터페이스(102)와, 마이크로칩(101) 및 인터페이스(102)를 보호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칩(101) 및 인터페이스(102)는 RFID 판독기에 의해 인식 가능한 수동형 소자일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102)는 키태그(100)의 몸체 내부에 마련된 태그용 내부 안테나, 회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발생기(200)는 본체(210)의 표면에 마련된 복수개의 음이온출구(213)를 포함한다. 음이온출구(213)는 음이온통로(214)를 통해서 음이온발생부(240)에 연결된다. 여기서, 본체(210)의 표면이란 본체(210)의 상면, 저면, 양측면, 정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체(210)의 정면에는 키태그 삽입공간부(215)를 개방시키는 개구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키태그(100)가 본체(210)의 키태그 삽입공간부(215)에 결합되었을 때, 키태그(100)의 표면에 인쇄된 정보는 상기 개구부(216)를 통해 표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개구부(216)를 통해서 키태그(100)에 인쇄된 정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체(210)의 정면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개구부(216)가 없는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이온발생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음이온발생기(200)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2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본체(210)에 구비된 전원공급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220)는 충전식 배터리, 배터리 홀더, 연결 전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220)의 주변으로 본체(210)의 배면부에는 배터리 교체용 커버(219)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발생기(200)는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부(230)와, 상기 고전압발생부(230)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아 음극과 양극에 의한 대전으로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전압발생부(230) 또는 음이온발생부(240)의 세부 구성은 소형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통해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200)는 PCB 기판(2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키태그용 RFID 판독기(도시하지 않음)의 고주파를 수신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안테나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부(250)는 PCB 기판(201)에 설치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내부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발생기(200)는 안테나부(250)의 전기에너지 변환에 대응하여 오프(off) 상태의 상기 고전압발생부(230)를 자동으로 온(on) 상태로 스위칭하거나, 음이온발생기(200)의 본체에 결합된 버튼스위치(260)를 사용하여 고전압발생부(230)를 수동으로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70)는 고압발생부(230)가 온(on) 상태이고, 키태그가 RFID 판독기에 대하여 태그가 다시 이루어지는 경우, 안테나부(250)로부터 전기에너지 변환을 다시 감지하더라도, 상기 고압발생부(230)의 온(on)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스위치(260)를 수동으로 조작할 경우, 제어부(270)는 상기 수동 조작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버튼스위치(260)로부터 입력받게 되고, 이 경우, 고전압발생부(230)의 온(on)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스위칭한다.
또한, 고전압발생부(230)가 오프(off) 상태이고, 안테나부(250)로부터 전기에너지 변환이 감지되지 않는 상황일 경우, 제어부(270)는 버튼스위치(260)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을 때, 상기 고전압발생부(230)를 온(on) 상태로 스위칭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200)는 제어부(2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공급부(220)에 외부 전원을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28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충전회로부(280)를 경유하여 전원공급부(220)를 외부 전원으로 충전시키는 케이블 접속단자(271)와, 상기 충전회로부(280)의 충전 상태 또는 제어부(270)의 작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작동표시부(27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접속단자(271)는 휴대단말기용 마이크로 5핀 단자이거나 또는 마이크로 USB 단자일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220)를 외부 전원으로 충전시키는데 있어서는, 스마트폰을 충전시킬 때 사용하는 USB 충전어댑터,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USB 충전어댑터를 전원 콘센트에 꽂고 USB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 접속단자(271)에 꽂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작동표시부(272)는 LCD 디스플레이 소자, 전자회로용 전등, LED램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작동표시부(272)는 불빛 색상 또는 점멸 상태 등으로 작동 상태를 표시하거나, 작동표시부(272)에서 허용하는 기능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문자, 표식, 도형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 A-A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이온발생기(200)는 본체(210)의 전원공급부(220)에 의해 작동되고, PCB 기판(2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음이온발생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200)는 음이온발생부(240)로부터 연장된 음이온통로(214)의 벽과 키태그 삽입공간부(215)의 벽 사이에 연결통로(2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이온발생부(240)에서 발생된 음이온은 음이온통로(214)를 통해 이동한 후, 음이온출구(213)를 통해서 방출된다. 이렇게 음이온출구(213)를 통해 방출된 음이온은 음이온발생기(200) 주변의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음이온발생부(240)에서 발생된 음이온은 연결통로(217)를 통해 키태그 삽입공간부(215) 쪽으로도 공급된다. 즉, 연결통로(217)를 통해 공급된 음이온은 키태그 삽입공간부(215)의 표면과 키태그(100)의 표면 사이의 공극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키태그 삽입공간부(215)의 표면 및 키태그(100)의 표면에 존재 가능한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진균 등의 생물학적 오염물질이나 각종 먼지 등이 음이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 키태그(100)가 위생적으로 키태그 삽입공간부(215)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도 4를 통해서 본 고안의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는 본 고안의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를 RFID 판독기(10)에 태그한다(F).
이 경우, RFID 판독기(10)에 접속된 출입문 관리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은 키태그(100)를 통해 사용자임을 인식하고 출입문을 개방한다. 이와 동시에, 음이온발생기(200)도 RFID 판독기(10)로부터 고주파를 수신하며, 상기 음이온발생기(200)는 상기 키태그용 RFID 판독기로부터 고주파를 수신하면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200)의 안테나부(250)를 통해 수신한 고주파는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며, 이렇게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제어부(270)에 입력된다.
이러한 전기에너지의 입력을 스위칭 신호로 인식한 제어부(270)는 전원공급부(220)의 전원을 고전압발생부(230)에 공급한다. 그 결과 고전압발생부(230)는 상기 전원을 고전압으로 변환하고, 음이온발생부(240)에 고전압을 공급한다. 음이온발생부(240)는 공급받은 고전압을 이용하여 음극과 양극에 의한 대전으로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음이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음이온출구(213) 또는 연결통로(217)를 통해 이동하여 주변 공기를 정화하거나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는 키태그가 음이온발생기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5에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키태그(100)는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칩 및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것으로서, 음이온발생기(200a)의 제작 당시 일체형으로 음이온발생기(200a)의 본체(210a)에 결합되어 있다. 즉, 음이온발생기(200a)의 본체(210a)의 정면부의 내부에는 키태그(100)가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태그(100)는 RFID 판독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해당 출입관리 장치에 인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체(210a)의 정면부의 외표면에는 상기 키태그(100)에 대응한 사용자의 정보(예: 회사명, 회사로고, 아이디카드 또는 신용카드임을 보이는 문구 또는 문양, 성명, 증명사진 등)를 표시하기 위한 인쇄층(29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발생기(200a)는 제1 실시예의 안테나부(25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음이온발생기(200a)의 제어부(270)는 내부 전선(273)을 통해서 키태그(100)의 마이크로칩 및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70)는 출입관리 시 RFID 판독기와 인터페이스 간 접속 유무를 체크하는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어부(270)는 인터페이스의 태그용 내부 안테나의 전기에너지 변환에 대응하여 오프(off) 상태의 상기 고전압발생부(230)를 온(on)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0 : 키태그 200, 200a : 음이온발생기
210, 210a : 본체 220 : 전원공급부
230 : 고전압발생부 240 : 음이온발생부
250 : 안테나부 260 : 버튼스위치
270 : 제어부 280 : 충전회로부
290 : 인쇄층 300 : 목걸이부

Claims (5)

  1.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칩에 저장된 정보를 감지 및 인식하는 키태그(key tag); 및 상기 키태그를 결합시키기 위한 키태그 삽입공간부가 구비된 음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발생기는 상기 키태그 삽입공간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부; 상기 고전압발생부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부; 상기 키태그용 RFID 판독기의 고주파를 수신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의 전기에너지 변환에 대응하여 오프(off) 상태의 상기 고전압발생부를 온(on) 상태로 스위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음이온발생기의 안테나부의 전기에너지 변환에 대응하여 오프(off) 상태의 상기 고전압발생부를 온 상태로 스위칭함에 따라서, 상기 음이온발생부가 상기 고전압발생부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아 음극과 양극에 의한 대전으로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상기 음이온발생기는 상기 음이온발생부로부터 연장된 음이온통로의 벽과 키태그 삽입공간부의 벽 사이에 연결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이 상기 연결통로를 통해 상기 키태그 삽입공간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키태그 삽입공간부 및 상기 키태그의 표면의 생물학적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전압발생부를 수동으로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버튼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4210U 2014-06-03 2014-06-03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KR200476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10U KR200476023Y1 (ko) 2014-06-03 2014-06-03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10U KR200476023Y1 (ko) 2014-06-03 2014-06-03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023Y1 true KR200476023Y1 (ko) 2015-01-20

Family

ID=5259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210U KR200476023Y1 (ko) 2014-06-03 2014-06-03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02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456A (ko) * 2017-07-13 2019-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 장치
KR102062236B1 (ko) * 2018-11-27 2020-01-03 (주)헤드라인 음이온 방출 목걸이
CN112040991A (zh) * 2018-03-07 2020-12-04 海德沃特有限公司 个人可再充电便携式离子空气净化器
KR102336477B1 (ko) * 2020-09-21 2021-12-08 (주)윈윈코리아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565Y1 (ko) * 2006-05-08 2006-07-27 김효창 Rfid를 이용한 지능형 생활환경 설정 시스템
KR200436006Y1 (ko) * 2006-11-03 2007-04-09 장석운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090001515U (ko) * 2007-08-10 2009-02-13 (주)크로스윈텍 광센서 및 알에프아이디태그가 설치된 음이온 및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손목 시계
KR20110081487A (ko) * 2010-01-08 2011-07-14 김경중 다기능 신분증, 회원증, 판촉홍보카드, 기념카드, 전화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565Y1 (ko) * 2006-05-08 2006-07-27 김효창 Rfid를 이용한 지능형 생활환경 설정 시스템
KR200436006Y1 (ko) * 2006-11-03 2007-04-09 장석운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090001515U (ko) * 2007-08-10 2009-02-13 (주)크로스윈텍 광센서 및 알에프아이디태그가 설치된 음이온 및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손목 시계
KR20110081487A (ko) * 2010-01-08 2011-07-14 김경중 다기능 신분증, 회원증, 판촉홍보카드, 기념카드, 전화카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456A (ko) * 2017-07-13 2019-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 장치
KR102020382B1 (ko) * 2017-07-13 2019-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 장치
CN112040991A (zh) * 2018-03-07 2020-12-04 海德沃特有限公司 个人可再充电便携式离子空气净化器
CN112040991B (zh) * 2018-03-07 2023-08-04 海德沃特有限公司 个人可再充电便携式离子空气净化器
KR102062236B1 (ko) * 2018-11-27 2020-01-03 (주)헤드라인 음이온 방출 목걸이
WO2020111310A1 (ko) * 2018-11-27 2020-06-04 (주)헤드라인 음이온 방출 목걸이
KR102336477B1 (ko) * 2020-09-21 2021-12-08 (주)윈윈코리아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023Y1 (ko) 키태그와 결합된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CN104063049B (zh) 人机对话系统
US9468695B2 (en) Ultraviolet light source and methods
CN203691013U (zh) 一种可携带充电转换接头的移动电源
ATE429727T1 (de) Vorrichtung zum laden von akkumulatoren
CN101867125A (zh) 一种电力控制插座
CN204709447U (zh) 便携式多功能光源设备
CN204012791U (zh)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移动电源
CN205942809U (zh) 多功能考勤机
CN209983316U (zh) 一种宠物止吠器
KR101198090B1 (ko) 어린이 안심 서비스 기능을 구현하는 단말기
CN207453038U (zh) 一种具有显示功能的智能马桶
CN207676166U (zh) 一种可更换触发方式的壁式电子开关
JP3197970U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充電できるテーブルタップ
CN207302496U (zh) 显示装置
CN208185943U (zh) 一种手持式led照射装置
KR20100051607A (ko) 휴대 자외선 장치
CN207938489U (zh) 一种插电开关隐藏式指示灯
US20180278079A1 (en)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etween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Electric Mobility Vehicle
JP4124139B2 (ja) 携帯端末受台
CN205039576U (zh) 一种多功能车载充电器
CN206209908U (zh) 一种建筑工地用智能考勤系统
CN205985632U (zh) 一种便携式智能插座
CN103375092A (zh) 具有车辆自动感应功能的自动门
CN218918136U (zh) 一种动物虹膜采集识别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