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29Y1 -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29Y1
KR200475729Y1 KR2020130005641U KR20130005641U KR200475729Y1 KR 200475729 Y1 KR200475729 Y1 KR 200475729Y1 KR 2020130005641 U KR2020130005641 U KR 2020130005641U KR 20130005641 U KR20130005641 U KR 20130005641U KR 200475729 Y1 KR200475729 Y1 KR 200475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led
module
cabl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비텍
Priority to KR2020130005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ED컨버터와 LED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ED컨버터와 LED모듈을 신속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LED컨버터의 인출케이블은 두 극성의 2선만 구비되면 되므로 인출케이블들의 꼬임이 방지되고 원가절감효과가 있고 생산성이 상승되고, LED컨버터와 LED모듈이 극성이 잘못 연결된 경우에 두 인출케이블의 위치를 바꾸어 연결장치에 연결하여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바꾸어 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는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모듈케이블; 삽입되는 LED컨버터의 두 인출케이블이 각각 삽입 내장된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에 클램핑되어 접속되도록 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Coupling unit for module of LED-converter}
본 고안은 LED컨버터와 LED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ED컨버터와 LED모듈을 신속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LED컨버터의 인출케이블은 두 극성의 2선만 구비되면 되므로 인출케이블들의 꼬임이 방지되고 원가절감효과가 있고 생산성이 상승되고, LED컨버터와 LED모듈이 극성이 잘못 연결된 경우에 두 인출케이블의 위치를 바꾸어 연결장치에 연결하여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바꾸어 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는 LED 등기구는 LED와, LED가 실장되는 PCB로 구성되는 LED모듈과, 외부전원(일반적으로 상용전원)을 LED의 점등에 적합한 정격전원으로 변환하여 LED모듈에 공급하는 LED컨버터를 포함한다.
LED 등기구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제0996145호 "컨버터를 내장시킨 매립 및 고정형 LED 등기구", 등록특허 제1125032호 "LED 간판용 컨버터 케이스" 등 다양하게 개시되었다.
LED컨버터와 LED모듈은 인출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ED컨버터가 출력하는 정격전원이 LED모듈에 공급된다.
LED 등기구는 보통 1개 또는 1~4개의 LED모듈을 구비하고, 전원에는 극성이 존재하므로 LED컨버터와 LED모듈을 연결하는 인출케이블은 LED모듈의 2배수를 구비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LED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LED컨버터(1), LED컨버터(1)의 정격정원을 출력하는 인출케이블(3), 인출케이블(3)을 LED모듈에 접속시키는 컨넥터(5)를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인출케이블(3)은 두 극성을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른 컬러의 피복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극성의 인출케이블은 적색 피복을 사용하고, (-)극성은 인출케이블은 흑색의 피복을 사용한다.
도1에 도시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LED 등기구에 몇 개의 LED모듈이 사용될지 모른다. 다시 말해 하나의 LED컨버터에 몇 개의 LED모듈이 연결되어 사용될지 모른다 그래서 LED컨버터에는 많은 수의 인출케이블을 구비하게 되는데, 구비된 인출케이블 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인출케이블은 자재 낭비이며 LED컨버터에 인출케이블을 구비시키는 작업의 낭비이다.
둘째, LED모듈에 연결되지 않는 인출케이블, 즉, 미사용 인출케이블을 묶어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미사용 인출케이블은 미관을 조잡하게 한다.
셋째, LED컨버터에 많은 수의 인출케이블이 구비되면서 인출케이블들의 꼬임이 발생되고, 이 꼬임현상으로 인출케이블에 컨넥터를 연결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연결된 컨넥터들이 서로 걸려서 컨넥터와 인출케이블이 분리되거나 접속의 불량이 발생된다.
넷째, LED모듈에 접속되는 컨넥터에는 그 접속방향이 있어서 두 극성의 인출케이블이 극성에 맞게 연결되어야 한다. 그런데 인출케이블과 컨넥터의 연결방향이 잘못된 경우에 그 연결방향을 바꾸는 작업이 어렵다. 참고로, LED컨버터와 인출케이블의 연결방향을 바꾸는 것은 더 어렵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고안으로서,
LED컨버터의 인출케이블이 신속 간편하게 접속되고 LED모듈에도 신속 간편하게 접속되어 LED컨버터와 LED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LED컨버터에는 두 극선의 2선의 인출케이블만 구비하면 되어서 인출케이블의 낭비와 관리의 불편함이 없고, 케이블의 꼬임이 없어 생산성이 우수하고, 컨넥터와 모듈케이블이 방향이 바뀌어 연결되더라도 인출케이블과 하우징의 연결을 간편하게 바꾸어주면 되는 등 작업이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는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모듈케이블;
삽입되는 LED컨버터의 두 인출케이블이 각각 삽입 내장된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에 클램핑되어 접속되도록 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부면에 접촉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방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듈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탄성을 가져,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부면과의 사이로 삽입 배치된 상기 인출케이블이 탄성접속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부면에는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수용부를 양측으로 분리시키는 격벽과,
상기 바디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인출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바디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어 분리핀이 삽입되는 분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는 LED컨버터의 인출케이블은 두 극성의 2선만 구비하면 되므로 인출케이블의 낭비가 없고, 케이블의 꼬임에 의한 컨넥터 연결작업의 불편과 연결된 컨넥터가 서로 걸려서 분리되거나 접속의 불량이 발생되는 사고의 발생이 예방되고, 컨넥터와 모듈케이블의 극성 연결이 바뀌었어도 인출케이블과 하우징의 극성 연결을 간편하게 바꾸어주면 되는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LED컨버터와 LED모듈을 연결시키는 인출케이블과 컨넥터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 연결장치로 연결된 LED컨버터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 연결장치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는 제1클램프(10A)와 제2클램프(10B), 모듈케이블(30), 하우징(20)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그리고 상기 제1클램프(10A)와 제2클램프(10B)는 LED컨버터(1)의 두 인출케이블(3)과 접속되고, 제1클램프(10A)에 연결된 모듈케이블(30)과 제2클램프(10B)에 연결된 모듈케이블(30)은 컨넥터(5)를 통해 한 쌍으로 연결되어 LED모듈(미도시)에 접속된다.
상기 제1클램프(10A)와 제2클램프(10B)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각각 복수의 상기 모듈케이블(30)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20)을 통해 LED컨버터(1)의 두 인출케이블(3)이 각각 연결된다.
동일한 구조를 갖는 상기 제1클램프(10A)와 제2클램프(10B)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하부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후방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듈케이블(30)이 접속되는 접속부(12)와,
상기 지지부(11)의 전방에서 상부 후방으로 사선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부(13)와,
상기 탄성부(13)의 후방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탄성부(13)의 탄성을 보강하는 보강부(14)와,
상기 접속부(12)의 상부에 형성되어 삽입 접속된 인출케이블(3)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분리방지홈(15)과,
상기 지지부(11)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의 걸림돌기(26)가 걸려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홀(16)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케이블(30)들은 상기 제1클램프(10A)와 제2클램프(10B)에 각각 연결되어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벌어져 있던 상기 접속부(12)가 강제로 오므려져 모듈케이블(30)의 일단을 움켜쥐듯이 연결하여 접속시킨다.
제1클램프(10A)에 연결 접속되는 모듈케이블(30)과 제1클램프(10A)에 연결접속되는 모듈케이블(30)은 전원 극성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피복의 컬러를 달리한다. 즉, 예를 들어 제1클램프(10A)에 연결되는 모듈케이블(30)들은 적색의 피복을 사용하여 (+) 극성을 표시하고, 제2클램프(10B)에 연결되는 모듈케이블(30)들은 흑색의 피복을 사용하여 (-) 극성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1클램프(10A)에 연결된 (+)극성(또는 (-)극성)의 모듈케이블(30)과 제2클램프(10B)에 연결된 (-)극성(또는 (+)극성)의 모듈케이블(30)을 컨넥터(5)를 통해 한 쌍으로 연결되고, 컨넥터(5)는 LED모듈에 접속된다.
그리고 모듈케이블(30)들은 하나의 정리밴드(40)로 밴딩하여 정리함으로써 미관을 깔끔하게 하며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케이블(3)은 LED컨버터(1)에서 인출되는 2선을 사용하고, 각각의 극성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다른 컬러(예;적색과 흑색)로 피복된다.
상기 인출케이블(3)은 상기 하우징(2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클램프(10A) 또는 제2클램프(10B)의 탄성부(13)(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리방지홈(15))와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상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탄성부(13)에 접속 연결된다.
상기 인출케이블(3)은 상기 탄성부(13)를 누르면서 삽입 전진할 수 있는 경도를 가져야 한다. 그래서 가는 동선 수십개를 인출케이블(3)로 사용하여 경도가 약한 경우에는 동선들 표면을 솔더링하여 경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외부충격 등에 의해 인출케이블(3)이 제1클램프(10A) 또는 제2클램프(10B)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작업자에 의해서는 분리 가능하도록 인출케이블(3)에는 나선형의 홈(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인출케이블(3)의 나선형 홈(3a)에 상기 제1클램프(10A) 또는 제2클램프(10B)의 탄성부(13)에 형성된 분리방지홈(15)의 바닥이 걸려 인출케이블(3)을 잡아당겨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작업자가 인출케이블(3)을 잡아당기면서 회전시키면 인출케이블(3)이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제1클램프(10A)와 제2클램프(10B)를 삽입 내장하고, LED컨버터(1)의 두 인출케이블(3)이 각각 삽입 내장된 제1클램프(10A)와 제2클램프(10B)에 연결 접속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제1클램프(10A)와 제2클램프(10B)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22)를 갖는 바디(21)와,
상기 수용부(22)를 양측으로 분리시켜 제1클램프(10A)와 제2클램프(10B)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격벽(23)과,
상기 바디(21)의 전면 상부에서 상기 수용부(22)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출케이블(3)이 삽입되는 삽입홀(24)과,
상기 바디(21)의 전면 하부에서 상기 수용부(22)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분리핀이 삽입되는 분리홀(25)과,
상기 수용부(22)를 형성하는 바디(21)의 내부 하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2클램프의 걸림홀(16)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26)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의 수용부(22)로 상기 제1클램프(10A)와 제2클램프(10B)를 밀어넣으면 걸림홀(16)에 걸림돌기(26)가 삽입되어 걸림결합되고 탄성부(13)의 상부는 수용부(22)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걸림홀(16)이 걸림돌기(26)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0)에서 제1클램프(10A)와 제2클램프(10B)를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분리홀(25)로 분리핀을 밀어 넣어 상기 지지부(11)를 들어올려 상기 걸림홀(16)이 걸림돌기(26)에서 벗어나도록 한 후에 제1클램프(10A)와 제2클램프(10B)를 잡아당기면 분리된다.
이상에서 본 관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A,B : 제1,2클램프
11 : 지지부 12 : 접속부
13 : 탄성부 14 : 보강부
15 : 분리방지홈 16 : 걸림홀
20 : 하우징
21 : 바디 22 : 수용부
23 : 격벽 24 : 삽입홀
25 : 분리홀 26 : 걸림돌기
30 : 인출케이블

Claims (5)

  1.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모듈케이블;
    삽입되는 LED컨버터의 두 인출케이블이 각각 삽입 내장된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에 클램핑되어 접속되도록 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수용부를 양측으로 분리시키는 격벽과,
    상기 바디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인출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바디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어 분리핀이 삽입되는 분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부면에 접촉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방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듈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탄성을 가져,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부면과의 사이로 삽입 배치된 상기 인출케이블이 탄성접속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부면에는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
  4. 삭제
  5. 삭제
KR2020130005641U 2013-07-09 2013-07-09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 KR2004757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641U KR200475729Y1 (ko) 2013-07-09 2013-07-09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641U KR200475729Y1 (ko) 2013-07-09 2013-07-09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729Y1 true KR200475729Y1 (ko) 2014-12-29

Family

ID=5357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641U KR200475729Y1 (ko) 2013-07-09 2013-07-09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2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405Y1 (ko) * 2017-03-28 2017-09-01 주식회사 천인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
KR20180001620U (ko) * 2016-11-21 2018-05-31 탑라이트 주식회사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
KR20200046452A (ko) 2018-10-24 2020-05-07 (주)파트너 엘이디 조명등용 회로 탈착식 컨버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7778A (ja) * 2002-01-25 2003-07-31 Sendak Corp 蛍光灯用ソケット
KR20080003291U (ko) * 2007-02-08 2008-08-13 케이유엠 주식회사 암형 전기 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7778A (ja) * 2002-01-25 2003-07-31 Sendak Corp 蛍光灯用ソケット
KR20080003291U (ko) * 2007-02-08 2008-08-13 케이유엠 주식회사 암형 전기 단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620U (ko) * 2016-11-21 2018-05-31 탑라이트 주식회사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
KR200484405Y1 (ko) * 2017-03-28 2017-09-01 주식회사 천인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
KR20200046452A (ko) 2018-10-24 2020-05-07 (주)파트너 엘이디 조명등용 회로 탈착식 컨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01012B (en) An adaptor for adapting a mains plug and a mains cable featuring an adaptor mechanism
US20160233621A1 (en) Usb socket
CN102969582A (zh) 一种按压式导线连接器
CN202977761U (zh) 一种按压式导线连接器
KR200475729Y1 (ko) Led컨버터용 모듈 연결장치
CN104993310A (zh) 一种接线端子分路连接器
CN201234099Y (zh) 一种接线盒
CN109586050A (zh) 一种机械自动化设备的电气线缆连接器
CN203398436U (zh) 线缆连接器的扣接结构
US20090085487A1 (en) Light sets
CN209298358U (zh) 一种机械自动化设备的电气线缆连接器
CN208489475U (zh) 三孔插接机构及安全插座
CN202012872U (zh) 一种日光灯接线盒
CN212849093U (zh) 一种高电压环境下工作的小型圆形电连接器结构
CN209626589U (zh) 一种以太网网络连接器
CN105932499A (zh) 一种可拆卸配置的墙体电气座
CN208753659U (zh) 一种新型电连接器
CN103017053B (zh) 一种照明灯具
CN201518193U (zh) Led显示屏电源
CN201887212U (zh) 一种电连接器及其插接头、插接座
JP2017068918A (ja) 分岐コネクタ
CN204706694U (zh) 一种可拉伸插座
CN202749556U (zh) 端子结构改良
CN103378484A (zh) 用于安装通信电缆连接器的连接套
CN210957231U (zh) 转换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