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657Y1 - 착화 유도수단이 구비된 가스버너 - Google Patents

착화 유도수단이 구비된 가스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657Y1
KR200475657Y1 KR2020130008491U KR20130008491U KR200475657Y1 KR 200475657 Y1 KR200475657 Y1 KR 200475657Y1 KR 2020130008491 U KR2020130008491 U KR 2020130008491U KR 20130008491 U KR20130008491 U KR 20130008491U KR 200475657 Y1 KR200475657 Y1 KR 200475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urner
ignition
main body
spark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옥기
Original Assignee
마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옥기 filed Critical 마옥기
Priority to KR2020130008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6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13/00Igni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Q13/02Igni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gas burners, e.g. gas po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통형의 구조로 외측에는 벤츄리관이 관통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벤츄리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상측으로 분출 안내하도록 가스실이 마련된 버너본체; 상기 버너본체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측으로 분출되는 가스를 방사상으로 확산 시키는 확산부재; 상기 버너본체와 확산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되며, 표면에는 다수의 염공들이 형성된 버너헤드; 상기 버너본체의 내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면과, 상기 절개면에 설치되는 점화플러그 및, 상기 버너헤드측으로 분출되는 가스의 일부를 상기 점화플러그측으로 안내 공급하도록 상기 버너본체의 내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가스유도홀로 이루어지는 점화수단; 및 상기 가스유도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점화플러그측으로 안내 공급되는 분출가스의 분출압력을 저 분출압 상태로 분출 유도하는 착화 유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가스가 점화플러그 주변에 머무는 시간을 지체시킴으로써, 초기 착화의 불량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등 착화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화 유도수단이 구비된 가스버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착화 유도수단이 구비된 가스버너{Gas buner having for ignition inducer means}
본 고안은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점화플러그 주변으로 공급되는 분출가스의 압력을 저 분출압 상태로 안정화시켜 공급하도록 착화 유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원활한 착화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화 유도수단이 구비된 가스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버너는 음식물 등을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가열장치로서, 일반 가정은 물론, 업소(음식점)나 야외 조리를 위한 휴대용 가열기구로 일상 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삭제
도 1은 종래 가스버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 - I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종래의 가스버너(100)는 벤츄리관(111)을 포함하며, 상기 벤츄리관(111)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상측으로 안내하여 분출시키도록 내부에 가스실(112)을 갖는 원통형의 버너본체(110)와, 상기 버너본체(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분출되는 가스를 방사상으로 확산 이동시키는 확산부재(120)와, 상기 버너본체(110)의 개방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버너본체(110)와 확산부재(120) 사이에 결합되는 버너헤드(130) 및, 상기 버너본체(110)의 내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그 절개부분에 설치되는 점화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점화수단(140)은 상기 버너본체(110)의 내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141)와, 상기 절개부(141) 상에 설치되는 점화플러그(142) 및, 상기 버너헤드(130)측으로 분출되는 가스의 일부를 상기 점화플러그(142)측으로 우회하여 공급시키도록 상기 버너본체(110)의 내측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가스유도홀(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벤츄리관(111)을 통해 가스실(112) 내부로 유입된 가스는 확산부재(120)을 통해 방사상으로 확산 이동되면서 버너헤드(130)측으로 분출되고, 일부의 가스는 상기 가스유도홀(143)을 통해 점화플러그(142)측으로 분출되어 상기 점화플러그(142)에서 발생하는 불꽃에 의해 발화 연소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에는 설정된 화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스는 고압의 분출압을 갖기 때문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점화플러그(142)측으로 공급되는 가스 역시 그 분출속도가 빠르고 불완전 기화 상태를 갖는 가스의 분포율이 커짐으로써 착화에 부적합하여 착화율이 저조하게 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가스 누출로 인한 에너지 손실과 더불어 실내 공기 오염 및 화재, 화상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화율 저조에 따른 점화플러그(142)의 잦은 작동에 의해 점화플러그(142)의 조기 파손에 대한 우려가 있음은 물론, 불꽃의 역화(逆火)현상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65440호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점화플러그 주변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분출압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가스유도홀 내에 착화 유도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초기 착화의 불량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등 원활한 착화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버너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원통형의 구조로 외측에는 벤츄리관이 관통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벤츄리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상측으로 분출 안내하도록 가스실이 마련된 버너본체; 상기 버너본체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측으로 분출되는 가스를 방사상으로 확산 시키는 확산부재; 상기 버너본체와 확산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되며, 표면에는 다수의 염공들이 형성된 버너헤드; 상기 버너본체의 내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면과, 상기 절개면에 설치되는 점화플러그 및, 상기 버너헤드측으로 분출되는 가스의 일부를 상기 점화플러그측으로 안내 공급하도록 상기 버너본체의 내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가스유도홀로 이루어지는 점화수단; 및 상기 가스유도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점화플러그측으로 안내 공급되는 분출가스의 분출압력을 저 분출압 상태로 분출 유도하는 착화 유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착화 유도수단은 상기 가스유도홀 내에 삽입 설치되는 부싱과, 상기 부싱의 상단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금속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필터는 금속분말을 고온 및 고압에서 압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표면에 미세한 다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착화 유도수단이 구비된 가스버너에 의하면, 점화플러그측으로 공급되는 가스가 금속필터에 의해 저 분출압 상태로 안정화되어 공급되는 것에 의해, 가스가 점화플러그 주변에 머무는 시간을 지체시킴으로써, 초기 착화의 불량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등 착화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가스유도홀의 출구를 금속필터가 막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착화시 불꽃의 역화(逆火)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스버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 - 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버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착화 유도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가스유도홀과 착화 유도수단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버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도 3에 도시된 점화플러그 주변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착화 유도수단이 구비된 가스버너(B)는 크게 버너본체(10)와, 확산부재(20)와, 버너헤드(30)와, 점화수단(40) 및, 착화 유도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버너본체(10)는 원통형의 구조로 일측에는 가스의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11)이 관통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벤츄리관(11)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상측으로 분출 안내되도록 가스실(12)이 마련되며, 중앙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홀(1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벤츄리관(11)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점차 내경이 작아지는 것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버너본체(10)의 내부에는 상측으로 분출되는 가스를 방사상으로 확산 분출시키도록 확산부재(2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확산부재(20)는 상기 버너본체(10)의 가스실(12)에 삽입되는 삽입부(21)와, 상기 삽입부(2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버너헤드(30)를 지지하는 지지부(22) 및, 상기 버너본체(10)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상기 삽입부(21)와 지지부(22) 사이에서 돌출되어 상측으로 분출되는 가스를 방사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판(23)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스실(12)의 개방부를 마감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확산판(23)과 삽입부(21) 사이에는 걸림턱(미도시)을 구비하여 확산부재(20)의 삽입시 가스실(12)과 확산부재(20)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가스의 분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확산판(23)의 상면에는 버너헤드(30)와의 결합시 확산판(23)과 버너헤드(3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안착턱(23a)이 마련된다. 즉, 가스가 버너헤드(30)에 구비된 염공(31)에 골고루 전달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때 상기 확산판(23)은 가스의 원활한 분출을 도모하기 위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산부재(20)의 중앙에는 상기 버너본체(10)에 구비된 공기유입홀(13)과 연통되도록 관통홀(24)이 구비되어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버너헤드(30)는 화염이 발생하는 부분으로 가스가 통과하도록 표면에는 다수의 염공(31)들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버너본체(10)의 지지부(22)에 삽입되어 거치 가능하도록 관통홀(32)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화염이 직접 분출되지 않는 간접 가열방식인 세라믹헤드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염이 직접 분출되는 일반적인 버너헤드가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 특정한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버너헤드(30)는 관통홀(32)을 통해 버너본체(10)와 확산부재(20) 사이에 안착되어 가스실(12)을 밀폐하는 구조를 갖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링(60)에 의해 버너본체(1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버너본체(10)의 내부 벽면에는 점화수단(40)이 구비된다. 상기 점화수단(40)은 버너헤드(30)를 통해 분출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도록 불꽃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화수단(40)은 상기 버너본체(10)의 내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41)와, 상기 절개부(41) 상에 설치되는 점화플러그(42) 및, 상기 버너헤드(30)측으로 분출되는 가스의 일부를 상기 점화플러그(42)측으로 안내 공급하도록 상기 버너본체(1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가스유도홀(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실(12)에서 상측으로 분출되는 가스의 대부분은 상기 버너헤드(30)의 염공(31)을 통해 분출되고 일부의 가스는 상기 가스유도홀(43)을 통해 점화플러그(42)측으로 안내 공급되어 상기 점화플러그(42)의 동작에 의해 불꽃을 발생시켜 가스를 연소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가스유도홀(43)에는 점화플러그(42)측으로 안내 공급되는 분출가스를 분출 압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착화 유도수단(50)이 설치된다. 이는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가스유도홀(43)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의 분출압력을 낮춤에 따라 점화플러그(42) 주변에서 가스를 일정 시간 지체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착화 유도수단(5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착화 유도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가스유도홀과 착화 유도수단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B)에 구비되는 착화 유도수단(50)은 상기 가스유도홀(43) 내에 삽입 설치되는 부싱(51)과, 상기 부싱(51)의 상단 내부에 고정되는 금속필터(52)로 구성된다.
상기 부싱(51)은 상/하부가 관통된 구조로 가스유도홀(43)에 삽입 설치되어 가스유도홀(43)의 하단부로 유입되는 가스는 상기 부싱(51)의 내부를 통해서만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금속필터(52)는 금속분말을 복잡한 3차원 구조로 배열한 후 고온 및 고압으로 압착시켜 형성되는 것으로, 표면에 배열 형성된 미세한 다공에 의해 분출되는 가스의 분출 압력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착화 유도수단(50)을 통해 가스의 분출압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점화플러그(42) 주변에서의 머무는 시간을 지체시킬 수 있어 점화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B - 가스버너 10 - 버너본체
20 - 확산부재 23 - 확산판
30 - 버너헤드 40 - 점화수단
41 - 절개부 42 - 점화플러그
43 - 가스유도홀 50 - 착화유도수단
51 - 부싱 52 - 금속필터

Claims (3)

  1. 원통형의 구조로 외측에는 벤츄리관(11)이 관통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벤츄리관(11)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상측으로 분출 안내하도록 가스실(12)이 마련된 버너본체(10);
    상기 버너본체(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측으로 분출되는 가스를 방사상으로 확산 시키는 확산부재(20);
    상기 버너본체(10)와 확산부재(20) 사이에 삽입 설치되며, 표면에는 다수의 염공(31)들이 형성된 버너헤드(30);
    상기 버너본체(10)의 내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면(41)과, 상기 절개면(41)에 설치되는 점화플러그(42) 및, 상기 버너헤드(30)측으로 분출되는 가스의 일부를 상기 점화플러그(42)측으로 안내 공급하도록 상기 버너본체(10)의 내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가스유도홀(43)을 갖는 점화수단(40); 및
    상기 가스유도홀(43) 내에 삽입 설치되는 부싱(51)과, 상기 부싱(51)의 상단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금속분말을 고온 및 고압에서 압착하여 표면에 미세한 다공이 형성된 금속필터(52)로 이루어지는 착화유도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점화플러그(42)측으로 안내 공급되는 분출가스의 분출압력을 저 분출압 상태로 분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화 유도수단이 구비된 가스버너.
  2. 삭제
  3. 삭제
KR2020130008491U 2013-10-16 2013-10-16 착화 유도수단이 구비된 가스버너 KR200475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491U KR200475657Y1 (ko) 2013-10-16 2013-10-16 착화 유도수단이 구비된 가스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491U KR200475657Y1 (ko) 2013-10-16 2013-10-16 착화 유도수단이 구비된 가스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657Y1 true KR200475657Y1 (ko) 2014-12-18

Family

ID=5357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491U KR200475657Y1 (ko) 2013-10-16 2013-10-16 착화 유도수단이 구비된 가스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6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011B1 (ko) * 2017-11-23 2018-10-18 주식회사 비젼코리아 적열식 휴대용 가스레인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753Y1 (ko) * 2005-10-28 2006-01-11 김화용 휴대용 가스렌지의 버너 착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753Y1 (ko) * 2005-10-28 2006-01-11 김화용 휴대용 가스렌지의 버너 착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011B1 (ko) * 2017-11-23 2018-10-18 주식회사 비젼코리아 적열식 휴대용 가스레인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948B1 (ko) 실드 더블 버너
KR20070053914A (ko) 실드 더블 버너
KR200475657Y1 (ko) 착화 유도수단이 구비된 가스버너
KR100738697B1 (ko) 실드 더블 버너
KR101636776B1 (ko) 저압 및 준저압 겸용 가스 버너
CN210861204U (zh) 一种完全上进风式燃烧器及应用该燃烧器的集成灶
CN204005981U (zh) 一种燃气燃烧器组件
CN208349339U (zh) 一种带有复合火焰的打火机喷气装置
KR10190901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레인지
CN208431761U (zh) 一种可调上进风式灶具燃烧器
KR200476819Y1 (ko) 휴대용 고 화력 토치램프
JP2000193211A (ja) コンロ用バ―ナ
CN211372405U (zh) 一种完全上进风式燃烧器
CN204345716U (zh) 一种燃气燃烧器用的引射式点火枪
CN216409049U (zh) 一种多个直排进出气口的炉头
KR102264587B1 (ko) 이중가스버너
CN211372406U (zh) 一种完全上进风式燃烧器
KR101457547B1 (ko) 가스버너
CN211372403U (zh) 一种完全上进风式燃烧器
KR20030020730A (ko) 가스버너
CN211822508U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KR101404877B1 (ko)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가지는 가스 레인지
KR100782121B1 (ko)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
CN212869756U (zh) 一种上进风杯式灶具燃烧器
CN214840800U (zh) 一种上进风式灶具燃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