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612Y1 -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 - Google Patents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612Y1
KR200475612Y1 KR2020130010571U KR20130010571U KR200475612Y1 KR 200475612 Y1 KR200475612 Y1 KR 200475612Y1 KR 2020130010571 U KR2020130010571 U KR 2020130010571U KR 20130010571 U KR20130010571 U KR 20130010571U KR 200475612 Y1 KR200475612 Y1 KR 200475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sensor
housing
sound source
lower hou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리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리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리시스
Priority to KR2020130010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6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6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8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S3/801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8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S3/8006Multi-channe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irection-finding, i.e. having a single aerial system capable of giving simultaneous indications of the directions of different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8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S3/802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삼각형 형태로 배치된 음향센서와 그 하부로 돌출 위치된 음향센서에 의해 구성되는 음향센서 어레이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음원의 위치와 지연 시간 차와의 상관관계를 역 추정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 존재하는 음원의 방향을 실시간으로 검지하기 위한 음원 방향검지 시스템에서, 상기 음향 어레이가 신속 용이하게 조합될 수 있도록 한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은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그 주변에 다수의 음향센서 설치구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관통구 내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 하측으로 돌출 위치되는 음향센서 수용부재와, 상기 하부 하우징 상부에 상호 밀실하게 체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지주대 측에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Installation housing for acoustic sensor}
본 고안은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삼각형 형태로 배치된 음향센서와 그 하부로 돌출 위치된 음향센서에 의해 구성되는 음향센서 어레이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음원의 위치와 지연 시간 차와의 상관관계를 역 추정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 존재하는 음원의 방향을 실시간으로 검지하기 위한 음원 방향검지 시스템에서, 상기 음향 어레이가 신속 용이하게 조합될 수 있도록 한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원의 방향을 검지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음향센서를 일직 선형 혹은 원형으로 배치한 음향센서 어레이 시스템을 사용한다.
일직선형 음향센서 어레이 시스템의 경우는 180°범위 내에서 음원의 방향에 대응할 수 있으나 높이를 알아낼 수 없으며, 양 측면 근방에 위치한 음원에 대한 방향 검지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원형 음향센서 어레이 시스템의 경우는 360°의 모든 방위에 대해 대응할 수 있고, 음원의 높이를 알아낼 수 있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일직선형 음향센서 어레이에 비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음향센서 어레이 시스템은 PTZ(Pan-Tilt-Zoom) 카메라와 연동되어 사용되는 것이 보통인데, 음향센서 어레이 시스템에서 음원의 방향을 검지하면 PTZ카메라가 해당 방향을 촬영하게 되며, PTZ카메라가 설치된 지주대 상에 음향센서 어레이 또한 함께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 같은 원형의 음향센서 어레이 시스템 방식으로 음향센서가 배열 및 설치되는 별도의 하우징이 제공되지 않아 음원 방향검지 시스템의 구축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용이한 음향센서 어레이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고 PTZ카메라와 함께 지주대 상에 설치 가능한 하우징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722799호(2007.05.22)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090894호(2011.12.01)
따라서 본 고안은 삼각형 형태로 배치된 음향센서와 그 하부로 돌출 위치된 음향센서에 의해 구성되는 음향센서 어레이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음원의 위치와 지연 시간 차와의 상관관계를 역 추정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 존재하는 음원의 방향을 실시간으로 검지하기 위한 음원 방향검지 시스템에서, 상기 음향 어레이가 신속 용이하게 조합될 수 있도록 한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그 주변에 다수의 음향센서 설치구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관통구 내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 하측으로 돌출 위치되는 음향센서 수용부재와, 상기 하부 하우징 상부에 상호 밀실하게 체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지주대 측에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에 따르면 삼각형 형태로 배치된 음향센서와 그 하부로 돌출 위치된 음향센서에 의해 구성되는 음향센서 어레이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음원의 위치와 지연 시간 차와의 상관관계를 역 추정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 존재하는 음원의 방향을 실시간으로 검지하기 위한 음원 방향검지 시스템에서, 상기 음향 어레이가 신속 용이하게 조합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은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그 주변에 다수의 음향센서 설치구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관통구 내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 하측으로 돌출 위치되는 음향센서 수용부재와, 상기 하부 하우징 상부에 상호 밀실하게 체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31)이 형성되며 지주대 측에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1)의 구성부재 및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하부 하우징(10)은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중앙에 관통구(11)가 형성되고 관통구(11)의 주변에는 다수의 음향센서 설치구(12)가 형성된다.
전술한 관통구(11)는 음향센서 수용부재(20)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 하우징(10)의 정중앙 측에 관통 형성되고 이 관통구(11)를 중심으로 하는 동일 평면의 원둘레 상에 음향센서(50)가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음향센서 설치구(12)가 일정간격 이격 되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음향센서 설치구(12)가 90°간격으로 정 사방에 각각 한 개씩, 총 네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그 형성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음향센서 설치구(12)는 외부의 음향이 음향센서 설치구(12) 내에 설치된 음향센서(50)에 도달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하부 하우징(10) 상에는 설치 브래킷(40)이 구비되는데, 이 설치 브래킷(40)은 음향센서 설치구(12) 내에 설치된 음향센서(50)가 고정되게 하고 음향센서(50)의 작동 및 PTZ 카메라(100)와 연동가능하게 하고 음향의 방향을 탐지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되는 각종 전자소자가 실장 된 PCB 기판 및 그 부속부품이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부 하우징(10) 상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브래킷 부재(41)와 이 제 1 브래킷 부재(41)와 상부에 "┏┓"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 2 브래킷 부재(4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관통구(11) 내에는 음향센서 수용부재(20)가 삽입되는데 이 음향센서 수용부재(20)는 전술한 음향센서 설치구(12) 내에 설치된 음향센서(50)와 다른 평면 상에 음향센서(50)가 위치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통구(11) 내에 삽입되어 하부 하우징(10) 하측으로 돌출 위치되며 관통구(11) 내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전술한 하부 하우징(10) 하측으로 돌출 위치됨에 따라 음향센서 수용부재(20) 내에 설치되는 음향센서(50)는 전술한 음향센서 설치구(12) 내에 설치된 음향센서(50)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음향센서 수용부재(20)는 전술한 음향센서 설치구(12)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음향이 음향센서 설치구(12) 내에 설치된 음향센서(50)에 도달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하부 하우징(10) 상부에는 상부 하우징(30)이 밀실하게 체결되는데, 이 상부 하우징(30)은 그 내부에 수용공간(31)이 형성되어 전술한 하부 하우징(10)에 설치된 구성부재들이 그 내부에 수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체 하우징이 지주대(200) 측에 설치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부 하우징(30)은 덮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 측이 PTZ 카메라가 구비된 지주대(200) 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에 나사산(32)가 형성되어 지주대(200)와 나사결합될 수도 있고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도있다. 이때 전술한 상부 하우징(30)은 하부 하우징(10)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하며 내부에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연결부분은 패킹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1)은 삼각형 형태로 배치된 음향센서(50)와 그 하부로 돌출 위치된 음향센서(50)에 의해 구성되는 음향센서 어레이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음원의 위치와 지연 시간 차와의 상관관계를 역 추정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 존재하는 음원의 방향을 실시간으로 검지하기 위한 음원 방향검지 시스템에서, 음향 어레이가 신속 용이하게 조합될 수 있게 하는 탁월한 장점을 갖게 된다. 이때 전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1)이 적용되는 음원 방향검지 시스템의 작동원리는 공지된 기술인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함을 밝혀둔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
10 : 하부 하우징
11 : 관통구
12 : 음향센서 설치구
20 : 음향센서 수용부재
30 : 상부 하우징
31 : 수용공간
32 : 나사산
40 : 설치 브래킷
41 : 제 1 브래킷 부재
42 : 제 2 브래킷 부재
50 : 음향센서
100 : PTZ 카메라
200 : 지주대

Claims (3)

  1. 중앙에 관통구(11)가 형성되고 그 주변에 다수의 음향센서 설치구(12)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10);
    상기 관통구(11) 내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10) 하측으로 돌출 위치되는 음향센서 수용부재(20); 및
    상기 하부 하우징(10) 상부에 상호 밀실하게 체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31)이 형성되며 지주대(200) 측에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3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향센서 설치구(12) 및 음향센서 수용부재(20) 내에는 각각 음향센서(5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음향센서 설치구(12)는 상기 음향센서 수용부재(20)를 중심으로 하는 동일 평면의 원둘레 상에 일정간격 이격 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10) 상에는 상기 수용공간(31) 내에 수용되도록 설치 브래킷(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
KR2020130010571U 2013-12-19 2013-12-19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 KR200475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571U KR200475612Y1 (ko) 2013-12-19 2013-12-19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571U KR200475612Y1 (ko) 2013-12-19 2013-12-19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612Y1 true KR200475612Y1 (ko) 2014-12-16

Family

ID=5357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571U KR200475612Y1 (ko) 2013-12-19 2013-12-19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6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486B1 (ko) 2015-07-31 2018-04-2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형 음원 수집 및 분석을 이용한 음원 방향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486B1 (ko) 2015-07-31 2018-04-2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형 음원 수집 및 분석을 이용한 음원 방향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6976A1 (en) Smoke detector
US10690934B2 (en) Compact lens module
US8305289B2 (en) Antenna device whos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can be adjusted
JP5853143B2 (ja) 火災感知器
EA201291204A1 (ru) Регистрирующая аппаратура морского донного сейсм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US10335955B2 (en) Proximity sensor arrangement
US7518954B2 (en) Motion transducer
KR102062161B1 (ko) 이동식 소음진동 측정장치
JP2015087318A5 (ko)
KR102538064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RU2012155316A (ru) Аппарат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я с установленным в нем устройством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я в корпусе
KR200475612Y1 (ko) 음향센서 설치용 하우징
WO2009049384A3 (en) Housing for a device for signalling and detecting, imaging and/or identifying vehicles and a device equipped therewith
CN105812965B (zh) 声传感器设备
JP5290896B2 (ja) 固定装置
CA3002309A1 (en) Hydr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DK180077B1 (en) Road Equipment Monitoring Device
JP2014167741A (ja) 物体検知装置
KR101412101B1 (ko) Cctv 음원추적용 음향센서
JP2017521842A (ja) プラグコネクタモジュールおよび/またはプラグコネクタ用の保持フレーム
JP2017158030A5 (ko)
US10420218B2 (en) Compact electronic system and device comprising such a system
KR101554231B1 (ko) 차량감지시스템
WO2008102865A1 (ja) 警報装置
KR20130047894A (ko) 감시카메라모듈 고정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