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334Y1 - A cosmetic vessel capable of refill - Google Patents

A cosmetic vessel capable of refi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334Y1
KR200475334Y1 KR2020140005058U KR20140005058U KR200475334Y1 KR 200475334 Y1 KR200475334 Y1 KR 200475334Y1 KR 2020140005058 U KR2020140005058 U KR 2020140005058U KR 20140005058 U KR20140005058 U KR 20140005058U KR 200475334 Y1 KR200475334 Y1 KR 200475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fting
locking
protrusio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0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기근서
Original Assignee
(주)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진 filed Critical (주)민진
Priority to KR2020140005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33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33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6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bayonet cams, i.e. removed by first pushing axially to disengage the cams and then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보 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된 내용기몸체와, 상기 내용기몸체의 주입구에 결합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 위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수용하며 둘레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토출공이 구비된 록킹블록을 포함하는 누름캡과, 상기 내용기몸체의 하단에 결합하여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가 형성된 하부캡을 포함하는 내용기; 상단에 하향하여 절개 형성되어 상기 록킹블록이 하단이 걸리는 록킹홈부를 포함하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경사지게 승강 유도홈이 내주면에 형성된 측벽부와,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탄성 변형하여 움직이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회전수단;및 상기 내용기몸체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승강 유도홈에 삽입되는 승강 돌기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외용기 내부에서 승강함으로써, 상기 록킹블록의 하단이 상기 록킹홈부에서 이격 되도록 상기 내용기몸체를 상승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 화장품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housing body containing contents, a pump coupled to an inlet of the housing body, a locking block coupled to the pump to receive a pressing action of the user and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periphery, And a lower cap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hooking protrusion along the periphery thereof; An outer container including a locking groove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so as to be cut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block is engaged; A rotating means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and including a side wall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bottom portion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a user's pressing operation, And a lift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lifting guide groove is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lifted and lowered in the ou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rotating part,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block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groove,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smetic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body.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Lt; / RTI >

Description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A cosmetic vessel capable of refil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vessel capable of refill,

본 고안은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용기와 내용기로 이루어지고 내용기를 교체 가능한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made of an outer container and a contents container and capable of replacing the container.

화장품을 내장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당수가 에어리스 펌프(airless pump)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액상 또는 에멀전 형태의 화장품을 정량씩 배출하는데 있어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구성이며, 특히, 저장된 화장품을 소량씩 배출하여, 저장된 화장품이 공기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장품 전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In containers containing cosmetics, a considerable number of airless pumps are used. Such a cosmetic container is a convenient configuration for discharging liquid or emulsion cosmetics in a quantitative manner. In particular, by discharging a small amount of stored cosmetics, it is possible to prevent stored cosmetics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air,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of prevent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40563호(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에어리스 펌프식 화장품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본 문헌의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에 에어리스 펌프가 결합되어 있다. 이 에어리스 펌프를 펌핑시키면 펌프실린더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여 펌프실린더 내부에 내용물이 토출공을 통해 토출된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40563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document") discloses an airless pump cosmetic container. The cosmetic container of this document has an airless pump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When this airless pump is pumped,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pump cylinder,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inside the pump cylinder.

이후, 에어리스 펌프에 외력이 제거되면, 펌프실린더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하면서 유입공이 개방되어 유입공을 통해 내용물이 유입되어 펌프실린더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위와 같은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는 고점도의 내용물을 정량씩 토출시키는 데 매우 유용할 수 있다.The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airless pump, a vacuum is generated inside the pump cylinder, and the inflow hole is opened to allow the contents to flow into the pump cylinder through the inflow hole. Such an airless cosmetic container can be very useful for dispensing a high-viscosity content in a fixed amount.

이때, 에어리스 펌프 위에 설치된 누름 버튼이 설치되며, 누름 버튼이 눌리면 배출홀을 통해 화장품이 토출된다. 그러나 보호캡 등이 벗겨진 상태에서 배출홀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외력에 의해 누름 버튼이 의도하지 않게 눌리는 경우, 화장품이 가방 안에서 배출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화장품이 가방 안에서 배출되는 경우, 배출된 내용물이 가방 안의 다른 소지품들을 오염시키게 된다.At this time, a push button provided on the airless pump is installed, and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cosmetic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However, when the protective cap is peeled off, the discharge hole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push button is inadvertently pressed by the external force, the cosmetic is discharged in the bag. If the cosmetic is unintentionally discharged from the bag by the user, the discharged contents contaminate other belongings in the bag.

또한, 에어리스 펌프식 용기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화장품이 사용된 후 버려지는 경우, 낭비가 큰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기능의 화장품이 증가하면서 화장품 용기의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점을 고려할 때, 화장품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는 제안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In addition, since the airless pump type container has a relatively high manufacturing cost of the cosmetic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ste is large when the cosmetic is discarded after being used.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ost of manufacturing cosmetic containers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high-performance cosmetic products, it is urgently required to reuse cosmetic container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40563호(2012.12.31.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40563 (published on December 31, 2012)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화장품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화장품이 수용된 내용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which can easily replace the contents containing cosmetics while preventing the cosmetics from being discharged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does not intend, do.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her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된 내용기몸체와, 상기 내용기몸체의 주입구에 결합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 위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수용하며 둘레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토출공이 구비된 록킹블록을 포함하는 누름캡과, 상기 내용기몸체의 하단에 결합하여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가 형성된 하부캡을 포함하는 내용기와, 상단에 하향하여 절개 형성되어 상기 록킹블록이 하단이 걸리는 록킹홈부를 포함하는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경사지게 승강 유도홈이 내주면에 형성된 측벽부와,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탄성 변형하여 움직이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회전수단 및 상기 내용기몸체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승강 유도홈에 삽입되는 승강 돌기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외용기 내부에서 승강함으로써, 상기 록킹블록의 하단이 상기 록킹홈부에서 이격 되도록 상기 내용기몸체를 상승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upplying a liquid to a body, comprising: a body having a body accommodated therein, a pump coupled to an inlet of the body, a body coupled to the pump, And a lower cap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has a hooking protrusion formed around the lower cap.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p protrudes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p, A rotating means including a side wall portion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and which is inclinedly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and a bottom portion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and moved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user, Wherein the lifting and lowering protrus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lifting means for raising the interior of the outer container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block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groove portion, thereby providing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수단의 바닥부는 상면 중심에 상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하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분리유도돌기를 포함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와 상기 측벽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둘의 스포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ottom portion of the rotating means includes a button portion including a detent projec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so as to be contactab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ing means, And at least two spoke portions which are formed as far as possib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포크부는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적어도 둘 절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poke portions may form at least two bends in mutually different directions.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수단은 한 쌍의 상기 승강 유도홈이 대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otating means may be provided such that a pair of the lifting guide grooves are opposed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돌기는 후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수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걸려 상기 승강수단과 상기 내용기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ok,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means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for locking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lifting means and the container body.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누름캡이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눌리지 않도록 외용기에 형성된 록킹홈부에 록킹블록이 걸리도록 구성하고, 회전수단을 회전 조작하여 록킹블록이 형성된 누름캡을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 화장품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block is hooked on the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outer container so that the pressing cap is not pressed in an unintended state, and the pressing cap, on which the locking block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smetics from being discharged in an unintended situation by the user, an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conveniently if necessary,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ous effect of increasing the usability.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수단에 결합된 내용기의 하단을 밀어 승강수단과 내용기를 분리시키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회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간단한 누름 동작만으로 내용기를 교체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ng means including the bottom portion for separating the lifting means and the content container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ent container coupled to the lifting means is provided, the content container can be replaced only by a simple pushing operation of the user Providing a beneficial effec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도,
도 3은 회전수단의 승강 유도함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회전수단의 바닥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내용기의 하부캡과, 승강수단과, 회전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회전수단에 의해 누름캡이 상승하여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회전수단의 바닥부의 버튼부가 눌려 분리유도돌기가 내용의 하부캡을 밀어 승강수단에서 내용기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외용기에서 분리된 내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shows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the induc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rotating means,
Figure 4 shows the bottom of the rotating means,
5 is a view showing a lower cap, a lifting means and a rotating means of the content container,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cap is raised by the rotating means to release the lockin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tton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rotation means is depressed so that the separation inducing protrusion pushes the lower cap of the contents to separate the content container from the lifting means,
8 is a view showing a content container separated from the outer container.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or modify th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shown in FIG. 1 and 2 clearly show only the main feature parts in order to conceptually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 are expect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specific shape shown in the figures There is no need.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10)는 리필 가능한 내용기(100)와, 외용기(200)와, 회전수단(300)과, 승강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illable container 100, an outer container 200, a rotating means 300, Means 400 may be included.

내용기(100)는 내용기몸체(110)와, 펌프(120)와, 누름캡(130)과, 하부캡(14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용기몸체(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한다. 내용기몸체(110)의 상단에는 주입구(111)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피스톤(112)이 삽입된다. 피스톤(112)은 펌프(120)가 펌핑됨에 따라 내용기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The content container 100 may include a container body 110, a pump 120, a pressing cap 130, and a lower cap 140. The container body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ccommodates cosmetics therein. An injection port 111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110 and a piston 112 is inserted at a lower end. The piston 112 ris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as the pump 120 is pumped.

펌프(120)는 에어리스 펌프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내용기몸체(110)의 주입구(111)에 결합될 수 있다. 펌프(12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연동하여 내용기몸체(110)에 수용된 화장품을 누름캡(130)의 토출공(132)을 통해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ump 1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irless pump and may be coupled to the injection port 111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pump 120 discharges the cosmetics contained in the container 11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2 of the push cap 130 in conjunction with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누름캡(130)은 펌프(120) 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수용하여 펌프(120)를 가압시키는 역할을 한다. 누름캡(130)의 둘레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토출공(132)이 구비된 록킹블록(131)이 형성될 수 있다. 록킹블록(131)의 하단면은 외용기(200)에 형성된 록킹홈부(210)와 맞닿아 외력에 의해서도 누름캡(130)이 눌리지 않도록 물리적으로 막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The pushing cap 130 is installed on the pump 120 and serves to press the pump 120 by receiv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user. A locking block 131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and having a discharge hole 132 may be formed around the pushing cap 130.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131 abuts against the locking recess 210 formed in the outer container 200 and functions as a stopper to physically prevent the pushing cap 130 from being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하부캡(140)은 내용기몸체(110)의 하단에 결합하여 피스톤(112)이 내용기몸체(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부캡(140)의 둘레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돌기(도 5의 14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걸림돌기(141)가 승강수단(4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420)에 걸려 승강수단(400)과 내용기몸체(11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걸림돌기(141)는 후크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lower cap 140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0 to prevent the piston 11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10. 5) may be formed around the lower cap 140. The locking protrusion 141 may be formed on the fixing protrusion 420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fting unit 400 And serves to couple the lifting unit 400 and the body 110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14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ok.

외용기(200)는 내용기(100)를 내부에 보관한다. 외용기(20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용기(200)의 상단에서 하향하여 절개 형성되어 록킹홈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록킹홈부(210)는 록킹블록(131)이 삽입되어 누름캡(130)이 눌려 펌프(120)가 작동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outer container 200 stores the inner container 100 therein. The external container 2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At this time, the locking groove 210 may be formed by cutt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200. The locking groove portion 210 prevents the pushing cap 130 from being pressed by the locking block 131 to prevent the pump 120 from operating.

도 3은 회전수단의 승강 유도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회전수단의 바닥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내용기의 하부캡과, 승강수단과, 회전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elevating guide groove of the rotating means, FIG. 4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rotating means,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lower cap, the elevating means and the rotating means.

회전수단(300)은 내용기(100) 및 누름캡(130)을 승강시켜 누름캡(130)을 선택적으로 록킹 하거나 록킹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rotating means 300 selectively lifts or unlocks the pusher cap 130 by moving the container 100 and the pusher cap 130 up and dow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수단(300)은 외용기(20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수단(300)은 외용기(200)의 중심이 회전축의 중심이 되도록 회전수단(30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수단(300)은 외경이 외용기(20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외용기(200)의 표면과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3 to 5, the rotating means 3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200. [ Specifically, the rotating means 3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means 300 such that the center of the outer container 200 is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The outer diameter of the rotating means 300 may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container 200 and may be continuous with the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0.

이러한 회전수단(300)은 측벽부(310)와 바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310)에는 승강 유도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 유도홈(311)은 측벽부(310) 내주면에 나선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유도홈(311)은 2개가 대향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승강 유도홈(311)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나선 형태의 승강 유도홈(311)은 회전수단(30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승강수단(400)이 승강되도록 유도한다.The rotating means 300 may include a side wall portion 310 and a bottom portion 320. As shown in FIG. 3, an elevating guide groove 311 may be formed in the side wall part 310. The elevating guide groove 31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 spiral shap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310. Although two of the elevating guide grooves 311 may be opposed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the elevating guide grooves 311. [ The spiral-shaped elevating guide groove 311 induces the elevating means 400 to be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rotating means 300.

바닥부(320)는 회전수단(3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대응하여 상하로 움직이도록 탄성 변형되어 내용기(100)의 하부캡(140)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바닥부(32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부(321)와 스포크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320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means 300 and is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move up and down in response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user so as to be contactable with the lower cap 140 of the container 100 . The bottom portion 320 may include a button portion 321 and a spoke portion 322, as shown in FIG.

버튼부(32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에 돌출되어 분리유도돌기(321a)가 형성된다. 분리유도돌기(321a)는 내용기(100)의 하부캡(140)의 저면에 직접 접촉하여 내용기(100)를 승강수단(400)에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The button portion 32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to form a separation inducing protrusion 321a. The separation inducing protrusion 321a directly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p 140 of the container 100 and pushes the container 100 from the elevating means 400.

스포크부(322)는 버튼부(321)와 측벽부(31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버튼부(321)가 사용자에 의해 눌리는 경우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된다. 스포크부(322)는 버튼부(321)에서 시작하여 측벽부(310)까지 적어도 둘의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꺽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포크부(322)는 버튼부(321)의 둘레를 따라 모두 3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spoke portion 322 serves to connect the button portion 321 and the side wall portion 310 and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button portion 321 is pressed by a user. The spoke portion 322 may be formed by bending to form at least two bends from the button portion 321 to the side wall portion 310. Three such spoke portions 322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utton portion 32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승강수단(400)은 내용기(100)의 하부캡(140)과 고정되어, 회전수단(300)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외용기(200)의 내부에서 내용기(100)를 승강시킨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수단(4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 회전수단(300)의 승강 유도홈(311)에 삽입되는 승강 돌기(4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lifting means 400 is fixed to the lower cap 140 of the container 100 so that the container 100 is moved up and down inside the outer container 200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rotating means 300. 5, the lifting unit 4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lifting protrusion 410 inserted into the lifting guide groove 311 of the rotating unit 300 may be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승강 돌기(410)는 승강 유도홈(311)에 대응하여 승강수단(4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elevating protrusion 41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elevating means 400 corresponding to the elevating guide groove 311.

승강수단(400)의 내주면에는 하부캡(140)에 형성된 후크 형태의 걸림돌기(141)와 상호 맞물려 승강수단(400)과 내용기(100)를 고정하는 고정돌기(4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 fixing protrusion 420 for fixing the lifting means 400 and the content container 100 may be protrud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means 40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hook- have.

도 6은 회전수단에 의해 누름캡이 상승하여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cap is raised by the rotating means to release the locking.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블록(131)이 록킹홈부(210)에 맞닿아 있는 경우 누름캡(130)이 눌리지 않는 록킹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locking block 131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groove 210, the locking cap 130 is locked.

사용자가 회전수단(300)를 회전시키면, 승강 돌기(410)가 승강 유도홈(3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승강수단(400)이 상향 이동하게 된다. 승강수단(400)이 상향 이동함에 따라 내용기(100)가 상승하면서, 누름캡(130)이 상승 이동 한다. 누름캡(130)이 상승 이동하면, 록킹블록(131)이 록킹홈부(210)과 이격 되면서 누름캡(130)이 눌리는 록킹 해제 상태가 된다.When the user rotates the rotating means 300, the elevating means 410 moves upward along the elevating guide groove 311, and the elevating means 400 moves upward. As the lifting means 400 moves upward, the container 100 rises and the pushing cap 130 moves upward. When the pushing cap 130 is moved upward, the locking block 131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recess 210, and the pushing cap 130 is depressed.

사용자는 화장품 용기를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에는 누름캡(130)이 눌리지 않도록 록킹 상태로 세팅을 해두고, 사용할 때에만, 회전수단(300)을 회전 조작하여 록킹을 해제하여, 의도하지 않게 화장품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carrying or storing the cosmetic container, the user sets the container so that the pusher cap 130 is not depressed. Only when the cosmetic container is used, the user rotates the rotating means 300 to release the locking and unintentionally discharges the cosmetic Can be prevented.

도 7은 회전수단의 바닥부의 버튼부가 눌려 분리유도돌기가 내용의 하부캡을 밀어 승강수단에서 내용기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외용기에서 분리된 내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tton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rotation means is depressed so that the separation inducing protrusion pushes the lower cap of the contents to separate the content container from the elevating means, and FIG. 8 is a view showing the content container separated from the outer container.

한편, 화장품의 잔량이 없는 경우, 화장품이 담긴 새로운 내용기(100)를 외용기(200)에 교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부(321)를 누르면 분리유도돌기(321a)가 하부캡(140)을 밀어 올리면서 승강수단(400)의 고정돌기(410)와 하부캡(140)의 걸림돌기(141)의 구속이 해제되어 승강수단(400)과 내용기(10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remaining amount of cosmetics, a new content container 100 containing cosmetics can be replaced with the outer container 200. 7 and 8,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ortion 321, the separation inducing protrusion 321a pushes up the lower cap 140 and pushes up the fixing protrusion 410 of the lifting means 400 and the lower cap 140. [ The restraint of the latching protrusion 141 of the lifting unit 400 can be released and the lifting unit 400 and the container 100 can be easily replaced.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As described above, th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화장품 용기
110: 내용기몸체
111: 주입구
112: 피스톤
120: 펌프
130: 누름캡
131: 록킹블록
132: 토출공
140: 하부캡
141: 걸림돌기
200: 외용기
210: 록킹홈부
300: 회전수단
310: 측벽부
311: 승강 유도홈
320: 바닥부
321: 버튼부
322: 스포크부
400: 승강수단
410: 승강돌기
420: 고정돌기
100: Cosmetic container
110:
111: inlet
112: Piston
120: pump
130: push cap
131: Locking block
132: Discharge ball
140: Lower cap
141:
200: outer container
210: locking groove
300: rotating means
310:
311:
320:
321: Button section
322: spoke portion
400: lifting means
410:
420: Fixing projection

Claims (5)

내용물이 수용된 내용기몸체와, 상기 내용기몸체의 주입구에 결합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 위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수용하며 둘레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토출공이 구비된 록킹블록을 포함하는 누름캡과, 상기 내용기몸체의 하단에 결합하여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가 형성된 하부캡을 포함하는 내용기;
상단에 하향하여 절개 형성되어 상기 록킹블록이 하단이 걸리는 록킹홈부를 포함하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경사지게 승강 유도홈이 내주면에 형성된 측벽부와,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탄성 변형하여 움직이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회전수단;및
상기 내용기몸체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승강 유도홈에 삽입되는 승강 돌기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외용기 내부에서 승강함으로써, 상기 록킹블록의 하단이 상기 록킹홈부에서 이격 되도록 상기 내용기몸체를 상승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수단의 바닥부는 상면 중심에 상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하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분리유도돌기를 포함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와 상기 측벽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포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And a locking block including a locking block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receiv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user and coupled to the pump, A container having a cap and a lower cap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formed with a hooking protrusion along the periphery;
An outer container including a locking groove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so as to be cut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block is engaged;
A rotating means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and including a side wall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elevating guide groove inclinedly and a bottom portion elastically deformed and moved according to a user's pressing operation;
A lift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lifting guide groove is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ou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rotating means, And a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container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groove portion,
The bottom portion of the rota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including a separation guid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so as to be able 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means and a button portion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a state connected to the button portion and the side wall portion Wherein at least two spoke portions are provided.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부는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적어도 둘 절곡부를 형성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oke portions form at least two bends in mutually different direction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한 쌍의 상기 승강 유도홈이 대향하여 구비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aid rota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pair of said lifting guide grooves facing each othe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후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수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걸려 상기 승강수단과 상기 내용기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 형성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ok,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means to engage the locking protrusion and fix the lifting means and the container body.
KR2020140005058U 2014-07-04 2014-07-04 A cosmetic vessel capable of refill KR20047533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058U KR200475334Y1 (en) 2014-07-04 2014-07-04 A cosmetic vessel capable of ref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058U KR200475334Y1 (en) 2014-07-04 2014-07-04 A cosmetic vessel capable of refi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334Y1 true KR200475334Y1 (en) 2014-12-04

Family

ID=5353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058U KR200475334Y1 (en) 2014-07-04 2014-07-04 A cosmetic vessel capable of refi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334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72U (en)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두코 Cosmetics Container
KR102308121B1 (en) * 2020-06-22 2021-10-05 주식회사 세프패키징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KR102381811B1 (en) * 2021-12-08 2022-04-01 주식회사 두코 Cosmetics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3569U (en) * 1983-08-31 1985-03-27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Cosmetic container with push-up mechanism for stored items
KR20080002585U (en) * 2007-01-09 2008-07-14 주식회사 두코 Apparatus for going up and down an injection nozzle of a cosmetic container
KR200455000Y1 (en) * 2008-08-11 2011-08-10 (주)아모레퍼시픽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KR200459801Y1 (en) * 2008-10-15 2012-04-18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s container with locking system of dispensing pum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3569U (en) * 1983-08-31 1985-03-27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Cosmetic container with push-up mechanism for stored items
KR20080002585U (en) * 2007-01-09 2008-07-14 주식회사 두코 Apparatus for going up and down an injection nozzle of a cosmetic container
KR200455000Y1 (en) * 2008-08-11 2011-08-10 (주)아모레퍼시픽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KR200459801Y1 (en) * 2008-10-15 2012-04-18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s container with locking system of dispensing pump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72U (en)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두코 Cosmetics Container
KR200493568Y1 (en) * 2019-08-09 2021-04-23 주식회사 두코 Cosmetics Container
KR102308121B1 (en) * 2020-06-22 2021-10-05 주식회사 세프패키징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KR102381811B1 (en) * 2021-12-08 2022-04-01 주식회사 두코 Cosmetics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6847Y1 (en) dispenser
JP6217975B2 (en) Two kinds of contents mixing container
KR101928640B1 (en) Receptacle for separately keeping and mixed use of different materials
KR200475334Y1 (en) A cosmetic vessel capable of refill
KR200453458Y1 (en) Dispenser having dual pump structure
EP1295810A1 (en) Container capable of separately storing and mixing two substances together
KR101907778B1 (en) Receptacle for separately keeping and mixed use of different materials
KR200475601Y1 (en) Mixing container for two contents
JP2011116424A (en) Container with pump
KR101701311B1 (en) Pump Container
KR20130115670A (en) Lip-gloss cosmetic container of button type operate pump silicone material
KR20160098712A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two contents at least
KR102368660B1 (en) Container
KR20180116571A (en) Cosmetic vessel capable of refill
KR101817163B1 (en) Discharging apparatus for cosmetic container
KR102306251B1 (en) Container
CN109907467B (en) Cosmetic container
EP2660164A1 (en) Device for locking pump
KR200288637Y1 (en) Mixture type case
KR200458212Y1 (en) A airless cosmetic vessel possible remnants confirmation
JP7065695B2 (en) Discharge container
KR20220101840A (en) Cosmetic container
KR200450863Y1 (en) Dispenser having dual pump structure
JP5964255B2 (en) Container with pump
JP7292199B2 (en) e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