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309Y1 - 콘덴싱 냉방기 - Google Patents

콘덴싱 냉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309Y1
KR200475309Y1 KR2020140004272U KR20140004272U KR200475309Y1 KR 200475309 Y1 KR200475309 Y1 KR 200475309Y1 KR 2020140004272 U KR2020140004272 U KR 2020140004272U KR 20140004272 U KR20140004272 U KR 20140004272U KR 200475309 Y1 KR200475309 Y1 KR 200475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condenser
refrigerant
receive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춘근
Original Assignee
(주)베스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베스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140004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3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3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04Refrigerant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6Temperatures of a condenser
    • F25B2700/21163Temperatures of a condenser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of th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형태로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액화된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강하시키는 팽창밸브; 상기 팽창밸브를 지난 냉매를 기상으로 상변화시키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받기 위한 응축수받이; 상기 압축기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전달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에 연결되되, 중단 일부는 상기 응축수받이 내측을 지나도록 배열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와 접촉되어 냉각되는 압축냉매 공급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는, 압축기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일정수준 냉각시킨 후 응축기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므로 냉방성능이 향상되고, 별도의 쿨러 없이 응축기로 제공되는 냉매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 일부를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응축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콘덴싱 냉방기 {Condensing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응축기와 압축기가 하나의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콘덴싱 냉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고온의 압축냉매를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로 미리 냉각시킨 후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냉매의 응축효율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높은 냉방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콘덴싱 냉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매를 이용한 냉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형태로 압축하는 압축기(10)(compressor)와, 상기 압축기(10)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압축냉매 공급유로(12)를 통해 전달받아 액화시키는 응축기(20)(condenser)와, 상기 응축기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액화된 냉매를 응축냉매 공급유로(22)를 통해 전달 받아 저온, 저압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팽창밸브(expansion valve)(30)와, 상기 팽창밸브(30)를 지나면서 저압으로 감압된 냉매가 기상으로 상변화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40)(evaporator)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이때, 증발기(40)를 지나면서 기화된 냉매는 기상냉매 공급유로(42)를 통해 다시 압축기(10)로 회수된 후, 상기 언급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냉기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고온 고압의 기상냉매가 고온 고압의 액상냉매로 상변화하는 응축기(20)에서는 많은 양의 열이 발산되는바 상기 응축기(20) 측으로 바람을 불어 상기 응축기(20)를 공랭방식으로 냉각시키는 송풍기(24)와, 차갑게 냉각된 증발기(40) 측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 냉풍을 발생시키는 냉풍기(44)와, 상기 증발기(40)의 표면에서 응축되어 아래로 떨어지는 응축수를 모아 일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받이(46)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때, 냉각성능이 높아지기 위해서는 압축기(10)를 통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20)를 지나면서 액상으로 상변화를 할 때 최대한 저온으로 냉각되어야 하는데, 상기 응축기(20)로 제공되는 냉매가 매우 높은 온도이므로 송풍기(24)로 응축기(20)를 냉각시킨다 하더라도 팽창밸브(30)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를 낮추는 데에는 한계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압축기(10)와 응축기(20) 사이 즉, 압축냉매 공급유로(12)를 지나는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쿨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 팽창밸브(30)로 공급되는 냉매를 기준치 이하로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별도의 쿨러 제작을 위한 제조비용이 추가로 소요되고, 상기 쿨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름철과 같이 냉방기 사용량이 많아질 때에는 상기 증발기(40)에서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이 매우 많아지는데, 이와 같이 응축수의 양이 기준치 이상으로 많이 생성되면 상기 응축수 처리에도 많은 어려움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9-0102957 A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응축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사전에 일정수준 냉각시킴으로써 냉방성능이 향상되고, 별도의 쿨러 없이 응축기로 제공되는 냉매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응축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콘덴싱 냉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형태로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액화된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강하시키는 팽창밸브; 상기 팽창밸브를 지난 냉매를 기상으로 상변화시키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받기 위한 응축수받이; 상기 압축기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상기 응축기로 전달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에 연결되되, 중단 일부는 상기 응축수받이 내측을 지나도록 배열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와 접촉되어 냉각되는 압축냉매 공급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축수받이는 일정량의 응축수가 채워질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채워진 응축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압축냉매 공급유로는, 상기 응축수받이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응축수받이 내부로 인입된 후 상기 응축수받이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응축수받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응축수받이에 채워진 응축수에 중단 일부가 잠기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수받이는 바닥면이 상기 증발기(400) 하측을 벗어난 지점까지 위치되도록 넓게 제작되며, 상기 압축냉매 공급유로는 상기 응축수받이의 내측 중 상기 증발기의 하측을 벗어난 지점에 배열되고, 상기 응축수받이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내부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받이 내에 채워진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와, 상기 응축수받이 내의 응축수 수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응축수받이 내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받이 내에 채워진 응축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센서와, 상기 응축수받이 내의 응축수 수온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응축수받이 내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는, 압축기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일정수준 냉각시킨 후 응축기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므로 냉방성능이 향상되고, 별도의 쿨러 없이 응축기로 제공되는 냉매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 일부를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응축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덴싱 냉방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 중 압축냉매 공급유로의 배열구조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포함되는 응축수받이 제2 실시예의 확대사시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의 다른 실시예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 중 압축냉매 공급유로의 배열구조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는 냉매를 액화 및 증발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흡열현상을 이용하여 냉풍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조장치로서, 기상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형태로 압축하는 압축기(100)와, 상기 압축기(100)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200)와, 상기 응축기(200)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액화된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강하시키는 팽창밸브(300)와, 상기 팽창밸브(300)를 지난 냉매를 기상으로 상변화시키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400)를 기본 구성요소로 갖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하우징 내에 구비된다. 또한 증발기(400)의 하측에는, 증발기(400) 내에서 액상의 냉매가 기상으로 상변화할 때 증발기(400)의 표면에 발생되는 다량의 응축수를 한 곳으로 모아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받이(430)가 마련된다.
상기 압축기(100)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압축냉매 공급유로(110)를 통해 응축기(200)로 공급되어 액상으로 상변화를 하면서 열을 발산하고, 응축기(200)를 지나면서 응축된 후 응축냉매 공급유로(210)를 통해 팽창밸브(300)로 공급되며, 팽창밸브(300) 및 증발기(400)를 지나는 동안 기상으로 상변화를 하면서 열을 흡수하게 된다. 증발기(400)를 지나면서 기상으로 상변화한 냉매는 기상냉매 공급유로(410)를 통해 압축기(100)로 다시 되돌아간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는, 뜨겁게 가열된 응축기(200) 측으로 바람을 불어주어 상기 응축기(200)를 공랭방식으로 냉각시키는 송풍기(220)와, 차갑게 냉각된 증발기(400) 측으로 바람을 불어주어 외부에 냉풍을 제공하기 위한 냉풍기(4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냉매를 상변화시킴으써 냉기를 생성하는 상기 압축기(100), 응축기(200), 팽창밸브(300), 증발기(400)는 종래의 냉방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내부구조 및 동작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냉매를 이용한 냉방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증발기(400)에서 보다 많은 양의 냉매가 기상으로 증발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증발기(400)에서의 냉매 증발량이 많아지기 위해서는 상기 증발기(400)로 공급되는 냉매 전량이 액상 상태로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응축기(200)로 공급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가 100% 액화되지 못하고 일부는 기상 상태로 증발기(400)로 유입되는바, 증발기(400)에서의 냉매 증발량을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발생된다.
응축기(200)를 지나는 냉매의 액화 비율을 높이기 위하여, 송풍기(220) 등을 이용하여 응축기(200)를 냉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압축기(100)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워낙 높은 온도로 공급되므로, 송풍기(220) 등을 이용하여 응축기(200)를 냉각시킨다 하더라도 증발기(400)를 지나는 냉매의 액화비율을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압축기(100)에 의해 압축된 고온의 냉매를 프리냉각 시킨 후 응축기(200)로 공급함으로써, 응축기(200)에서의 냉매 액화비율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400)에서의 냉매 증발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는 압축기(100)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200)로 전달하기 위한 압축냉매 공급유로(110)가 압축기(100)에서 응축기(200)로 곧바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부를 지나도록 배열되어 상기 응축수받이(430)로 떨어지는 다량의 응축수에 의해 냉각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100)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곧바로 응축기(200)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응축수받이(430) 내부를 경유하는 동안 프리냉각(Pre-cooling)된 후 응축기(200)로 공급되면, 응축기(200)를 지나는 냉매 중 액화되지 아니하고 기체상태를 유지하는 비율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증발기(400)에서의 냉매 증발율이 현저히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냉방효율이 매우 높아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응축수받이(430) 내에 위치되는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의 길이가 길수록 응축수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냉매 냉방효율이 향상되는바, 응축수받이(430) 내의 압축냉매 공급유로(110)는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그재그 패턴의 간격이 좁을수록 응축수받이(430) 내에 위치되는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의 길이가 길어져 응축수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지만, 지그재그 패턴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압축냉매 공급유로(110) 제작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의 자연냉각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의 패턴 간격은 냉방기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축냉매 공급유로(110) 내부를 지나는 냉매는 매우 높은 온도이므로, 상기 압축냉매 공급유로(110) 역시 매우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400)에서 떨어져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와 접촉된 응축수 중 일부가 기화되어 대기 중으로 방출되므로, 응축수받이(430)에 모아지는 응축수의 양은 줄어들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를 이용하면 응축수 발생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응축수 배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줄일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포함되는 응축수받이의 제2 실시예의 확대사시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응축수받이(430) 내부에 위치된 압축냉매 공급유로(110)가 상기 증발기(400)에서 떨어지는 응축수와 접촉됨으로써 냉각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응축수와 접촉되는 면적에 한계가 있으므로 압축냉매 공급유로(110)를 냉각시키는 효과가 다소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받이(430) 내부에 위치된 압축냉매 공급유로(110)가 응축수에 잠김으로서, 응축수를 이용한 압축냉매 공급유로(110) 냉각 효율이 최대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압축냉매 공급유로(110)가 응축수에 잠길 수 있기 위해서는 응축수받이(430)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가 곧바로 응축수받이(430)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에서 모아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받이(430)는 일정량의 응축수가 채워질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채워진 응축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구(432)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구(432)에는 길이방향 일단(본 실시예에서는 상단)이 상기 배수구(432)에 연결되는 배수관(440)과, 상기 배수관(440)의 내부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44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조로 응축수받이(430)가 구성되면 개폐밸브(442)를 닫아 응축수받이(430) 내부에 일정량의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응축수받이(430)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부로 인입된 압축냉매 공급유로(110)는 응축수에 잠기게 되고, 이에 따라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의 냉각 효율이 극대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응축수받이(430) 내부에 위치하는 압축냉매 공급유로(110) 냉각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부에 채워지는 응축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받이(430)에 배수관(440) 및 개폐밸브(442)가 구비되면, 응축수받이(430) 내부에 채워진 응축수가 부족한 경우 개폐밸브(442)를 닫아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 수위를 높일 수 있고, 응축수받이(430) 내부에 응축수가 과도하게 채워진 경우에는 개폐밸브(442)를 열어 배수관(440)을 개방시킴으로써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 수위를 낮출 수 있다.
물론, 증발기(400)에서 응축수받이(430)로 떨어지는 응축수의 양이 일정한 경우, 단위시간 당 응축수받이(430)로 공급되는 응축수의 양만큼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가 배수관(44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밸브(442)를 일정 비율만큼만 열어둠으로써, 개폐밸브(442)를 수시로 조작하지 아니하더라도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증발기(400)에서 응축수받이(430)로 떨어지는 응축수의 양이 일정한 경우에는 개폐밸브(442)를 일정 비율 열어두는 조작만으로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증발기(40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양은 냉방기의 운전 조건이나 외부 기온 및 습도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가변되므로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는, 응축수받이(430) 내에 채워진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452)와,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의 응축수 수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개폐밸브(442)를 개방시켜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유닛(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위센서(452)와 구동유닛(450)이 추가로 구비되면, 응축수받이(430)로 떨어지는 응축수의 양이 일정하지 아니하더라도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의 냉각율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개폐밸브(442)를 조작하지 아니하더라도 구동유닛(450)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조작만으로 상기 개폐밸브(442)를 자유롭게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 및 유지가 매우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배수관(440)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밸브(442)와, 상기 개폐밸브(442)를 동작시키는 구동유닛(450)은, 이미 본 고안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구조로 상용화 되어 있는 구성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의 냉각율은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량에 따라 좌우되기도 하지만,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 온도에 따라 좌우된다. 즉,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의 냉각효율은 떨어지고,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의 냉각효율이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난다.
이때,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가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와 장시간 열교환되면 온도가 상승되어 상기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의 냉각효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는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 온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응축수받이(430)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부에는 새로운 응축수(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응축수)로만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는, 응축수받이(430) 내에 채워진 응축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센서(454)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구동유닛(450)은 응축수받이(430) 내의 응축수 수온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개폐밸브(442)를 개방시켜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축수받이(430) 내부에 수위센서(452)와 수온센서(454)가 모두 구비되면, 응축수받이(430) 내부의 응축수 수위 및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의 냉각효율을 더욱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받이(430)에 수위센서(452)와 수온센서(454)가 모두 구비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응축수받이(430)에는 수위센서(452)와 수온센서(454) 중 어느 하나만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의 다른 실시예 개략도이다.
압축냉매 공급유로(110)를 지나는 냉매는 고온고압의 상태이므로, 상기 압축냉매 공급유로(110)가 증발기(400) 하측에 위치되면 상기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의 열이 증발기(4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의 열이 증발기(400)로 전달되면, 상기 증발기(400)의 냉기가 가열되는 문제점 즉, 냉방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콘덴싱 냉방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받이(430)는 바닥면이 증발기(400) 하측을 벗어난 지점까지 위치되도록 넓게 제작되며, 상기 압축냉매 공급유로(110)는 응축수받이(430)의 내측 중 증발기(400)의 하측을 벗어난 지점에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압축냉매 공급유로(110)가 증발기(400) 하측에 위치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면, 상기 압축냉매 공급유로(1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증발기(400) 측으로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는바, 증발기(400)의 냉방성능을 최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이 압축냉매 공급유로(110)가 증발기(400) 하측을 벗어난 지점에 배열되는 경우에는, 증발기(400)에서 발생된 응축수와 압축냉매 공급유로(110)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에 일정량의 응축수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참조)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증발기(400)에서 발생된 응축수와 압축냉매 공급유로(110)가 접촉되는 지점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지점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증발기(400)의 하측을 벗어난 지점이라면 어떠한 지점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압축기 110 : 압축냉매 공급유로
200 : 응축기 210 : 응축냉매 공급유로
220 : 송풍기 300 : 팽창밸브
400 : 증발기 410 : 기상냉매 공급유로
420 : 냉풍기 430 : 응축수받이
432 : 배수구 440 : 배수관
442 : 개폐밸브 450 : 구동유닛
452 : 수위센서 454 : 수온센서

Claims (5)

  1.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형태로 압축하는 압축기(100);
    상기 압축기(100)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200);
    상기 응축기(200)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액화된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강하시키는 팽창밸브(300);
    상기 팽창밸브(300)를 지난 냉매를 기상으로 상변화시키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400);
    상기 증발기(4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응축수가 채워질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이 상기 증발기(400) 하측을 벗어난 지점까지 위치되도록 넓게 제작되되, 내부에 채워진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구(432)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배수구(432)에 연결되는 배수관(440)과, 상기 배수관(440)의 내부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442)를 구비하는 응축수받이(430);
    상기 압축기(100)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상기 응축기(200)로 전달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압축기(100)와 상기 응축기(200)에 연결되는 압축냉매 공급유로(110);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에 채워진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452);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에 채워진 응축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센서(454); 및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의 응축수 수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거나,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의 응축수 수온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개폐밸브(442)를 개방시켜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유닛(450); 을 포함하되,
    상기 압축냉매 공급유로(110)는 중단 일부가 상기 응축수받이(430)의 내측 중 상기 증발기(400)의 하측을 벗어난 지점에 배열되되, 상기 응축수받이(430)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응축수받이(430) 내부로 인입된 후 상기 응축수받이(430)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응축수받이(430) 외부로 인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응축수받이(430)에 채워진 응축수에 중단 일부가 잠겨 상기 응축수와 접촉되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싱 냉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4272U 2014-06-05 2014-06-05 콘덴싱 냉방기 KR200475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72U KR200475309Y1 (ko) 2014-06-05 2014-06-05 콘덴싱 냉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72U KR200475309Y1 (ko) 2014-06-05 2014-06-05 콘덴싱 냉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309Y1 true KR200475309Y1 (ko) 2014-11-26

Family

ID=5229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272U KR200475309Y1 (ko) 2014-06-05 2014-06-05 콘덴싱 냉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3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862A (ko) * 2020-12-09 2022-06-16 지앙수 요아우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냉난방형 창문식 에어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269U (ko) * 1999-06-28 2001-01-15 전주범 에어컨의 응축수 자동 배수장치
KR200321115Y1 (ko) * 2003-04-21 2003-07-25 주식회사 메가라운드 공기 조화기
KR20040020709A (ko) * 2002-09-03 2004-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269U (ko) * 1999-06-28 2001-01-15 전주범 에어컨의 응축수 자동 배수장치
KR20040020709A (ko) * 2002-09-03 2004-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321115Y1 (ko) * 2003-04-21 2003-07-25 주식회사 메가라운드 공기 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862A (ko) * 2020-12-09 2022-06-16 지앙수 요아우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냉난방형 창문식 에어컨
KR102546360B1 (ko) * 2020-12-09 2023-06-21 지앙수 요아우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냉난방형 창문식 에어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080B1 (ko) 이동식 에어컨 및 그 냉각 방법
US20070214823A1 (en) Heat exchanging device for refrigerator
JP4945713B2 (ja) 冷却装置
JP5847198B2 (ja) 冷蔵庫
KR100644407B1 (ko) 이산화탄소 고압 냉매를 이용한 공조냉동사이클
KR20110087138A (ko) 응축수를 이용한 이중관 열교환 장치
JP4082434B2 (ja) 冷凍装置
JP4945712B2 (ja) サーモサイフォン
JP2007093112A (ja) 冷却貯蔵庫
KR200475309Y1 (ko) 콘덴싱 냉방기
KR20150126480A (ko) 제습장치
KR102009751B1 (ko) 공랭식 응축기와 냉매의 과냉각을 이용한 냉동장치
KR100856030B1 (ko)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JP2007024488A (ja) 冷却装置
KR20040097582A (ko) 냉방용 축냉식 공기냉각기
KR20200061222A (ko) 제빙기용 응축기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
KR100667227B1 (ko)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KR100992840B1 (ko) 자연순환식 및 증기압축식 겸용 냉방기
KR101998814B1 (ko) 냉각 효율이 개선된 냉동기용 증발기
KR200282298Y1 (ko) 중간 열교환방식 냉동장치
KR100609169B1 (ko) 캐스캐이드 냉동사이클
JP2005331232A (ja) 冷媒冷却回路
KR20150076685A (ko) 냉장고
WO2015166582A1 (ja) 蓄熱式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30080535A (ko) 중간 열교환방식 냉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