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284Y1 - 신발용 버클 셋트 - Google Patents
신발용 버클 셋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5284Y1 KR200475284Y1 KR2020130008233U KR20130008233U KR200475284Y1 KR 200475284 Y1 KR200475284 Y1 KR 200475284Y1 KR 2020130008233 U KR2020130008233 U KR 2020130008233U KR 20130008233 U KR20130008233 U KR 20130008233U KR 200475284 Y1 KR200475284 Y1 KR 20047528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le
- shoe
- hole
- buckle body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끈을 신끈 구멍에 끼워서 매듭을 형성하고 남는 양단부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특히 신끈의 양단에 구비된 에글릿((Aglet)을 버클 몸체에 끼워 고정시켜서 마무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끈을 묶음처리 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그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미감을 가질 수 있게 한 신발용 버클 셋트를 제공하는데 제1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신발의 사용 목적, 즉 운동화와 같이 하나의 신발을 신고 걸어다닐 때와 운동할 때에와 같이 신끈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착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신끈의 장력을 쉽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신발용 버클 셋트를 제공하는데 제2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버클 몸체를 쉽게 분리하고 다시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발을 쉽게 벗고 신을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킨 신발용 버클 셋트를 제공하는데 제3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이러한 버클 몸체를 연락처를 기재하거나 야광 효과를 둠으로써, 어린이의 안전과 함께 흥미 등을 유발시킬 수 있게 한 신발용 버클 셋트를 제공하는데 제4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신발의 사용 목적, 즉 운동화와 같이 하나의 신발을 신고 걸어다닐 때와 운동할 때에와 같이 신끈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착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신끈의 장력을 쉽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신발용 버클 셋트를 제공하는데 제2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버클 몸체를 쉽게 분리하고 다시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발을 쉽게 벗고 신을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킨 신발용 버클 셋트를 제공하는데 제3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이러한 버클 몸체를 연락처를 기재하거나 야광 효과를 둠으로써, 어린이의 안전과 함께 흥미 등을 유발시킬 수 있게 한 신발용 버클 셋트를 제공하는데 제4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신발용 버클 셋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신끈 구멍에 끼워서 매듭진 상태에서 에글릿(Aglet)을 버클 몸체에 끼울 수 있게 함으로써, 신끈을 묶을 필요없이 단순한 끼움 동작으로 신끈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 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신발의 미감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나 운동화와 같은 신발의 경우 통상적으로 신끈을 이용하여 발의 형태에 맞게 조여서 신게 된다. 특히, 신끈은 그 양단의 에글릿(Aglet)을 신끈 구멍에 끼워서 미리 정해진 패턴의 매듭을 만들고 그 양단을 묶어서 마무리하게 된다.
하지만, 이처럼 신끈을 묶는 경우 신발이 목 부분까지 올라오는 경우와 같이 신발의 종류에 따라서 신발을 신고 벗는 데에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신끈을 풀지 않고서도 신발을 쉽게 신었다가 벗을 수 있도록, 아래의 특허문헌들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버클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조임끈을 탄력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그 단부에 버튼식 버클을 연결하여 신발의 조임끈을 조절하는 것이 간편해지는 버클 부착식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신발은, 상측부에 설치되어 신발의 폭방향 크기를 조절하는 조임끈을 가지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은 탄력성을 가지고, 일단부가 암버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수버클에 연결되어 상기 버클의 결합분리에 의해 조임끈의 결합,분리가 이루어져 끈처리가 용이한 버클 부착식 신발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조임끈의 일단부는 암버클에 고정 또는 분리·결합되고, 타단부는 수버클에 분리결합되며 끈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신발 조임끈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며, 조임끈이 풀어지지 않으면서 산뜻하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2는 신끈 조임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산화나 운동화의 구목 상부에 리벳팅하여 신끈을 맬 때 하부에서부터 당기면서 조여온 신끈이 반작용에 의해 되풀어지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정적으로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신끈 조임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이에, 신끈을 체결시 당겨 조인 신끈을 반작용에 의해 되풀어지지 않도록 잠정적으로 고정하는 신끈 조임용 버클이 제공된다.
특허문헌3은 신끈이 반작용에 의해 되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정적으로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신발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판, 상부 버클 및 하부 버클로 구성된 신발버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의 중앙부에는 신끈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및 하부버클이 베이스판과 접하는 부분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신끈을 조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버클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버클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신끈의 양단이 신발의 외부로 노출되었으며, 특히 노출된 신끈을 묶어서 마감 처리를 해야 한다.
(2) 이에 신끈의 묶음 자체가 하나의 패션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으나, 바지의 길이가 긴 경우 바지가 신끈을 가려버리게 되면 패션으로서 활용될 수 없게 되었다.
(3) 또한, 어린이와 같이 스스로 신끈을 매지 못하는 경우 신끈이 풀리게 되면 걸음을 걸을 때에 발에 걸려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4) 신발이 목 부분까지 올라오는 경우와 같이 긴 신발의 경우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신끈을 묶었다가 풀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신끈을 묶고 푸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불편함이 있었다.
(5) 신끈의 묶음을 다양한 형태와 모양을 만들 수 있도록 신끈의 길이를 길게 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단순하게 묶음을 하다 보면 잔여 길이가 너무 길게 남아 남은 신끈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신끈을 신끈 구멍에 끼워서 매듭을 형성하고 남는 양단부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특히 신끈의 양단에 구비된 에글릿((Aglet)을 버클 몸체에 끼워 고정시켜서 마무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끈을 묶음처리 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그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미감을 가질 수 있게 한 신발용 버클 셋트를 제공하는데 제1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신발의 사용 목적, 즉 운동화와 같이 하나의 신발을 신고 걸어다닐 때와 운동할 때에와 같이 신끈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착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신끈의 장력을 쉽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신발용 버클 셋트를 제공하는데 제2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버클 몸체를 쉽게 분리하고 다시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발을 쉽게 벗고 신을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킨 신발용 버클 셋트를 제공하는데 제3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이러한 버클 몸체를 연락처를 기재하거나 야광 효과를 둠으로써, 어린이의 안전과 함께 흥미 등을 유발시킬 수 있게 한 신발용 버클 셋트를 제공하는데 제4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양측에 각각 관통 형성된 삽입구(110), 및 일면에 상기 삽입구(110)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나란하게 이 삽입구(11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고정구멍(120)이 형성된 버클 몸체(100); 및 신발(S)의 신끈 구멍(H)에 끼워져서 매듭진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삽입구(110)를 통해 끼운 상기 고정구멍(120)을 감싸지게 하여 에글릿(210)이 이 고정구멍(120)에 끼워질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 신끈(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4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양측에 각각 관통 형성된 삽입구(110), 및 일면에 상기 삽입구(110)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삽입구(110) 사이에 두 쌍으로 이루어진 고정구멍(120)이 형성된 버클 몸체(100); 및 신발(S)의 신끈 구멍(H)에 끼워져서 매듭진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삽입구(110)를 통해 끼운 상기 고정구멍(120)을 감싸지게 하여 에글릿(210)이 이 고정구멍(120)에 끼워질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 신끈(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5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양측에 각각 관통 형성된 삽입구(110), 및 일면에 상기 삽입구(110)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나란하게 두 개의 고정구멍(120)이 형성된 버클 몸체(100); 신발(S)의 신끈 구멍(H)에 끼워져서 매듭진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삽입구(110)를 통해 끼운 상기 고정구멍(120)을 감싸지게 하여 에글릿(210)이 이 고정구멍(120)에 끼워질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 신끈(200);을 포함하되, 상기 버클 몸체(100)는, 한 쪽에 각각 삽입구(110)와 고정구멍(120)이 각각 하나씩 구비되도록 제1몸체(100')와 제2몸체(100")로 분리되고, 이 제1몸체(100')와 제2몸체(100")는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6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상기 버클 몸체(100)의 고정구멍(120)이 형성되지 않은 타면을 이름표 또는 연락처를 기재할 수 있는 플레이트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7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상기 버클 몸체(100)는 표면에 발광 도료가 도포되거나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8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상기 삽입구(110)를 원형 또는 폭보다 길이가 긴 띠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고정구멍(120)은, 상기 삽입구(110)를 연결하는 가상선 위에 위치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버클 몸체(100)는 고정구멍(120)이 아랫면에 위치하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그 곡률은 신발(S)의 텅(T)과 같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신발용 버클 셋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신끈의 묶음을 수행하지 않고, 특히 신끈을 묶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신끈의 묶음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신발의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2) 에글릿을 버클 몸체에 끼우는 간단한 조작으로 신끈의 묶음을 대신할 수 있게 되어 누구든지 쉽고 신속하게 신끈을 구속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3) 버클 몸체를 분리형으로 구성함으로써, 고정구멍에 에글릿을 끼운 다음 분리된 버클 몸체를 하나로 결합함에 따라 쉽고 신속하게 버클을 이용하여 신끈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4) 버클 몸체의 일면에 연락처나 이름 등을 기재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 등의 신변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5) 또한, 버클 몸체를 야광 물질로 제작함으로써, 미취학 아동 등으로 하여금 야간에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밤에도 쉽게 버클을 통해 아동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아동들이 야간에도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버클 셋트가 신발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버클 셋트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버클 몸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버클 셋트의 착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버클 셋트의 착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버클 몸체의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버클 셋트가 착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버클 몸체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버클 셋트가 착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4에 따른 버클 몸체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4에 따른 버클 몸체에 신끈의 적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5에 따른 버클 몸체의 저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6에 따른 버클 몸체의 사시도.
도 14은 본 고안의 실시예7에 따른 버클 몸체의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의 실시예8에 따른 버클 몸체의 저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버클 셋트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버클 몸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버클 셋트의 착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버클 셋트의 착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버클 몸체의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버클 셋트가 착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버클 몸체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버클 셋트가 착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4에 따른 버클 몸체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4에 따른 버클 몸체에 신끈의 적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5에 따른 버클 몸체의 저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6에 따른 버클 몸체의 사시도.
도 14은 본 고안의 실시예7에 따른 버클 몸체의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의 실시예8에 따른 버클 몸체의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신발(S)의 구목 부분(ES:Eyelet Stay)에 텅(T)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신끈 구멍(H)에 끼워져서 미리 정해진 매듭이 만들어지게 하는 신끈(200)과, 이 신끈(200)의 양단이 끼워지게 하고 그 단부의 에글릿(210)을 끼워서 고정시켜 주기 위한 버클 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버클 셋트는 신끈의 양단을 묶지 않고 에글릿(210)을 버클 몸체(100)에 끼우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신끈을 묶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목 부분(ES:Eyelet Stay)은, 도 1과 같이, 신끈 구멍(H)을 보강하기 위하여 신발(S)의 발등 부분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보강재를, 텅(T)은 이 구목 부분(ES:Eyelet Stay) 사이에 위치하도록 갑피에 구비되어 발등을 보호해 주는 구성요소를 각각 의미한다.
버클 몸체(100)는, 도 2의 (a) 및 도 3과 같이, 양측에 신끈(200)의 각 단부를 끼울 수 있도록 삽입구(110)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이 버클 몸체(100)의 일면에는 이들 삽입구(110)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수직으로 한 쌍의 고정구멍(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멍(120)은 한 쌍의 삽입구(11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들 삽입구(110)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수직인 형태가 되게 형성한다. 이에, 도 5와 같이, 에글릿(210)을 이 삽입구(110)에 끼웠을 때에 신끈(200)이 당겨지는 방향과 수직이 되게 함으로써, 에글릿(210)이 고정구멍(120)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버클 몸체(100)는, 도 4와 같이, 고정구멍(120)이 형성된 면이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때, 이 버클 몸체(100)의 곡률은 텅(T)과 같게 형성함으로써, 도 1과 같이 버클 몸체(100)가 텅(T) 위에 덧대어지게 하였을 때에 일체감을 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구(110)는 신끈(20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나 가장 많은 형태로 제작되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구멍(120)은 후술하게 될 에글릿(210)의 형상과 같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통상적으로는 실린더 형태로 제작하여 원기둥 형상의 에글릿(210)이 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신끈(200)이 버클 몸체(100) 외부로 노출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버클 몸체(100)의 폭을 고정구멍(120)의 폭보다 조금 넓게 형성함으로써, 신끈(200)이 버클 몸체(100)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끈(200)은, 도 1 및 도 2의 (a)와 같이,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양단에는 각각 신발(S)의 신끈 구멍(H)에 쉽게 끼울 수 있도록 에글릿(2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에글릿(210)은 신끈(200)의 각 단부를 합성수지나 금속 등으로 감싸서 신끈 구멍(H)에 잘 끼워질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신끈(200)은, 통상의 신발의 신끈보다 짧게 형성된다. 즉, 통상의 신발의 경우, 신끈은 에글릿을 신끈 구멍(H)에 끼워서 다양한 패턴의 매듭을 형성하고, 그 단부 부분에 묶음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매듭을 형성하고 남은 양단 부분은 손으로 묶을 수 있도록 여분의 길이를 갖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신끈(200)은, 도 1과, 신끈 구멍(H)에 에글릿(210)을 끼워서 매듭을 형성하는 것은 동일하나, 이러한 매듭을 만든 다음 남은 양단부의 길이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매듭을 만든 다음 남은 부분을 가지고 묶는 것이 아니라, 도 4 및 도 5와 같이, 에글릿(210)을 삽입구(110)에 끼운 다음 다시 고정구멍(120)에 끼워서 신끈(200)을 고정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신끈(200)은 보통 통상적으로 어느 정도의 신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에글릿(210)을 먼저 삽입구(110)를 통해 고정구멍(120)에 끼운 다음, 나머지 하나의 에글릿(210)을 반대쪽의 삽입구(110)에 끼운 다음 나머지 고정구멍(120)에 끼워서 버클 몸체(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구멍(120)은 텅(T)과 마주보도록 설치하게 되며, 이처럼 신끈(200)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버클 몸체(100a)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신끈(2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실시예1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2에 따른 버클 몸체(100a)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그 양측에 각각 한 쌍씩의 삽입구(11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신끈(200)을 도 7과 같이, 삽입부(110')를 "┏┓"자 형태로 끼워지게 함으로써, 이 삽입부(110')를 통해 신끈(200)을 1차적으로 고정시켜 주고, 다시 에글릿(210)이 고정구멍(120)에 끼워지게 하여 2차적으로 고정시켜 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신끈(200)을 고정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버클 몸체(100b)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신끈(2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실시예1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3에 따른 버클 몸체(100b)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고정구멍(120')이 형성되되, 그 방향에서 차이가 있다. 즉, 이들 고정구멍(120')은 한 쌍의 삽입구(110)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나란하게 형성한 것이다.
이에, 실시예3에서는, 도 9와 같이, 삽입구(110)에 끼워진 신끈(200)을 고정구멍(120')의 바깥쪽을 감싸듯이 돌려서 에글릿(210)이 고리와 같은 기능을 하도록 끼워서 신끈(200)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에글릿(210)이 마치 고리와 같이 끼워지기 때문에 신끈(200)의 풀림 효과를 더욱 더 방지해 줄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4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버클 몸체(100c)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신끈(2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실시예3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실시예4에 따른 버클 몸체(100c)는, 도 10과 같이, 두 쌍의 고정구멍(120")이 삽입구(110)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이들 고정구멍(120")은 실시예3과 마찬가지로 삽입구(110)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버클 몸체(100c)는, 도 11과 같이, 에글릿(210)을 고정구멍(120")에 끼우는 위치에 따라 신끈(200)에 가해지는 장력이 조절되게 된다. 즉, 도 11의 (a)와 같이 삽입구(110)에 끼워진 각 에글릿(210)이 가까이에 있는 고정구멍(120")에 끼워지게 되면 가장 느슨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1의 (b)와 같이, 삽입구(110)에 끼워진 각 에글릿(210)이 멀리 있는 고정구멍(120")에 끼워지게 되면 가장 탄탄한 상태가 되며, 도 11의 (c)와 삽입구(110)에 끼워진 각 에글릿(210)이 어느 하나의 삽입구(110)와 인접한 고정구멍(120")에 끼워짐에 따라 중간 정도의 장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5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도 12와 같이, 버클 몸체(100d)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신끈(2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실시예3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5에 따른 버클 몸체(100d)는, 도 12와 같이, 제1몸체(100')와 제2몸체(100")로 구획되며, 제1몸체(100')와 제2몸체(100")에는 각각 삽입구(110)와 고정구멍(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구(11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고정구멍(120)은 이들 삽입구(110)를 연결하는 가상선 상에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고정구멍(120)은 위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제1몸체(100')와 제2몸체(100")는 서로 원터치 방식으로 탈장착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제1몸체(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130a)가 형성되고, 제2몸체(100")에는 각 홈부(130a)에 강제로 가압가능한 돌부(130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홈부(130a)는 고정구멍(120)이 형성된 면으로부터 돌부(130b)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되며, 제1몸체(100')에는 제2몸체(100")와 접하는 면에 이 홈부(130a)의 폭보다 작게 삽입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부(130b)는 그 선단부가 홈부(130a)에 강제로 끼워지거나 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선단부와 제2몸체(100") 사이의 목부가 상기 홈부(130a)의 삽입홈에 강제로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실시예5에 따른 버클 몸체(100d)는, 버클 몸체(100d)로부터 에글릿(210)을 빼내거나 끼우는 번거로운 조작 없이, 제1몸체(100')와 제2몸체(100")를 잡고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누르는 원터치 동작을 통해 쉽게 신끈을 푸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6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도 13와 같이, 버클 몸체(100e)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신끈(2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실시예3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6에 따른 버클 몸체(100e)는, 도 13과 같이, 신발의 윗쪽으로 노출되는 버클 몸체(100e)의 윗면을 명판과 같이 이름을 기재하거나 연락처 등을 기재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이름이나 연락처 등은 버클 몸체(100e)에 직접 식각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매직 등과 같은 필기구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적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허약자 등의 신상 파악이나 연락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더 갖게 된다.
여기서, 실시예6은 실시예3과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도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7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도 14와 같이, 버클 몸체(100f)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신끈(2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실시예6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7에 따른 버클 몸체(100f)는, 도 14와 같이, 그 표면에 발광 도료가 도포되거나 함유한 것이다. 이에, 야간에도 버클 몸체(100f)가 빛나기 때문에 어린이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가 어디에서 놀고 있는 지를 보호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8에 따른 신발용 버클 셋트는, 도 15와 같이, 버클 몸체(100f)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신끈(2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실시예1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8에 따른 버클 몸체(100f)는, 도 15와 같이, 실시예1과 비교해 볼 때 삽입구(110")의 형상에서만 차이가 있다. 즉, 신끈(200)은 그 단면 형상을 사각형으로 제작하거나 원형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실시예8에서는 이 삽입구(110")를 원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원형의 신끈(200)에 적합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에글릿을 끼우는 방식을 통해 신끈의 묶음 없이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러한 묶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버클 몸체
100' : 제1몸체
100" : 제2몸체
110, 110', 110" : 삽입구
120, 120', 120" : 고정구멍
130a : 홈부
200 : 신끈
210 : 에글릿
100' : 제1몸체
100" : 제2몸체
110, 110', 110" : 삽입구
120, 120', 120" : 고정구멍
130a : 홈부
200 : 신끈
210 : 에글릿
Claims (10)
- 삭제
- 삭제
- 양측에 각각 관통 형성된 삽입구(110), 및 일면에 상기 삽입구(110)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나란하게 이 삽입구(11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고정구멍(120)이 형성된 버클 몸체(100); 및
신발(S)의 신끈 구멍(H)에 끼워져서 매듭진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삽입구(110)를 통해 끼운 상기 고정구멍(120)을 감싸지게 하여 에글릿(210)이 이 고정구멍(120)에 끼워질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 신끈(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버클 셋트. - 양측에 각각 관통 형성된 삽입구(110), 및 일면에 상기 삽입구(110)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삽입구(110) 사이에 두 쌍으로 이루어진 고정구멍(120)이 형성된 버클 몸체(100); 및
신발(S)의 신끈 구멍(H)에 끼워져서 매듭진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삽입구(110)를 통해 끼운 상기 고정구멍(120)을 감싸지게 하여 에글릿(210)이 이 고정구멍(120)에 끼워질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 신끈(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버클 셋트. - 양측에 각각 관통 형성된 삽입구(110), 및 일면에 상기 삽입구(110)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나란하게 두 개의 고정구멍(120)이 형성된 버클 몸체(100); 및 신발(S)의 신끈 구멍(H)에 끼워져서 매듭진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삽입구(110)를 통해 끼운 상기 고정구멍(120)을 감싸지게 하여 에글릿(210)이 이 고정구멍(120)에 끼워질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 신끈(200);을 포함하되,
상기 버클 몸체(100)는, 한 쪽에 각각 삽입구(110)와 고정구멍(120)이 각각 하나씩 구비되도록 제1몸체(100')와 제2몸체(100")로 분리되고, 이 제1몸체(100')와 제2몸체(100")는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버클 셋트. -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몸체(100)는,
고정구멍(120)이 형성되지 않은 타면을 이름표 또는 연락처를 기재할 수 있는 플레이트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버클 셋트. -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몸체(100)는 표면에 발광 도료가 도포되거나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버클 셋트. -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110)는 원형 또는 폭보다 길이가 긴 띠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버클 셋트. -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몸체(100)는 고정구멍(120)이 아랫면에 위치하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그 곡률은 신발(S)의 텅(T)과 같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버클 셋트. -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멍(120)은, 상기 삽입구(110)를 연결하는 가상선 위에 위치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버클 셋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233U KR200475284Y1 (ko) | 2013-10-07 | 2013-10-07 | 신발용 버클 셋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233U KR200475284Y1 (ko) | 2013-10-07 | 2013-10-07 | 신발용 버클 셋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5284Y1 true KR200475284Y1 (ko) | 2014-11-18 |
Family
ID=5229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8233U KR200475284Y1 (ko) | 2013-10-07 | 2013-10-07 | 신발용 버클 셋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5284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70268A1 (en) | 2001-10-15 | 2003-04-17 | Bennett Ross | Shoelace binder system |
US20080083134A1 (en) | 2006-10-05 | 2008-04-10 | Ping-Kun Lin | Rope retainer |
JP2008220908A (ja) | 2007-03-14 | 2008-09-25 | Hidefumi Furukawa | 靴ひも留め具 |
KR20130044569A (ko) * | 2011-10-24 | 2013-05-03 | 김나은 | 신발끈 홀더 |
-
2013
- 2013-10-07 KR KR2020130008233U patent/KR20047528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70268A1 (en) | 2001-10-15 | 2003-04-17 | Bennett Ross | Shoelace binder system |
US20080083134A1 (en) | 2006-10-05 | 2008-04-10 | Ping-Kun Lin | Rope retainer |
JP2008220908A (ja) | 2007-03-14 | 2008-09-25 | Hidefumi Furukawa | 靴ひも留め具 |
KR20130044569A (ko) * | 2011-10-24 | 2013-05-03 | 김나은 | 신발끈 홀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56265B2 (en) | Shoe tying aid and method | |
US7073279B2 (en) | Shoelace tightening structure | |
US7506420B2 (en) | Footwear and clothes fastening and transforming system | |
US9730493B2 (en) | Elastic closure for footwear | |
US20150143717A1 (en) | Shoelace retention devices | |
JP2018532554A (ja) | 履物閉鎖システム | |
KR20060029687A (ko) | 고정 디바이스 | |
US20140041167A1 (en) | Elastic Shoe Lace with Fastener | |
US20080271299A1 (en) | Magnetic shoe lace | |
KR200475284Y1 (ko) | 신발용 버클 셋트 | |
KR101844135B1 (ko) |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 |
US20060042056A1 (en) | Shoelace tightening device | |
KR101315194B1 (ko) | 신발끈 조임장치 | |
US20080313925A1 (en) | Crazy strangs | |
TWM447696U (zh) | 鞋帶組合體及其飾物單元 | |
KR20100092273A (ko) | 신발끈 액세서리 | |
KR200246554Y1 (ko) |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끈의 결속장치 | |
KR20130068228A (ko) | 신발 장신구 | |
KR20140006345U (ko) | 끈 정리 및 설포 고정구조를 갖는 운동화 | |
JP2013046741A (ja) | 靴紐及びそれを備えた紐靴 | |
KR940006517Y1 (ko) | 신발끈 단추 고정식 신발 | |
KR200362334Y1 (ko) | 신발끈 조임구 | |
KR200314697Y1 (ko) | 신발끈 체결구 | |
KR20120005232U (ko) | 신발끈 고정 장치 | |
US20170325539A1 (en) | Cow Hitch Sand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