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870Y1 -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 Google Patents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870Y1
KR200474870Y1 KR2020110000872U KR20110000872U KR200474870Y1 KR 200474870 Y1 KR200474870 Y1 KR 200474870Y1 KR 2020110000872 U KR2020110000872 U KR 2020110000872U KR 20110000872 U KR20110000872 U KR 20110000872U KR 200474870 Y1 KR200474870 Y1 KR 200474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le
main body
lead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667U (ko
Inventor
박범수
황광원
노승혁
신철
김재열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10000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87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6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8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085Details of flanges for tubular mas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을 수납하는 강관주에 있어서, 상단 결합주, 하단 결합주 및 기초주가 결합되며 중공 원통형의 본체; 기초주에 형성되며, 본체의 내부로 케이블이 인입되거나, 본체의 내부로부터 케이블이 인출되는 하부홀; 상단 결합주에 형성되며, 하부홀로부터 인입된 케이블이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홀; 및 상단 결합주에 형성되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변압기에 연결된 케이블이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인입홀을 포함하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STEEL POLE FOR CABLE INSIDE}
본 고안은 강관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에 관한 것이다.
전력 케이블은 송전하거나 배전할 때 사용하는 케이블을 나타내며, 전력 케이블에는 설치하는 공간에 따라 지중 케이블과 가공 케이블로 구분된다. 지중 케이블은 지하에 전력 케이블을 매설하고, 전력 케이블을 절연도체로 하여 배전하는 방식인데 가공 케이블에 비해 도시의 미관이 좋고, 고장이 적으며 보안상의 위험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중 케이블은 가공 케이블에 비해 건설비가 비싸며, 공사 및 보수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가공 케이블은 지상에 전력 케이블이 설치되며, 전주를 통해 연결된다. 전주는 주로 교류배전선로의 지지물로서 사용되는데 목주, 철근콘크리트주, 철주 등이 있다. 최근에는 외관이 좋고 수명이 길며 경제적이라는 이유로 철근콘크리트주가 많이 사용된다.
전주에는 고압 및 저압 배전선이 병가되는 것이 많으며, 이로 인해 상단 가까이에 완철 또는 랙크를 고정하고 이것에 애자를 장착하여 전선을 지지한다. 전선의 지상 높이의 최저에 대해서는 규정값이 있으며, 또 전선의 상호 간격도 충분히 취해야 하는데 이런 것에서 전선의 높이나 완철의 치수가 정해진다.
한편, 최근에 개발된 지중화신공법은 전선을 지중으로 설치하고, 기기를 주상에 설치하는 신공법으로 기존의 지중화와는 달리 주상에 기기가 설치되어 있어 이에 대한 미관 개선이 중요한 해결 과제로 남아 있는 설정이다.
대부분의 입상용 지중 케이블은 전주 표면에 설치하여 전주용 입상관과 조립식 반할관을 사용 덮개로 보호하고 있으며, 전주용 입상관은 강벨로 고정시키고, 조립식 반할관은 입상관 하단과 관로등 사이의 굴곡 부분에 케이블을 수납하여 설치된다.
그러나, 전주용 입상관을 이용하여 지중화신공법을 사용할 때에는 전주용 입상관을 최소한 3개를 사용하기 때문에 규격이 크며, 전주에 돌출되어 미관상 전주 규격의 대형화로 보여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로부터 전주용 입상관이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보행인의 안전 사고 발생 우려가 항상 상존해 있으며, 광고 전단지 등을 부착하기 쉬워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지중 케이블을 강관주 내부로 설치할 수 있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전주용 입상관 돌출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블을 수납하는 강관주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을 수납하는 강관주에 있어서, 상단 결합주, 하단 결합주 및 기초주가 결합되며 중공 원통형의 본체; 상기 기초주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로 케이블이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케이블이 인출되는 하부홀; 상기 상단 결합주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홀로부터 인입된 케이블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홀; 및 상기 상단 결합주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변압기에 연결된 케이블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인입홀을 포함하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가 제공된다.
상기 하부홀에는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파이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결합주와 상기 하단 결합주는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단 결합주 및 하단 결합주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결합주에는 상기 상단 결합주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단 결합주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방지턱; 및 상기 상단 결합주의 좌우 유동성을 방지하는 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 결합주와 상기 기초주는 플랜지 연결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는, 상기 하단 결합주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기초주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플랜지 연결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는, 상기 인출홀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제1 인출 롤러; 및 상기 인출홀과 인접한 상기 상단 결합주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제2 인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는, 상기 인출홀과 인접한 상기 상단 결합주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1 통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는, 상기 인입홀과 인접한 상기 상단 결합주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제1 인입 롤러; 및 상기 인입홀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제2 인입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는, 상기 인입홀과 인접한 상기 상단 결합주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2 통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는, 상기 인출홀의 둘레가 상기 상단 결합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보강재; 및 상기 인입홀의 둘레가 상기 상단 결합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는 지중 케이블을 강관주 내부로 설치하여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는 전주용 입상관 돌출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전주 규격이 대형화로 보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는 전주용 입상관에 의해 보행인의 불편 및 광고 전단지 부착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상단 결합주 및 하단 결합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하단 결합주 및 기초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하부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가이드 파이브가 결합된 하부홀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인출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롤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인입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50)는 본체(70), 하부홀(320), 인출홀(110) 및 인입홀(150)을 포함한다.
본체(70)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체(70)는 상단 결합주(100), 하단 결합주(200) 및 기초주(300)를 포함한다. 본체(70)는 상단 결합주(100), 하단 결합주(200) 및 기초주(300)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단 결합주(100) 및 하단 결합주(200)는 지상에 설치되며, 기초주(300)는 지반(80) 하부에 설치된다. 즉, 하단 결합주(200)와 기초주(300)는 결합되어 하단 결합주(200)의 하측부와 기초주(300)가 지하(90)로 매설되어 설치된다.
본체(70)의 내부에는 케이블이 수납된다. 이때, 케이블은 고압 케이블(30) 및 저압 케이블(40)로 구분할 수 있다. 고압 케이블(30)은 지하(90)로부터 본체(70)의 내부로 인입되어 단자함(10)을 통해, 변압기(20)로 연결된다. 고압 케이블(30)을 통해 전달되는 고압은 변압기(20)를 통해 저압으로 변환되며, 저압을 변압기(20)에 연결된 저압 케이블(40)을 통해 수용가로 전달한다. 본체(70)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홀(320)은 본체(70)의 기초주(300)에 형성되며 케이블이 인입되거나 인출된다. 즉, 하부홀(320)은 지하(90)로부터 유입된 고압 케이블(30)을 본체(70)의 내부로 인입한다. 또한, 하부홀(320)은 변압기(20)에 연결된 저압 케이블(40)을 지하(90)로 인출한다. 이러한, 하부홀(320)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인출홀(110)은 상단 결합주(100)에 형성된다. 즉, 인출홀(110)은 상단 결합주(100)의 외부에서 변압기(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본체(70)의 내부로부터 고압 케이블(30)이 인출된다. 이러한, 인출홀(110)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인입홀(150)은 상단 결합주(100)에 형성된다. 즉, 인입홀(150)은 상단 결합주(100)의 외부에서 변압기(20)의 하부와 상단 결합주(100)와 하단 결합주(200)가 결합된 상부 사이에 형성된다. 인입홀(150)은 변압기(20)에 연결된 저압 케이블(40)이 본체(7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러한, 인입홀(150)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상단 결합주 및 하단 결합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단 결합주(100)와 하단 결합주(200)는 끼움 결합한다. 상단 결합주(100) 및 하단 결합주(200)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70)는 상단 결합주(100) 및 하단 결합주(200)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끼움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하단 결합주(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결합주(100)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210)가 형성된다. 고정부(210)는 상단 결합주(100)가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고정부(210)는 방지턱(213) 및 걸이(215)를 포함한다.
방지턱(2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결합주(100)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 결합주(2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이(2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결합주(100)의 좌우 유동성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 결합주(2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이(215)의 종단면은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하단 결합주 및 기초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단 결합주(200)와 기초주(300)는 플랜지 연결 방식으로 결합된다.
하단 결합주(200)는 기초주(300)와 플랜지 결합하기 위해 제1 연결 부재(220)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부재(220)는 기초주(300)와 결합되는 최하측의 둘레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기초주(300)는 하단 결합주(200)와 플랜지 결합하기 위해 제2 연결 부재(310)를 포함한다. 제2 연결 부재(310)는 하단 결합주(200)와 결합되는 최상측의 둘레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연결 부재(220)와 제2 연결 부재(310)는 나사(225)를 통해 플랜지 연결되어 하단 결합주(200)와 기초주(30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50)는 하단 결합주(200)와 기초주(300)를 플랜지 연결 방식으로 결합하므로 고압 케이블(30) 및 저압 케이블(40)을 포설할 경우에 케이블의 손상 보호와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하부홀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가이드 파이브(330)가 결합된 하부홀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부홀(320)은 기초주(300)에 형성되며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직사각형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케이블의 허용 곡률 반경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기초주(300)에는 대향되게 형성되는 2개의 하부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홀(320)에는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파이브(330)가 형성된다. 즉, 하부홀(320)에는 가이드 파이브(330)의 일측이 인입되고, 가이드 파이브(330)의 타측은 하부홀(320)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이드 파이브(330)는 본체(70)의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거나, 본체(70)의 내부로 인입되는 케이블을 가이드한다. 하부홀(320)에는 2개의 가이드 파이브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초주(300)에는 4개의 가이드 파이브(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2개의 가이드 파이브(330)를 통해 저압 케이블(40)이 본체(70)의 외부로 인출되고, 2개의 가이드 파이브(330)를 통해 고압 케이블(30)이 본체(70)의 내부로 인입된다.
가이드 파이브(330)는 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곡률 형태로 형성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인출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출홀(110)은 상단 결합주(100)에 형성된다. 그리고, 인출홀(110)은 본체(70)의 내부에 수납된 고압 케이블(30)이 상단 결합주(100)의 외부에 형성된 단자함(10)과 연결되기 위해 본체(7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고압 케이블(30)은 하부홀(320)로부터 인입된 고압 케이블(30)이 본체(70)의 내부로 통해 인출홀(110)까지 수납된다. 인출홀(110)은 하부홀(320)과 마찬가지로 케이블의 허용 곡률 반경을 고려하기 위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단 결합주(100)에는 제1 보강재(120), 제1 인출 롤러(133) 및 제2 인출 롤러(135)가 형성된다.
제1 보강재(120)는 인출홀(110)의 둘레가 상단 결합주(1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보강재(120)는 강도 보강을 위해 형성된다. 또한, 상단 결합주(100)에는 인출홀(110)에 빗물 침투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패킹(도시하지 않음)을 설치된다.
제1 인출 롤러(133)는 인출홀(110)의 외부에 형성된다. 제1 인출 롤러(133)는 인출홀(110)을 통해 인출된 고압 케이블(30)이 단자함(10)과 연결되기 위해 단자함(10)으로 고압 케이블(30)을 가이드한다. 또한, 제1 인출 롤러(13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케이블(30)이 접촉되어 고압 케이블(30)을 가이드하며 고압 케이블(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인출 롤러(135)는 인출홀(110)과 인접한 상단 결합주(100)의 외부에 형성된다. 즉, 제2 인출 롤러(135)는 인출홀(110)과 변압기(20)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인출 롤러(133)와 함께 고압 케이블(30)을 단자함(10)으로 가이드한다. 또한, 제2 인출 롤러(135)는 제1 인출 롤러(133)와 마찬가지로 고압 케이블(30)을 가이드하여 고압 케이블(30)의 손상되지 않게 단자함(10)으로 가이드한다.
또한, 상단 결합주(100)에는 인출홀(110)과 인접한 상단 결합주(100)에 형성되는 제1 통과부(140)가 형성된다. 제1 통과부(140)는 고압 케이블(30)을 안전하게 인출홀(110)로부터 단자함(10)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형성되며, 인출홀(110)과 단자함(10) 사이에 형성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의 인입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입홀(150)은 상단 결합주(100)에 형성된다. 인입홀(150)은 변압기(20)에 연결된 저압 케이블(40)이 본체(7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인입홀(150)은 하부홀(320), 인출홀(110)과 마찬가지로 케이블의 허용 곡률 반경을 고려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저압 케이블(40)은 변압기(20)와 연결되며, 인입홀(150)을 통해 본체(70)의 내부로 인입되어 하부홀(320)을 통해 본체(70)의 외부로 인출되고, 변압기(20)를 통해 고압이 변환된 저압을 수용가로 전달한다.
상단 결합주(100)에는 제2 보강재(160), 제1 인입 롤러(173) 및 제2 인입 롤러(175)가 형성된다.
제2 보강재(160)는 인입홀(150)의 강도 보강을 위해 인입홀(150)의 둘레가 상단 결합주(1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단 결합주(100)에는 인입홀(150)에 빗물 침투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패킹을 설치된다.
제1 인입 롤러(173)는 인입홀(150)과 인접한 상단 결합주(100)의 외부에 형성된다. 즉, 제1 인입 롤러(173)는 상단 결합주(100)에서 인입홀(150)과 변압기(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인입 롤러(173)는 변압기(20)에 연결된 저압 케이블(40)이 본체(70)의 내부로 인입되기 위해 인입홀(150)로 가이드한다.
제2 인입 롤러(175)는 인입홀(150)의 외부에 형성된다. 제2 인입 롤러(175)는 제1 인입 롤러(173)를 통해 가이드된 저압 케이블(40)을 인입홀(150)로 가이드한다. 또한, 제1 인입 롤러(173) 및 제2 인입 롤러(175)는 저압 케이블(40)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단 결합주(100)에는 인입홀(150)과 인접한 상단 결합주(100)에 형성되는 제1 통과부(140)가 형성된다. 제1 통과부(140)는 고압 케이블(30)을 안전하게 변압기(20)에서 인입홀(150)로 가이드하기 위해 형성되며, 제1 인입 롤러(173)와 변압기(2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 40 : 케이블
50 :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100 : 상단 결합주
110 : 인출홀
133, 135 : 인출 롤러
150 : 인입홀
173, 175 : 인입 롤러
200 : 하단 결합주
210 : 고정부
300 : 기초주
320 : 하부홀
330 : 가이드 파이브

Claims (12)

  1. 케이블을 수납하는 강관주에 있어서,
    상단 결합주, 하단 결합주 및 기초주가 결합되며 중공 원통형의 본체;
    상기 기초주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로 케이블이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케이블이 인출되는 하부홀;
    상기 상단 결합주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홀로부터 인입된 케이블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홀;
    상기 상단 결합주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변압기에 연결된 케이블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인입홀;
    상기 인출홀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제1 인출 롤러; 및
    상기 인출홀과 인접한 상기 상단 결합주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제2 인출 롤러를 포함하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에는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파이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결합주와 상기 하단 결합주는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결합주 및 하단 결합주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결합주에는 상기 상단 결합주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단 결합주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방지턱; 및
    상기 상단 결합주의 좌우 유동성을 방지하는 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결합주와 상기 기초주는 플랜지 연결 방식으로 결합하되,
    상기 하단 결합주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기초주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플랜지 연결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홀과 인접한 상기 상단 결합주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1 통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10. 케이블을 수납하는 강관주에 있어서,
    상단 결합주, 하단 결합주 및 기초주가 결합되며 중공 원통형의 본체;
    상기 기초주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로 케이블이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케이블이 인출되는 하부홀;
    상기 상단 결합주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홀로부터 인입된 케이블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홀;
    상기 상단 결합주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변압기에 연결된 케이블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인입홀;
    상기 인입홀과 인접한 상기 상단 결합주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제1 인입 롤러; 및
    상기 인입홀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제2 인입 롤러를 포함하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11. 삭제
  12. 케이블을 수납하는 강관주에 있어서,
    상단 결합주, 하단 결합주 및 기초주가 결합되며 중공 원통형의 본체;
    상기 기초주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로 케이블이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케이블이 인출되는 하부홀;
    상기 상단 결합주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홀로부터 인입된 케이블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홀;
    상기 상단 결합주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변압기에 연결된 케이블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인입홀;
    상기 인출홀의 둘레가 상기 상단 결합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보강재; 및
    상기 인입홀의 둘레가 상기 상단 결합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보강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KR2020110000872U 2011-01-28 2011-01-28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KR200474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872U KR200474870Y1 (ko) 2011-01-28 2011-01-28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872U KR200474870Y1 (ko) 2011-01-28 2011-01-28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67U KR20120005667U (ko) 2012-08-07
KR200474870Y1 true KR200474870Y1 (ko) 2014-10-22

Family

ID=4687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872U KR200474870Y1 (ko) 2011-01-28 2011-01-28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8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6964B (zh) * 2018-10-31 2021-01-15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可即插即用的用于变压器进线的可调式电缆支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133U (ja) * 1991-04-03 1993-11-12 日本地工株式会社 接地機能付き鋼管ポール
JP2000166067A (ja) * 1998-11-26 2000-06-16 Nippon Arm:Kk 地中配電用鋼管電柱
KR20060072759A (ko) * 2004-12-23 2006-06-28 주식회사 포스코 테이퍼폴의 이음 구조
KR100943062B1 (ko) * 2009-06-10 2010-02-17 (주)세림철탑산업 강관전주의 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133U (ja) * 1991-04-03 1993-11-12 日本地工株式会社 接地機能付き鋼管ポール
JP2000166067A (ja) * 1998-11-26 2000-06-16 Nippon Arm:Kk 地中配電用鋼管電柱
KR20060072759A (ko) * 2004-12-23 2006-06-28 주식회사 포스코 테이퍼폴의 이음 구조
KR100943062B1 (ko) * 2009-06-10 2010-02-17 (주)세림철탑산업 강관전주의 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67U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9190B2 (en) Low profile raceway
CN101752820B (zh) 地埋线缆保护套
KR101007070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KR100846135B1 (ko)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200474870Y1 (ko) 케이블 수납형 강관주
KR101131172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1779814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CN204030683U (zh) 壁挂式汽车充电终端及电动汽车充电站
US7994426B1 (en) Slack cable arrangement for underground electric service conduit connected to service boxes on the sides of buildings
KR100736833B1 (ko)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구조
CN204479812U (zh) 皮线光缆的固定装置
KR20060118312A (ko) 접지수단을 구비한 콘크리트 전주
KR101064391B1 (ko) 특 고압 전차선 송전선로의 안전보호 장치.
KR100839614B1 (ko) 접지선이 내장된 전선보호관
KR101647116B1 (ko) 지중케이블 파형관구획구를 이용한 파형관의 케이블 포설방법
CN201639248U (zh) 地埋线缆保护套
CN210866525U (zh) 充电桩
CA3037479A1 (en) Clip-based non-metallic fittings for attachment of flexible metallic conduit
CN105954849A (zh) 线缆理线器
KR200341360Y1 (ko) 케이블보호용 전주
KR101937815B1 (ko) 지중케이블 수납관로 연결구조체
CN205605983U (zh) 紧固组件
CN216436765U (zh) 一种直埋电缆保护盖板
KR20030010439A (ko) 전선배선용 보호덕트(3방수직형)
KR102109524B1 (ko) 배전선로 접지용 전신주 접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