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277Y1 -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277Y1
KR200474277Y1 KR2020120000341U KR20120000341U KR200474277Y1 KR 200474277 Y1 KR200474277 Y1 KR 200474277Y1 KR 2020120000341 U KR2020120000341 U KR 2020120000341U KR 20120000341 U KR20120000341 U KR 20120000341U KR 200474277 Y1 KR200474277 Y1 KR 200474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mergency
call
notification fun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535U (ko
Inventor
박시우
이기연
Original Assignee
휴먼인터페이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인터페이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먼인터페이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0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27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5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5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2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에게 응급상황 또는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보조 단말기와 스마트폰의 통신접속에 의해 기 저장된 대표번호로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는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위해 메시지 알림기능, 분실 방지 알림기능, 및 긴급상황 알림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단말기(100); 보조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며, 긴급상황 알림기능에서 생성된 긴급 호출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아이디 신호를 전송하는 휴대용기기(200); 휴대용기기(20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통신 신호와는 서로 다른 신호로 변환하는 교환수단(300); 및 호출아이디 신호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메시지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용 알림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Announcing device for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본 고안은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 및 응급상황 알림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에게 응급상황 또는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보조 단말기와 스마트폰의 통신접속에 의해 기 저장된 대표번호로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는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고도화되고 복잡하게 되면서 아이들이 범죄의 대상이 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밤늦게 귀가하는 여성이나 노약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 또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아동, 청소년, 여성, 또는 노약자의 응급 또는 위급상황을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고가의 스마트폰을 분실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필요성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548(발명의 명칭 : 아동 범죄 예방 시스템)에 따르면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도 아이들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위치 추적 시 오차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추적이 가능하도록 한 아동 범죄 예방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보조 단말기에 전화 또는 문자 알림기능, 스마트폰 분실 알림기능, 및 응급상황 알림기능을 통합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메시지 알림기능, 분실 방지 알림기능, 및 긴급상황 알림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단말기(100); 보조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며, 긴급상황 알림기능에서 생성된 긴급 호출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아이디 신호를 전송하는 휴대용기기(200); 휴대용기기(20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통신 신호와는 서로 다른 신호로 변환하는 교환수단(300); 및 호출아이디 신호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메시지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용 알림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호출아이디 신호는, 긴급 호출신호에 따른 기 저장된 대표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호출메시지 신호는, 기 저장된 대표번호로 송신하는 응급상황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시지 알림기능은, 휴대용기기(200)로부터 전화 수신 또는 문자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실 방지 알림기능은, 보조단말기(100)와 휴대용기기(200)가 근거리 무선통신의 범위를 벗어나 연결이 끊어짐을 알리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방식에 의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환수단(300)은, 휴대폰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통신규약에 따른 신호를 PSTN망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수단(400)은, 보조단말기(100)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이력정보 및 응급상황 발생시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의 내용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이력정보는, 보조단말기(100)의 사용자 신상에 관한 정보, 응급상황 발생시 전송하고자 하는 대표번호, 및 대표번호의 소유자에 대한 신상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보조 단말기에 전화 또는 문자 알림기능, 스마트폰 분실 알림기능, 및 응급상황 알림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PSTN망을 이용함으로써 전화요금의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근거리 통신용 응급상황 알림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고안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의 구성)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는 보조단말기(100), 휴대용기기(200), 교환수단(300), 및 제어수단(400)으로 구성되어 보조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신호를 휴대용기기(200)를 통하여 전송하거나, 휴대용기기(200)에서 발생한 메시지를 보조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고안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서 설명되는 휴대용기기(200)는 2G, 3G, 4G, 또는 WCDMA 등의 통신프로토콜에 의해 문자 메시지 또는 전화 통화할 수 있는 휴대폰, 스마트폰, 개인용 휴대용 단말기(PDA) 등을 일컫는다. 이하에서는 스마트폰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단말기(100)는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한다. 이때 사용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통신규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단말기(100)는 메시지 알림기능, 분실 방지 알림기능, 또는 긴급상황 알림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하에서 이들의 기능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메시지 알림기능은 스마트폰으로 전화 또는 문자가 수신된 경우 이를 보조단말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화 또는 문자의 수신은 다음과 같은 일예로 구현될 수 있다. 전화 또는 문자가 수신된 경우 일정한 간격(예를들어 0.5초 또는 1초마다)으로 진동을 생성하거나 또는 LED를 제어하여 깜박거림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화 또는 문자의 수신을 감지한 경우 보조단말기(100)에 구비된 스위치(도면 미도시)를 짧게 누름으로써 진동 또는 LED의 생성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를 길게 누른 경우에는 전화 또는 문자의 수신 알림을 거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전화 또는 문자의 수신을 감지하여 스마트폰을 받거나 문자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알림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보조단말기(100)는 상술한 진동 알림 또는 LED 알림을 수행하기 위해 모터 또는 칩 LED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LCD를 구비함으로써 스마트폰에서 수신한 문자를 보조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분실 방지기능은 스마트폰과 보조단말기와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격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림을 생성하는 기능이다. 이때 스마트폰과 보조단말기와의 거리는 통신규약에 따른 거리에 기반한다. 즉, 스마트폰과 보조단말기의 통신규약이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약 10m 거리에서 서로 통신이 가능하므로 이 거리를 넘어서는 경우에 진동 알림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분실 방지 알림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보조단말기는 스마트폰과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서로 연결이 끊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예를들어 100ms 또는 500ms의 주기로 스마트폰과 상호 통신을 교환하여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
블루투스 접속 거리를 벗어남에 따라 분실 방지 알림기능이 동작하는 경우에는 긴 진동을 반복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접속 거리에 들어오면 진동을 정지하게 한다. 스위치를 짧게 누르는 경우 기능 해제가 되며 일정시간 경과 후 기능부활 여부를 문의하는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를 길게 누르는 경우 분실 방지 알림기능을 완전히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보조단말기와 스마트폰 간의 인식은 일예로서 보조단말기의 아이디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다른 보조단말기와의 혼란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보조단말기는 사용자의 손목에 차는 타입이거나 허리띠에 착용하는 타입 또는 손에 들고 다니는 타입 등 여러가지 타입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긴급상황 알림기능은 서비스 등록자가 위급하거나 응급상황 발생시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긴급 호출신호가 보조단말기로부터 생성되어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며, 스마트폰은 미리 설정된 대표번호(일예로 대표번호는 여러 개로 설정가능)로 전화를 건다. 이때 상술한 각 기능에 따른 스위치는 서로 다른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고, 하나의 스위치에 의해 구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교환수단은 스마트폰으로부터 대표번호로 전화가 걸리는 경우 무선통신 신호를 PSTN망 신호로 변환한다. 즉,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2G, 3G, 4G, 또는 WCDMA 등의 통신규약 신호로서 이러한 신호를 PSTN망 신호로 교환한다. 따라서 스마트폰에서 송신된 신호는 먼저 가까운 기지국에 수신되며 기지국에서는 이 신호를 전화국에 송신하여 PSTN망 신호로 변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어수단(400)은 변환된 PSTN망 신호를 분석하여 누구로부터 걸려온 전화인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웹서버에 저장된 서비스 이력 정보를 검색하여 응급문자를 전송한다. 예를들어 가입자가 아버지인 홍길동, 어머니인 신사임당 및 딸 홍정숙이라고 가정하면, 홍정숙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보조단말기의 스위치를 누른 경우 아버지 홍길동 및 어머니 신사임당으로 순차적으로 전화를 걸게 된다. 따라서 제어수단(400)은 홍길동 또는 신사임당의 전화번호를 인식하고 이들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 미리 저장된 응급문자를 이들에게 전송하여 홍정숙의 위급 또는 응급상황을 알린다.
여기서, 제어수단(400)은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이력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410)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서비스 가입자의 신상에 관한 정보 즉,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 가입 연월일, 응급문자 전송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수단(400)의 구현은 전화국의 회선과 접속되는 기폰 주장치 및 웹서버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기폰 주장치는 전화국으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를 인식한다. 기폰 주장치의 자세한 기능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기폰 주장치에서 인식된 전화번호는 웹서버로 전송되며 웹서버는 송신된 전화번호와 서비스 가입자의 이력이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가입 여부 및 전송 메시지를 검색한다.
이때 웹서버는 검색된 전송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한다. 이때 웹서버는 모뎀(VDSL 또는 가정용 모뎀)(도면 미도시)과 연결되어 PSTN망을 통해 전송된다. 이러한 PSTN 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3G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요금이 절약된다. 또한 각 인터넷 서비스 업자에게서 제공되는 무료문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인터넷에서는 특정 사용자에게 무료문자를 보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웹서버는 이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수단(400)이 서비스 가입자의 응급상황 전송문자를 확인한 경우에 다시 교환국(500)(이때는 PSTN에서 3G 등으로 신호 교환)으로 정보를 송신한다. 교환국(500)은 다시 이 신호를 홍길동(제1스마트폰)(610) 또는 신사임당의 스마트폰(제2스마트폰)(620)으로 전송하여 홍정숙의 위급 또는 응급문자를 받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고안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고안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보조단말기
200 : 휴대용기기
300 : 교환수단
400 : 제어수단
410 : 데이터베이스
500 : 교환수단
610 : 제1스마트폰
620 : 제2스마트폰

Claims (5)

  1. 메시지 알림기능, 분실 방지 알림기능, 및 긴급상황 알림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단말기(100);
    상기 보조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며, 상기 긴급상황 알림기능에서 생성된 긴급 호출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아이디 신호를 전송하는 휴대용기기(200);
    상기 휴대용기기(20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통신 신호와는 서로 다른 신호로 변환하는 교환수단(300); 및
    상기 호출아이디 신호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메시지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수단(400);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보조단말기(100)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이력정보 및 응급상황 발생시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410)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이력정보는, 상기 보조단말기(100)의 사용자 신상에 관한 정보, 상기 응급상황 발생시 전송하고자 하는 대표번호, 및 상기 대표번호의 소유자에 대한 신상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호출아이디 신호는, 상기 긴급 호출신호에 따른 기 저장된 대표번호이고,
    상기 호출메시지 신호는, 기 저장된 대표번호로 송신하는 응급상황 문자이며,
    상기 교환수단(300)은, 상기 휴대용기기(20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통신 신호를 PSTN망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수단(400)은 교환국(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교환국(500)은 상기 PSTN망 신호를 상기 휴대용기기(20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통신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메시지 알림기능은, 상기 휴대용기기(200)로부터 전화 수신 또는 문자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기능이고,
    상기 분실 방지 알림기능은, 상기 휴대용기기(200)가 상기 보조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생성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용 알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용 알림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20000341U 2012-01-13 2012-01-13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 KR200474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341U KR200474277Y1 (ko) 2012-01-13 2012-01-13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341U KR200474277Y1 (ko) 2012-01-13 2012-01-13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535U KR20130004535U (ko) 2013-07-23
KR200474277Y1 true KR200474277Y1 (ko) 2014-09-12

Family

ID=5135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341U KR200474277Y1 (ko) 2012-01-13 2012-01-13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27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2192A (ko) * 2004-01-06 2005-07-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긴급 알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89953A (ko) * 2010-02-02 2011-08-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호신용 경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2192A (ko) * 2004-01-06 2005-07-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긴급 알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89953A (ko) * 2010-02-02 2011-08-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호신용 경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535U (ko) 201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1911A (zh) 反馈当前状态至主叫移动终端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4270732A (zh) 呼叫转移的配置方法和装置
CN102572687A (zh) 一键救援服务系统以及方法
KR100737404B1 (ko) 소음환경에서의 통신용 다기능 단말장치
JP5181833B2 (ja) 待合せ支援機能付き携帯無線端末
KR1014017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
CN102638624A (zh) 一种实现自动转发来电信息的移动终端及其转发方法
KR10117107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급상황 동시 다중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702316A (zh) 一种用户行为状态信息和位置信息分享的方法及系统
JP4273068B2 (ja) 緊急時の通知システム及び通知方法
CN202385282U (zh) 适于老年人使用的能够向固定手机发送信息的手机
KR200474277Y1 (ko) 근거리 통신용 알림장치
JP200621147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
JP2010103918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CN101719946B (zh) 一种在gps移动电话上获取来电用户信息的方法
KR20100033565A (ko) 스팸 전화번호의 등록과 이를 활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00693B1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198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자 특정정보 선택전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211789B2 (ja) 通信端末、通信端末における転送処理方法、及び通信端末における無線タグの存在確認制御方法
KR100862527B1 (ko) 근거리무선통신용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기간 음성통화시스템 및 방법
KR100734544B1 (ko) 이상형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CN105763754A (zh) 语音通话方法、智能移动终端、固定电话和智能电话系统
KR100639331B1 (ko) 탑승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02472A (ko) 휴대폰 수신 알림이
JP2004214889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