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261Y1 -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 - Google Patents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261Y1
KR200474261Y1 KR2020120012351U KR20120012351U KR200474261Y1 KR 200474261 Y1 KR200474261 Y1 KR 200474261Y1 KR 2020120012351 U KR2020120012351 U KR 2020120012351U KR 20120012351 U KR20120012351 U KR 20120012351U KR 200474261 Y1 KR200474261 Y1 KR 200474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letter
music
earphone
music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164U (ko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훈 filed Critical 정재훈
Priority to KR2020120012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261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1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2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지봉투에 음악재생장치를 마련하여 음악을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고, 고음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An envelope with music player}
본 고안은 편지봉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재생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고, 이어폰 포트를 구비하여 음악의 재생 및 편지봉투를 개봉할 수 있는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편지봉투는 편지지를 내부에 동봉하여 편지지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편지봉투는 편지지를 보호하는 용도 및 보내는 이 및 받는 이의 정보를 기재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단순히 편지 내용을 전달하였기 때문에 편지를 읽을 때 편지의 내용 이외에 특별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종래의 배경음악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는 배경음악이 단조롭고 음질이 좋지 않은 기계음이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쉽게 질리고, 주변에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경음악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는 음악을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9976호의 상자의 음성 녹음 및 재생 장치에서는 녹음이 이루어진 음성 메시지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음성 녹음/재생 수단을 구성하되, 디지털 음성 메시지 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케이블이 연결되는 입력단자, 음성 메모리부, 외부의 빛을 감지하는 빛 감지부, 빛의 조도에 따라 음성 메시지 및 배경음악을 자동 출력시키도록 하는 제어수단, 스피커를 통해 아날로그로 변화하여 출력하는 음성재생부 및 음성청취를 반복할 수 있는 키 입력부로 구성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외부로 음성을 출력하기 때문에 소음문제가 발생되고, 고음질의 음향을 청취할 수 없으며, 많은 구성으로 인하여 제작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편지봉투에 이어폰 포트를 마련함으로써, 주변에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배경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보다 음질이 좋은 배경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에 선택적으로 배경음악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포트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선택하여 입력시킬 수 있는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과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른,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는 상기 편지봉투 일면에 마련되는 편지봉투 개봉부; 상기 편지봉투 내부에 마련되는 음악재생장치 및 상기 편지봉투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음악재생장치와 연결되는 이어폰 포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음악재생장치는 이어폰이 연결되면 자동으로 재생되는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는 고음질의 배경음악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음질의 음악을 감상할 수 있고, 이어폰을 이용하여 배경음악을 청취하기 때문에 주변에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음악 감상 및 편지를 읽을 수 있어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타인에게 소음 피해를 주지 않고 편지봉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에 입력 포트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음악을 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편지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을 이용하여 편지봉투를 개봉할 수 있는 편지개봉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보다 간소하게 편지를 개봉할 수 있도록 만들어 사용자의 이용 효율성을 높여 준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의 개봉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악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의 일단면을 제거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에 대해서는 구성요소의 도면부호 옆에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른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는 편지봉투 개봉부(10), 음악재생장치(20) 및 이어폰 포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편지봉투 개봉부(10)는 편지봉투(2)를 개봉하여 편지봉투(2) 내의 편지지를 꺼내볼 수 있도록 만든다. 편지봉투 개봉부(10)는 편지봉투(2)의 일면에 마련된다. 편지봉투 개봉부(10)는 후술할 편지개봉 장치(40)와 연결되어 편지봉투(2)를 개봉시킨다.
음악재생장치(20; 도 4 참조)는 편지봉투(2) 내부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재생장치(20)는 편지봉투(2)의 내측 일면에 형성된다. 음악재생장치(20)는 제어부(210), 메모리부(220), 입력부(230), 출력부(240) 및 전원공급부(2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어부(210)는 음악재생장치(20)를 제어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출력, 입력, 실행 및 전원공급과 같은 제어에 관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부(220)는 제어부(210)와 연결되고, 메모리부(22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음악재생장치(20)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예를 들면 어셈블리, 리눅스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부(220)의 용량은 50 mb(mega byte) 이하로 형성된다. 이는 메모리부(220)의 용량을 작게 형성시킴으로서, 음악재생장치(2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작은 크기로 음악재생장치(2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입력부(230)는 제어부(210)와 연결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음악재생장치(20)에 입력하거나 삭제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출력부(240)는 제어부(210)와 연결되고,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하여 형성된다(예를 들면 이어폰 포트, 오디오 포트 등). 전원공급부(250)는 제어부(210)와 연결되고 음악재생장치(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전원공급부(250)는 내부전원(예를 들면, 휴대용 건전지, 리튬전지 등)을 사용하여 음악재생장치(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음악재생장치(20)는 편지를 읽을 때 문자로써 내용전달뿐만 아니라, 배경음악을 제공하여 편지를 받는 사람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내용을 전달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문자만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내용을 전달하여 편지 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악재생장치(20)가 재생하는 오디오 데이터는 mp3(MPEG-1 Audio Layer-3)로 형성된다. mp3는 적은 용량으로 고음질을 제공하여 기존의 단조로운 기계음에 비해 고음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mp3는 사용자가 쉽게 얻을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간소하게 원하는 음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어폰 포트(30)는 편지봉투(2) 외측면에 형성되고, 음악재생장치(20)와 연결된다. 이어폰 포트(30)는 이어폰(5)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포트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 포트(30)는 음악재생장치(20)의 출력부(240)와 연결된다. 이어폰 포트(30)와 연결된 이어폰(5)을 통해 사용자는 음악재생장치(20)에서 재생되는 음악 감상을 할 수 있다. 이어폰 포트(30)에 이어폰(5)이 접촉이 감지되면 음악재생장치(20)는 음악재생장치(2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자동으로 재생시킨다. 또한 이어폰(5)을 이어폰 포트(30)에서 제거하면 자동으로 음악재생장치(20)의 음악재생을 멈추게 한다. 이어폰(5)이 이어폰 포트(30)에 삽입되게 되면 삽입되었다는 신호가 음악재생장치(20)의 제어부(210)로 전달되고, 제어부(210)는 음악재생을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재생스위치(310; 도 5 참조)를 이어폰 포트(30) 일단에 형성시켜 이어폰(5)이 이어폰 포트(30)에 삽입되었을 때 재생스위치(310)를 누름으로써, 음악재생장치(20)의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이어폰(5)이 이어폰 포트(30)에서 제거되면 자동으로 재생스위치(310)에 가해지는 압력이 없어져 음악재생이 멈추게 된다. 이는 별도로 음악재생장치(20)에 재생, 정지 버튼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음악재생장치(20)의 구성을 간소시켜 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편지개봉 장치(40; 도 3 참조)는 일단이 이어폰 포트(30)와 연결되고 타단은 편지봉투 개봉부(10)와 연결된다. 편지개봉 장치(40)는 편지봉투 개봉부(10)와 편지봉투(2)를 체결시킨다. 또한, 편지봉투 장치(40)는 편지봉투 개봉부(10)를 개폐할 수 있고, 편지개봉 장치(40)는 이어폰 포트(30)에 이어폰(5)이 연결되면 이어폰(5)이 편지개봉 장치(40)를 동작시켜 편지봉투(2)를 개봉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편지개봉 장치(40)는 제 1 고리(410) 및 제 2 고리(420)로 구성되고 서로 체결하도록 형성된다. 제 1 고리(410) 및 제 2 고리(420)는 반원 모양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고리(410)는 이어폰 포트(30)의 일단과 연결되며, 제 2 고리(420)는 편지봉투 개봉부(10)의 일면과 연결된다. 제 1 고리(410)의 일단은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면이 음악재생장치(20)에 고정되며, 이어폰 포트(30)에서 이어폰(5)이 삽입될 시 제 1 고리(410)를 밀어 제 1 고리(4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어폰(5)이 이어폰 포트(30)에 삽입되면, 이어폰(5)이 제 1 고리(410)를 밀어 고리 모양이 풀린다. 이어폰(5)이 제 1 고리(410)를 밀어 제 1 고리(410)와 제 2 고리(420)의 체결을 해제하고, 제 2 고리(420)와 연결된 편지봉투 개봉부(10)가 개방되어 편지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이어폰(5)을 이용하여 편지봉투(2)를 개봉할 수 있게 하여 고음질의 배경음악과 함께 편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만든다. 제 1 고리(410) 및 제 2 고리(42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이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양태에서, 입력 포트(50)는 음악재생장치(20)의 일면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재생장치(20)의 입력부(23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게 만든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입력 포트(50)의 일단은 음악재생장치(20)의 일면에 연결이 되고, 타단은 편지봉투(2)의 일면과 연결되어 외부의 장비(예를 들면, 컴퓨터, 케이블, USB 및 기타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결된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1회용 편지봉투에 비해 사용효율이 좋고 편지 내용에 맞춰 음악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양한 분야에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를 활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2 : 편지봉투,
5 : 이어폰, 10 : 편지봉투 개봉부,
20 : 음악재생장치, 30 : 이어폰 포트,
40 : 편지개봉 장치, 50 : 입력 포트,
210 : 제어부, 220 : 메모리부,
230 :입력부, 240 : 출력부,
250 : 전원공급부,
310 : 재생스위치,
410 : 제 1 고리, 420 : 제 2 고리.

Claims (6)

  1. 편지봉투(2)에 있어서,
    상기 편지봉투(2) 일면에 마련되는 편지봉투 개봉부(10);
    상기 편지봉투(2) 내부에 일면에 마련되고 제어부(210), 메모리부(220), 입력부(230), 출력부(240) 및 전원공급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악재생장치(20);
    상기 편지봉투(2)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음악재생장치(20)와 연결되는 이어폰 포트(30) 및
    일단은 상기 이어폰 포트(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편지봉투 개봉부(10)와 연결되는 편지개봉 장치(40)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음악재생장치(20)는 이어폰(5)이 연결되면 자동으로 재생되고,
    상기 편지개봉 장치(40)는 상기 편지봉투 개봉부(10)를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편지개봉 장치(40)는 상기 이어폰 포트(30)에 이어폰(5)이 연결되면 편지봉투(2)를 개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재생기능을 갖는 편지봉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개봉 장치(40)는 제 1 고리(410) 및 제 2 고리(420)로 구성되어 서로 체결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1 고리(410)는 상기 이어폰 포트(3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고리(420)는 상기 편지봉투 개봉부(10)의 일면과 연결되며,
    상기 이어폰(5)이 상기 이어폰 포트(30)에 삽입되면, 상기 이어폰(5)이 상기 제 1 고리(410)를 밀어 고리가 풀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재생기능을 갖는 편지봉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재생장치(20)의 오디오 데이터는 mp3(MPEG-1 Audio Layer-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재생기능을 갖는 편지봉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재생장치(20) 일면에 형성되는 입력 포트(50)를 구비하되,
    상기 입력 포트(50)를 이용하여 상기 음악재생장치(20)에 음악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재생기능을 갖는 편지봉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포트(30)의 일단에 형성되는 재생스위치(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재생기능을 갖는 편지봉투.
KR2020120012351U 2012-12-28 2012-12-28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 KR200474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351U KR200474261Y1 (ko) 2012-12-28 2012-12-28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351U KR200474261Y1 (ko) 2012-12-28 2012-12-28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164U KR20140004164U (ko) 2014-07-08
KR200474261Y1 true KR200474261Y1 (ko) 2014-10-30

Family

ID=5228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351U KR200474261Y1 (ko) 2012-12-28 2012-12-28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26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184A (ja) * 1998-06-12 2000-01-07 Toshihiko Sato ミュージック装置を利用したボックス、アルバム
KR200262658Y1 (ko) * 2001-11-09 2002-03-18 손창환 이어폰을 갖는 음성 발생용 책
KR200342001Y1 (ko) * 2003-11-11 2004-02-14 황선원 센서와 플래쉬메모리(저장장치) 및 디지털 시계가 장착된 음성 압축 저장 및 자동 전진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184A (ja) * 1998-06-12 2000-01-07 Toshihiko Sato ミュージック装置を利用したボックス、アルバム
KR200262658Y1 (ko) * 2001-11-09 2002-03-18 손창환 이어폰을 갖는 음성 발생용 책
KR200342001Y1 (ko) * 2003-11-11 2004-02-14 황선원 센서와 플래쉬메모리(저장장치) 및 디지털 시계가 장착된 음성 압축 저장 및 자동 전진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164U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644593A (en)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fil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210377647A1 (en) Headphones Workstation Assembly
KR200474261Y1 (ko)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편지봉투
US8481840B2 (en)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CN202799080U (zh) 带录音功能的音箱设备
KR101369517B1 (ko) 모바일기기 케이스
JP3211950U (ja) レコード盤再生装置
KR200422312Y1 (ko) Fm변환기가 내장된 전자음반
CN204596421U (zh) 一种具有音频实时记录存储和播放功能的存储器
KR20000023881A (ko) 휴대폰배터리일체형엠피3플레이어및보이스레코더
CN108093336A (zh) 一种多功能蓝牙音箱
CN203338745U (zh) 一种电唱机
CN206674166U (zh) 一种多功能WiFi音响
TWI526925B (zh) 多媒體錄放系統
CN207321487U (zh) 易收纳耳机
WO2015127672A1 (zh) 一种mp3播放器
CN205850214U (zh) 一种语音布娃娃
CN104733031A (zh) 一种具有音频实时记录存储和播放功能的存储器
KR101420145B1 (ko) 스마트 버튼을 구비한 집음기
JP2006166441A5 (ko)
US20180020280A1 (en) Headphone system and method
KR200209976Y1 (ko) 상자의 음성 녹음 및 재생 장치
CN202206512U (zh) 一种具有语音呼救功能的便携式多媒体小音箱
KR200411402Y1 (ko)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버클 장치
KR200295464Y1 (ko) 휴대전화용 이어폰형 핸즈프리용 녹음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