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126Y1 - 현악기용 픽업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픽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126Y1
KR200474126Y1 KR2020130000787U KR20130000787U KR200474126Y1 KR 200474126 Y1 KR200474126 Y1 KR 200474126Y1 KR 2020130000787 U KR2020130000787 U KR 2020130000787U KR 20130000787 U KR20130000787 U KR 20130000787U KR 200474126 Y1 KR200474126 Y1 KR 200474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tring
bass
pickup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621U (ko
Inventor
배진호
김선자
Original Assignee
배진호
김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호, 김선자 filed Critical 배진호
Priority to KR2020130000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12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6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6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1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Abstract

본 고안은 저음영역의 음색을 강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연주와 감상의 묘미를 북돋울 수 있으면서 현악기의 품질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현악기에 장착할 수 있도록 브라켓을 가지고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 픽업코일을 배치한 후 커버로 마감하여 구성되는 현악기용 픽업에 있어서;
상기 픽업코일을 현악기의 고음영역의 현에 대응하는 고음코일과, 현악기의 저음영역의 현에 대응하는 저음코일로 분리하여 배치하고;
상기 고음코일은 싱글 타입으로 배치하고, 저음코일은 1저음코일과 2저음코일로 구성되는 더블 타입으로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현악기용 픽업{A PICKUP FOR STRING INSTRUMENT}
본 고안은 현악기용 픽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타나 가야금 등과 같은 현악기 특히 전기기타의 주파수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현악기용 픽업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픽업(Pickup)은 전기기타, 전기베이스기타, 전기바이올린과 같은 현악기를 구성하는 현의 진동을 포착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주는 트랜스듀서(Transducer)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픽업에 의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바꾼 후 증폭시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픽업은, 알니코(알루미늄과 니켈 및 코발트의 조합)와 같은 영구자석을 에나멜 피복을 입힌 가는 구리선으로 된 코일을 권취하여 현악기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며, 싱글픽업과 싱글픽업을 두 개를 연결한 험버크픽업으로 구분된다.
싱글픽업은 신호음을 취할 때 주요잡음(Mains Hum)이라 불리는 가옥전류의 주파수(50 또는 60Hz)도 함께 받아들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싱글픽업 두 개를 연결한 험버크픽업(Humbucker Pickup)으로 발전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듀얼타입의 험버크픽업의 구성을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현악기에 장착되는 픽업(20)은, 제 1 픽업 부품(30)을 현악기의 데크와 위치 설정하여 현악기의 현들과 작동적으로 연관되는 다수의 제 1 극편(31 내지 34)을 구비시키되, 제 1 코일(36)이 상기 제 1극편(31 내지 34) 둘레로 감기도록 구비한다.
제 2 픽업부품(40)을 상기 제 1 픽업부품(30)과 간격을 두면서 서로 평행되게 위치 설정하여 현악기의 현들과 작동적으로 연관되는 다수의 제 2 극편(41 44)을 구비시키되 제 2 코일(46)이 상기 제 2 극편(41 내지 44) 둘레로 감기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 1 코일(36)에 캐패시터(38)를 병렬로 연결시켜 유용한 베이스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에 대해 상기 제 1 코일(36) 양단에 분로(Shunt)를 제공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허출원 제 10-1980-0003925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싱글픽업을 현악기에 장착할 경우에는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험버크픽업의 경우에는 싱글픽업보다 넓은 스트링 부위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게 되므로 깨끗한 음질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음악의 발전으로 현대음악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디스크 음악과 록(Rock) 음악은 베이스 주파수를 상당히 강조하게 되므로 전기기타의 경우 고음영역을 연주하게 되는 1,2,3번의 현보다 저음영역을 연주하게 되는 4,5,6번 현의 음의 출력을 강하게 하여야 하고, 이러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현실적으로는 험버크픽업을 설치한 상태에서 현악기를 연주하게 되면 음악의 특성상 저음부분 또는 고음부분만 지속적으로 연주되지 않게 되고, 솔로연주를 수행할 경우에는 특히 고음영역의 현을 이용하기 때문에 고음영역이 더욱 강조되는 폐단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싱글이나 험버크픽업의 경우 고음영역이 강조되기 때문에 저음영역의 주파수 출력을 강하게 하는 것을 계속 시도하고 있으나, 픽업의 수정이나 개선없이 스피커, 조절벽, 전자석 픽업용 톤 제어회로 등의 구조적 변경에 주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픽업 자체의 개량 없이 자력을 높이거나 출력전압을 높이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을 경우에는 자력의 강화로 현을 잡아당겨 인토네이션을 부정확하게 하고 스트링의 진동을 막아서 서스테인이 줄어들게 되므로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게 되고, 특히 저음(베이스)영역의 주파수를 바람직한 레벨로 증가시키거나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현악기에 장착할 수 있도록 브라켓을 가지고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 픽업코일을 배치한 후 커버로 마감하여 구성되는 현악기용 픽업에 있어서;
상기 픽업코일을 현악기의 고음영역의 현에 대응하는 고음코일과, 현악기의 저음영역의 현에 대응하는 저음코일로 분리하여 배치하고;
상기 고음코일은 싱글 타입으로 배치하고, 저음코일은 1저음코일과 2저음코일로 구성되는 더블 타입으로 배치하여;
저음영역의 음색을 강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연주와 감상의 묘미를 북돋울 수 있으면서 현악기의 품질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싱글픽업과 험버크픽업의 복합형태로 픽업을 개선하여 고음영역의 현은 싱글로 구성하고 저음 영역의 현은 험버크로 구성하여 특히 고음과 저음(베이스)을 폭넓은 음역대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현악기의 음색을 한층 심오한 상태로 확보할 수 있어 다른 악기들과 혼연할 경우에도 현악기 고유의 사운드가 묻히지 않고 또렷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와 공연 감상자의 느낌을 극대화할 수 있고, 현악기의 품질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픽업을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픽업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픽업을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픽업을 도시한 회로 구성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픽업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픽업을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픽업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픽업을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픽업을 도시한 회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현악기용 픽업(100)은, 현악기에 장착할 수 있도록 브라켓(101)을 양측에 가지는 베이스(102)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02)의 중앙에는 베이스(102)의 길이방향으로 마그네트(103)를 결합하고, 상기 마그네트(103)의 상부에는 보빈(104)에 코일(105)을 권취하여 구성한 픽업코일(106)을 배치한 후 커버(107)로 마감하여 구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픽업코일(106)을 현악기의 고음영역을 담당하는 1,2,3번 현(108)에 대응하는 고음코일(110)과, 현악기의 저음영역을 담당하는 4,5,6번 현(109)에 대응하는 저음코일(111)로 분리하여 배치한다.
상기 고음코일(110)은 싱글 타입으로 배치하고 저음코일(111)은 1저음코일(112)과 2저음코일(113)로 구성되는 더블 타입으로 배치하여 저음영역을 강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음코일(110)의 시작부위(HS)는 접지(E)를 수행하고, 고음코일(110)의 끝부위(HE)는 1저음코일(112)의 시작부위(1LS)와 연결하고, 1저음코일(112)의 끝부위(1LE)는 2저음코일(113)의 시작부위(2LS)와 연결하고, 2저음코일(113)의 끝부위(2LE)는 출력단(EL)과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픽업의 사용은 종래와 같이 현악기에 장착하여 현악기를 구성하는 현의 진동을 포착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주는 트랜스듀서(Transducer) 역할을 수행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바꾼 후 증폭시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작동관계의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과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음영역에 배치되는 고음코일(110)이 싱글타입으로 배치되므로 연주 과정에서 고음영역의 소리가 불필요하게 증폭되지 않게 되고, 저음코일(111)이 1저음코일(112)과 2저음코일(113)을 가지는 더블 타입으로 배치하게 되므로 저음영역의 현을 연주하게 되면 저음영역의 음이 증폭되어 전달되므로 혼합 연주 과정에서 저음이 다른 음에 묻혀 전달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저음 고유의 음색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100; 현악기용 픽업
102; 베이스
103; 마그네트
106; 픽업코일
110; 고음코일
111; 저음코일
112; 1저음코일
113; 2저음코일

Claims (2)

  1. 현악기에 장착할 수 있도록 브라켓을 가지고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 픽업코일을 배치한 후 커버로 마감하고;
    상기 픽업코일을 현악기의 고음영역의 현에 대응하는 고음코일과, 현악기의 저음영역의 현에 대응하는 저음코일로 분리하여 배치하여 구성되는 현악기용 픽업에 있어서;
    상기 고음코일은 싱글 타입으로 배치하고, 저음코일은 1저음코일과 2저음코일로 구성되는 더블 타입으로 배치하고;
    상기 고음코일의 시작부위는 접지를 수행하고, 고음코일의 끝부위는 1저음코일의 시작부위와 연결하고, 1저음코일의 끝부위는 2저음코일의 시작부위와 연결하고, 2저음코일의 끝부위는 출력단과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픽업.
  2. 삭제
KR2020130000787U 2013-01-30 2013-01-30 현악기용 픽업 KR200474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87U KR200474126Y1 (ko) 2013-01-30 2013-01-30 현악기용 픽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87U KR200474126Y1 (ko) 2013-01-30 2013-01-30 현악기용 픽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621U KR20140004621U (ko) 2014-08-07
KR200474126Y1 true KR200474126Y1 (ko) 2014-08-27

Family

ID=5200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787U KR200474126Y1 (ko) 2013-01-30 2013-01-30 현악기용 픽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1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43179A1 (en) * 2019-08-06 2021-02-11 S & S Winding LLC Longitudinally Divided Pickup Structure and Switch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798A (ko) * 1999-01-25 2000-09-25 호시노 요시히로 어쿠스틱 기타용 자기 픽업
US20080210077A1 (en) * 2007-03-02 2008-09-04 Franklin Dale Boxberger Combination bass with both frets and no frets on the same ne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798A (ko) * 1999-01-25 2000-09-25 호시노 요시히로 어쿠스틱 기타용 자기 픽업
US20080210077A1 (en) * 2007-03-02 2008-09-04 Franklin Dale Boxberger Combination bass with both frets and no frets on the same ne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621U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5383B2 (en) Humbucking pickup and method of providing permanent magnet extending through opposing coils parallel to string orientation
US8319088B1 (en) Poly-coil matrix
JP5573263B2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弦楽器
US20150262568A1 (en) Humbucker pickup device for active and passive guitars
US9552802B2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instruments
US90644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converting frequencies on electrical stringed instruments
JP4967048B2 (ja) 変換装置
US75146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sta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8502061B1 (en) Electrical stringed instrument and signal processing circuit therefor
US2087106A (en) Electrical musical instrument
US96269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variable aperture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5676044B1 (ja) 極薄型電磁ドライバ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ギター
KR200474126Y1 (ko) 현악기용 픽업
US9183823B2 (en) Pickup and sustainer for stringed instruments
JP2020052069A (ja) エレクトリックギター
JP2009139730A (ja) 楽音信号出力装置および弦楽器
US4282789A (en) Finger mountable electric guitar pick-up
SU5800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силени звучани струнных музыкальных инструментов
US20160351178A1 (en) A detachable electrodynamic sound pickup and amplification system, with a removable mounting plate and self-adhesive cabling
RU149585U1 (ru) Электро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RU2289857C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звукосниматель для электрогитары и других струнных музыкальных инструментов
RU2569637C1 (ru) Электро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KR20110109079A (ko) 전자 코토
WO2003094146A1 (en) String instrument with sound enhancing channel extending in the neck
FI107473B (fi) Mikrofoni kielisoittimille ja mikrofonin käytt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