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055Y1 - 연결대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 - Google Patents
연결대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4055Y1 KR200474055Y1 KR2020130010971U KR20130010971U KR200474055Y1 KR 200474055 Y1 KR200474055 Y1 KR 200474055Y1 KR 2020130010971 U KR2020130010971 U KR 2020130010971U KR 20130010971 U KR20130010971 U KR 20130010971U KR 200474055 Y1 KR200474055 Y1 KR 2004740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ng rod
- support
- pipe
- support pipe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92—Details of rods for suspending clothes-hanger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대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대 지지구의 조립 및 탈착이 편리하며, 연결대 지지구 및 연결대의 수평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연결대에 많은 하중이 가해져도 견고한 연결을 유지하는 연결대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지지 파이프의 외주 일부를 감싸고, 지지 파이프의 로킹홀에 탈착되며, 외측으로 연결대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고정 몸체; 및 지지 파이프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고, 고정 몸체에 탈착되는 결합 몸체;를 포함하여, 지지 파이프의 측면에 형성된 로킹홀을 통해 연결대 지지구의 고정 몸체에 형성된 고정 돌기를 간편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 몸체에 결합 몸체를 간편하게 끼움 결합하여 연결대 지지구를 지지 파이프에 탈착할 수 있으므로, 연결대 지지구의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 순서와 관계없이 연결대 지지구를 용이하게 지지 파이프에 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연결대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대 지지구의 조립 및 탈착이 편리하며, 연결대 지지구 및 연결대의 수평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연결대에 많은 하중이 가해져도 견고한 연결을 유지하는 연결대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단 옷걸이는 의류를 걸어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종래 기술의 구성과 작용 및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헹거 옷걸이용 연결대 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3550호 "헹거 옷걸이용 연결대 홀더"에 의하면 천장과 바닥 사이에 입설된 한 쌍의 고정지주(11) 사이에 횡바(41)를 다단으로 배치시켜 옷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횡바(41)의 고정을 위하여 연결대 홀더(1)가 상기 고정지주(11)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대 홀더(1)의 하부 경사면(50)에 고무링(52)을 삽입하여 상기 연결대 홀더(1)를 상기 고정지주(11)에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헹거를 천장과 바닥 사이에 세우기 전, 조립 과정에서 연결대 홀더(1)를 고정지주(11)에 끼워줘야 하며, 조립 과정에서 이를 지나치거나 생략한 경우 분해 후 다시 조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한 쌍을 이루는 고정지주(11)에 각각의 연결대 홀더(1)가 끼워져 있고, 각각의 연결대 홀더(1)는 상기 고정지주(11)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 경사면(50)에 고무링(52)을 끼워 높이를 고정하게 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연결대 홀더(1)의 높낮이를 정확하게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하나의 고정지주(11)에 끼워진 연결대 홀더(1)의 높이를 조절한 후, 거기에 맞추어 다른 하나의 고정지주(11)에 끼워진 연결대 홀더(1)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서로 높낮이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시행착오가 필요한 것이다.
한편 상기 횡바(41)의 경우 최근에는 많은 양의 옷을 걸어 보관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연결대 홀더(1)에 거치되고 있다. 그러나 횡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위가 예고 없이 빠진다거나, 많은 양의 옷이 걸릴 경우 그 하중으로 인하여 횡바(41)의 연결부위가 쉽게 분리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 과정에서 연결대 지지구의 조립을 지나치거나 생략한 경우에도, 분해 없이 지지 파이프의 외주에 간편하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결대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지지 파이프에 거치되는 연결대의 수평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맞출 뿐만 아니라, 연결대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연결대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 과정에서 연결대 지지구의 조립을 지나치거나 생략한 경우에도, 분해 없이 지지 파이프의 외주에 간편하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른 목적은 한 쌍의 지지 파이프에 거치되는 연결대의 수평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축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연결되는 연결대에 많은 하중이 가해져도 견고한 연결을 유지하며, 신축 가능한 횡 길이 범위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일부를 감싸고,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로킹홀(110)에 탈착되며, 외측으로 연결대(300)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고정 몸체(210); 및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고, 상기 고정 몸체(210)에 탈착되는 결합 몸체(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상기 고정 몸체(210)는, 외측에서 연결대(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212)와, 상기 지지대(212)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제1수용부(214)와, 상기 제1수용부(214)의 내주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로킹홀(110)에 탈착되는 고정 돌기(216)와, 상기 제1수용부(214)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몸체(220)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2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의 상기 결합 몸체(220)는,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제2수용부(224)와, 상기 제2수용부(224)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218)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22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외주 측면에 로킹홀(110)이 상하방향 전 길이에 걸쳐 다수 형성되며, 신축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진 지지 파이프(100);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로킹홀(110)에 탈착되며,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고정 몸체(210)와, 상기 고정 몸체(100)에 탈착되며,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결합 몸체(220)를 포함하는 연결대 지지구(200); 및 상기 연결대 지지구(200)에 지지되며, 옷걸이(10)를 걸 수 있는 연결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상기 고정 몸체(210)는, 외측에서 연결대(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212)와, 상기 지지대(212)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제1수용부(214)와, 상기 제1수용부(214)의 내주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로킹홀(110)에 탈착되는 고정 돌기(216)와, 상기 제1수용부(214)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몸체(220)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2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상기 결합 몸체(220)는,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제2수용부(224)와, 상기 제2수용부(224)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218)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22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연결대(300)는, 내주 측면에 멈춤 돌기(312)가 형성된 제1연결대(310)와, 상기 제1연결대(310)에 신축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연결되며, 외주 하부에 상기 멈춤 돌기(312)에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322)의 끝단을 막아주며 상기 멈춤 돌기(312)에 걸려 상기 제1연결대(310)의 움직임을 정지시켜주는 차단캡(324)이 형성된 제2연결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지지 파이프(100)의 측면에 형성된 로킹홀(110)을 통해 연결대 지지구(200)의 고정 몸체(210)에 형성된 고정 돌기(216)를 간편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 몸체(210)에 결합 몸체(220)를 간편하게 끼움 결합하여 연결대 지지구(200)를 지지 파이프(100)에 탈착할 수 있으므로, 연결대 지지구(200)의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 순서와 관계없이 연결대 지지구(200)를 용이하게 지지 파이프(100)에 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지지 파이프(100)의 전 길이에 걸쳐 균등하게 로킹홀(110)이 형성되어 있고, 로킹홀(110)를 통해 연결대 지지구(200)를 탈착함으로써, 한 쌍을 이루는 지지 파이프(100)에 탈착하는 연결대 지지구(200)의 높이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대 지지구(200)에 거치는 연결대(300)의 수평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연결대 지지구(200)가 다수의 고정 돌기(216)를 통해 로킹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대(3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대(300)의 길이를 신축하는 과정에서 신축 길이의 한계를 제1연결대(310) 내부에 끼워진 제2연결대(320)의 차단캡(324)이 제1연결대(310)의 멈춤 돌기(312)를 걸림을 통해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연결대(310)와 제2연결대(320)의 겹치는 부분이 확보되기 때문에 많은 하중이 가해져도 견고한 연결을 유지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헹거 옷걸이용 연결대 홀더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200)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200)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200)가 지지 파이프(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대(300)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200)가 지지 파이프(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대(300)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에서 연결대(3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에서 연결대(300)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200)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200)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200)가 지지 파이프(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대(300)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200)가 지지 파이프(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대(300)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에서 연결대(3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에서 연결대(300)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200)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200)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200)가 지지 파이프(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대(300)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200)가 지지 파이프(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대(300)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200)는,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일부를 감싸고,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로킹홀(110)에 탈착되며, 외측으로 연결대(300)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고정 몸체(210)와,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고, 상기 고정 몸체(210)에 탈착되는 결합 몸체(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몸체(210)는 외측에서 연결대(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212)와, 상기 지지대(212)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제1수용부(214)와, 상기 제1수용부(214)의 내주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로킹홀(110)에 탈착되는 고정 돌기(216)와, 상기 제1수용부(214)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몸체(220)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218)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결합 몸체(220)는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제2수용부(224)와, 상기 제2수용부(224)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218)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22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대 지지구(200)는 고정 몸체(210)와 결합 몸체(2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몸체(210)는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에 탈착되는 것으로, 지지대(212), 제1수용부(214), 고정 돌기(216) 및 결합 돌기(218)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212)는 제1수용부(214)의 외측에 형성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300)의 하부를 지지해준다. 이때 상기 지지대(212)는 연결대(300)의 형상에 따라 그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즉 연결대(300)의 하부 형상에 맞추어 상기 지지대(212)의 형상이 삼각형, 다각형, 타원형 등으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214)는 연결대 지지구(200)가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일부 또는 그 절반 이상의 면적을 감싸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지지 파이프(100)의 단면이 사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제1수용부(214)이 'ㄷ' 모양으로 형성되나,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반원형, 반다각형, 반타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216)는 제1수용부(214)의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연결대 지지구(200)가 지지 파이프(100)에 고정되었을 때, 고정 돌기(216)는 지지 파이프(100)의 로킹홀(1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고정 돌기(216)은 하중을 견고하게 견디게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로킹홀(110)의 직경과 간격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 돌기(218)는 제1수용부(214)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 몸체(22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돌기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 몸체(220)는 상기 고정 몸체(210)에 탈착되는 것으로, 제2수용부(224)와, 결합홈(228)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수용부(224)는 상기 제1수용부(214)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즉, 고정 몸체(210)의 반대쪽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 몸체(210)가 감싸고 있는 지지 파이프(100)의 나머지 면적을 감싸는 것이다.
상기 결합홈(228)은 제2수용부(224)의 양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28)이 상기 결합 돌기(218)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고정 몸체(210)의 고정 돌기(216)를 지지 파이프(100)의 로킹홀(110)에 삽입하여 고정 몸체(210)를 지지 파이프(100)에 고정한다. 그리고 결합 몸체(220)를 고정 몸체(21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 몸체(210)의 결합 돌기(218)에 상기 결합홈(228)을 끼움 결합한다.
그러면 상기 결합홈(228)에 상기 결합 돌기(218)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결합 몸체(220)를 윗 방향으로 들어올리지 않는 이상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에 따라 지지 파이프(100)의 측면에 형성된 로킹홀(110)을 통해 연결대 지지구(200)의 고정 몸체(210)에 형성된 고정 돌기(216)를 간편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 몸체(210)에 결합 몸체(220)를 간편하게 끼움 결합하여 연결대 지지구(200)를 지지 파이프(100)에 탈착할 수 있으므로, 연결대 지지구(200)의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 순서와 관계없이 연결대 지지구(200)를 용이하게 지지 파이프(100)에 탈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에서 연결대(3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에서 연결대(3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도 7에서 연결대 덮개(33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는, 외주 측면에 로킹홀(110)이 상하방향 전 길이에 걸쳐 다수 형성되며, 신축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진 지지 파이프(100)와,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로킹홀(110)에 탈착되며,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고정 몸체(210)와, 상기 고정 몸체(100)에 탈착되며,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결합 몸체(220)를 포함하는 연결대 지지구(200)와, 상기 연결대 지지구(200)에 지지되며, 옷걸이(10)를 걸 수 있는 연결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몸체(210)는 외측에서 연결대(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212)와, 상기 지지대(212)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제1수용부(214)와, 상기 제1수용부(214)의 내주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로킹홀(110)에 탈착되는 고정 돌기(216)와, 상기 제1수용부(214)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몸체(220)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218)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 몸체(220)는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제2수용부(224)와, 상기 제2수용부(224)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218)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228)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연결대(300)는 내주 측면에 멈춤 돌기(312)가 형성된 제1연결대(310)와, 상기 제1연결대(310)에 신축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연결되며, 외주 하부에 상기 멈춤 돌기(312)에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322)의 끝단을 막아주며 상기 멈춤 돌기(312)에 걸려 상기 제1연결대(310)의 움직임을 정지시켜주는 차단캡(324)이 형성된 제2연결대(320)를 더 포함한다.
먼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제1실시예와 달라지는 부분에 대하여 중점을 두고 설명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1실시예는 연결대 지지구(200)를 중점으로 설명하였다면, 제2실시예는 상기 연결대 지지구(200)가 지지 파이프(100) 및 연결대(300)에 적용되는 다단 옷걸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 파이프(100)는 중공형으로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의 어느 한 측면에 로킹홀(110)이 전 길이에 걸쳐 동등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파이프(100)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모양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고정 몸체(210)의 제1수용부(214)와 결합 몸체(220)의 제2수용부(224)의 형상이 달라진다.
아울러 상기 지지 파이프(100) 내부에는 로킹팁(20)이 내장되고, 크기가 다른 지지 파이프(100)가 다수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로킹팁(20)을 눌러 지지 파이프(100)의 길이를 조절한 후 로킹홀(110)에 로킹팁(20)이 탄성에 의해 돌출되도록 하여 지지 파이프(100)의 길이를 조정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지지 파이프(100)가 겹쳐지는 부위에는 파이프 덮개(120)가 끼워진다. 상기 파이프 덮개(120)는 지지 파이프(100)가 강도가 강하며 가벼운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금속재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지지 파이프(100)의 하단에는 하단 받침대(130)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상단 받침대(140)가 구비된다. 상기 하단 받침대(130)는 설치 장소 바닥에 지지 파이프(100)를 용이하게 세울 수 있게 해주며, 상기 상단 받침대(140)는 설치 장소 천장에 지지 파이프(100)를 용이하게 세울 수 있게 해준다. 이때 상기 하단 받침대(130) 또는 상기 상단 받침대(140)에는 지지 파이프(100) 고정을 도와주는 탄성체 또는 길이 조절 기능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 지지구(200)는 제1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하며, 다만 제2실시예에서는 도 6과 같이 지지 파이프(100)를 서로 이격시켜 한 쌍으로 세운 후, 각각의 지지 파이프(100)에 연결대 지지구(200)를 설치한 것을 설명한다.
이때 상기 연결대 지지구(200)는 고정 몸체(210)의 고정 돌기(216)가 지지 파이프(100)의 로킹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결합 몸체(220)가 상기 고정 몸체(210)에 끼움 고정해주는 것으로 간편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지지 파이프(100)에는 동등한 간격으로 전 길이에 걸쳐서 로킹홀(1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대 지지구(200)를 한 쌍의 지지 파이프(100)에 설치할 때, 두 개의 연결대 지지구(200)의 높이 및 수평을 간편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즉 두 개의 연결대 지지구(200)를 각각의 지지 파이프(100)에 설치할 때,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로킹홀(110)에 상기 두 개의 연결대 지지구(20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연결대 지지구(200)의 높이를 간편하게 맞출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대 지지구(200)에 지지된 연결대(300)의 수평도 간편하게 맞출 수 있다.
나아가 연결대(300)의 높이를 재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위와 같은 과정을 다시 한 번 거치면 되므로 간편하게 연결대(3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300)는 양단이 연결대 지지구(200)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제1연결대(310)와, 상기 제1연결대(310)에 신축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대(310) 및 상기 제2연결대(320)는 중공형으로 단면의 양단이 뭉툭하게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연결대(310) 및 상기 제2연결대(320)의 형상에 따라 고정 몸체(210)의 지지대(212) 형상이 달라진다.
상기 제1연결대(310)는 내부에 상기 제2연결대(320)가 끼움 결합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연결대(310)는 상기 제2연결대(320) 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되며, 이때 약 0.5 내지 2mm의 공차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조 재질이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제1연결대(310)에 제2연결대(320)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대(320)의 신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 족하다.
아울러 상기 제1연결대(310)의 끝단, 즉 상기 제2연결대(320)가 끼움 결합되는 시작점에서 그 반대 방향으로 8 내지 10cm 이격된 위치에 멈춤 돌기(312)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멈춤 돌기(312)는 상기 제2연결대(320)로 연결대(300)의 길이를 신축할 때 상기 제2연결대(320)가 제1연결대(3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한편 상기 제2연결대(320)는 제1연결대(310) 내측에 끼움 결합되고, 가이드되어 신축되는 것으로 상기 제2연결대(320)의 이동에 따라 연결대(3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연결대(320)에는 상기 멈춤 돌기(312)에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322)과, 상기 가이드 홈(322)의 끝단을 막아주는 차단캡(32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322)은 제2연결대(320) 하부에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것으로, 제2연결대(320)가 제1연결대(31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멈춤 돌기(312)에 걸리지 아니하고 제2연결대(320)가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 해준다.
상기 차단캡(324)은 상기 제2연결대(320)의 끝단을 막아주는 것으로, 제2연결대(320)의 끝단 즉, 상기 제1연결대(310)와 결합되는 부위에 설치된다. 상기 차단캡(324)은 제2연결대(320)로 연결대(300)의 길이를 신축할 때, 제1연결대(310)와 제2연결대(320)의 길이가 어느 정도 늘어나면 상기 멈춤 돌기(312)에 걸려서 더 이상 제2연결대(32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해준다. 즉 사용자에게 제2연결대(320)로 연결대(300)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는 한계치를 알려준다.
또한 연결대(300)가 최대한 견딜 수 있는 하중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 제1연결대(310)와 제2연결대(320)가 겹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연결대(310)와 제2연결대(320)가 8 내지 10cm 겹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연결대(300)에 올려지는 옷걸이(20)의 무게가 많이 나가도 견고하게 견딜 수 있고, 연결대(300)의 길이를 신축하는 과정에서 제1연결대(310)와 제2연결대(320)가 분리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단 옷걸이를 조립할 때, 제2연결대(320)를 제1연결대(310)의 내부에 가이드 홈(322)과 멈춤 돌기(312)의 방향만 맞추어 넣으면 되기 때문에 조립도 쉽다.
한편 도면 부호 316은 제1측면 마개이며, 326은 제2측면 마개로 각각 제1연결대(310)와 제2연결대(320)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지지 파이프(100)의 전 길이에 걸쳐 균등하게 로킹홀(110)이 형성되어 있고, 로킹홀(110)를 통해 연결대 지지구(200)를 탈착함으로써, 한 쌍을 이루는 지지 파이프(100)에 탈착하는 연결대 지지구(200)의 높이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대 지지구(200)에 거치는 연결대(300)의 수평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연결대 지지구(200)가 다수의 고정 돌기(216)를 통해 로킹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대(3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대(300)의 길이를 신축하는 과정에서 신축 길이의 한계를 제1연결대(310) 내부에 끼워진 제2연결대(320)의 차단캡(324)이 제1연결대(310)의 멈춤 돌기(312)를 걸림을 통해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연결대(310)와 제2연결대(320)의 겹치는 부분이 확보되기 때문에 많은 하중이 가해져도 견고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10 : 옷걸이 20 : 록킹팁
100 : 지지 파이프 102 : 파이프 주름
110 : 로킹홀 120 : 파이프 덮개 130 : 하단 받침대
140 : 상단 받침대
200 : 연결대 지지구
210 : 고정 몸체
212 : 지지대 214 : 제1수용부 216 : 고정 돌기
218 : 결합 돌기
220 : 결합 몸체
224 : 제2수용부 228 : 결합홈
300 : 연결대 302 : 연결대 주름
310 : 제1연결대
312 : 멈춤 돌기 316 : 제1측면 마개
320 : 제2연결대
322 : 가이드 홈 324 : 차단캡 326 : 제2측면 마개
330 : 연결대 덮개
100 : 지지 파이프 102 : 파이프 주름
110 : 로킹홀 120 : 파이프 덮개 130 : 하단 받침대
140 : 상단 받침대
200 : 연결대 지지구
210 : 고정 몸체
212 : 지지대 214 : 제1수용부 216 : 고정 돌기
218 : 결합 돌기
220 : 결합 몸체
224 : 제2수용부 228 : 결합홈
300 : 연결대 302 : 연결대 주름
310 : 제1연결대
312 : 멈춤 돌기 316 : 제1측면 마개
320 : 제2연결대
322 : 가이드 홈 324 : 차단캡 326 : 제2측면 마개
330 : 연결대 덮개
Claims (7)
- 삭제
- 삭제
- 삭제
- 외주 측면에 로킹홀(110)이 상하방향 전 길이에 걸쳐 다수 형성되며, 신축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진 지지 파이프(100);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로킹홀(110)에 탈착되며,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고정 몸체(210)와, 상기 고정 몸체(100)에 탈착되며,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결합 몸체(220)를 포함하는 연결대 지지구(200); 및
상기 연결대 지지구(200)에 지지되며, 옷걸이(10)를 걸 수 있는 연결대(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몸체(210)는 외측에서 연결대(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212)와, 상기 지지대(212)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제1수용부(214)와, 상기 제1수용부(214)의 내주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로킹홀(110)에 탈착되는 고정 돌기(216)와, 상기 제1수용부(214)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몸체(220)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218)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 몸체(220)는 상기 지지 파이프(100)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제2수용부(224)와, 상기 제2수용부(224)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218)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22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300)는 내주 측면에 멈춤 돌기(312)가 형성된 제1연결대(310)와, 상기 제1연결대(310)에 신축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연결되며, 외주 하부에 상기 멈춤 돌기(312)에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322)의 끝단을 막아주며 상기 멈춤 돌기(312)에 걸려 상기 제1연결대(310)의 움직임을
정지시켜주는 차단캡(324)이 형성된 제2연결대(320)를 더 포함하는 연결대 지지구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10971U KR200474055Y1 (ko) | 2013-12-31 | 2013-12-31 | 연결대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10971U KR200474055Y1 (ko) | 2013-12-31 | 2013-12-31 | 연결대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4055Y1 true KR200474055Y1 (ko) | 2014-08-19 |
Family
ID=5198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10971U KR200474055Y1 (ko) | 2013-12-31 | 2013-12-31 | 연결대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4055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15278A (en) * | 1984-12-24 | 1986-10-07 | Cabrelli Peter A | Shelv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
-
2013
- 2013-12-31 KR KR2020130010971U patent/KR20047405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15278A (en) * | 1984-12-24 | 1986-10-07 | Cabrelli Peter A | Shelv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061414B (zh) | 一种支架 | |
WO2008008787A3 (en) | Adjustable support assembly for a collapsible canopy | |
CN104358973A (zh) | 多角度液晶显示器定位支架 | |
KR200474055Y1 (ko) | 연결대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옷걸이 | |
KR101681016B1 (ko) | 다방향 표지판 | |
KR101452952B1 (ko) | 파라솔 각도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라솔 | |
KR101334809B1 (ko) | 텐트 지지폴의 지지용 허브장치 | |
KR200473554Y1 (ko) | 선반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선반 | |
CN204254174U (zh) | 多角度液晶显示器定位支架 | |
KR20140079124A (ko) | 낚시 좌대용 파라솔 지지 구조 | |
CN114403624B (zh) | 一种便于拆装的五星脚 | |
KR200473489Y1 (ko) | 조립식가구의 고정지주 압착장치 | |
CN204467350U (zh) | 一种高度可调的桌子 | |
KR101440035B1 (ko) | 접이식 테이블 | |
US20120275169A1 (en) | Collapsible lamp shade | |
CN109882814B (zh) | 一种移动式灯具的灯架 | |
US5582384A (en) | Holding device for rods, tubes, etc. | |
RU2005113450A (ru) | Установка осветительная переносная с перестраиваемой арматурой | |
CN109037888B (zh) | 桅杆支架 | |
KR20160001505U (ko) | 레저용 랜턴스탠드 | |
KR101554534B1 (ko) |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톱니 결합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 |
KR200477578Y1 (ko) | 천정매다는 등의 전등갓 고정장치 | |
KR200455111Y1 (ko) | 수목 지주대용 가압 접속장치 | |
KR20150012764A (ko) | 파라솔의 지주 연결구 | |
CN204071348U (zh) | 一种伸缩式折叠蚊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