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632Y1 - 염전용 채염 장치 - Google Patents

염전용 채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632Y1
KR200473632Y1 KR2020130002672U KR20130002672U KR200473632Y1 KR 200473632 Y1 KR200473632 Y1 KR 200473632Y1 KR 2020130002672 U KR2020130002672 U KR 2020130002672U KR 20130002672 U KR20130002672 U KR 20130002672U KR 200473632 Y1 KR200473632 Y1 KR 200473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alt
retardant flame
reinforcing plate
main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혁
Original Assignee
신화파스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파스칼(주) filed Critical 신화파스칼(주)
Priority to KR2020130002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6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6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염전용 채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의 결정지 바닥면에서의 대패질과 청소작업이 용이하도록 메인보강판에 요철면이 형성되어 채염 작업시 휨강도 및 전단 강도가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염전용 채염 장치의 주요 부품의 변형 또는 파손을 예방하여 사용기간이 오래 지속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부품들의 연결이 쉽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노후된 일부 부품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염전의 채염 작업에 따른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염전용 채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요철면이 형성된 메인보강판과,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보강판의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 길게 연결된 고무 밀판과, 상기 메인보강판의 길이방향 타측을 따라 길게 연결된 알루미늄 밀판과, 일측 말단부에 고무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 말단부가 상기 메인보강판의 후방 중심부분에 연결된 손잡이봉과, 상기 메인보강판과 상기 손잡이봉간에 연결된 손잡이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염전용 채염 장치{SALT COLLECTION DEVICE FOR SALT FAN}
본 고안은 염전용 채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의 결정지 바닥면에서의 대패질과 청소작업이 용이하도록 메인보강판에 요철면이 형성되어 채염 작업시 휨강도 및 전단 강도가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염전용 채염 장치의 주요 부품의 변형 또는 파손을 예방하여 사용기간이 오래 지속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부품들의 연결이 쉽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노후된 일부 부품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염전의 채염 작업에 따른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염전용 채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에 깔린 농작물을 긁어 모으거나 고르게 깔아주기 위해 고무래란 도구를 이용해 왔다. 고무래는 곡물을 모으거나 펴기에 편리하도록 사각형 형태의 본체에 자루를 연결시키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무래는 농산물이나 이들의 씨앗과 같은 곡식을 건조하고 혼합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고무래는 상술한 농업용뿐만 아니라 염전의 바닥에서 결정화된 소금을 긁어 내거나 건설업현장에서 골재를 고르게 깔아주는 데 사용하는 등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고무래를 이용한 작업은 일정 중량의 고무래를 사용하여 농작물을 밀거나 골고루 바닥에 깔아야하므로 건장한 성인 남자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여성에겐 매우 힘든 중노동이어서 많은 시간과 체력을 필요로 하였다.
특히, 고무래를 이용하여 염전에서 소금을 긁어모으는 채염 작업은 더욱 힘든 중노동을 필요로 한다. 염수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나무소재의 고무래는 그 무게 또한 무거워 종래의 고무래를 이용한 채염 작업은 더욱더 힘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통상적으로 염전에서 상기와 같은 고무래를 이용해 소금을 모으는 것을 대패질이라 한다. 대패질에 사용되는 종래의 염전용 고무래는 일정 길이의 나무판에 자루를 달아 사용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불편이 있었다. 먼저, 나무판의 중심 부분에 자루가 직각으로 결속됨에 따라 양손으로 자루를 잡아 들어올리면 나무판이 앞으로 기울게 되어 대패질할 때 힘이 들고, 결정지 바닥과 나무판을 수직상태로 맞추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혀 자루의 높이를 낮춰야 하므로 장시간 작업시 허리에 무리가 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나무판은 소금물에 젖은 상태에서 대패질에 의해 결정지 바닥면과의 마찰로 쉽게 닳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결정지의 바닥면과 나무판 간의 밀착력이 떨어져 대패질을 할 때 나무판 밑으로 소금이 빠져나가는 등 대패질을 반복하여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4116호 "염전용 밀대"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결정지 바닥면과의 밀착력을 높여 소금을 용이하게 모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 염전용 밀대는 결정지 바닥면과의 밀착력을 높이도록 탄성력을 갖는 밀판(110)과, 대패질 시 상기 밀판(110) 뒤로 소금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판(120)과, 상기 방지판(120)을 상기 밀판(110)의 상측과 일부분 겹친 상태에서 일체로 결속하기 위한 횡 지지대(130)와, 상기 횡 지지대(130)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자루(140)로 이루어져 대패질 작업시 밀판이 결정지 바닥면과 수직상태를 이룸으로써 적은 힘으로 대패질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염전용 밀대는 전체 중량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채염 작업이 매우 힘이 들고, 상기 밀판(110)과 방지판(120)이 결정지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소금을 밀어내도록 평평한 구조로 형성되어 채염 작업시 밀대가 전진함에 따라 적층된 소금이 상기 밀판(110)과 방지판(120)의 상부로 쉽게 밀리게 될 뿐만 아니라, "ㄱ"자 앵글 형태로 단순하게 이루어진 횡지지대(130)에 소켓(150)과 보강대(160)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자루(150)가 소켓(150)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고 있는 구조인 것으로 이는 하나의 구성이 파손 또는 변형되면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까지 파손 또는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각각의 구성들을 별도로 보수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결국 염전용 밀대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염전의 채염 작업에 따른 유지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염전용 채염 장치 각각의 구성들이 내식성에 강하고 경량인 재질로 이루어지면서도 채염 작업시 휨강도에 강하게 버틸 수 있는 구조를 적용시켜 염전용 채염 장치 전체의 중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밀대의 양방향을 별도로 구성하여 대패질 또는 청소 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 소금이 경화된 부분과 같이 대패질이 어렵게 되는 부분의 청소가 용이하여 대패질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고, 대패질 작업시 닳게 되는 고무판의 교체가 수월해지며, 상호간에 연결된 각각의 구성들의 개별적인 보수 및 교체가 가능한 착탈식 구조를 이루는 것은 물론, 각 부품들의 변형과 파손이 쉽게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염전의 채염 작업에 따른 노동력의 감소와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염전용 채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요철면이 형성된 메인보강판과,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보강판의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 길게 연결된 고무 밀판과, 상기 메인보강판의 길이방향 타측을 따라 길게 연결된 알루미늄 밀판과, 일측 말단부에 고무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 말단부가 상기 메인보강판의 후방 중심부분에 연결된 손잡이봉과, 상기 메인보강판과 상기 손잡이봉간에 연결된 손잡이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는, 상기 메인보강판, 고무 밀판, 알루미늄 밀판, 손잡이봉 및 손잡이보강대 각각은 서로 연결되는 구성 간에 볼트 결합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는, 상기 메인보강판은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의 상단부와 하단부 양측 각각이 전방을 향하여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고무 밀판과 상기 알루미늄 밀판 각각이 상기 메인보강판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는, 염전의 결정지 바닥면에서의 대패질과 청소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 대패질 작업시 매우 용이하고, 메인보강판에 요철면이 형성되어 채염 작업시 휨강도와 각 구성들간의 전단 강도가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염전용 채염 장치의 주요 부품의 변형 또는 파손을 예방하여 사용기간이 오래 지속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부품들의 연결이 쉽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노후된 일부 부품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염전의 채염 작업에 따른 노동력과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의 주요 부분을 확대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를 확대 도시한 측면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의 주요 부분을 확대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를 확대 도시한 측면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1)는, 메인보강판(10), 고무 밀판(20), 알루미늄 밀판(30), 부착판(40), 손잡이봉(50), 손잡이보강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보강판(10)은 상기 고무 밀판(20)과 알루미늄 밀판(3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중앙 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지그재그로 꺾인 요철면(11)이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요철면(11)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 양측 각각에는 대패질 작업을 실시하는 결정지 바닥의 전방으로 소금이 모일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된 코너부(1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코너부(12)의 양측 말단부 즉,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상부와 하부 양측 말단부 각각에는 후방을 향하여 꺾이게 형성된 꺾임부(13)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상단부와 하단부 양측의 휨강도를 강화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보강판(10)은 경량으로 제작되어 염전의 대패질 작업 시 작업이 용이하도록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보강판(10)은 도1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 염전용 밀대와 같이 무겁게 제작됨에 따라 대패질 작업이 힘들었던 점을 보완하고자 무게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얇은 두께의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제작된 것이며, 이와 같은 얇은 두께의 스테인레스강 재질은 휨강도에 취약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요철면(11), 코너부(12), 꺾임부(13)를 형성하여 전단강도 및 휨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테인레스강 재질은 소금의 염분에 강한 내식성을 가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염전의 잦은 대패질 작업에 따른 염분의 접촉에 의해 밀대가 파손되거나 부식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무 밀판(2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고무 밀판(20)은 소모 부품으로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 잦은 사용에 따른 마모가 이루어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결정지 바닥면과의 밀착력이 떨어지는 경우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고무 밀판(20)은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상부 또는 하부 어느 일측 방향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의 염전용 채염 장치(1)는 상기 고무 밀판(20)이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상부측 코너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형태로 연결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체결된 볼트(21) 및 너트(22)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고무 밀판(20)은 염전의 결정지 바닥면(F)과의 밀착력을 크게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볼트 체결된 것이므로 사용이 편리해지게 된다.
상기 알루미늄 밀판(30)은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일측에 설치된 고무 밀판(20)의 타측에서 메인보강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고무 밀판(20)이 고정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보강판(10)의 하부측 코너부(12)에 볼트(31) 및 너트(32)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알루미늄 밀판(30)은 상기 고무 밀판(20)으로 대패질 작업이 어려운 경우 즉, 결정지 바닥면(F)에 대패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한 잔여분의 응고된 소금덩어리를 청소하거나 많은 양의 모아진 소금에 의해 탄성을 갖는 고무 밀판(20)이 휘어지는 경우에 더욱 단단하고 예리한 단부를 통해 청소 또는 대패질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1)는 상기 메인보강판(10)을 중심으로 상기 고무 밀판(20)과 상기 알루미늄 밀판(30)이 상부와 하부에 동시에 구비됨으로써 각각의 용도에 맞도록 상부와 하부를 서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취급이 간편해지는 것이고, 상기 알루미늄 밀판(30)은 경량의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보강판(10)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대패질 작업이 종래에 비해 매우 수월해지게 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무 밀판(20)과 상기 알루미늄 밀판(30)은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코너부(1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구성이 전방을 향하여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봉(50)을 파지하여 본 고안 염전용 채염 장치(1)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메인보강판(10)이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메인보강판(10)의 하부측 코너부(12)는 수직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더라도 상기 고무 밀판(20) 또는 상기 알루미늄 밀판(30)이 수직 상태가 된다. 따라서, 염전의 대패질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게 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고무 밀판(20)과 알루미늄 밀판(30)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하부측에 위치하여 수직한 상태로 대패질 작업이 실시될 경우, 타측 즉 상부측의 구성은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꺾인 형태가 되기 때문에 염전의 대패질 작업시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전방으로 모아지는 소금(S)이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상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착판(40)은 후술하기 위한 상기 손잡이봉(50)과 상기 손잡이보강대(60)를 상기 메인보강판(10)의 후방으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요철면(11)은 지그재그 형태의 단면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봉(50)과 상기 손잡이보강대(60)와 같은 구성을 상기 메인보강판(10)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상기 부착판(40)을 구성하여 용접 작업을 통해 상기 메인보강판(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부착판(40)은 상기 손잡이봉(50)을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보강판(10)의 후방 중심 방향에 부착되는 중앙부착판(41)과 상기 손잡이보강대(60)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양측 방향 각각에 부착되는 한 쌍의 사이드부착판(42)으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판(40)은 상기 메인보강판(10)에 볼트 결합 또는 용접 작업으로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부착판(4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이유가 없는 것이므로 상기 요철면(11)이 휘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접 작업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판(40) 즉, 상기 중앙부착판(41) 및 사이드부착판(42)은 사각형의 얇은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요철면(11)의 뾰족한 부분마다 용접 작업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기 메인보강판(10)에 안정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부착판(41)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볼트(41a)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부착판(42)에는 후방으로 부착 고정된 브라켓(42a)이 각각 구비되게 된다.
상기 손잡이봉(50)은 사용자가 대패질 작업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 말단부에 고무손잡이(51)가 구비되어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봉(50)은 상기 고무손잡이(51)가 구비된 타측 말단부에 상기 중앙부착판(41)의 연결볼트(41a)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볼트공(50a)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봉(50)을 상기 메인보강판(10)에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보강대(60)는 염전의 대패질 작업시 상기 메인보강판(10)과 상기 손잡이봉(5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보강판(10)과 상기 손잡이봉(50)간에 한 쌍이 양측 각각에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보강대(60)는 염전용 채염 장치(1)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 경량의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패질 작업시 메인보강판(10)의 전방에 모이는 많은 양의 소금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보강판(10)과 손잡이봉(50)이 상호간에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한 쌍의 손잡이보강대(60)는 일측 각각이 상기 사이드부착판(42)에 구비된 브라켓(42a)에 볼트(61)와 너트(62)로 연결되고, 타측 각각이 상기 손잡이봉(50)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볼트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염전용 채염 장치(1)는 상기 메인보강판(10), 고무 밀판(20), 알루미늄 밀판(30), 손잡이봉(50) 및 손잡이보강대(60) 각각이 서로 연결되는 구성 간에 볼트 결합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고무 밀판(20)과 알루미늄 밀판(30)은 각각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상부와 하부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봉(50)은 상기 메인보강판(10)의 후방에서 상기 중앙부착판(41)에 회전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손잡이보강대(60)는 상기 사이드부착판(42)과 상기 손잡이봉(50)간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염전용 채염 장치(1)는 상기 메인보강판(10)의 후방에 부착된 상기 부착판(40)을 제외하는 모든 구성이 상호간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면서도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구조인 것으로 일부의 구성이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경우에 각각의 구성을 보수 및 교체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소모부품으로 사용되는 고무 밀판(20)을 제외한 모든 구성이 경량의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형성되어 염분에 따른 내식성이 강하고, 취급이 매우 간편한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 염전용 채염 장치(1)는 염전의 대패질 작업시 취급이 용이하도록 가벼운 무게를 갖도록 구성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요철면(11), 꺾임부(13)를 통한 전단강도 및 휨강도가 크게 강화될 뿐만 아니라, 상기 코너부(12)의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서도 대패질 작업을 수월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 또한 발생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2)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염전용 채염 장치(2)는 메인보강판(10')의 중심 부분이 후방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고무 밀판(20')과 알루미늄 밀판(30')은 상기 메인보강판(10')의 만곡된 형태를 따라서 볼트 결합으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채염 장치(2)는 염전의 대패질 작업시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전방으로 모이는 소금을 대패질을 실시하는 진행방향의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평평한 상태의 고무래를 이용하여 대패질을 할 경우 고무래의 양측 또는 상부로 소금이 밀려나오던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메인보강판(10')의 중심 방향으로 모아지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염전의 대패질 작업시 주변으로 흩어지는 소금을 모으기 위해 반복되어 실시되는 작업의 횟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른 시간과 노고를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대패질 작업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염전용 채염 장치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염전용 채염 장치
10 메인보강판 11 요철면
20 고무 밀판 30 알루미늄 밀판
40 부착판 41 중앙부착판
42 사이드부착판 50 손잡이봉
51 고무손잡이 60 손잡이보강대
F 결정지 바닥면

Claims (3)

  1.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요철면이 형성된 메인보강판과,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보강판의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 길게 연결된 고무 밀판과,
    상기 메인보강판의 길이방향 타측을 따라 길게 연결된 알루미늄 밀판과,
    일측 말단부에 고무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 말단부가 상기 메인보강판의 후방 중심부분에 연결된 손잡이봉과,
    상기 메인보강판과 상기 손잡이봉간에 연결된 손잡이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채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강판, 고무 밀판, 알루미늄 밀판, 손잡이봉 및 손잡이보강대 각각은 서로 연결되는 구성 간에 볼트 결합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채염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강판은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의 상단부와 하단부 양측 각각이 전방을 향하여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고무 밀판과 상기 알루미늄 밀판 각각이 상기 메인보강판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채염 장치.
KR2020130002672U 2013-04-09 2013-04-09 염전용 채염 장치 KR200473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672U KR200473632Y1 (ko) 2013-04-09 2013-04-09 염전용 채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672U KR200473632Y1 (ko) 2013-04-09 2013-04-09 염전용 채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632Y1 true KR200473632Y1 (ko) 2014-07-14

Family

ID=5199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672U KR200473632Y1 (ko) 2013-04-09 2013-04-09 염전용 채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6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65B1 (ko) 2015-09-10 2017-08-3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염전용 대파
KR20190065666A (ko) * 2017-12-04 2019-06-12 박지환 염전용 소금 밀대
KR102066374B1 (ko) 2019-07-15 2020-01-14 김영식 채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247A (ja) * 2001-12-14 2003-07-03 Katsuya Kitamura 屋根下作業用の雪降ろし用具
CA2737992A1 (en) * 2010-04-22 2011-10-22 Kurt Settembre Snow and water clearing device
KR20120088676A (ko) * 2009-08-23 2012-08-08 티모시 엠. 쿠투 물질 취급 도구
KR20130001068U (ko) * 2012-12-26 2013-02-14 김종배 염전용 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247A (ja) * 2001-12-14 2003-07-03 Katsuya Kitamura 屋根下作業用の雪降ろし用具
KR20120088676A (ko) * 2009-08-23 2012-08-08 티모시 엠. 쿠투 물질 취급 도구
CA2737992A1 (en) * 2010-04-22 2011-10-22 Kurt Settembre Snow and water clearing device
KR20130001068U (ko) * 2012-12-26 2013-02-14 김종배 염전용 밀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65B1 (ko) 2015-09-10 2017-08-3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염전용 대파
KR20190065666A (ko) * 2017-12-04 2019-06-12 박지환 염전용 소금 밀대
KR102063620B1 (ko) * 2017-12-04 2020-01-08 박지환 염전용 소금 밀대
KR102066374B1 (ko) 2019-07-15 2020-01-14 김영식 채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6677B1 (en) Manual snow plow
KR200473632Y1 (ko) 염전용 채염 장치
US5319824A (en) Tile joint cleaning brush
CA2678666C (en) Offset taping knife
US8832898B1 (en) Two-handed scraping device
CA2712534A1 (en) Manual snow pusher
KR200467836Y1 (ko) 염전용 밀대
US2886906A (en) Ground leveling implement
RU154570U1 (ru) Скребок для уборки снега, грязи, мусора
EP1072734B1 (en) Adhesive spreader
CN208034966U (zh) 一种叠合板简易拉毛装置
CN211547209U (zh) 一种沥青填塞耙
GB2536437A (en) A material application device
CN219824822U (zh) 一种手拉式找平小车
KR101772965B1 (ko) 염전용 대파
CN209770230U (zh) 一种方便调节的窗户擦拭装置
US10058223B2 (en) Crack and crevice cleaning tools and attachments therefor
CN211931922U (zh) 一种多功能畜牧养殖粪便处理装置
DE102013003081B4 (de) Mistsammler
CN215803352U (zh) 一种砌筑砂浆布料工具
RU2546276C2 (ru) Комбайн для уборки мусора и/или снега
CN211818224U (zh) 一种室内地面地板裂缝修复器
CN211355268U (zh) 带有辅助清洁板组件的拖把
CN206701775U (zh) 一种化工原料清除工具
AU758233B2 (en) Improved adhesive spr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