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965B1 - 염전용 대파 - Google Patents

염전용 대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965B1
KR101772965B1 KR1020150128473A KR20150128473A KR101772965B1 KR 101772965 B1 KR101772965 B1 KR 101772965B1 KR 1020150128473 A KR1020150128473 A KR 1020150128473A KR 20150128473 A KR20150128473 A KR 20150128473A KR 101772965 B1 KR101772965 B1 KR 10177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alt
front plate
rubb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928A (ko
Inventor
김정목
이재복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이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이재복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9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1/00Other hand implements
    • A01D11/06Combined implements, e.g. fork and ra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00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전용 대파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판, 후면판 및 손잡이를 포함한다. 전면판은 소금을 모은다. 후면판은 전면판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후면 날개판 및 후면 날개판과 전면판을 연결하는 수평판을 구비하고, 후면 날개판의 일 면에 부착되어 염전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고무판을 구비한다. 손잡이는 전면판 또는 상기 후면판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염전용 대파를 티타늄으로 형성하여 무게를 감소시켜 작업자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면판, 후면판 및 고무판이 탈부착 가능하여 필요시 부품을 교체함으로써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염전 바닥면과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염전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줄이고, 염전 바닥면과 밀착력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염전용 대파 {Rake for salt farm}
본 발명은 염전용 대파에 관한 것으로서, 경량으로 형성되고, 전면판, 후면판 및 고무판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염전에서 소금을 모을 수 있는 염전용 대파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의 천일염 염전은 저수지, 증발지 및 결정지로 구성되어 있다. 저수지는 바닷물을 저장하고, 증발지로 해수를 이동시켜 태양열과 바람을 통해 염도를 높인 후 결정지에서 소금 결정체로 만든다. 결정지에서 얻은 소금은 고무래를 이용하여 한 곳에 모은 후 창고에 보관하며 간수를 빼는 과정을 거친다.
이 때, 결정지에서 소금 결정을 모으는데 사용되는 고무래는 목재 손잡이에 폐타이어 고무를 부착한 것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목재 손잡이는 소금 결정을 모으는 과정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점차 무게가 증가하고 이는 작업자의 체력 소모를 증가시키는 측면이 있으며, 폐타이어 고무는 작업중 유출되는 유해 성분이 소금과 염전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폐타이어는 염전의 바닥재로 쓰이는 장판을 긁을 수 있어 염전의 바닥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한국등록특허 제10-1425318호는 물을 흡수하지 않는 금속재질로 밀대를 형성하여 작업 중 밀대의 무게가 증가하지 않도록 하는 염전용 밀대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1425318호에 따른 염전용 밀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를 가중시킬 수 있으며, 부품들을 선택적으로 교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여름철 뜨거운 햇볕에 의해 부품들이 휘어지거나 소금에 의해 부식되어 녹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체 무게를 줄여 작업자의 피로를 감소시키고, 전면판, 후면판 및 고무판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한 염전용 대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전용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줄이고 밀착력을 높여 소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염전용 대파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는 전면판, 후면판 및 손잡이를 포함한다. 전면판은 소금을 모은다. 후면판은 전면판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후면 날개판 및 후면 날개판과 전면판을 연결하는 수평판을 구비하고, 후면 날개판의 일 면에 부착되어 염전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고무판을 구비한다. 손잡이는 전면판 또는 후면판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전면판은 수직판, 상측 날개판 및 하측 날개판을 구비한다. 수직판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롯 홀이 배열된다. 상측 날개판 및 하측 날개판은 수직판의 상, 하측 종단에서 소금을 모으는 진행방향을 따라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각각 형성된다. 후면판은 수평판 및 후면 날개판을 구비한다. 수평판은 슬롯 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수평판은 슬롯 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돌출부는 슬롯 홀에 삽입되어 비틀어져 전면판과 후면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하측 날개판 또는 수직판은 복수의 배수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상측 날개판은 종단에서 접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고무판은 생고무로 형성되며, 생고무의 일면에 부착되는 혼합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혼합섬유는 면과 나일론으로 형성되며, 면은 95 ~ 99 중량 % 및 나이론은 1~5 중량%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혼합섬유는 후면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요철을 형성되고, 요철사이에 볼트가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손잡이는 수축필름으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손잡이는 전면판 또는 후면판과 연결되는 복수의 가로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전면판, 후면판 또는 손잡이는 티타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염전용 대파는 티타늄으로 형성하여 무게를 감소시켜 작업자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면판, 후면판 및 고무판이 탈부착 가능하여 필요시 부품을 교체함으로써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염전용 대파는 염전 바닥면과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염전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줄이고, 염전 바닥면과 밀착력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을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가 작업방향을 따라 이동하였을 때 고무판의 변형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고무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손잡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는 전면판(100), 후면판(200) 및 손잡이(300)를 포함한다.
전면판(100), 후면판(200) 및 손잡이(300)는 티타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티타늄은 가볍고, 강도가 높으면서 염해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갖고 있어 뜨거운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변형되지 않으며 염해에도 부식되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다.
티타늄으로 형성된 전면판(100), 후면판(200) 및 손잡이(300)는 염전용 대파(10)의 자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식이 억제되어 부식물이 염전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판(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2.0 ~2.5m의 길이로 형성되며, 수직판(110), 하측 날개판(120) 및 상측 날개판(130)을 구비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수직판(1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롯 홀(111)을 구비한다. 슬롯 홀(11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다. 하측 날개판(120) 및 상측 날개판(130)은 수직판(110)의 상, 하측 종단에서 소금을 모으는 진행방향을 따라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염전용 대파를 밀 때에 하측 날개판(120) 및 상측 날개판(130)에 작용하는 저항력이 감소되어 염전 바닥면(1)에 존재하는 소금을 쉽게 모을 수 있다.
수직판(110) 또는 하측 날개판(120)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배수공(112)(121)을 구비할 수 있다. 배수공(112)(121)은 염전용 대파(10)를 밀 때에, 소금에 포함되어 있는 해수를 배수시켜 전면판(100)에 작용하는 수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수공(112)(121)은 적은 힘으로 염전용 대파(10)를 밀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피로를 감소시켜 작업자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전면판(100)에 작용하는 작용력을 감소시켜 전면판(100)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측 날개판(130)은 접이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접이부(131)는 상측 날개판(130)이 겹쳐지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측 날개판(130)의 종단면이 둥글게 형성된 것이다. 염전 바닥면(1)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뾰족하고 날카로운 것에 손상되기 쉬우나, 종단이 둥글게 형성된 접이부(131)는 염전 바닥면(1)에 닿게 되어도 염전 바닥면(1)을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접이부(131)는 와이퍼와 같은 별도의 세척장치 없이도 종단의 둥근면을 이용하여 염전 바닥면(1)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을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가 작업방향을 따라 이동하였을 때 고무판의 변형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후면판(200)은 전면판(100)에 연결되어 전면판(100)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것으로서, 수평판(210), 후면 날개판(220) 및 고무판(230)을 구비한다.
수평판(210)은 수직판(110)에 형성된 슬롯 홀(111)에 삽입되도록 돌출부(221)를 구비하여 수직판(110)에 연결된다. 돌출부(221)는 슬롯 홀(111)에 삽입된 후에 비틀어져서 전면판(100)에 고정되어 슬롯 홀(1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판(100) 또는 후면판(200)의 교체가 필요할 때, 돌출부(221)를 다시 비틀어서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여 탈부착할 수 있다.
후면 날개판(220)은 전면판(100)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수평판(210)의 종단에 연결되어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며 수평판(2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후면 날개판(220)은 수평판(210)의 종단에서 염전용 대파(10)의 진행방향을 따라 바깥으로 벌어지며, 하측 날개판(120)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부착된 고무판(2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사이의 공간은 배수공(121)(112)을 통해서 유도된 해수를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고무판(230)은 후면 날개판(220)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된다. 고무판(230)은 염전 바닥면(1)을 항해 연장 형성되며, 고무판(230)의 종단(234)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면 날개판(220)의 종단보다 길게 형성된다. 고무판(230) 종단(234)의 돌출길이는 후면 날개판(220) 판 두께의 1.2 ~ 2배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돌출된 고무판(230)은 염전용 대파(10)가 전진할 때, 종단(234)이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때, 젖혀진 고무판(230)의 종단(234)은 후면 날개판(220)의 종단을 감싸게 되어 후면 날개판(220)이 바닥면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 염전 바닥면(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고무판(230)의 돌출길이가 후면 날개판(220) 판두께의 1.2배 미만으로 형성되면, 후면 날개판(220)을 충분히 감쌀 수 없어 염전 바닥면(1)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고무판(230) 종단(234)의 마모 여유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고무판(230)을 자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무판(230)의 돌출길이가 후면 날개판(220) 판 두께의 2.0배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고무판(230)의 마모 여유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나, 염전 바닥면(1)과의 밀착력을 저하시켜 생산성 저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고무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이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고무판(230)은 생고무(231)의 일면에 천연섬유 또는 혼합섬유(232)를 부착하여 형성된다. 고무판(230)은 생고무(231)에 천연섬유(232) 또는 혼합섬유(232)를 올린 후 열을 가하여 압착하여 서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생고무(231)의 일면은 후면 날개판(220)에 부착되고, 천연섬유 또는 혼합섬유(232)는 노출면이 된다.
생고무(231)는 염전용 대파(10)를 밀때에 염전 바닥면(1)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고무판(230)이 생고무만으로 형성되면, 생고무와 동일한 재질을 형성된 염전 바닥면(1)에 고무판(230)이 밀착하게 되고, 고무판(230)과 염전 바닥면(1)이 흡착하여 마찰력이 증가하여 작업자의 피로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천연섬유 또는 혼합섬유(232)는 염전 바닥면(1)과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적은 힘을 가지고 염전용 대파(10)를 밀도록 할 수 있다. 즉, 천연섬유 또는 혼합섬유(232)는 염적용 바닥면과 서로 이질적인 재료로 형성되어 고무판(230)과 염전 바닥면(1)과의 흡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천연섬유는 면, 마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혼합섬유(232)는 면과 나일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면은 95 ~ 99 중량 %, 나이론은 1~5 중량%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판(230)은 후면 날개판(220)에 볼트(240)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천연섬유(23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233)이 형성되고, 볼트(240)는 요철 사이에 배열된다. 볼트(240)는 요철(240) 사이에 배치된다. 요철(240) 사이에 배치된 볼트(240)는 고무판(230)의 체결강도를 후면 날개판(220)에 견고하게 유지시켜 고무판(230)이 후면 날개판(2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무판(230)은 후면 날개판(220)에 볼트(240)로 연결되므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을 분리한 상태에서 고무판(230)을 후면판(200)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손잡이 단면도이다. 이때,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대파의 손잡이(300)는 전면판(100) 또는 후면판(200)에 결합되며,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공파이프(310)와 중공파이프(310)의 외주면을 코팅하는 수축필름(3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파이프(310)는 손잡이(300)의 무게를 감소시켜 작업자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수축필름(320)은 중공파이프(310)의 외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염해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수축필름은 PVC(polyvinyl chloride), PET, PETG(PET Glycol-modified) 및 OPS(Oriented polystyrene)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중공파이프(310)의 외주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감쌀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손잡이(300)는 가로재(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로재(330)는 손잡이(300)에서 전면판(100) 또는 후면판(200)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며, 손잡이(30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로재(330)는 전면판(100) 및 후면판(200)이 작업방향을 따라 진행할 때 흔들림을 방지하여 소금을 효과적으로 모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염전용 대파 100 : 전면판
110 : 수직판 111 : 슬롯 홀
120 : 하측 날개판 121 : 배수공
130 : 상측 날개판 131 : 접이부
200 : 후면판 210 : 수평판
211 : 돌출부 220 : 후면 날개판
230 : 고무판 231 : 생고무
232 : 혼합섬유 240 : 볼트
300 : 손잡이 310 : 중공파이프
320 : 수축필름 330 : 가로재

Claims (10)

  1. 소금을 모으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후면 날개판 및 상기 후면 날개판과 상기 전면판을 연결하는 수평판을 구비하고, 상기 후면 날개판의 일 면에 부착되어 염전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고무판을 구비하는 후면판; 및
    상기 전면판 또는 상기 후면판과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판은,
    생고무로 형성되며, 천연섬유 또는 혼합섬유가 상기 생고무의 일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대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롯 홀이 배열되는 수직판;
    상기 수직판의 상, 하측 종단에서 소금을 모으는 진행방향을 따라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각각 형성되는 상측 날개판 및 하측 날개판;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판은,
    상기 슬롯 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롯 홀에 삽입되어 비틀어져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대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날개판 또는 상기 수직판은,
    복수의 배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대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날개판은,
    종단에서 접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대파.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섬유는,
    면과 나일론으로 형성되며, 면은 95 ~ 99 중량 % 및 나이론은 1~5 중량%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대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섬유 또는 혼합섬유는,
    상기 후면 날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 사이에 볼트가 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대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수축필름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대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전면판 또는 상기 후면판과 연결되는 복수의 가로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대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 상기 후면판 또는 상기 손잡이 중 적어도 하나는,
    티타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대파.
KR1020150128473A 2015-09-10 2015-09-10 염전용 대파 KR10177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473A KR101772965B1 (ko) 2015-09-10 2015-09-10 염전용 대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473A KR101772965B1 (ko) 2015-09-10 2015-09-10 염전용 대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928A KR20170030928A (ko) 2017-03-20
KR101772965B1 true KR101772965B1 (ko) 2017-08-30

Family

ID=5850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473A KR101772965B1 (ko) 2015-09-10 2015-09-10 염전용 대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2580B2 (en) * 2020-08-05 2023-05-09 John E. Heitfield Sand trap rake for use on golf cours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32Y1 (ko) 2013-04-09 2014-07-14 신화파스칼(주) 염전용 채염 장치
KR101425318B1 (ko) 2013-04-09 2014-08-01 정흥종 염전용 대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32Y1 (ko) 2013-04-09 2014-07-14 신화파스칼(주) 염전용 채염 장치
KR101425318B1 (ko) 2013-04-09 2014-08-01 정흥종 염전용 대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928A (ko) 201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310236T3 (en) IMPROVED CLEANING STRIP ELEMENT FOR PROVIDING A ROTATING BRUSH DEVICE ON A MOTOR VEHICLE WASHING SYSTEM
KR101772965B1 (ko) 염전용 대파
US9243410B1 (en) Snow guard support
US20130025626A1 (en) Pool clean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10112219B1 (en) Rotational brush for cleaning laps of siding
KR200473632Y1 (ko) 염전용 채염 장치
WO2018148791A1 (en) Pool cleaning device
CN103549923A (zh) 一种新型拖地车
KR101385130B1 (ko) 바닥 매트
US20210037959A1 (en) Double Action Cleaning Tool
CN202776202U (zh) 组合耐用拖布
CN205329600U (zh) 一种路面清理机的清理辊和路面清理机
CN101919676B (zh) 车用和通用橡胶包铁双刃手持刮水板及其组合
CN203709957U (zh) 一种高效节水型拖把
RU2489077C1 (ru) Напольное грязезащитное покрытие
KR101425318B1 (ko) 염전용 대파
RU154570U1 (ru) Скребок для уборки снега, грязи, мусора
CN212052186U (zh) 一种矿建工程安全板
CN210493969U (zh) 一种用于捋水式胶棉拖把的拖把头
CN217696476U (zh) 耐用长寿命拖把条
KR102150043B1 (ko) 부상구조물용 발판과 이의 제조방법
CN211818224U (zh) 一种室内地面地板裂缝修复器
CN217037843U (zh) 一种市政园林用园林铲
CN211313275U (zh) 一种土建用便于移动的抹光机
CN211747323U (zh) 一种夜光小白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