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606Y1 - 흡연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흡연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606Y1
KR200473606Y1 KR2020130009424U KR20130009424U KR200473606Y1 KR 200473606 Y1 KR200473606 Y1 KR 200473606Y1 KR 2020130009424 U KR2020130009424 U KR 2020130009424U KR 20130009424 U KR20130009424 U KR 20130009424U KR 200473606 Y1 KR200473606 Y1 KR 200473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uction body
adjusting
smoking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048U (ko
Inventor
박선호
Original Assignee
박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호 filed Critical 박선호
Priority to KR2020130009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60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0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6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00Tobacco pipes
    • A24F1/02Tobacco pipe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04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 A24F13/06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with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2700/00Tobacco pipes; Bad-covers or accessories for smokers' pipes
    • A24F2700/04Pipes filled with absorbant materials, pipes with devices filtering the smoke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케이스나 흡입바디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담배연기의 흡입량이 조절되는 흡연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흡연량 조절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pipe)로 이루어지고,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도록 관통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홀(110)이 구비되는 흡입바디(100)와; 상기 흡입바디(100)의 외부를 감싸며, 일단에는 담배의 일단이 끼워지는 담배장착부(254)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스(200)와; 상기 흡입바디(100)와 외부케이스(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00)가 상기 다수의 공기홀(110)을 차폐하는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3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흡연자가 스스로 담배연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흡연량 조절장치{Smoking Controller}
본 고안은 흡연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케이스나 흡입바디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담배연기의 흡입량이 조절되는 흡연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기호품이기는 하나, 인체에 여러 가지 질병을 초래함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즉, 흡연으로 인한 피해는 각종 폐암, 후두암 등의 각종 암과 더불어 각종 호흡기 질환, 심혈관계 질환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흡연은 흡연자 뿐만 아니라 담배 연기에 간접적으로 노출되는 비흡연자에게도 각종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연가들의 경우, 사회생활의 다양성과 대인관계 때문에 습관적으로 피워오던 기호성 담배를 끊는다는 것은 매우 힘든 과제 중의 하나다.
현재, 흡연은 익히 알려진 유해성 때문에 개인의 차원을 넘어서 이미 사회적 문제로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흡연을 하는 사람들은 흡연을 하는데 있어서 점차 많은 제약을 받는 추세에 있다.
또한,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져서, 많은 흡연자들이 금연을 결심하고 있다. 그러나, 담배 연기의 주성분인 니코틴의 강한 중독성으로 인하여 한번 흡연을 시작한 사람들은 금연에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일단 성공하더라도 수년 후 다시 흡연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흡연 인구는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금연을 원하는 흡연자들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서 여러 종류의 금연 보조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즉, 금연 용구 및 금연 보조제 등이 시판중인데, 구체적으로는 니코틴 성분이 함유된 패치 또는 껌, 금연침, 금연 물질을 함유하는 각종 약재나 보조 용구 등이 있지만, 실제로 금연에 강력한 효과를 나타내는 금연 약재 또는 용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금연을 시작하는 사람들은 갑작스런 니코틴 공급의 중단으로 인해서 신체적인 이상 증세 및 심리적인 불안감을 모두 느낀다고 한다. 즉, 담배 중독의 원인은 니코틴과 니코틴-금단현상 때문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끽연 파이프들 이외에 담배를 끊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금연담배 및 금연 보조파이프 등과 같은 보조기구가 많이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금연장치에서는, 담배를 피울 때 대부분 담배 맛이 쓰게 하거나 담배 특유의 향취가 상실되게 함으로써 애연가들의 흡연 의욕을 단계적으로 상실시켜 담배를 서서히 끊도록 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금연장치나 보조수단은 담배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장치들을 애연가가 접하는 경우에는 담배가 아니라는 인식이 이미 머리속에 자리잡고 있으므로, 담배 욕구를 더 자극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금연을 위한 효과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35492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이한 조작에 의해 흡연자가 스스로 흡연량을 조절하면서 흡연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연을 유도하는 흡연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흡연량 조절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pipe)로 이루어지고,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도록 관통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홀이 구비되는 흡입바디와; 상기 흡입바디의 외부를 감싸며, 일단에는 담배의 일단이 끼워지는 담배장착부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흡입바디와 외부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케이스가 상기 다수의 공기홀을 차폐하는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흡입바디와 외부케이스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조절돌기와 조절홈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흡입바디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조절홈 또는 조절돌기가 형성되는 조절케이스와; 상기 조절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는 담배가 끼워지는 장착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케이스 또는 장착케이스의 일측에는, 흡연필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흡연량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흡입바디와 이를 감싸는 외부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흡입바디나 외부케이스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간단히 담배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흡연자가 사용 도중에도 흡연량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조절케이스와 장착케이스 사이에 흡연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더 구비된다. 따라서, 니코틴의 제거 뿐만 아니라, 금연에 필요한 향기 등을 함유하게 할 수 있으므로 금연효과를 한층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흡연량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흡연량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으로, 공기 흡입량을 최대로 늘인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흡연량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흡연량 조절장치의 일 실시예가 정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흡연량 조절장치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흡연량 조절장치는,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도록 관통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홀(110)이 구비되는 흡입바디(100)와, 상기 흡입바디(100)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케이스(200)와, 상기 외부케이스(200)가 상기 다수의 공기홀(110)을 차폐하는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3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바디(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pipe)로 이루어지고, 중앙 부근에는 다수의 공기홀(11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공기홀(110)은, 흡입바디(100)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바디(100)의 좌측단에는 흡입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120)는 사람이 입으로 무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흡입바디(100)의 우측단에는 조절돌기(31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절돌기(310)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절홈(320)에 수용되어 슬라이딩 하는 부분으로, 조절수단(300)의 일 구성이 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내경이 상기 흡입바디(10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흡입바디(100)의 우측 부분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외부케이스(200)의 우측단에는 담배의 일단(좌측단)이 끼워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상기 흡입바디(100)의 외측을 감싸는 조절케이스(210)와, 상기 조절케이스(2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케이스(2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케이스(210)에는, 조절홈(320)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홈(320)은, 상기 조절케이스(210)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돌기(310)의 슬라이딩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조절홈(320)은 상기 조절케이스(210)의 내주면을 따라 한 바퀴를 돌도록 나선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조절케이스(210)나 흡입바디(100)를 돌리게 되면, 상기 흡입바디(100)가 조절케이스(210)에 대해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홈(320)은, 상기에서 설명한 흡입바디(100)의 조절홈(320)과 함께 조절수단(300)을 구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절수단(300)이 상기 흡입바디(100)가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나오도록 함으로써, 결국 상기 흡입바디(100)에 형성된 공기홀(110)이 외부케이스(2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양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홀(110)이 외부케이스(200)의 외측으로 노출되면, 이러한 공기홀(110)을 통해 공기가 흡입바디(100) 내측으로 유입되어 사람의 입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케이스(210)의 좌측단 내주면을 따라서는 기밀홈(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밀홈(212)에는 기밀부재(23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기밀부재(23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기밀부재(230)는, 상기 조절케이스(210)와 흡입바디(10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한다. 즉, 상기 기밀부재(230)는, 상기 조절케이스(210)와 흡입바디(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조절케이스(210)의 우측단에는 필터장착부(214)가 더 형성된다. 상기 필터장착부(2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케이스(210)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연필터(270)가 수용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절홈(320)과 필터장착부(214) 사이에는 조립홈이 더 형성되기도 한다. 즉, 상기 흡입바디(100)가 상기 조절케이스(210)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조절돌기(310)가 상기 조절홈(320)에 수용되도록 안내하는 조립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케이스(250)는, 상기 조절케이스(2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우측단)에는 담배(C)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장착케이스(250)와 조절케이스(210)에는 서로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장착케이스(250)와 조절케이스(210)는 서로 나사결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케이스(210)의 우측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216)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케이스(250)의 좌측단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암나사(256)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절케이스(210)와 장착케이스(250) 사이에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재질의 링(ring)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장착케이스(250)는,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장착케이스(250)의 좌측단 부근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어턱(2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턱(252)의 우측에는 담배(C)가 삽입되는 담배장착부(254)가 형성되며, 제어턱(252)의 좌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연필터(270)가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케이스(250)의 좌측단 내주면에는 암나사(25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어턱(252)의 좌측에는 암나사(256)가 형성되며, 이러한 암나사(256)는 상기 조절케이스(210)의 수나사(216)와 나사결합을 하게 된다.
상기 조절케이스(210) 또는 장착케이스(250)의 일측에는, 흡연필터(270)가 더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조절케이스(210)와 장착케이스(250)의 사이에는 흡연필터(270)가 장착된다.
상기 흡연필터(270)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즉, 담배(C)에서 유출되는 니코틴을 일부 걸러내도록 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금연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종류의 향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니코틴을 걸러내는 필터링 기능은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향은 필요에 따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흡연필터(270)는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교체하여야 한다. 즉, 상기 흡연필터(27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케이스(210)와 장착케이스(250)의 결합을 해제하여 흡연필터(270)를 교체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흡연량 조절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상기 흡입바디(100)가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조절케이스(210)에 장착되면, 상기 흡입바디(100)의 좌측은 도 1과 같이 조절케이스(2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케이스(210)의 우측에 상기 장착케이스(250)를 결합한다.
물론, 상기 조절케이스(210)와 장착케이스(250)를 나사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케이스(210)와 장착케이스(250) 사이에 흡연필터(270)가 끼워져 함께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이 완료되면, 도 1과 같이 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조절돌기(310)가 상기 조절홈(320)의 우측단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공기홀(110)이 모두 상기 조절케이스(210) 내부에 위치되므로, 공기홀(110)을 통한 공기의 유입은 차단된다.
따라서, 흡연자가 상기 담배장착부(254)에 담배(C)를 끼운 다음, 상기 흡입부(120)를 입으로 문 상태에서 흡입을 시도하면, 담배(C)가 정상적으로 태워지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흡연량 조절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게 된다.
한편, 흡연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외부케이스(200)를 시계방향(도 1의 좌측에서 볼 경우)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흡입바디(1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절홈(320)의 우측단에 위치한 조절돌기(310)가 조절홈(320)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조절돌기(310)가 조절홈(320)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흡입바디(100)는 점차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좌측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흡입바디(100)에 형성된 공기홀(110)이 차츰 외부케이스(200)의 좌측으로 나오게 된다.
도 3에는 상기 조절돌기(310)가 상기 조절홈(320)의 좌측단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때에는 상기 공기홀(110)이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좌측 외부로 모두 노출된 상태이므로, 공기홀(110)을 통해서만 공기가 흡입바디(10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장착케이스(250)를 통해서는 공기의 유입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흡연자가 흡입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홀(110)을 통해 외부의 공기만 흡입이 되고, 상기 장착케이스(250)에 끼워진 담배연기는 사용자의 입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돌기(310)가 상기 조절홈(320)의 좌우 중간 위치에 오도록 한 다음, 흡입을 할 경우에는, 상기 공기홀(110)을 통해서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상기 조절케이스(210)를 통과하는 담배연기가 반반씩 흡연자의 입으로 유입될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이 흡연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담배연기는 상기 흡연필터(270)를 통과하면서 니코틴 제거와 같은 공기정화가 이루어지고, 향의 발산도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연필터(27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조절케이스(210)와 장착케이스(250)의 나사 결합을 해제시킨 다음, 상기 흡연필터(270)를 교체하면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케이스(200)가 조절케이스(210)와 장착케이스(250)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파이프(pipe)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절홈(320)이 조절케이스(210)의 내측에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좌우로 직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절홈(320)이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 2개 이상의 독립된 홈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의 실시에와 같이 조절홈(320)이 유로를 이루는 통로가 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원형의 단독 홈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흡입바디(100)를 일정 힘 이상으로 좌우로 당기면, 상기 조절돌기(310)가 조절홈을 빠져나와 좌우의 다른 조절홈에 수용된다. 이렇게 되면, 단계별로 흡연량이 조절된다.
물론, 이 경우에는 상기 조절돌기(310)가 조절홈을 잘 벗어나도록 테두리를 라운드지게 하거나, 조절돌기(310)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조절돌기(310)의 내측에 조절돌기(310)가 외측으로 탄성에 의해 돌출되도록 압축스프링 등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절수단(300)이 조절돌기(310)와 조절홈(32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다수의 공기홀(110)이 차폐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는 한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절돌기(310)는 흡입바디(100)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홈(320)은 외부케이스(200)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절돌기(310)와 조절홈(320)의 형성 위치가 서로 바뀌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조절돌기(310)는 외부케이스(200)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홈(320)은 흡입바디(100)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흡입바디 110. 공기홀
120. 흡입부 200. 외부케이스
210. 조절케이스 230. 기밀부재
250. 장착케이스 270. 흡연필터
300. 조절수단 310. 조절돌기
320. 조절홈

Claims (3)

  1.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pipe)로 이루어지고,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도록 관통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홀(110)이 구비되는 흡입바디(100)와;
    상기 흡입바디(100)의 외부를 감싸며, 일단에는 담배의 일단이 끼워지는 담배장착부(254)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스(200)와;
    상기 흡입바디(100)와 외부케이스(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00)가 하나 이상의 공기홀(110)을 차폐하는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3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조절수단(300)은, 상기 흡입바디(100)와 외부케이스(200)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조절돌기(310)와 조절홈(320)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상기 흡입바디(100)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조절홈(320) 또는 조절돌기(310)가 형성되는 조절케이스(210)와, 상기 조절케이스(2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는 담배가 끼워지는 장착케이스(25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홈(320)은,
    상기 조절케이스(2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한 바퀴를 돌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절돌기(310)의 슬라이딩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케이스(210)의 일단 내주면에는, 기밀부재(23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기밀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기밀부재(2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케이스(210)와 흡입바디(10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함으로써 조절케이스(210)와 흡입바디(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량 조절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320)과 필터장착부(214) 사이에는,
    상기 흡입바디(100)가 상기 조절케이스(210)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조절돌기(310)가 상기 조절홈(320)에 수용되도록 안내하는 조립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량 조절장치.
KR2020130009424U 2013-11-15 2013-11-15 흡연량 조절장치 KR200473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424U KR200473606Y1 (ko) 2013-11-15 2013-11-15 흡연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424U KR200473606Y1 (ko) 2013-11-15 2013-11-15 흡연량 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442 Division 2012-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48U KR20140000048U (ko) 2014-01-06
KR200473606Y1 true KR200473606Y1 (ko) 2014-07-17

Family

ID=5199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424U KR200473606Y1 (ko) 2013-11-15 2013-11-15 흡연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6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775B1 (ko) * 2018-03-30 2019-05-31 주식회사 아이다코리아 전자담배용 출몰식 드립기구
KR20220000766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6476A1 (en) * 2015-12-18 2017-06-22 Merit Medical Systems, Inc. Collapsible medical containers
CN106174699B (zh) * 2016-08-30 2022-11-04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退出烟蒂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443A (ko) * 2001-06-11 2002-12-18 구홍식 담배 필터 내의 미세 섬유 흡입 장치
KR100626312B1 (ko) * 2005-03-29 2006-09-22 김대일 신선한 공기의 흡입량 조절이 가능한 금연파이프
KR20070096660A (ko) * 2006-03-27 2007-10-02 김대일 신선 공기 흡입량 자동조절수단을 구비한 금연파이프
KR101069342B1 (ko) * 2011-04-26 2011-10-04 하종석 흡입식 금연보조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443A (ko) * 2001-06-11 2002-12-18 구홍식 담배 필터 내의 미세 섬유 흡입 장치
KR100626312B1 (ko) * 2005-03-29 2006-09-22 김대일 신선한 공기의 흡입량 조절이 가능한 금연파이프
KR20070096660A (ko) * 2006-03-27 2007-10-02 김대일 신선 공기 흡입량 자동조절수단을 구비한 금연파이프
KR101069342B1 (ko) * 2011-04-26 2011-10-04 하종석 흡입식 금연보조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775B1 (ko) * 2018-03-30 2019-05-31 주식회사 아이다코리아 전자담배용 출몰식 드립기구
KR20220000766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03277B1 (ko) * 2020-06-26 2023-02-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48U (ko) 2014-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606Y1 (ko) 흡연량 조절장치
JP5198559B2 (ja) 喫煙デバイス、充電手段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US9700075B2 (en)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EP3251529A1 (en) Non-combusting flavor inhaler
WO2014169424A1 (zh) 电子烟及其吸嘴盖
WO2013116983A1 (zh) 一种电子仿真烟
KR20140047601A (ko) 측면 공기 흡입구를 구비한 전자 담배를 위한 배터리 연결부
EP3711643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KR102646986B1 (ko) 흡연 치구
KR101549306B1 (ko) 흡입압 조절 유닛 및 그를 구비한 무연 담배
JP3160809U (ja) 喫煙パイプ
EP3711554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EP3459371A1 (en) Cigarette mouthpiece
EP3711515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WO2020193216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EP3941278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WO2020053388A1 (en) Consumable
US20110247639A1 (en) Cigarette holder for smoke dilution
KR20150051943A (ko) 흡입압 조절 유닛 및 그를 구비한 무연 담배
WO2020053387A1 (en) Consumable
GB2550840A (en) e-Cigarette mouthpiece (drip tip) with mesh and ball filtration to prevent liquid reaching the user
KR102405823B1 (ko) 일회용 전자담배
CN116570802B (zh) 一种鼻通治疗仪
WO2023097611A1 (zh) 一种带内嵌件的戒烟装置
JP2018113955A (ja) 喫煙習慣矯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