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565Y1 -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565Y1
KR200473565Y1 KR2020140001711U KR20140001711U KR200473565Y1 KR 200473565 Y1 KR200473565 Y1 KR 200473565Y1 KR 2020140001711 U KR2020140001711 U KR 2020140001711U KR 20140001711 U KR20140001711 U KR 20140001711U KR 200473565 Y1 KR200473565 Y1 KR 200473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member
fire detector
housing
suppor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주
Original Assignee
김경주
(주)동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주, (주)동호이엔씨 filed Critical 김경주
Priority to KR2020140001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5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5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등에 의해 화재감지기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는 상기 지지통체(10)의 연결부(11)를 상기 하우징(1)의 결합부(1b)에 결합하면, 외부의 공기가 지지통체(10)의 통기공(12)과 상기 필터부재(20)를 통과하여 하우징(1)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이때, 공기에 포함된 입자가 큰 먼지가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2)에서 발생된 빛이 공기중의 먼지에 반사되거나, 공기중의 먼지가 발광소자(2) 또는 수광소자(3)에 부착되어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Air cleaner for fire detector}
본 고안은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등에 의해 화재감지기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는 화재시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방식과, 화재시 발생되는 온도의 상승을 감지하는 온도감지방식, 그리고, 화재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연기감지방식의 화재감지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기감지방식의 화재감지기는 둘레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통형상의 하우징의 내부에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발광소자에서 조사된 빛이 연기에 반사되어 수광소자에 수광되는 것을 감지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연기감지방식의 화재감지기의 구조는 등록특허 10-0862116호나, 공개특허 10-1991-0004106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연기감지방식의 화재감지기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공기중의 먼지에 반사되거나, 공기중의 먼지가 발광소자 또는 수광소자에 부착되어 오작동이 발생되는 일이 자주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공기에 떠있는 먼지는 입자가 크고 비교적 무거운 반면,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의 입자는 공기중의 먼지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을 뿐 아니라 가벼운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등에 의해 화재감지기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둘레면에 개구부(1a)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된 발광소자(2)와 수광소자(3)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개구부(1a)에 연결되는 연결부(11)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a)를 막도록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2)이 형성된 지지통체(10)와, 상기 지지통체(10)의 내주면에 상기 통기공(12)을 막도록 결합된 필터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1a)는 상기 하우징(1)의 하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통체(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에 상기 연결부(11)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통체(10)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3)의 둘레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원형관형태의 유도관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12)은 상기 지지통체(10)와 유도관부(14)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15)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다공성재질의 링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통체(10)와 유도관부(14)의 사이에 결합되는 보조필터부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기공(12)은 상기 지지통체(10)의 둘레면의 수직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는 상기 지지통체(10)의 연결부(11)를 상기 하우징(1)의 결합부(1b)에 결합하면, 외부의 공기가 지지통체(10)의 통기공(12)과 상기 필터부재(20)를 통과하여 하우징(1)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이때, 공기에 포함된 입자가 큰 먼지가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2)에서 발생된 빛이 공기중의 먼지에 반사되거나, 공기중의 먼지가 발광소자(2) 또는 수광소자(3)에 부착되어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의 제2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화재감지기는 둘레면에 개구부(1a)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된 발광소자(2)와 수광소자(3)로 구성되어 천정면 등에 고정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개구부(1a)는 상기 하우징(1)의 하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a)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원형단관형태의 결합부(1b)가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2)와 수광소자(3)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공기여과장치는 일측에는 상기 개구부(1a)에 연결되는 연결부(11)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a)를 막도록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2)이 형성된 지지통체(10)와, 상기 지지통체(10)의 내주면에 상기 통기공(12)을 막도록 결합된 필터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통체(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11)는 상기 지지통체(10)의 상단에 상기 결합부(1b)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향연장되어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11)를 상기 하우징(1)의 결합부(1b)에 끼워, 상기 지지통체(10)가 상기 하우징(1)에 연결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통기공(12)은 일반적인 날벌레에 비해 크기가 작게 구성되어, 날벌레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외부의 공기는 지지통체(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필터부재(20)는 외주면이 상기 지지통체(1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구성된 링형태로 구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통기공(12)을 막도록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에 접착결합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재(20)는 부직포 등과 같이, 섬유재질로 구성되어, 미세한 입자의 크기가 큰 공기중의 먼지는 통과하지 못하고, 화재발생시 발생되는 매우 미세한 마이크로 단위의 연기입자는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는 상기 지지통체(10)의 연결부(11)를 상기 하우징(1)의 결합부(1b)에 결합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지지통체(10)의 통기공(12)과 상기 필터부재(20)를 통과하여 하우징(1)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이때, 공기에 포함된 입자가 큰 먼지가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2)에서 발생된 빛이 공기중의 먼지에 반사되거나, 공기중의 먼지가 발광소자(2) 또는 수광소자(3)에 부착되어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통체(10)는 원통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지지통체(10)는 사각통형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2)와 수광소자(3)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발광소자(2)와 수광소자(3)는 상기 하우징(1)의 하단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에 상기 공기여과장치를 결합하면, 상기 발광소자(2)와 수광소자(3)가 상기 공기여과장치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통체(10)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통체(10)에 비해 지름이 큰 플랜지부(13)가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13)의 둘레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유도관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유도관부(14)는 원형의 단관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이 상기 지지통체(10)의 상단에 비해 조금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지통체(10)와 유도관부(14)의 사이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15)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12)은 상기 통로(15)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기공(1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통체(10)의 둘레면의 수직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통체(10)의 둘레면 내측단에 비해 외측단이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관부(14)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통체(10)의 외주면 사이에는 보조필터부재(3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필터부재(30)는 스펀지와 같이, 다수의 통기공(12)이 형성된 다공성재질의 링형태로 구성되어, 유도관부(14)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통체(10)의 외주면 사이에 끼움고정되어 상기 통로(15)의 입구 부분을 막는 것으로,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보조필터부재(30)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가 1차 제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는 상기 지지통체(10)의 하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3)의 둘레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원형관형태의 유도관부(14)가 형성됨으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유도관부(14)와 지지통체(10) 사이의 통로(15)를 통해 하강된 후, 측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상기 통기공(12)을 통해 지지통체(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공기중에 포함된 비교적 무거운 먼지는 도 8에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공(12)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통로(15)의 하측에 쌓이게 되며, 가벼운 연기입자만이 도 8에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공(12)으로 원활히 유입된다.
따라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에 의해 화재감지기가 오작동하게 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통기공(12)은 상기 지지통체(10)의 둘레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공(12)을 따라 상기 필터부재(20)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유입됨으로, 상기 필터부재(2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20)에 대해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유입될 경우,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20)의 두께만큼의 거리(L1)를 통과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먼지를 걸러낼 때 사용되는 필터부재(20)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얇게 제작됨으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내는 효과가 충분히 높지 않을 경우가 많이 있다.
이에 반해, 상기 통기공(12)이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 외부의 공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재(20)의 직각선에 대해 θ만큼 경사지는 방향으로 유입되며, 이에 따라, 공기가 더 긴 거리(L1)만큼 상기 필터부재(20)를 통과하여야 함으로, 결과적으로 필터부재(2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효과가 발생되어, 얇은 필터부재(20)를 이용하면서도 먼지를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께가 얇은 필터부재(20)를 이용하여도 충분히 먼지를 걸러낼 수 있음으로, 별도로 규격 외의 두꺼운 필터부재(20)를 제작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통로(15)에는 타공성재질의 링형태로 구성된 보조필터부재(30)가 결합됨으로, 외부의 날벌레나 먼지를 1차로 필터링할 수 있음으로, 외부의 먼지나 날벌레가 상기 하우징(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필터부재(20)에 먼지가 달라붙게 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기 필터부재(20)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하우징 2. 발광소자
3. 수광소자 10. 지지통체
20. 필터부재 30. 보조필터부재

Claims (4)

  1. 둘레면에 개구부(1a)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된 발광소자(2)와 수광소자(3)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개구부(1a)에 연결되는 연결부(11)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a)를 막도록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2)이 형성된 지지통체(10)와,
    상기 지지통체(10)의 내주면에 상기 통기공(12)을 막도록 결합된 필터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1a)는 상기 하우징(1)의 하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통체(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에 상기 연결부(11)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통체(10)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3)의 둘레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원형관형태의 유도관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12)은 상기 지지통체(10)와 유도관부(14)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15)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12)은 상기 지지통체(10)의 둘레면의 수직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타공성재질의 링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통체(10)와 유도관부(14)의 사이에 결합되는 보조필터부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
KR2020140001711U 2014-03-04 2014-03-04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 KR200473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11U KR200473565Y1 (ko) 2014-03-04 2014-03-04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11U KR200473565Y1 (ko) 2014-03-04 2014-03-04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565Y1 true KR200473565Y1 (ko) 2014-07-09

Family

ID=5199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711U KR200473565Y1 (ko) 2014-03-04 2014-03-04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5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9073A (zh) * 2015-10-28 2016-02-03 常州市金坛区水产技术指导站 一种河蟹养殖池水质检测样本水过滤装置
KR20220112053A (ko) * 2021-02-03 2022-08-10 창신기술 주식회사 주방용 화재 감지기 감도 조절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4386A (ja) * 1993-05-06 1994-11-08 Hochiki Corp 防塵カバーおよび取り外し治具
JP2006252368A (ja) 2005-03-14 2006-09-21 Nohmi Bosai Ltd 感知器の防塵カバーおよび視野角制限アダプタ
KR20130071023A (ko) * 2011-12-20 2013-06-28 이계용 화재감지기용 분진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4386A (ja) * 1993-05-06 1994-11-08 Hochiki Corp 防塵カバーおよび取り外し治具
JP2006252368A (ja) 2005-03-14 2006-09-21 Nohmi Bosai Ltd 感知器の防塵カバーおよび視野角制限アダプタ
KR20130071023A (ko) * 2011-12-20 2013-06-28 이계용 화재감지기용 분진여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9073A (zh) * 2015-10-28 2016-02-03 常州市金坛区水产技术指导站 一种河蟹养殖池水质检测样本水过滤装置
KR20220112053A (ko) * 2021-02-03 2022-08-10 창신기술 주식회사 주방용 화재 감지기 감도 조절 장치
KR102480559B1 (ko) 2021-02-03 2022-12-23 창신기술 주식회사 주방용 화재 감지기 감도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2597B2 (en) Suction strainer
JP2014193469A (ja) 濾過装置
KR200473565Y1 (ko) 화재감지기용 공기여과장치
KR101845264B1 (ko) 자동 분진 청소기가 설치된 흡입형 화재 감지장치
KR101528553B1 (ko) 에어 클리너용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에어 클리너
CN107648953B (zh) 陶瓷过滤器的保护安装用部件
US10293293B2 (en) Recirculation filter for an electronics enclosure
US11266954B2 (en) Dust and splash-proof filter
US9084956B2 (en) Dust collector with monitor air filter
WO2017104595A1 (ja) 圧縮空気噴射装置
JP2008234416A (ja) 煙感知器
US4521089A (en) Optical window purge arrangement
KR101611392B1 (ko) 에어 클리너용 필터
US20120324844A1 (en) Filter assembly for use in a baghouse
KR101773021B1 (ko) 복합 사이클론 집진기
CN211212926U (zh) 旋风分离部件、尘气分离装置及吸尘器
CN106215550A (zh) 一种钩式空气过滤筒装置
CN210003576U (zh) 一种滤网检测设备和风机系统
JP2016112499A (ja) セラミックフィルタ用リテーナ及び隔壁型式集塵装置
KR101200037B1 (ko) 중앙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집진장치
CN106552462B (zh) 一种多级过滤机构
CN110075639A (zh) 湿式单元
CN219942146U (zh) 一种管道毛丝的过滤装置
CN207893952U (zh) 一种具有二氧化碳浓度检测功能的空调
JP5969686B2 (ja) バグフィルター用空気増幅装置および該バグフィルター用空気増幅装置を用いたバグフィルター用空気増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