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95Y1 - 신발 주머니용 패드 - Google Patents
신발 주머니용 패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3295Y1 KR200473295Y1 KR2020130002947U KR20130002947U KR200473295Y1 KR 200473295 Y1 KR200473295 Y1 KR 200473295Y1 KR 2020130002947 U KR2020130002947 U KR 2020130002947U KR 20130002947 U KR20130002947 U KR 20130002947U KR 200473295 Y1 KR200473295 Y1 KR 20047329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bag
- receiving
- bottom portion
- p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12—Bags for sho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86—Flexible luggage; Hand bag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2013/026—Insert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발을 별도로 수용한 다음 신발 주머니에 넣을 수 있게 구성되어, 신발 주머니 내에서 신발이 엉키는 것이 방지되고,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신발 주머니 내에 떨어져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신발 주머니 내에 보관된 신발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찌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 주머니용 패드가 개시된다. 개시된 신발 주머니용 신발패드는 발의 바닥이 밀착되는 평평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신발 발등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부에 신발의 바닥이 밀착되고 상기 수용부에 신발 발등부가 수용되어 내부에 신발이 보관된 상태에서 신발 주머니에 투입 및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신발 주머니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을 별도로 수용한 다음 신발 주머니에 넣을 수 있게 구성되어, 신발 주머니 내에서 신발이 엉키는 것이 방지되고,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신발 주머니 내에 떨어져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신발 주머니 내에 보관된 신발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찌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 주머니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학교에서는 실내에서 실내화 만을 신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의 경우, 실내화를 신발 주머니에 넣고 다니면서 실내에 들어갈 때 실내화로 갈아 신은 다음, 신고 왔던 실외화는 실내화를 넣고 왔던 신발 주머니에 다시 넣고 교실로 입실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신발 주머니는 평소 신고 다니는 실외화 외에 예컨대 실내화나 운동화 또는 작업화 등과 같이 용도가 다른 또 하나의 신발을 필요로 할 경우에 그 신발을 넣고 다니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러한 신발 주머니에는 대개, 위의 예에서와 같이, 휴대할 신발(실내화) 뿐만 아니라 신고 온 신발(실외화)도 넣게 되어 용도가 다른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신발이 번갈아 넣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신발 주머니는 단순히 주머니 안에 신발을 넣어 보관하고 이를 들고 다니므로 이동시 신발이 신발 주머니 안에서 유동되어 신발이 엉키게 되고 서로 부딛혀 이물질이 두 신발에 뭍어 오염되며, 신발 주머니 내부에 신발의 이물질이 여러곳에 묻게 되어 신발 주머니와 신발을 자주 세탁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신발 주머니는 신발이 물에 젖은 경우, 신발을 보관하는 신발 주머니까지 젖게 될 뿐만 아니라, 신발 주머니 내에 보관된 신발이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완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신발이 찌그러져 외형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엇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신발을 별도로 수용한 다음 신발 주머니에 넣을 수 있게 구성되어, 신발 주머니 내에서 신발이 엉키는 것이 방지되고,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신발 주머니 내에 떨어져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신발 주머니 내에 보관된 신발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찌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 신발 주머니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신발의 바닥이 밀착되는 평평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신발 발등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부에 신발의 바닥이 밀착되고 상기 수용부에 신발 발등부가 수용되어 내부에 신발이 보관된 상태에서 신발 주머니에 투입 및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주머니용 신발패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는 좌측 및 우측 신발 발등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한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용부는 바닥판의 중앙 및 측단에 형성되어 신발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판와, 상기 측판의 전방 사이에 마련되어 신발 발등부를 표면을 지지하는 발등지지부와, 상기 측판의 하측을 마감하게 구성되어 신발 발등부의 끝단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용부의 사이의 바닥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단부는 둥근 형상의 오목수용부가 형성되어 신발 발등부의 단부가 밀착 수용되게 구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용부의 발등지지부의 상단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의 노출부가 마련되어, 신발 발등부의 상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마련되게, 상기 측판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전면에 상기 발등지지부도 경사지게 마감되어, 상기 수용부에 신발 발등부가 밀착 지지되면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에 따르면, 신발 주머니용 패드가 신발을 고정시켜 신발 주머니 내에 수용하기 때문에 신발 주머니 내에서 신발이 엉키는 것이 방지되고,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신발 주머니용 패드내에 떨어지기 때문에 이물질이 신발 주머니 내에 떨어져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용 패드는 신발 주머니용 패드만을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청결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이 물에 젖은 경우, 신발에서 떨어지는 물이 신발 주머니용 패드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신발 주머니가 젖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용 패드는 신발 주머니 내에 보관된 신발이 신발 주머니용 패드에 의해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신발이 찌그러져 외형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에 신발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에 신발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가 신발 주머니에 넣어진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에 신발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에 신발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가 신발 주머니에 넣어진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의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는 신발(1)을 별도로 수용한 다음 신발 주머니(10)에 넣을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바닥부(100)와 수용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100)는 신발의 바닥(1a)이 밀착되는 부분으로,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바닥부(100)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에 신발(1)을 수용하였을 때, 신발의 바닥(1a)이 밀착 지지되는 부분으로 평평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신발 발등부(1b)를 수용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수용부(200)에 신발 발등부(1b)가 수용되면, 상기 바닥부(100)에 신발의 바닥(1a)이 밀착된 상태에서 수용부(200)에 신발 발등부(1b)가 감싸 지지되면서 신발(1)을 고정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수용부(200)는 좌측 및 우측 신발 발등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한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용부(210,220)는 바닥판(100)의 중앙 및 측단에 형성되어 신발 발등부(1b)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판(211,221)와, 상기 측판(211,221)의 전방 사이에 마련되어 신발 발등부(1b)를 표면을 지지하는 발등지지부(212,222)와, 상기 측판(211,221)의 하측을 마감하게 구성되어 신발 발등부(1b)의 끝단을 지지하는 바닥부(213,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측판판(211,221)은 신발(1)이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고, 상기 발등지지부(212,222)는 신발 발등부(1b)의 표면을 밀착 지지하여 신발을 고정시키게 구성되며, 바닥부(213,223)는 신발(1)의 끝단이 밀착 지지되어, 수용부(200)에 수용된 신발(1)이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100) 및 수용부(200)는 신발(1)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으면 공지된 다양한 재질로 제조하여 마련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어 세척이 용이하고 저렴한 단가로 제조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용부(210,220)의 사이의 바닥부(213,223)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부(1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용부는 분리되어 각각 별도로 구성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좌측 및 우측 수용부(210,220)의 사이의 바닥부(100)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부(110)를 형성하여 바닥부의 일부만 분리되게 구성함으로써, 좌측 및 우측 수용부(210,220)의 상단부는 결합된 구성을 가지면서 절개부(110)를 통해 좌측 및 우측 수용부(210,220)에 신발(1)을 각각 넣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수용부(200)의 하단부는 둥근 형상의 오목수용부(230)가 형성되어 신발 발등부(1b)의 단부가 밀착 수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상의 신발 발등부(1b)의 단부가 둥근 형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신발 발등부(1b)가 수용되는 오목수용부(230)도 신발 발등부(1b)와 대응되게 둥근 형상으로 마련되어 수용부(200)에 신발 발등부(1b)가 밀착되면서 수용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용부(210,220)의 발등지지부(212,222)의 상단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의 노출부(212a,222a)가 마련되어, 신발 발등부(1b)의 상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노출부(212a,222a)를 통해 신발 발등부(1b)의 높이가 높은 신발이 노출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신발 발등부(1b)가 낮은 신발뿐만 아니라 신발 발등부(1b)가 높은 신발까지 수용부(200)에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00)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마련되게, 상기 측판(211,221)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측판(2211,221)의 전면에 상기 발등지지부(1b)도 경사지게 마감되어, 상기 수용부(200)에 신발 발등부(1b)가 밀착 지지되면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상의 신발 발등부(1b)의 단부가 전단이 폭이 좁고 후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신발 발등부(1b)가 수용되는 수용부(200)도 신발 발등부(1b)와 대응되게 상광하협 형상으로 마련되어 수용부(200)에 신발 발등부(1b)가 밀착되면서 수용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주머니용 패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이 투입되면, 바닥부(213,223)에 신발의 바닥(1a)이 밀착되고 수용부(200)에 신발 발등부(1b)가 수용되어 내부에 신발(1)이 보관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절개부(110)를 통해 좌측 및 우측 수용부(210,220)에 신발을 각각 넣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수용부(210,220)의 하단부에 둥근 형상의 오목수용부(2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오목수용부(230)에 신발 발등부(1b)의 단부가 밀착 수용되며, 상광하협 형상으로 마련된 수용부(200)에 신발 발등부(1b)가 밀착되면서 수용 고정되어, 신발 주머니용 패드에 신발(1)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이 수용된 신발 주머니용 패드를 신발 주머니(10)에 넣으면 신발(1)의 보관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용 패드에 신발을 수용한 다음, 신발을 신발 주머니를 넣으면, 신발 주머니용 패드가 신발을 고정시켜 수용하기 때문에 신발 주머니 내에서 신발이 엉키는 것이 방지되고,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신발 주머니용 패드내에 떨어지기 때문에 이물질이 신발 주머니 내에 떨어져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용 패드는 신발 주머니용 패드만을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신발이 물에 젖은 경우, 신발에서 떨어지는 물이 신발 주머니용 패드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신발 주머니가 젖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 주머니용 패드는 신발 주머니 내에 보관된 신발이 신발 주머니용 패드에 의해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신발이 찌그러져 외형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바닥부 110: 절개부
200: 수용부 210, 220: 우측 및 좌측 수용부
230: 오목수용부
1: 신발 10: 신발 주머니
200: 수용부 210, 220: 우측 및 좌측 수용부
230: 오목수용부
1: 신발 10: 신발 주머니
Claims (3)
- 신발의 바닥이 밀착되는 평평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신발 발등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부에 신발의 바닥이 밀착되고 상기 수용부에 신발 발등부가 수용되어 내부에 신발이 보관된 상태에서 신발 주머니에 투입 및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좌측 및 우측 신발 발등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한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용부는 바닥판의 중앙 및 측단에 형성되어 신발 발등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판와, 상기 측판의 전방 사이에 마련되어 신발 발등부를 표면을 지지하는 발등지지부와, 상기 측판의 하측을 마감하게 구성되어 신발 발등부의 끝단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용부의 사이의 바닥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단부는 둥근 형상의 오목수용부가 형성되어 신발 발등부의 단부가 밀착 수용되게 구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용부의 발등지지부의 상단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의 노출부가 마련되어, 신발 발등부의 상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마련되게, 상기 측판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전면에 상기 발등지지부도 경사지게 마감되어, 상기 수용부에 신발 발등부가 밀착 지지되면서 수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주머니 신발패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2947U KR200473295Y1 (ko) | 2013-04-16 | 2013-04-16 | 신발 주머니용 패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2947U KR200473295Y1 (ko) | 2013-04-16 | 2013-04-16 | 신발 주머니용 패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3295Y1 true KR200473295Y1 (ko) | 2014-06-25 |
Family
ID=5149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2947U KR200473295Y1 (ko) | 2013-04-16 | 2013-04-16 | 신발 주머니용 패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3295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0497B1 (ko) | 2007-09-10 | 2008-11-25 | 신해규 | 구분된 수납공간을 갖는 신발 주머니 |
KR20090008514U (ko) * | 2008-02-20 | 2009-08-25 | 이영미 | 분리형 실내화주머니 |
-
2013
- 2013-04-16 KR KR2020130002947U patent/KR20047329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0497B1 (ko) | 2007-09-10 | 2008-11-25 | 신해규 | 구분된 수납공간을 갖는 신발 주머니 |
KR20090008514U (ko) * | 2008-02-20 | 2009-08-25 | 이영미 | 분리형 실내화주머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624137T3 (es) | Calzado | |
RU2128458C1 (ru) | Пружинные спортивные туфли | |
US8819964B2 (en) | Sandal with removable straps | |
ITBG20020039A1 (it) | Struttura di calzatura. | |
RU2009113637A (ru) |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е держатель ленты полотенного транспортера и опорная лапа в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уборочной машине | |
US9320377B2 (en) | Combination boot jack, boot tray, and boot rack | |
US9320354B2 (en) | Shoe storage apparatus | |
KR200473295Y1 (ko) | 신발 주머니용 패드 | |
KR20120108527A (ko) | 다기능 조립식 신발 | |
KR101377364B1 (ko) | 위치 고정 가능한 완충 깔창 | |
US1977512A (en) | Shoe holder | |
KR101211468B1 (ko) | 욕실용 슬리퍼 | |
KR200347076Y1 (ko) | 위생신발깔창 | |
KR200454167Y1 (ko) | 슬리퍼 건조거치대 | |
KR200466692Y1 (ko) | 볼링화 | |
KR101226345B1 (ko) | 기능성 신발창 | |
KR20210070872A (ko) | 실내외 사용가능한 신발밑창 | |
JP6417058B1 (ja) | シューズホルダー | |
CN214386314U (zh) | 一种能调节鞋跟高度的高跟鞋 | |
KR20130118408A (ko) | 실내외 겸용 신발 | |
ES2421080B1 (es) | Piso para calzado de trabajo y calzado de trabajo que comprende el piso | |
KR200340751Y1 (ko) | 실내화 | |
JP2021109071A (ja) | スリッパスタンド | |
JP5509386B1 (ja) | 吊り具付き靴 | |
JP2005095543A (ja) | 上部開放型履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