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57Y1 - 스위치 조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 - Google Patents

스위치 조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57Y1
KR200473257Y1 KR2020130004979U KR20130004979U KR200473257Y1 KR 200473257 Y1 KR200473257 Y1 KR 200473257Y1 KR 2020130004979 U KR2020130004979 U KR 2020130004979U KR 20130004979 U KR20130004979 U KR 20130004979U KR 200473257 Y1 KR200473257 Y1 KR 200473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ight
brightness
signal
lamp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130004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는 스위치 온오프 동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에 관한 것으로, 면조명은 광을 출력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 다수의 발광 소자 중 일부를 그룹으로 묶어 천정에 광 영역과 광 영역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등 그룹; 복수의 전등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복수의 전등 그룹에 대해 전체 광 영역 중 미리 설정된 영역을 일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 및 선택된 전등 그룹에 전원을 공급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스위치 온오프 동작으로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면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조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PLANAR LIGHTING DEVICE FOR CONTROLING LIGHT BY SWITCHING}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는 면조명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치 온오프 동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다수의 면조명이 설치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면조명은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구성된다. 종래 면조명은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되는 기본 동작만이 가능하다. 또한, 면조명에 일대일 대응하는 스위치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온오프하여 대응하는 면조명을 점등 또는 점멸시켜 밝기를 조절한다. 그러나 면조명은 세부 밝기 조절이 불가능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7241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0142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발광 소자를 전등 그룹으로 묶고 복수의 전등 그룹 중 하나를 선택스위치로 선택해서 구동하는 면조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인 과제는 스위치 온오프 동작을 감지해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인 과제는 밝기를 조절해서 주변 조도에 맞는 밝기를 제공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면조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면조명은 광을 출력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 중 일부를 그룹으로 묶어 천정에 형성되는 광 영역과 상기 광 영역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영역을 구성하며 복수의 전등 그룹에 대응하는 광 영역은 천정에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광 영역을 분할하는 복수의 전등 그룹;
상기 복수의 전등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전등 그룹에 대해 전체 광 영역 중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을 일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
상기 선택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전등 그룹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전등 그룹과 각각 연결된 다수의 면조명접촉자;
상기 다수의 면조명접촉자와 접촉하고 둘 이상의 접점을 연결하는 이웃한 연결 접점을 가지는 복수의 접점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접점을 상기 드라이버와 연결하는 접촉자;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의 면조명접촉자와 상기 접촉자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등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택스위치의 스위칭을 감지하여 선택된 전등 그룹의 개수를 표시하는 엘이디; 및 스위치 조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회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면조명회로는,
전압이 플러스 상태에서 스위칭에 따라 접점 접촉에 의해 펄스 파형을 출력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펄스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펄스 개수와 제어 신호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카운터는 펄스 파형으로부터 교류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521), 교류 신호로부터 플러스 신호를 출력하는 다이오드, 플러스 신호와 미리 설정된 신호를 비교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디지털 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전등 그룹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스위치 온오프에 의해 접점 절환되는 릴레이 B; 및
상기 릴레이 B에 우선하여 복귀되는 릴레이 A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릴레이 A와 상기 릴레이 B에 각각 연결되는 스위치 조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면조명은 복수의 전등 그룹 중 하나를 선택해서 구동함으로써 스위치 조작으로 선택된 전등 그룹을 구동해서 면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면조명의 선택 교체가 가능해서 유지 보수가 편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면조명은 스위치 온오프 동작으로 면조명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면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면조명은 밝기를 조절해서 주변 조도에 맞는 밝기를 제공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 회로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면조명(100)은 다수의 발광 소자 중 일부를 그룹으로 묶어 천정에 광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등 그룹(110), 복수의 전등 그룹(1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복수의 전등 그룹(110)에 대해 전체 광 영역 중 미리 설정된 영역을 일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120), 선택된 전등 그룹에 전원을 공급하여 광 영역 중 미리 설정된 영역을 구동하는 드라이버(130)를 가진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면조명(100)이 설명된다.
복수의 전등 그룹(110)은 다수의 발광 소자 중 일부를 그룹으로 묶어 천정에 고유 영역을 차지하는 광 영역을 구성하는 장치이다. 복수의 전등 그룹(110)에 대응하는 광 영역은 천정에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광 영역에는 그룹으로 묶인 다수의 발광 소자가 포함되고 광 영역이 분할된 영역을 가지는 미리 설정된 영역이 포함된다. 미리 설정된 영역에는 그룹으로 묶인 다수의 발광 소자 중 일부 개수의 발광 소자가 포함된다. 광 영역이 분할되어 있어 분할된 영역의 발광 소자를 선택 교체가 가능해서 유지 보수가 편리할 수 있다.
선택스위치(120)는 복수의 전등 그룹(1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복수의 전등 그룹(110)에 대해 전체 광 영역 중 미리 설정된 영역을 일괄 선택하는 장치이다.
선택스위치(120)는 복수의 전등 그룹(110)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전등 그룹을 선택할 수 있고, 복수의 전등 그룹(110)이 가지는 전체 광 영역 중 미리 설정된 영역을 일괄 선택할 수 있다.
드라이버(130)는 선택스위치(120)로 선택된 전등 그룹에 전원을 공급하여 일괄 선택된 미리 설정된 영역을 구동하는 장치이다. 드라이버(130)는 선택스위치(120)로 선택된 전등 그룹을 구동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의 발광 소자를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면조명(100)은 발광 소자를 그룹으로 묶어 구성된 복수의 전등 그룹(110), 복수의 전등 그룹(1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120), 선택된 전등 그룹에 전원을 공급하는 드라이버(130), 선택스위치(120)의 스위칭을 감지하여 선택된 전등 그룹의 개수를 표시하는 엘이디(140)를 가진다. 도 1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의 면조명(100)이 설명된다.
복수의 전등 그룹(110)은 다수의 발광 소자 중 일부를 그룹으로 묶어 구성한 장치이다. 그룹으로 묶인 다수의 발광 소자는 광을 출력하고, 복수의 전등 그룹(110)은 휘도에 차등을 두고 다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등 그룹에는 각각 다른 개수의 발광 소자가 포함되어 각각 다른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선택스위치(120)는 접점 스위치로 연결과 차단을 통해 복수의 전등 그룹(1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장치이다. 선택스위치(120)는 각각의 접점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복수의 전등 그룹(1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선택스위치(200)는 다수의 면조명접촉자(210), 다수의 면조명접촉자(210)와 접촉하는 복수의 접점을 갖는 접촉자(220)를 가진다. 도 2를 참조하여 접점을 갖는 선택스위치(200)가 설명된다.
다수의 면조명접촉자(210)는 복수의 전등 그룹과 각각 연결된다. 다수의 면조명접촉자(210)는 복수의 전등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그룹으로 묶어 구성할 수 있다.
접촉자(220)는 다수의 면조명접촉자(210)와 접촉하고 둘 이상의 접점을 연결하는 이웃한 연결 접점을 가지는 복수의 접점을 갖고 드라이버와 연결할 수 있다. 이웃한 연결 접점은 복수의 접점 중 둘 이상을 연결하여 다수의 면조명접촉자(210)와 접촉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접촉자(220)는 복수의 접점을 스위칭하여 다수의 면조명접촉자(210)와 접촉하는 장치이다. 접촉자(220)와 면조명접촉자(210)의 접촉에 의해 복수의 전등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된다.
드라이버(130)는 선택된 전등 그룹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선택된 전등 그룹은 광을 출력하여 각기 다른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선택스위치(300)는 스위치 온오프에 의해 접점 절환되는 릴레이 B(320), 릴레이 B(320)에 우선하여 복귀되는 릴레이 A(310)를 가진다. 도 3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의 선택스위치(300)가 설명된다.
릴레이 B(320)는 복수의 전등 그룹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스위치 온오프에 의해 접점 절환된다. 릴레이 B(320)는 스위치 온오프에 의해 접점 절환되어 복수의 전등 그룹 중 하나 이상을 연결할 수 있다.
릴레이 A(310)는 릴레이 B(320)에 우선하여 복귀된다. 릴레이 A(310)는 릴레이 B(320)에 연결된 전등 그룹을 드라이버에 연결하는 장치이다. 드라이버는 릴레이 A와 릴레이 B에 각각 연결된 전등 그룹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등 그룹은 드라이버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면조명(100)은 선택된 전등 그룹의 개수를 표시하는 엘이디(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엘이디(140)는 선택스위치(120)의 스위칭을 감지하여 선택된 전등 그룹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이다. 엘이디(140)는 선택된 전등 그룹의 개수를 숫자로 표시하여 면조명의 밝기 정도를 간접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면조명(400)은 스위칭에 의해 펄스 파형을 출력하는 스위치(410), 펄스 파형에서 펄스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420), 펄스 개수에 따라 밝기를 제어하는 디밍 회로(430)를 가진다. 도 4를 참조하여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400)의 구성 요소가 설명된다.
스위치(410)는 스위치 온 상태에서 좌우 스위칭 또는 상하 스위칭에 의해 펄스 파형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스위치(410)는 전압이 플러스 값인 펄스 파형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410)는 스위치 온 상태, 스위치 오프 상태를 가지고, 스위치 온 상태에서 좌우 스위칭 또는 상하 스위칭을 가진다. 스위치(410)는 스위치 온 상태에서 좌우 스위칭 또는 상하 스위칭을 밝기 조절을 위한 펄스 파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카운터(420)는 펄스 파형에서 펄스 개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펄스 개수를 디밍 회로(430)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디밍 회로(430)는 펄스 개수의 크고 작음에 따라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디밍 회로(430)는 펄스 개수가 증가할수록 밝기를 세게 제어한다. 디밍 회로(430)는 펄스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에 도달하면 리셋하고 밝기를 최저부터 점점 세게 제어한다. 디밍 회로(430)는 밝기를 조절해서 주변 조도에 맞는 밝기를 제공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 회로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면조명 회로(500)는 펄스 파형을 출력하는 스위치(510), 펄스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520),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530), 펄스 개수와 제어 신호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회로(540)를 가진다. 카운터(520)는 펄스 파형으로부터 교류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521), 교류 신호로부터 플러스 신호를 출력하는 다이오드(522), 플러스 신호와 미리 설정된 신호를 비교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523), 디지털 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회로(524)를 가진다. 도 5를 참조하여 면조명 회로(500)의 상세 구성이 설명된다.
스위치(510)는 스위치 온 상태에서 좌우 스위칭 또는 상하 스위칭에 의해 펄스 파형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스위치(510)는 면조명 회로(500) 구성에 미포함될 수 있고 면조명 회로(500)의 카운터(520)는 필터(521)로 스위치(510)의 스위칭을 감지할 수 있다. 스위치(510)는 전압이 플러스 상태에서 좌우 스위칭 또는 상하 스위칭에 따라 접점 접촉에 의해 펄스 파형을 출력한다. 펄스 파형은 플러스 값을 가지고 스위칭에 따라 펄스 폭이 다르다. 스위치(510)는 좌우 스위칭 또는 상하 스위칭에 대응한 접점을 가지고 접점의 접촉에 따라 펄스 파형을 출력할 수 있다.
카운터(520)는 펄스 파형에서 펄스 개수를 카운트하는 장치이다. 카운터(520)를 구성하는 필터(521), 다이오드(522), 비교기(523), 카운트 회로(524)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필터(521)는 펄스 파형에서 교류 신호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필터(521)는 플러스 값을 가지는 펄스 파형에서 교류 신호를 필터링한다. 필터(521)는 교류 신호를 통과시키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필터(521)는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펄스 파형에서 교류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다이오드(522)는 정류 회로로 교류 신호에서 플러스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다이오드(522)는 교류 신호를 정류하여 플러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플러스 신호는 전압이 양의 값을 가지는 신호이다.
비교기(523)는 플러스 신호와 미리 설정된 신호를 비교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비교기(523)는 비교 결과에 따른 영과 일로 구분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비교기(523)의 디지털 신호는 펄스 개수의 카운팅을 위해 카운트 회로(524)로 전달된다.
카운트 회로(524)는 디지털 신호를 카운트하여 펄스 개수를 계산하는 장치이다. 카운트 회로(524)는 디지털 신호를 카운트한 펄스 개수를 디밍 회로(540)로 출력할 수 있다.
디밍 회로(540)는 펄스 개수의 크고 작음에 따라 밝기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디밍 회로(540)는 펄스 개수가 증가할수록 밝기를 세게 제어할 수 있다.
디밍 회로(540)는 펄스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에 도달하면 리셋하는 장치이다. 디밍 회로(540)는 리셋 후 최저 밝기부터 펄스 개수가 증가할수록 밝기를 세게 제어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는 버튼 조작에 따라 제어 신호를 면조명으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제어 신호에는 면조명 켜기, 면조명 끄기, 밝기 세게, 밝기 약하게가 포함된다. 리모트 컨트롤러는 버튼 눌림에 대응하여 해당 제어 신호를 인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수신기(530)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무선 채널을 통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수신기(530)는 적외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 중 어느 하나로 인코딩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밍 회로(54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밝기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디밍 회로(540)는 제어 신호를 해석해서 해석된 결과에 따라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디밍 회로(540)는 제어 신호의 밝기 세게 또는 밝기 약하게 명령에 따라 밝기를 제어한다. 디밍 회로(540)는 제어 신호에 따른 밝기 제어를 통해 주변 환경의 조도에 맞는 밝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면조명이 실행하는 면조명 제어 방법이 설명된다.
면조명 스위치가 온되고 밝기 조절을 위해 스위치 온 상태에서 좌우 스위칭 또는 상하 스위칭이 조작된다.
면조명은 스위치 온 상태에서 좌우 스위칭 또는 상하 스위칭에 의해 펄스 파형을 출력하는 동작이다(610). 면조명은 스위치 온 상태에서 좌우 스위칭 또는 상하 스위칭에 따라 플러스 값을 가지는 펄스 파형을 출력하는 동작이다. 스위치 조작에 의한 좌우 스위칭 또는 상하 스위칭은 플러스 값에서 변화하는 펄스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면조명은 펄스 파형에서 펄스 개수를 카운트하는 동작이다. 면조명은 펄스 개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면조명은 펄스 파형에서 교류 신호를 필터링하는 동작이다(620). 면조명은 플러스 값을 가지는 펄스 파형에서 교류 신호를 필터링하고, 다양한 펄스 폭을 가지는 교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면조명은 교류 신호를 정류하여 교류 신호에서 플러스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이다(630). 면조명은 플러스 값과 마이너스 값을 가지는 교류 신호에서 플러스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면조명은 플러스 신호와 미리 설정된 신호를 비교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이다(640). 면조명은 영과 일을 가지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신호는 플러스 신호의 펄스 파형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얻기 위해 실험적으로 설정된 기준 신호이다.
면조명은 디지털 신호를 카운트하는 동작이다(650). 면조명은 일 값을 가지는 디지털 신호를 카운트하여 펄스 개수를 출력할 수 있다. 카운트된 펄스 개수는 밝기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면조명은 펄스 개수에 따라 밝기를 제어하는 동작이다(660). 면조명은 펄스 개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면조명은 펄스 개수가 작으면 밝기를 약하게 제어하고 펄스 개수가 크면 밝기를 세게 제어할 수 있다.
면조명은 펄스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에 도달하면 리셋하여 초기화하는 동작이다(670). 면조명은 리셋 후 최저 밝기부터 펄스 개수의 증가에 따라 밝기를 점점 더 세게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면조명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밝기를 제어하는 면조명 제어 방법이 설명된다.
리모트 컨트롤러는 버튼 조작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신호는 적외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로 인코딩된다. 제어 신호에는 면조명 켜기, 면조명 끄기, 밝기 세게, 밝기 약하게가 포함된다. 제어 신호는 명령에 따라 인코딩되어 무선 채널을 통해 출력된다.
면조명은 무선 채널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이다(710). 면조명은 적외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 중 어느 하나로 인코딩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면조명은 제어 신호를 해석해서 해석 결과를 출력하는 동작이다(720). 면조명은 제어 신호가 밝기 세게, 또는 밝기 약하게, 또는 면조명 켜기, 또는 면조명 끄기인지를 판단한다. 면조명은 제어 신호에 포함된 밝기 조절 명령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면조명은 판단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밝기를 제어하는 동작이다(730). 면조명은 제어 신호를 해석해서 해석 결과에 따라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면조명은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밝기 세게 또는 밝기 약하게 명령에 따라 밝기를 제어한다. 무선 채널을 통해 면조명으로 전달된 제어 신호는 면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면조명
110 : 복수의 전등 그룹
120 : 선택스위치
130 : 드라이버

Claims (5)

  1. 광을 출력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 중 일부를 그룹으로 묶어 천정에 형성되는 광 영역과 상기 광 영역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영역을 구성하며 복수의 전등 그룹에 대응하는 광 영역은 천정에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광 영역을 분할하는 복수의 전등 그룹;
    상기 복수의 전등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전등 그룹에 대해 전체 광 영역 중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을 일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
    상기 선택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전등 그룹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전등 그룹과 각각 연결된 다수의 면조명접촉자;
    상기 다수의 면조명접촉자와 접촉하고 둘 이상의 접점을 연결하는 이웃한 연결 접점을 가지는 복수의 접점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접점을 상기 드라이버와 연결하는 접촉자;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의 면조명접촉자와 상기 접촉자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등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택스위치의 스위칭을 감지하여 선택된 전등 그룹의 개수를 표시하는 엘이디; 및 스위치 조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회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면조명회로는,
    전압이 플러스 상태에서 스위칭에 따라 접점 접촉에 의해 펄스 파형을 출력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펄스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펄스 개수와 제어 신호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카운터는 펄스 파형으로부터 교류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521), 교류 신호로부터 플러스 신호를 출력하는 다이오드, 플러스 신호와 미리 설정된 신호를 비교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디지털 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전등 그룹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스위치 온오프에 의해 접점 절환되는 릴레이 B; 및
    상기 릴레이 B에 우선하여 복귀되는 릴레이 A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릴레이 A와 상기 릴레이 B에 각각 연결되는 스위치 조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30004979U 2013-06-20 2013-06-20 스위치 조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 KR200473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979U KR200473257Y1 (ko) 2013-06-20 2013-06-20 스위치 조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979U KR200473257Y1 (ko) 2013-06-20 2013-06-20 스위치 조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257Y1 true KR200473257Y1 (ko) 2014-06-19

Family

ID=5149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979U KR200473257Y1 (ko) 2013-06-20 2013-06-20 스위치 조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5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70B1 (ko) * 2008-08-25 2009-04-24 주식회사 유코스텍 주거 멀티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세대 설치기기들 및 그들을포함하는 세대편의 통합관리 시스템
KR20120125864A (ko) * 2011-05-09 2012-11-19 최광준 상용 ac 라인 신호 방식의 led 조광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70B1 (ko) * 2008-08-25 2009-04-24 주식회사 유코스텍 주거 멀티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세대 설치기기들 및 그들을포함하는 세대편의 통합관리 시스템
KR20120125864A (ko) * 2011-05-09 2012-11-19 최광준 상용 ac 라인 신호 방식의 led 조광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2528B2 (en) Electrical load controller having a frame with an integrally formed backlightable indicator region
TWI463917B (zh) 燈具及其開關裝置
US8674625B2 (en) Synchronous light adjustment method and th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124478B1 (ko) 엘이디 조명의 조도 자동 제어장치
US20140312776A1 (en) Dimming led lighting system
CN103702480A (zh) Led驱动电路及其结合电源开关改变发光颜色的方法
JP2013165004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6113669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JP5574829B2 (ja) Led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US8148908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for lamp
KR200473257Y1 (ko) 스위치 조작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
JP2010251115A (ja) 照明装置
RU2011142218A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освещением и модуль управления освещением
KR101597149B1 (ko) 엘이디 조명등 지연 소등장치
JP2016134211A (ja)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システム
KR101650039B1 (ko) Led 등기구 및 그 운용 방법
KR20140078128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CN103415115A (zh) Led照度调节方法
KR101113688B1 (ko) 조도 조절 가능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101521206B1 (ko) 전원 신호 및 리모컨 신호를 이용한 절전형 엘이디 등기구
KR101294106B1 (ko) 조명장치, 조명장치의 전력제어방법, 및 조명장치의 전력제어모듈
JP6422609B1 (ja) 負荷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設置方法
KR101079053B1 (ko) 모션 센서를 구비하는 절전형 엘이디 등기구
CN201766759U (zh) Led灯具的驱动电路
KR101494816B1 (ko) 조명 조절 시스템 및 조도 조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