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01Y1 -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 - Google Patents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01Y1
KR200473201Y1 KR2020120007785U KR20120007785U KR200473201Y1 KR 200473201 Y1 KR200473201 Y1 KR 200473201Y1 KR 2020120007785 U KR2020120007785 U KR 2020120007785U KR 20120007785 U KR20120007785 U KR 20120007785U KR 200473201 Y1 KR200473201 Y1 KR 200473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charge amount
pumping
fluid contain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455U (ko
Inventor
차솔지
Original Assignee
차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솔지 filed Critical 차솔지
Priority to KR2020120007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01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4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4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가 개시된다. 상기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는, 유체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중앙에 관통구를 구비하는 캡부, 상기 캡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체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펌핑부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내부유로를 통해 통과시키며,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배출유로부, 상기 제1 결합수단의 일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수단이 내측면에 형성되는 토출량 조절부, 및 상기 배출유로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상기 펌핑부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Pump Dispenser For Adjusting Discharge Rate And Fluid Container Combined Therewith}
본 고안은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출유로부에 결합되는 토출량 조절부에 의해 유체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내용물의 낭비 없이 토출헤드부를 잠글 수 있는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용기나 향수용기와 같은 유체용기의 입구에는 사용자가 가한 압력에 따라 유체용기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펌프 디스펜서가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펌프 디스펜서는, 이사 등을 위해 펌프 디스펜서의 토출을 잠그기 위해서는 토출헤드부를 아래 방향으로 끝까지 누른 후 돌려서 잠가야 하기 때문에, 유체용기의 내용물이 한 번은 토출되어 낭비되는 문제점과 토출된 내용물이 유체용기나 사용자의 손에 묻을 경우 내용물의 미끄러움 때문에 토출헤드부를 돌려 잠그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돌려 잠근 토출헤드부가 조금만 움직이게 되어도 토출헤드부의 잠금이 풀려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펌프 디스펜서는 토출헤드부가 받는 압력에 따라 내용물의 토출량이 결정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내용물을 정확히 토출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0451호에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보관용기"가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토출량 조절을 위해 복잡한 구성을 채택하고 있고, 조절되는 토출량의 범위가 제한적이며, 토출헤드부의 잠금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0451호("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보관용기")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출유로부에 결합되는 토출량 조절부에 의해 유체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내용물의 낭비 없이 토출헤드부를 잠글 수 있는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는, 유체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중앙에 관통구를 구비하는 캡부, 상기 캡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체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펌핑부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내부유로를 통해 통과시키며,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배출유로부, 상기 제1 결합수단의 일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수단이 내측면에 형성되는 토출량 조절부, 및 상기 배출유로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상기 펌핑부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유로부는 상기 토출량 조절부를 관통하며, 상기 배출유로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수단은 제1 나사홈이고, 상기 토출량 조절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수단은 제2 나사홈이며, 상기 토출량 조절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토출량 조절부가 상기 배출유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헤드부는, 상기 토출헤드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3 나사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토출헤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3 나사홈이 상기 배출유로부의 제1 나사홈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량 조절부는, 상기 토출량 조절부의 외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삽입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부는, 상기 캡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면에 제4 나사홈을 포함하는 토출잠금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량 조절부는, 상기 토출량 조절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홈보다 아래 쪽에 형성되는 제5 나사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4 나사홈과 상기 제5 나사홈의 결합에 따라 상기 유체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의 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유로부는 상기 토출량 조절부를 관통하며, 상기 배출유로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이고, 상기 토출량 조절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삽입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과 상기 삽입부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토출량 조절부와 상기 캡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보관되는 유체용기, 상기 유체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중앙에 관통구를 구비하는 캡부, 상기 관통구에 결합되고, 상기 유체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펌핑부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내부유로를 통해 통과시키며,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홈을 구비하는 배출유로부, 상기 제1 나사홈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2 나사홈이 내측면에 형성되는 토출량 조절부, 및 상기 배출유로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상기 펌핑부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유로부는 상기 토출량 조절부를 관통하며, 상기 토출량 조절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토출량 조절부가 상기 배출유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는, 배출유로부에 결합되는 토출량 조절부에 의해 사용자가 자신의 필요에 맞게 유체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는, 토출량 조절부를 이용해 간단히 토출헤드부를 잠글 수 있어 내용물의 낭비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는, 토출량 조절부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삽입홈이 존재함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토출량 조절부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는, 토출헤드부의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취향 또는 유체용기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토출량 조절부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의 제1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의 제2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의 제3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캡부(110), 펌핑부(120), 배출유로부(130), 토출량 조절부(140) 및 토출헤드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샴푸나 향수 등의 유체(내용물)를 보관하는 유체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토출헤드부(150)에 대한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캡부(110)는 내측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유체용기의 입구에 결합될 수 있고, 중앙에 관통구를 구비할 수 있다.
펌핑부(120)는 상기 캡부(110)의 관통구 또는 하단에 결합되고, 유체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을 펌핑할 수 있다. 상기 펌핑부(120)는 실린더부(123) 및 흡입튜브부(126)를 구비할 수 있고, 펌핑부(12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2a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배출유로부(130)는, 펌핑부(120)의 상단에 결합되고, 핌핑부(120)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내부유로를 통해 통과시키며, 외측면에 제1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부(130)에 형성되는 제1 결합수단에 대해서는 도 2a, 도 2b 및 도 4a,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토출량 조절부(140)는, 내측면에 제2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수단은 배출유로부(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수단의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토출량 조절부(140)에 형성되는 제2 결합수단에 대해서도 도 2a, 도 2b 및 도 4a,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토출량 조절부(140)는 배출유로부(130)와의 결합 위치에 따라 배출유로부(13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토출헤드부(150)에 사용자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 토출헤드부(150)가 얼마만큼 눌려질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토출헤드부(150)는, 배출유로부(140)의 상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펌핑부(120)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캡부(110), 펌핑부(120), 배출유로부(130), 토출량 조절부(140) 및 토출헤드부(150)를 구비할 수 있고, 내용물(190)이 포함된 유체용기(18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체용기(18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캡부(110)는, 내측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유체용기(180)의 입구에 결합될 수 있고, 중앙에 관통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용기(180)의 입구 외측면에도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캡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홈과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캡부(110)와 유체용기(180)가 결합될 수 있다. 캡부(1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구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캡부(110)의 평면도는 도넛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펌핑부(12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110)의 관통구 및 하단에 결합되고, 유체용기(180)에 보관된 내용물(190)을 펌핑할 수 있다. 펌핑부(120)는 캡부(110)와의 결합을 위해 펌핑부(120)의 상단이 관통구 또는 캡부(110)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고,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펌핑부(120)의 상단이 캡부(110)의 관통구 및 하단과 모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부(120)는 피스톤부(121), 압력실(122), 실린더부(123), 스프링부(124), 볼밸브부(125) 및 흡입튜브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피스톤부(121)는, 상단이 배출유로부(130)와 결합되고 사용자가 토출헤드부(150)를 아래로 누름에 따라 압력실(122) 내부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부(121)는 스프링부(124)의 상단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고, 피스톤부(121)의 일측에는 통공(12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121)의 하단에는 피스톤부(121)가 펌핑부(12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압력실(122)은, 실린더부(123)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흡입튜브부(126)을 통해 펌핑된 내용물(190)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실린더부(1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캡부(110)의 관통구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고, 내부에 압력실(122)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부(124)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실(12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코일스프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볼밸브부(125)는, 압력실(12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123)의 하단 입구보다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실린더부(123)의 하단 입구에 걸려서 배치될 수 있다. 볼밸브부(125)는 압력실(122)에 저장된 내용물의 하강압력에 의해 실린더부(123)의 하단 입구를 차단하거나, 흡입튜브부(126)를 따라 압력실(122)로 이동하는 내용물(190)에 의해 실린더부(123)의 하단 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흡입튜브부(126)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123)의 하단 입구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흡입튜브부(126)는 플라스틱 재질의 대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펌핑부(12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펌핑부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펌핑부로 변경될 수 있다.
배출유로부(130)는, 펌핑부(120), 특히 펌핑부(120)에 구비되는 피스톤부(12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토출량 조절부(140)를 관통할 수 있다. 배출유로부(130)는 내부에 내부유로가 형성된 대롱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펌핑부(120)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190)을 내부유로를 통해 통과시킬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로부(130)의 외측면에는 제1 결합수단으로서 제1 나사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량 조절부(140)는, 내측면에 제2 결합수단으로서 제2 나사홈(14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량 조절부(1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나사홈(143)은 배출유로부(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홈(133)의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토출량 조절부(140)는 중앙에 배출유로부(130)가 관통되는 원형의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토출량 조절부(140)의 평면도는 도넛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토출량 조절부(140)는 제2 나사홈(143)이 제1 나사홈(133)의 일부와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토출량 조절부(140)를 시계반대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토출량 조절부(140)는 배출유로부(13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토출량 조절부(140)는 토출량 조절부(140)의 외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삽입홈(14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삽입홈(145)은 사용자가 토출량 조절부(140)를 회전시킬 때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토출량 조절부(140)의 외부에 손가락 모양으로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토출량 조절부(140)에 복수 개의 손가락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토출량 조절부(140)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삽입홈(145)이 존재함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토출량 조절부(140)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토출량 조절부(140)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토출량 조절부의 형태는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토출량 조절부는, 곰돌이, 꽃, 별, 리본과 같이 어린이 용기에 어울리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내용물(190)이 가지는 향에 따라 내용물의 향을 나타내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예: 내용물의 사과향을 가지는 경우 사과 형태로 토출량 조절부를 구현), 나뭇잎 형태와 같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토출량 조절부는, 배출유로부(13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가 중앙에 형성되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토출헤드부(150)는, 배출유로부(130)의 상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펌핑부(120)의 압력실(122)에 압력을 가하여 펌핑부(120)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190)을 내부 공간 및 토출구(155)를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배출유로부(130)에 결합된 토출량 조절부(140)의 존재로 인해, 사용자가 토출헤드부(150)를 눌러 내용물(190)을 외부로 토출할 때 배출유로부(130)의 전체 길이만큼이 아닌 토출량 조절부(140)와 캡부(110) 사이의 거리(h) 만큼만 토출헤드부(150)가 아래로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토출량 조절부(140)를 회전시켜 토출량 조절부(140)를 배출유로부(130)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토출량 조절부(140)와 캡부(110) 사이의 거리(h)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토출헤드부(150)를 누름으로써 토출되는 내용물(190)의 토출량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사용자가 토출량 조절부(140)를 완전히 하강시켜 캡부(110)의 상단에 밀착시키면, 토출량 조절부(140)와 캡부(110) 사이의 거리(h)가 0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토출헤드부(150)를 누르더라도 토출헤드부(150)가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고정되어 잠기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토출헤드부를 잠그기 위해서는 토출헤드부를 아래 방향으로 끝까지 누른 후 돌려서 잠가야 하기 때문에 유체용기의 내용물이 한 번은 토출되어 낭비되는 종래의 펌프 디스펜서와는 달리, 유체용기(180)의 내용물(190)의 낭비 없이 토출량 조절부(140)를 이용해 토출헤드부(150)를 잠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토출헤드부(150)는 토출헤드부(15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3 나사홈(153)을 더 구비하고, 토출헤드부(150)의 회전에 의해 제3 나사홈(153)이 배출유로부(130)의 제1 나사홈(133)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토출헤드부(150)를 배출유로부(130)로부터 분리한 후 토출량 조절부(140)를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토출량 조절부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의 토출헤드부(150)를 사용자가 화살표 방향으로 누른 모습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토출헤드부(150)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스프링부(124)의 탄성을 이기면서 피스톤부(121)가 압력실(122)로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부(123)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내용물(190)이 통공(127) -> 피스톤부(121)의 내부공간 -> 배출유로부(130)의 내부유로 -> 토출헤드부(150)의 내부공간 -> 토출구(155)의 순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볼밸브부(125)는 압력실(122)에 저장된 내용물의 하강 압력에 의해 실린더부(123)의 하단 입구에 밀착되어 실린더부(123)의 하단 입구를 차단함으로써, 사용자가 토출헤드부(150)를 눌렀을 때 압력실(122)과 흡입튜브부(126) 사이에 내용물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토출헤드부(150)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도 2a에 도시된 토출량 조절부(140)와 캡부(110) 사이의 거리(h) 만큼만 토출헤드부(150)가 아래로 눌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내용물(190)의 토출량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사용자가 토출헤드부(150)에 대한 압력을 제거하면, 스프링부(124)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부(121)가 상승하면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부(121)의 통공(127)이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내용물(190)의 토출이 차단되고, 피스톤부(121)의 갑작스런 상승에 따라 압력실(122) 내부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유체용기(180)에 저장된 내용물(190)이 볼밸브부(125)를 상승시키면서 실린더부(123)의 하단 입구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내용물(190)이 흡입튜브부(126)를 통해 압력실(122)로 흡입되어 압력실(122) 내부를 채울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사용자가 토출헤드부(150)를 화살표 방향으로 눌렀다 떼는 동작을 함에 따라, 유체용기(180)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190)이 외부로 토출되고 펌핑부(120) 내부에 내용물(190)이 다시 채워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300)는, 캡부(310), 펌핑부(320), 배출유로부(330), 토출량 조절부(340) 및 토출헤드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캡부(310)는, 내측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유체용기(380)의 입구에 결합될 수 있고, 중앙에 관통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용기(380)의 입구 외측면에도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캡부(3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홈과 결합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캡부(310)는 도 2a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에 구비되는 캡부(110)와 유사할 수 있다.
다만, 도 3a에 도시된 캡부(310)는 도 2a에 도시된 캡부(110)와는 달리, 캡부(31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면에 제4 나사홈(313)을 포함하는 토출잠금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토출잠금부(311)에 형성되는 제4 나사홈(313)은, 토출량 조절부(34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5 나사홈(347)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b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펌핑부(320)는, 상기 캡부(310)의 관통구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유체용기(380)에 보관된 내용물을 펌핑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부(320)는 피스톤부(321), 압력실(322), 실린더부(323), 스프링부(324), 볼밸브부(미도시) 및 흡입튜브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펌핑부(320)에 구비되는 피스톤부(321), 압력실(322), 실린더부(323), 스프링부(324), 볼밸브부(미도시) 및 흡입튜브부(미도시)는 도 2a에 도시된 펌핑부(120)에 구비되는 피스톤부(121), 압력실(122), 실린더부(123), 스프링부(124), 볼밸브부(125) 및 흡입튜브부(126)와 유사할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변경될 수 있다.
배출유로부(330)는, 펌핑부(320), 특히 펌핑부(320)에 구비되는 피스톤부(32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토출량 조절부(340)를 관통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배출유로부(330)도 도 2a에 도시된 배출유로부(130)와 유사할 수 있다.
토출량 조절부(34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나사홈(343) 및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삽입홈(34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토출량 조절부(340)는 도 2a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에 구비되는 토출량 조절부(140)와 유사할 수 있다.
다만, 도 3a에 도시된 토출량 조절부(340)는 도 2a에 도시된 토출량 조절부(140)와는 달리, 토출량 조절부(34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홈(343)보다 아래 쪽에 형성되는 제5 나사홈(34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토출량 조절부(34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5 나사홈(347)은 토출잠금부(311)에 형성되는 제4 나사홈(313)과 결합되어 유체용기(380)에 보관된 내용물의 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2a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사용자가 토출량 조절부(140)를 캡부(110)의 상단까지 완전히 하강시켜 토출헤드부(150)를 잠그더라도 이사 등의 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 등에 따라 토출량 조절부(140)가 회전되어 토출헤드부(150)의 잠금이 풀릴 수 있는 반면에, 도 3a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300)는, 사용자가 토출량 조절부(340)를 회전시켜 토출잠금부(313)의 제4 나사홈(313)과 토출량 조절부(340)의 제5 나사홈(347)을 결합시키면, 토출헤드부(350)가 이중으로 잠겨진 상태가 되어 이동 중에 토출헤드부(350)의 잠금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토출헤드부(350)는, 토출헤드부(35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3 나사홈(353) 및 펌핑부(320)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35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토출헤드부(350)는 도 2a에 도시된 토출헤드부(150)와 유사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300)의 토출헤드부(350)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른 후 토출잠금부(311)를 이용해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토출량 조절부(340)를 회전시켜 토출량 헤드부(350)에 밀착시킨 후, 토출량 헤드부(350)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른 후 토출잠금부(311)의 제4 나사홈(313)과 토출량 조절부(140)의 제5 나사홈(347)을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300)는, 배출유로부(330)를 완전히 삽입하여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300)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인 상태로 토출헤드부(350)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400)는, 캡부(410), 펌핑부(420), 배출유로부(430), 토출량 조절부(440) 및 토출헤드부(4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400)에 구비되는 캡부(410), 펌핑부(420) 및 토출헤드부(450)는 도 2a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에 구비되는 캡부(110), 펌핑부(120) 및 토출헤드부(150)와 유사할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변경될 수 있다.
배출유로부(430)는, 펌핑부(42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토출량 조절부(440)를 관통할 수 있다. 배출유로부(430)는 내부에 내부유로가 형성된 대롱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펌핑부(420)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내부유로를 통해 통과시킬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유로부(430)의 외측면에는 제1 결합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43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제1 나사홈(133)은 나선형 형태로 형성되지만, 도 4a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433)은 캡부(410)나 토출헤드부(450)에 수평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량 조절부(440)는, 중앙에 배출유로부(430)가 관통되는 원형의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토출량 조절부(440)의 평면도는 도넛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토출량 조절부(440)는 토출량 조절부(440)의 외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삽입홈(44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토출량 조절부(440)는, 내측면에 제2 결합수단으로서 삽입부(44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량 조절부(4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부(443)는 배출유로부(4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43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443)는 토출량 조절부(440)의 고정부(441)에 일부가 결합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고정부(441) 상에서 슬라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삽입부(443)의 상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삽입홈(445)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 삽입부(443)를 바깥쪽으로 밀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443)는 고정부(441) 상에서 슬라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토출량 조절부(440)를 상하로 이동시킨 후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44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부(443)를 안쪽으로 밀어 넣어 토출량 조절부(440)를 배출유로부(430)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433)과 상기 삽입부(443)의 결합 위치에 따라 토출량 조절부(440)와 상기 캡부(410) 사이의 거리(h)가 조절될 수 있다. 토출량 조절부(440)와 캡부(410) 사이의 거리(h)에 따라 토출헤드부(150)를 누름으로써 토출되는 내용물(190)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음은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에서 배출유로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수단 및 토출량 조절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수단은, 도 2a에 도시된 제1 나사홈(133)과 제2 나사홈(143), 및 도 4a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433)과 삽입부(443)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결합수단 또는 체결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의 제1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유체용기(18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캡부(110), 배출유로부(130), 토출량 조절부(140) 및 토출헤드부(150)를 구비할 수 있고, 도 5a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펌핑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토출량 조절부(140)를 회전시켜 토출헤드부(150)에 밀착된 상태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가 결합된 유체용기(180)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토출헤드부(150)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토출량 조절부(140)와 캡부(110) 사이의 거리(h) 만큼 토출헤드부(150)가 아래로 눌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펌핑된 내용물이 토출헤드부(15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의 제2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가 결합된 유체용기(18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가 결합된 유체용기(18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토출량 조절부(140)를 회전시켜 토출량 조절부(140)가 토출헤드부(150) 및 캡부(11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가 결합된 유체용기(180)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토출헤드부(150)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토출량 조절부(140)와 캡부(110) 사이의 거리(h) 만큼 토출헤드부(150)가 아래로 눌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펌핑된 내용물이 토출헤드부(15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배출유로부(130)에 결합된 토출량 조절부(140)의 존재로 인해, 토출량 조절부(140)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 토출량 조절부(140)와 캡부(110) 사이의 거리(h) 만큼만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토출량 조절부(140)를 회전시켜 토출량 조절부(140)를 배출유로부(130)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토출량 조절부(140)와 캡부(110) 사이의 거리(h)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토출헤드부(150)를 누름으로써 토출되는 내용물(190)의 토출량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의 제3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가 결합된 유체용기(18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가 결합된 유체용기(18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토출량 조절부(140)를 완전히 하강시켜 캡부(110)의 상단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10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량 조절부(140)와 캡부(110) 사이의 거리가 0에 가깝기 때문에, 사용자가 토출헤드부(150)를 누르더라도 토출헤드부(150)가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고정되어 잠기게 된다. 따라서, 토출헤드부(150)의 누름이 방지되므로, 유체용기(180)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310, 410: 캡부 120, 320, 420: 펌핑부
121, 321, 421: 피스톤부 122, 322, 422: 압력실
123, 323, 423: 실린더부 124, 324, 424: 스프링부
125: 볼밸브부 126: 흡입튜브부
127, 327, 427: 통공 130, 330, 430: 배출유로부
133, 333: 제1 나사홈 140, 340, 440: 토출량 조절부
143, 343: 제2 나사홈 145, 345, 445: 손가락 삽입홈
150, 350: 토출헤드부 153, 353: 제3 나사홈
155, 355: 토출구 180, 380, 480: 유체용기
190: 내용물 311: 토출잠금부
313: 제4 나사홈 347: 제5 나사홈
433: 삽입홈 441: 고정부
443: 삽입부

Claims (7)

  1. 유체용기(180, 380)의 입구에 결합되고, 중앙에 관통구를 구비하는 캡부(110, 310);
    상기 캡부(110, 310)에 결합되고, 상기 유체용기(180, 380)에 보관된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부(120, 320);
    상기 펌핑부(120, 32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펌핑부(120, 320)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내부유로를 통해 통과시키며,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배출유로부(130, 330);
    상기 제1 결합수단의 일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수단이 내측면에 형성되는 토출량 조절부(140, 340); 및
    상기 배출유로부(130, 330)의 상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상기 펌핑부(120, 320)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헤드부(150, 350)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유로부(130, 330)는 상기 토출량 조절부(140, 340)를 관통하며,
    상기 배출유로부(130, 3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수단은 제1 나사홈(133)이고,
    상기 토출량 조절부(140, 3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수단은 제2 나사홈(143, 343)이며,
    상기 토출량 조절부(140, 3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토출량 조절부(140, 340)가 상기 배출유로부(130, 33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되,
    상기 토출량 조절부(140, 340)는,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유로부(130, 330)의 최하단으로 이동하여, 상기 캡부(110, 310)의 상단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헤드부(150, 350)는,
    상기 토출헤드부(150, 35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3 나사홈(153, 353)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토출헤드부(150, 3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3 나사홈(153, 353)이 상기 배출유로부(130, 330)의 제1 나사홈(133, 333)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부(140, 340)는,
    상기 토출량 조절부(140, 340)의 외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삽입홈(145, 34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110, 310)는,
    상기 캡부(110, 31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면에 제4 나사홈(313)을 포함하는 토출잠금부(311)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량 조절부(140, 340)는,
    상기 토출량 조절부(140, 34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홈(143, 343)보다 아래 쪽에 형성되는 제5 나사홈(347)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4 나사홈(313)과 상기 제5 나사홈(347)의 결합에 따라 상기 유체용기(180, 380)에 보관된 내용물의 토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6. 삭제
  7. 내부에 내용물이 보관되는 유체용기(180, 380);
    상기 유체용기(180, 380)의 입구에 결합되고, 중앙에 관통구를 구비하는 캡부(110, 310);
    상기 관통구에 결합되고, 상기 유체용기(180, 380)에 보관된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부(120, 320);
    상기 펌핑부(120, 32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펌핑부(120, 320)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내부유로를 통해 통과시키며,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홈(133, 333)을 구비하는 배출유로부(130, 330);
    상기 제1 나사홈(133, 333)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2 나사홈(143, 343)이 내측면에 형성되는 토출량 조절부(140, 340); 및
    상기 배출유로부(130, 330)의 상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상기 펌핑부(120, 320)를 통해 펌핑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헤드부(150, 350)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유로부(130, 330)는 상기 토출량 조절부(140, 340)를 관통하며, 상기 토출량 조절부(140, 3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토출량 조절부(140, 340)가 상기 배출유로부(130, 33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되,
    상기 토출량 조절부(140, 340)는,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유로부(130, 330)의 최하단으로 이동하여, 상기 캡부(110, 310)의 상단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
KR2020120007785U 2012-08-31 2012-08-31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 KR200473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785U KR200473201Y1 (ko) 2012-08-31 2012-08-31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785U KR200473201Y1 (ko) 2012-08-31 2012-08-31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55U KR20140001455U (ko) 2014-03-10
KR200473201Y1 true KR200473201Y1 (ko) 2014-06-19

Family

ID=5149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785U KR200473201Y1 (ko) 2012-08-31 2012-08-31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1314A (ko) 2020-06-04 2021-12-14 정병권 노터치형 손소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33Y1 (ko) * 2016-07-15 2017-12-11 김나경 펌프 용기의 배출량 조절장치
KR101904381B1 (ko) * 2017-07-18 2018-11-21 이 용 대 방수형 펌프 디스펜서
KR102044128B1 (ko) 2019-08-19 2019-11-12 이영주 펌프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2390A (ja) * 2002-02-28 2003-09-10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容器
KR200383181Y1 (ko) * 2005-02-01 2005-05-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프 디스펜서
KR200441174Y1 (ko) * 2007-01-02 2008-07-30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로크 조절용 승강 홀더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배출펌프 유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2390A (ja) * 2002-02-28 2003-09-10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容器
KR200383181Y1 (ko) * 2005-02-01 2005-05-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프 디스펜서
KR200441174Y1 (ko) * 2007-01-02 2008-07-30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로크 조절용 승강 홀더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배출펌프 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1314A (ko) 2020-06-04 2021-12-14 정병권 노터치형 손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55U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1832B2 (ja) 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200473201Y1 (ko)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 및 토출량 조절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된 유체용기
EP3206527B1 (en) Rotary-push type cosmetic container
JP2009543742A5 (ko)
US20160159555A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KR101416049B1 (ko)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KR20130004827U (ko)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146999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101242201B1 (ko)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펌프식 화장품용기
EP3638426B1 (en) Hand pump with folding nozzle
BR112016028913B1 (pt) Sistema dispensador de bebida, recipiente, dispositivo de pressurização e regulador de pressão
KR102502821B1 (ko) 액체 디스펜서용 배출 헤드 및 이러한 배출 헤드를 갖는 액체 디스펜서
KR101651452B1 (ko) 화장품용기의 토출량 조절펌프
JP6277094B2 (ja) 吐出面に内容物を吐出する吐出容器
US2519640A (en) Sirup dispensing pump
US10118753B2 (en) Metering valve
US4916760A (en) Dispensing device
KR101709102B1 (ko) 워터 드립 제어밸브를 이용한 더치 커피 드립퍼
KR102044543B1 (ko) 조절 가능한 구조의 정량분출 기구
US10934077B2 (en) Powder dispensing container
US6477942B1 (en) Beverage infusion container
KR200269088Y1 (ko) 탄산 음료수병의 압력조절용 병마개
JP3941469B2 (ja) トリガー式ディスペンサー
KR101950808B1 (ko) 펌프 디스펜서
KR200478513Y1 (ko) 더치커피 추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