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017Y1 - 그네 - Google Patents

그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017Y1
KR200473017Y1 KR2020130008449U KR20130008449U KR200473017Y1 KR 200473017 Y1 KR200473017 Y1 KR 200473017Y1 KR 2020130008449 U KR2020130008449 U KR 2020130008449U KR 20130008449 U KR20130008449 U KR 20130008449U KR 200473017 Y1 KR200473017 Y1 KR 200473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ding
rope
swing
suspension
suspen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성
Original Assignee
이호성
좋은아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성, 좋은아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호성
Priority to KR2020130008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피가 작아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며 안락하고 안전하여 어린 아이들이 안전하게 타고 놀 수 있으며 흔들의자로도 사용이 가능한 그네에 관한 것이다. 그네는, 내부에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바닥부와, 일단부는 각각 로프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바닥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바닥부와 로프를 연결하어 바닥부를 공중에 매다는 제1 현수부 및 제2 현수부와, 제1 현수부와 제2 현수부를 연결하는 등판부를 포함하되, 바닥부, 제1 현수부, 제2 현수부 및 등판부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고, 제1 현수부와 제2 현수부와 등판부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면을 이루며 바닥부의 모서리를 따라 연결되어 내측에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안착공간은 전방의 제1 현수부와 제2 현수부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

Description

그네{Swing}
본 고안은 그네에 관한 것으로서, 부피가 작아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며 안락하고 안전하여 어린 아이들이 안전하게 타고 놀 수 있으며 흔들의자로도 사용이 가능한 그네에 관한 것이다.
그네는 대부분의 놀이터에는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놀이기구로서, 특히 어린 아이들이 매우 좋아하며 아이들의 운동능력이나 정서 발달에 매우 좋은 놀이기구 중의 하나이다.
통상 놀이터에 설치되는 그네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판에 두 줄의 체인 또는 로프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1 ~ 3세 영유아가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실내용으로 영유아를 위한 다양한 그네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71966호에 기재된 그네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영유아용 그네는 영유아의 체형에 알맞게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며 각종 보호용 지지보호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그네는 전체적인 부피가 커서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아,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주로 영유아의 체형에 맞도록 제작되어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그네의 형상 유지를 위하여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안락한 느낌이 적으며, 아이가 그네에 내려서 밀고 장난을 치다가 흔들리는 그네에 맞아서 다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에, 영유아부터 성장기 어린이까지 모든 연령대별로 사용이 가능하며, 설치와 보관이 용이하고 안락하고 안전한 그네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71966호, (1999.12.08)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피가 작아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며 안락하고 안전하여 어린 아이들이 안전하게 타고 놀 수 있으며 흔들의자로도 사용이 가능한 그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그네는, 내부에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바닥부와, 일단부는 각각 로프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바닥부와 상기 로프를 연결하어 상기 바닥부를 공중에 매다는 제1 현수부 및 제2 현수부와,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를 연결하는 등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 상기 제1 현수부, 상기 제2 현수부 및 상기 등판부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고,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와 상기 등판부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면을 이루며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를 따라 연결되어 내측에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공간은 전방의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
상기 바닥부, 상기 제1 현수부, 상기 제2 현수부 및 상기 등판부는 직물재로 이루어져 봉제 가공되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는 면을 이루는 직물재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접혀서 상기 로프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상단부보다 넓게 펴져서 상기 바닥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봉제 가공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바닥부에 밀착되고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로프와 결합되는 고리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지지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는 상기 상단부가 상기 안착공간을 바라보는 내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접혀 상기 고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등판부는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 사이가 상방으로 개방된 만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가 상기 로프에 매달려 있을 때 상기 등판부는 상기 안착공간 내측으로 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등판부는 상기 만입부의 둘레를 따라 봉제 가공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고리부에 연결되는 제2 지지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내측에 상기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주머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에 유체가 채워진 유체 쿠션일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면부와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를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주머니부를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는 상기 상면부와 상기 측면부가 서로 접하는 모서리를 따라 상기 바닥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현수부, 상기 제2 현수부 및 상기 등판부를 횡방향으로 절단한 면을 기준으로 판단할 때 중심점을 기준으로 100 ~ 150˚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에 2열 3행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로프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그네는, 직물재로 이루어져 부피가 작아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단하여 실내외의 다양한 장소에 이동설치가 용이하다.
직물재로 이루어지고 유체 쿠션으로 이루어져 영유아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체형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하며, 높낮이를 조절하면 그네와 흔들의자를 서로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직물재로 이루어져 세척이 용이하며, 영유아가 밀면서 장난치더라도 흔들리는 그네에 타격되어 다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그네는 앞면의 개구부가 넓게 개방되어 있고 뒷면의 등판부가 탑승자의 머리 또는 허리를 적절한 각도로 지지해주어 직물재로 둘러싸여 있는 안락함과 머리 또는 허리의 편안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그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그네를 A-A 선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그네의 바닥부가 개방되어 유체 쿠션이 노출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그네를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그네의 제1 현수부와 고리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로프를 가로 봉에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스토퍼를 이용하여 로프를 가로봉에 고정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네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그네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그네를 A-A 선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그네의 바닥부가 개방되어 유체 쿠션이 노출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배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네(1)는 가요성 재질인 직물재로 이루어지며 두 줄의 로프(70)에 매달려 사용하는 놀이기구로서,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바닥부(10)와, 바닥부(10)를 로프(70)에 고정하는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가 봉제 가공되어 형성된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그네(1)의 재질로서 가요성 재질 중의 하나의 직물재를 예로써 설명한다. 그러나, 반드시 직물재로 한정할 것은 아니고 비닐, 고무 등과 같은 가요성을 갖는 천연재질 또는 합성재질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들이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공기가 들어있는 비닐튜브로 이루어진 바닥부에 직물재로 이루어진 제1 현수부 및 제2 현수부가 연결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네(1)는 직물재로 이루어져 보자기에 싸여 있는 것과 같은 안락함을 유지하면서, 아이들이 타고 내리기가 편하며 목과 등이 불편하지 않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어 답답하지 않도록 고안된 놀이기구 겸 가구에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그네(1)의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네(1)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바닥부(10)와, 바닥부(10)를 매달고 지지할 수 있는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를 포함한다. 바닥부(10)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부분으로, 내부에 완충부재(14)가 삽입되어 있다. 완충부재(14)는 탑승자가 안락하게 앉을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하며, 바닥부(10)의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적인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면부(11)와 하면부(12), 그리고 상면부(11)와 하면부(12)를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주머니부(16)를 형성하는 측면부(13)를 포함한다. 바닥부(10)는 원기퉁 또는 타원기둥 형태의 내부가 빈 주머니 형태로, 내측에 완충부재(14)가 삽입되는 공간이 되는 주머니부(16)가 형성된다.
상면부(11)와 하면부(12)는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부(13)는 상면부(11)와 하면부(12)의 모서리를 따라 봉제 가공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바닥부(10)는 상면부(11), 하면부(12) 및 측면부(13)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며, 일측에 지퍼(15)가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14)가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완충부재(14)는 탑승자가 안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종의 쿠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솜, 스폰지, 스티로폼 등의 전통적인 완충물이 삽입되거나, 내부에 유체가 채워진 유체 쿠션이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네(1)에는 내부에 압축성 유체인 공기(F)가 채워진 유체 쿠션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바닥부(10)로서 조건을 만족한다 상기 기재된 다양한 완충물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유체 쿠션은 일종의 튜브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공기를 불어 넣거나 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는 바닥부(10)를 지탱하여 공중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직물재로 이루어져 상면부(11) 또는 측면부(13)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는 내구성과 안락함 등을 고려하여 상면부(11)와 측면부(13)가 서로 접하는 모서리를 따라 부착될 수 있다. 즉,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는 면을 이루는 직물재로서, 상단부는 접혀서 로프(70)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단부보다 넓게 펴져서 바닥부(10)에 부착된다.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가 측면부(13)의 상단에 부착됨으로써, 제1 현수부(20) 및 제2 현수부(30)와 바닥부(10) 사이에 공간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제1 현수부(20) 및 제2 현수부(30)와 바닥부(10) 사이로 아이들의 장난감이 끼거나 먼지가 끼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제1 현수부(20) 및 제2 현수부(30)와 바닥부(10) 사이로 장난감이 끼게 되면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으나, 본 고안에 따른 그네(1)는 제1 현수부(20) 및 제2 현수부(30)와 바닥부(10)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 사이에는 전면에 개구부(51)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등판부(40)가 형성된다. 등판부(40)는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로부터 연장되며, 등판부(40), 제1 현수부(20) 및 제2 현수부(30)는 하나의 연속된 면을 이루어 내측의 안착공간(50)을 둘러싸게 된다.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는 각각 상단부에 고리부(60)가 형성되어 각각 로프(70)와 연결된다.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는 바닥부(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하는 부분이 되며, 하단부는 넓게 펴져서 면 전체로 하중이 분산되며 상단부는 좁게 접혀서 고리부(60)로 하중을 전달하게 된다.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는 개구부(51)의 둘레를 따라 봉제 가공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바닥부(10)에 밀착되고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고리부(60)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지지밴드(21)를 포함한다. 제1 지지밴드(21)는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를 보강하여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탑승자가 전방의 개구부(51) 쪽에 편중되어 하중을 전달하는 경우에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를 보완하여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한편, 등판부(40)는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으로서, 탑승자의 머리 또는 등을 편안하게 지지하며 바닥부(10)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하여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로 전달하게 된다.
등판부(40)는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 사이가 상방으로 개방된 만입부(42)를 포함하며,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가 로프(70)에 매달려 있을 때 안착공간(50) 내측으로 늘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등판부(40)는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 사이에 팽팽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느슨하게 아래로 늘어지도록 형성되어 탑승자가 뒤로 기대면 머리 또는 등이 적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등판부(40)는 만입부(42)의 둘레를 따라 봉제 가공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고리부(60)에 연결되는 제2 지지밴드(41)를 포함한다. 제2 지지밴드(41)는 등판부(4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여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탑승자가 등판부(40)에 매달리더라도 등판부(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등판부(40)에 형성된 만입부(42)는 안착공간(50) 내부에서 개방감을 주어, 어린 아이 등이 탑승하였을 때, 밀폐로 인한 공포 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5는 도 2의 그네를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그네(1)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내부에 안착공간(50)이 형성되고 안착공간(50)은 제1 현수부(20), 제2 현수부(30) 및 등판부(4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때, 그네(1)는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가 개방되어 개구부(51)가 형성된다. 개구부(51)는 제1 현수부(20), 제2 현수부(30) 및 등판부(40)를 횡방향으로 절단한 면을 기준으로 판단할 때 중심점(C)를 기준으로 100 ~ 150˚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51)의 개방각도(α)를 100 ~ 150˚로 설정하면, 제1 지지밴드(21)가 바닥부(10)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개구부(51)가 100˚이내로 설정되면, 제1 지지밴드(21)가 팽팽하게 유지되지 않으면서 아이들이 타고 내릴 때 걸릴 위험성이 높으며, 하중이 제1 지지밴드(21)로 분산되지 않아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에만 무리하게 하중이 가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51)가 좁아지게 되면 어린 아이의 경우 폐쇄 공포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적절하게 개방감을 유지하면서 바닥부(10)의 하중을 적절히 분산할 있도록 개구부(51)의 범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도 1의 그네의 제1 현수부와 고리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는 상단부가 안착공간(50)을 바라보는 내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접혀서 고리부(60)에 연결된다. 제1 현수부(20)를 기준으로 설명할 때, 고리부(60)는 제1 지지밴드(21), 제1 현수부(20) 및 제2 지지밴드(41)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이 모이는 부분이 된다. 제1 지지밴드(21), 제1 현수부(20) 및 제2 지지밴드(41)는 각각 하중이 전달되는 방향이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밴드(21)는 정면에서 약간 비스듬한 방향으로 고리부(60)를 당기게 되고, 제1 현수부(20)는 면 전체적으로 하방을 향하여 당기게 되며, 제2 지지밴드(41)는 후방의 내측을 향하여 당기게 된다. 즉, 제1 현수부(20)의 상단부는 직물재로 이루어 졌으나 각각 여러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변형 가능성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의 상단부를 안착공간(50)을 바라보는 내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접혀 고리부(60)에 연결됨으로써, 여러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의 상단부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로프를 가로 봉에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스토퍼를 이용하여 로프를 가로봉에 고정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네(1)를 지탱하는 로프(70)는 나무 또는 철봉과 같은 가로봉(B)에 매듭으로 연결되며, 스토퍼(80)는 로프(70)의 매듭이 쉽게 고정되고 또 쉽게 풀릴 수 있도록 한다.
스토퍼(80)는 플레이트에 2열 3행의 관통구(81)가 형성된 것으로서, 로프(70)를 가로봉(B)에 매고 맨 위의 관통구(81)부터 순차적으로 통과하면 로프(70)와 스토퍼(80)의 마찰에 의해 쉽게 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매듭법을 배우지 않더락도 쉽게 로프(70)를 가로봉(B)에 고정하거나 풀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네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도 9는 보호자가 후방에서 그네(1)를 밀어주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그네(1)는 등판부(40)에 만입부(42)가 형성되어 있어, 후방에서 보호자가 아이를 보면서 그네(1)를 밀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네(1)가 직물재로 이루어져 탑승자는 보호자에게 안겨있는 포근한 느낌을 받으면서, 그네(1)를 탑승할 수 있다.
도 10은 탑승자가 그네(1)에 탑승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등판부(40)는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적절하게 각도을 유지하면서 지탱할 수 있다. 즉, 등판부(40)가 적절한 각도로 후방으로 경사져 있어, 탑승자가 안락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가 꼬인 상태로 그네(1)를 탑승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그네(1)는 전체가 직물재로 이루어져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로 바닥부(10)를 빙빙 돌려 꼬인 상태로 만들 수 있으며,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가 서서히 풀리면서 그네가 회전하는 놀이를 즐길 수 있다. 종래의 그네와 달리, 본 고안에 따른 그네(1)는 전체가 직물재로 이루어져, 제1 현수부(20)와 제2 현수부(30) 그리고 로프(70) 뿐만 아니라 바닥부(10)까지 변형을 일으켰다 복원되면서 회전 놀이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그네 10: 바닥부
11: 상면부 12: 하면부
13: 측면부 14: 완충부재
20: 제1 현수부 21: 제1 지지밴드
30: 제2 현수부 40: 등판부
41 제2 지지밴드 42: 만입부
50: 안착공간 51: 개구부
60: 고리부 70: 로프
80: 스토퍼 81: 관통구

Claims (10)

  1. 내부에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바닥부;
    일단부는 각각 로프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바닥부와 상기 로프를 연결하어 상기 바닥부를 공중에 매다는 제1 현수부 및 제2 현수부;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를 연결하는 등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 상기 제1 현수부, 상기 제2 현수부 및 상기 등판부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고,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와 상기 등판부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면을 이루며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를 따라 연결되어 내측에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공간은 전방의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고,
    상기 등판부는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 사이가 상방으로 개방된 만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가 상기 로프에 매달려 있을 때 상기 등판부는 상기 안착공간 내측으로 늘어지도록 형성되는 그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상기 제1 현수부, 상기 제2 현수부 및 상기 등판부는 직물재로 이루어져 봉제 가공되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는 면을 이루는 직물재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접혀서 상기 로프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상단부보다 넓게 펴져서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는 그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봉제 가공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바닥부에 밀착되고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로프와 결합되는 고리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지지밴드를 더 포함하는 그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는 상기 상단부가 상기 안착공간을 바라보는 내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접혀 상기 고리부에 연결되는 그네.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는 상기 만입부의 둘레를 따라 봉제 가공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로프와 결합되는 고리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지지밴드를 더 포함하는 그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내측에 상기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주머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에 유체가 채워진 유체 쿠션인 그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면부와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를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주머니부를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현수부와 상기 제2 현수부는 상기 상면부와 상기 측면부가 서로 접하는 모서리를 따라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는 그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현수부, 상기 제2 현수부 및 상기 등판부를 횡방향으로 절단한 면을 기준으로 판단할 때 중심점을 기준으로 100 ~ 150˚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그네.
  10.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에 2열 3행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로프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그네.
KR2020130008449U 2013-10-14 2013-10-14 그네 KR200473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449U KR200473017Y1 (ko) 2013-10-14 2013-10-14 그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449U KR200473017Y1 (ko) 2013-10-14 2013-10-14 그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1505U Division KR20150001583U (ko) 2014-02-26 2014-02-26 그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017Y1 true KR200473017Y1 (ko) 2014-06-10

Family

ID=5148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449U KR200473017Y1 (ko) 2013-10-14 2013-10-14 그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0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501B1 (ko) * 2015-03-12 2015-07-16 조충희 유아용 그네
RU2682287C2 (ru) * 2017-05-17 2019-03-18 Гульнара Зуфаровна Андрианова Качалка подвесная бескаркасная
KR102417473B1 (ko) 2021-11-17 2022-07-06 유한회사 코리아엔텍 인력 회동 흔들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2586A (en) 1976-01-09 1977-12-13 Ortize Eileen S Hanging chair
US6364412B1 (en) 1997-09-19 2002-04-02 David H. Crawford Hanging chair
KR20060116210A (ko) * 2003-11-04 2006-11-14 밴자민 엠. 리 행잉 체어 스탠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2586A (en) 1976-01-09 1977-12-13 Ortize Eileen S Hanging chair
US6364412B1 (en) 1997-09-19 2002-04-02 David H. Crawford Hanging chair
KR20060116210A (ko) * 2003-11-04 2006-11-14 밴자민 엠. 리 행잉 체어 스탠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참증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501B1 (ko) * 2015-03-12 2015-07-16 조충희 유아용 그네
RU2682287C2 (ru) * 2017-05-17 2019-03-18 Гульнара Зуфаровна Андрианова Качалка подвесная бескаркасная
KR102417473B1 (ko) 2021-11-17 2022-07-06 유한회사 코리아엔텍 인력 회동 흔들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910B2 (en) Attachable swing shade
US5382074A (en) Detachable stroller tray
US8191969B2 (en) Head restraint
US8007044B1 (en) Mother'S hand headrest
US9364764B2 (en) Portable toddler swing
KR101537501B1 (ko) 유아용 그네
CN102774413A (zh) 多用途座椅衬里
KR200473017Y1 (ko) 그네
GB2508369A (en) A suspended chair with a detachable seat and a safety strap
US10905255B1 (en) Adjustable voluminous padded chair
US9370254B2 (en) Voluminous padded chair
JP3196748U (ja) 自転車用幼児座席のカバー
US20090200844A1 (en) Children's Swing Cover with Mesh Panels
KR100835693B1 (ko) 유아용 그네 안전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아용 그네
KR20160131974A (ko) 그네
KR20150001583U (ko) 그네
JP2019206220A (ja) 子供座席用カウリング
US7146661B1 (en) Knockdown, portable, non-intimidating, and stable pen for comfortably, conformingly, supportingly, and entertainingly accommodating an infant therein
AU729390B2 (en) A bean bag with additional support
KR101295873B1 (ko) 유아 수면용 유모차
CN113577783A (zh) 一种卧式秋千
CN216676943U (zh) 一种连接扣、具有该连接扣的悬挂装置及卧式秋千
JPH09109961A (ja) 座席用クッション
CN212788052U (zh) 一种婴儿防摔学步枕
CN216319928U (zh) 一种悬挂式秋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