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010Y1 - 위생 샤워기 - Google Patents

위생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010Y1
KR200473010Y1 KR2020120008411U KR20120008411U KR200473010Y1 KR 200473010 Y1 KR200473010 Y1 KR 200473010Y1 KR 2020120008411 U KR2020120008411 U KR 2020120008411U KR 20120008411 U KR20120008411 U KR 20120008411U KR 200473010 Y1 KR200473010 Y1 KR 200473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divided bodies
hollow portion
divid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816U (ko
Inventor
이성흠
Original Assignee
이성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흠 filed Critical 이성흠
Priority to KR2020120008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1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E03C1/0409Shower 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 F16K11/1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hich only slides, or only turns, or only swings in one plane
    • F16K11/161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hich only slides, or only turns, or only swings in one plane only sl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위생 샤워기는 몸체가 2개의 분할체(4,5)의 합체로 이루어진다. 2개의 분할체(4,5)는 그 합체 상태에서 호스(6)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샤워용 분출공(1)으로 이동시키는 하나의 공동부(3)를 형성한다. 이 샤워기는 양 분할체가 서로 분리됨으로써 공동부(3)를 외부로 드러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동부(3) 벽면에 부착되는 물때를 직접 닦아낼 수 있고, 특히 자외선 등에 직접 노출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효과적인 살균처리가 가능하여, 세균감염을 막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위생 샤워기{SANITARY SHOWER UTENSIL}
본 고안은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하거나 살균 또는 소독처리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 위생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욕실이나 주방 싱크대에 구비돼 있는 샤워기가 세균 등으로 오염되면 샤워 중 인체의 피부나 호흡기를 통해 세균이 침투할 수 있고 식기 또한 안전하지 못하다는 위생안전 문제의 심각성이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매일같이 씻겨줘야 하는 유아나 여성의 질 세척에는 잘 살균처리된 샤워기 사용이 필요한 것이다.
종래의 전형적인 샤워기는 대체로 몸체 밑 부분이 호스와 연결되고, 머리 부분에 다수의 작은 구멍으로 이뤄진 분출공이 있으며, 내부는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출공으로 이동시키는 공동부로 돼 있는 구조로서, 대체로 호스를 통해 수도꼭지와 상시 연결되고 벽면이나 싱크대에 거치되어 언제라도 수도꼭지를 틀면 물을 분출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사용 후 수도꼭지를 잠그면 공동부에 물이 잔류하거나 물기가 마르지 않은 상태로 방치되고 있고, 이로 인해 물속에 녹아 있는 물질이 침전하여 생기는 다갈색의 물때가 분출공과 공동부 벽에 부착하게 되고, 특히 온수 사용으로 따뜻한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세균이 빠르게 증식하는 등 쉽게 오염되는 것이다.
이러한 샤워기의 오염으로 인한 세균감염 등 위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 후 샤워기 내부에 부착된 물때를 깨끗이 제거하고 물기가 없는 건조된 상태로 보관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살균처리해 줄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52976에 개시된 살균기능을 갖는 샤워기 거치대는 욕실 등의 벽면에 부착되며, 샤워기를 거치해 두면 샤워기의 헤드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한다. 샤워기 헤드, 즉 몸체의 머리부에 있는 분출공 부위가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은 투과력이 약하기 때문에 분출공 안쪽과 몸체 내 공동부 전체에 대한 살균효과는 실질적으로 기대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1-0003156 및 공개실용신안 20-2011-0003163에는 샤워기의 헤드 부분을 몸체에서 분리할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즉, 그 헤드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그 분리된 헤드에 있는 분출공 부위와 그 안쪽을 세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샤워기 몸체에서 헤드 부분이 분리되더라도 그 몸체 내의 공동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여 여전히 세척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실 20-2000-0019920에 개시된 샤워기용 필터 등은 수돗물의 상수 처리시 물에 녹아있는 용존된 인체에 좋지 않은 염소성분 제거하고 원수에 대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것으로, 샤워기 자체의 오염과 이로 인한 세균감염 등 위생문제 해결에는 기여하지 못하고 있으며,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등 유지관리의 어려움으로 그 실효성에도 논란이 있다.
샤워기를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헤드 부분에 있는 분출공뿐만 아니라 몸체 내 공동부 벽에 부착된 물때를 완전히 제거해 주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샤워기의 구조를 세척이 용이한 구조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자외선 살균처리 외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샤워기 전체를 끓는 물에 담그거나 살균용제로 닦는 방법이 있으나, 다이옥신 용출 등이 용출될 수 있는 플라스틱 제품에 대해 권장되지 않은 방법이고, 후자의 방법으로는 종래 샤워기 몸체 내 공동부에 손이 잘 닿지 않는 등 구조적으로 그 세척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샤워기 몸체 내 공동부 전체를 외부로 드러내 세척이 용이하고, 특히 살균용제로 직접 닦아내거나 자외선에 직접 노출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 위생 샤워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샤워기는, 호스로 수도꼭지와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고 그 호스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공동부와 이 공동부로부터 물을 분출하기 위한 분출공이 있는 샤워기 헤드로서, 몸체가 상기 공동부를 세로로 가르는 방향으로 양분된 2개의 분할체로 이루어져 그 2개의 분할체의 합체로서 상기 공동부가 있는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되어, 상기 공동부를 드러내 세척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분할체 중 한 쪽에는 후킹용 돌기가, 다른 쪽에는 대응하는 후킹용 홈이 형성되어, 그 돌기가 홈에 걸려 어긋나지 않고 동시에 상기 호스의 연결에 의해 구속되어 그 2개의 분할체가 합체된 상태로 유지되는 구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샤워기는 호스로 수도꼭지와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고 그 호스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공동부와 이 공동부로부터 물을 분출하기 위한 분출공이 있는 샤워기 헤드로서, 몸체가 상기 공동부를 세로로 가르는 방향으로 양분된 2개의 분할체로 이루어져 그 2개의 분할체의 합체로서 상기 공동부가 있는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되어, 상기 공동부를 드러내 세척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분할체 중 한 쪽의 합체면에는 슬라이드 돌기가, 다른 쪽에는 대응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그 2개의 분할체가 그 돌기와 홈에 의해 서로 탈락하지 않으면서 한쪽으로 미끄러져 합체되거나 어긋나도록 되고, 그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공동부가 드러나는 구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상기 2개의 반할체 사이에는 그들의 합체면 사이에 누수방지용 시일부재를 개재하여 합체 상태로 사용할 때 그 합체면 사이로 물이 새어나오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들에 따른 위생 샤워기는 하나의 몸체가 공동부를 세로로 가르는 방향으로 양분된 2개의 분할체의 합체로 이뤄지는 것이므로, 각 분할체는 전술한 공동부를 반할한 모양인 반원통형으로서 서로 분리 상태에서 그 공동부를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킨다. 또한 전술한 머리 부분의 분출공은 한쪽 분할체에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샤워용 분출공 부위의 이면도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 위생 샤워기는 각 분할체의 분리 상태에서 공동부 벽면과 한쪽 분할체의 분출공 부위 이면에 부착되는 물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살균용제로 직접 닦아내거나 자외선을 직접 조사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살균처리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 위생 샤워기는 소형의 자외선살균장치와 함께 여행지에서도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샤워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보인 샤워기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보인 샤워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 보인 샤워기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보인 샤워기를 자외선 살균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개요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샤워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보인 샤워기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샤워기의 횡단면도.
본 고안자는 전술한 위생 샤워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도 1 내지 도 5에는 후크(hook) 결합형을, 도 6 및 도 7에는 슬라이드(slide) 결합형을, 그리고 도 8에는 힌지(hinge) 결합형을 예시하였다. 이들 도면의 예시는 어디까지나 본 고안 각 실시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일부 구성요소가 과장되거나 생략되는 등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각 실시 형태에서 다른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1 - 후크 결합형]
본 실시예의 샤워기는 도 1과 같이 대체로 직관 형태이고, 기본적인 요소로서 머리부 상단에 샤워용 분출공(1)에 있으며, 하단에 공지의 호스(6)로 도시하지 않은 수도꼭지와 연결하기 위한 호스 연결부(2)가 있으며, 내부가 도 3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공동부(3)가 있으며, 머리부 상단에서 하단의 호스연결부(2) 하단까지 전면측과 후면측으로 양분된 분할체(4,5)의 합체로 이뤄진 구조이다. 공지의 호스(6)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공동부(3)를 이동하여 다수의 작은 구멍들로 이뤄진 샤워용 분출공(1)을 통해 분출된다. 여기서 호스연결부(2)는 호스(6)를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나사관 형태로 예시되었으나, 간단히 끼웠다 빼내는 공지의 탈착식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면측 분할체(4)와 후면측 분할체(5)는 전술한 공동부(3) 형성을 위해 각각에 오목한 반원통홈(7,8)을 가진다. 전술한 샤워용 분출공(1)은 전면측 분할체(4)에 형성되었다. 분할체(4,5)에 각각 형성된 반할나사관(9,10)은 전술한 호스 연결부(2)인 하나의 나사관 형성을 위한 것이다. 전면측 분할체(4)의 상단부 안쪽면에 후킹용 돌기(11)와 후면측 분할체(4)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후킹용 홈(12)는 양 분할체(4,5)의 합체시 상호간의 위치맞춤과 어긋남 방지를 위한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면측 분할체(4)와 후면측 분할체(5)는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후킹용 돌기(11)와 홈(12)으로 상단 부위를 먼저 조립하고 하단의 호스 연결부(2)에 호스(6)를 체결함으로써 합체 및 유지되며, 역순으로 하여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양 분할체(4,5) 사이에 그들의 접합부를 따라 누수방지용 시일재(13)가 개재된다. 시일재(13)는 예컨대 신축성이 있는 고무재질로서 양측 사이에서 압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면측 분할체(5)의 시일홈(14)에 안착되게 하여 쉽게 탈락하는 일이 없게 하였다. 여기서 분할체(4,5) 자체 재질 특성이나 독특한 합체 구조로써 충분히 누수가 방지된다면 별도의 시일재는 없어도 된다.
전술한 공동부(3)를 형성하는 분할체(4,5)의 반원통홈(7,8)은 그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외부에 완전히 드러난다. 따라서 그 공동부(3) 벽면인 반원통홈(7,8) 면을 세척하고 또 살균용제로 위생처리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것은 물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살균장치(15)에 장착하여 자외선램프(16)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분할체(4,5)의 반원통홈(7,8)을 직접 노출시킬 수 있어 효과적으로 살균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살균장치(15)는 본 샤워기 전용으로 제작, 여행중 휴대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여행중에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 실시예 2 - 슬라이드 결합형]
본 실시 형태의 샤워기는 도 6 및 도 7에 보인 바와 같으며, 전술한 실시예 1의 후킹용 돌기(11)와 홈(12) 대신 양 분할체(4,5)의 각 접합면을 따라 슬라이드 돌기(17)와 홈(18)을 각각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돌기(17)와 홈(18)은 양 분할체(4,5)를 전후면 방향으로는 서로 탈락하지 않게 구속하면서 세로방향, 즉 길이방향으로 어긋날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샤워기는 양 분할체(4,5)가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전술한 공동부(3)를 형성하는 양측의 반원통홈(7,8)을 외부로 드러내 세척 및 살균처리가 가능하다.
[ 실시예 3 - 힌지 결합형]
본 실시 형태의 샤워기는 도 8에 보인 바와 같으며, 전술한 실시예 1의 후킹용 돌기(11)와 홈(12) 또는 전술한 슬라이드 레일(17)과 레일홈(18) 대신 양 분할체(4,5)의 한쪽 모서리부위가 힌지부(19)로 연결하고, 그 반대편 모서리부에 잠금용 돌기(20)와 홈(21)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본 실시 형태의 샤워기는 양 분할체(4,5)가 힌지부(19)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전술한 공동부(3)를 형성하는 양측의 반원통홈(7,8)을 외부로 드러내 세척 및 살균처리가 가능하며, 양 분할체(4,5)가 서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 또는 이동이 가능하여 그만큼 망실할 염려가 줄어든다.
한편, 이상의 각 실시예들에서 본 위생 샤워기의 기능과 휴대성을 고려하여 샤워기 몸체를 직관 등 단순한 형태로만 예시하였으나, 전형적인 형태와 같이 곡관 형태로도 가능하며, 또한 몸체를 좌우 양측으로 양분하거나 비대칭 형태의 분할체로도 구성할 수 있는 등, 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 및 변용이 가능할 것이다.
1: 분출공, 2: 호스연결부, 3: 공동부, 4;5: 분할체, 6: 공지의 호스, 7;8: 반원통홈, 9;10: 반할나사관, 11: 후킹용 돌기, 12: 후킹용 홈, 13: 누수방지용 시일재, 14: 시일홈, 15: 자외선살균장치, 16: 자외선램프, 17: 스라이드 돌기, 18: 슬라이드 홈, 19: 힌지부, 20: 잠금용 돌기, 21: 잠금용 홈

Claims (4)

  1. 삭제
  2. 호스로 수도꼭지와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고 그 호스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공동부와 이 공동부로부터 물을 분출하기 위한 분출공이 있는 샤워기 헤드로서, 몸체가 상기 공동부를 세로로 가르는 방향으로 양분된 2개의 분할체로 이루어져 그 2개의 분할체의 합체로서 상기 공동부가 있는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되어, 상기 공동부를 드러내 세척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분할체 중 한 쪽에는 후킹용 돌기가, 다른 쪽에는 대응하는 후킹용 홈이 형성되어, 그 돌기가 홈에 걸려 어긋나지 않고 동시에 상기 호스의 연결에 의해 구속되어 그 2개의 분할체가 합체된 상태로 유지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샤워기.
  3. 호스로 수도꼭지와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고 그 호스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공동부와 이 공동부로부터 물을 분출하기 위한 분출공이 있는 샤워기 헤드로서, 몸체가 상기 공동부를 세로로 가르는 방향으로 양분된 2개의 분할체로 이루어져 그 2개의 분할체의 합체로서 상기 공동부가 있는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되어, 상기 공동부를 드러내 세척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분할체 중 한 쪽의 합체면에는 슬라이드 돌기가, 다른 쪽에는 대응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그 2개의 분할체가 그 돌기와 홈에 의해 서로 탈락하지 않으면서 한쪽으로 미끄러져 합체되거나 어긋나도록 되고, 그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공동부가 드러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샤워기.
  4. 삭제
KR2020120008411U 2012-09-20 2012-09-20 위생 샤워기 KR200473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411U KR200473010Y1 (ko) 2012-09-20 2012-09-20 위생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411U KR200473010Y1 (ko) 2012-09-20 2012-09-20 위생 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816U KR20140001816U (ko) 2014-03-28
KR200473010Y1 true KR200473010Y1 (ko) 2014-07-07

Family

ID=5199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411U KR200473010Y1 (ko) 2012-09-20 2012-09-20 위생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0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8364A1 (de) * 2020-10-28 2022-04-28 Rasmi Jumah Bidetbrause-Brausekopf und Verfahren zur Reinigung des Intimbereichs eines Nutz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163U (ko) * 2009-09-22 2011-03-30 천요한 분리 세척할 수 있는 항균 샤워기 헤드꼭지
KR20130004812U (ko) * 2012-02-01 2013-08-09 김대정 샤워기 헤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163U (ko) * 2009-09-22 2011-03-30 천요한 분리 세척할 수 있는 항균 샤워기 헤드꼭지
KR20130004812U (ko) * 2012-02-01 2013-08-09 김대정 샤워기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816U (ko)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11734A (zh) 一种医疗用的手术器械清洗杀菌设备
KR101750101B1 (ko) 자동 도마세척살균장치
WO2013127103A1 (zh) 洗碗机
CN213345477U (zh) 一种自清洁马桶坐垫及马桶
KR200473010Y1 (ko) 위생 샤워기
CN210447410U (zh) 一种带有可自行清洁的重症监护儿童床
KR100712147B1 (ko) 이동식 세면대
KR102081211B1 (ko) 생리컵 세척장치
CN213431338U (zh) 一种消化内科用护理架
KR20070053050A (ko) 자외선 살균 식기세척방법
CN112569069A (zh) 一种肿瘤护理用清洗消毒装置
CN205171628U (zh) 一种儿童功能坐便器
TWM578312U (zh) Washing toilet seat nozzle that can be sterilized after spraying water
JPH1136394A (ja) オゾン水生成装置を備える洗面化粧台
CN205604394U (zh) 一种智能座便器中喷头的自清洁结构
CN208501805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医用洗手池
CN211355965U (zh) 一种消毒供应中心器械清洗器
KR101538436B1 (ko) 소독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는 일회용 변기커버
CN105780900A (zh) 一种智能座便器中喷头的自清洁结构
KR100511715B1 (ko) 비데기의 세정노즐 살균 소독장치
CN211561155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传染病防控用集痰装置
CN203555673U (zh) 一种改进的搓澡床
CN202505303U (zh) 洗刷餐具机
CN208426039U (zh) 清洁结构、盖板及座便器
KR20070053049A (ko) 자외선 살균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