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992Y1 -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 - Google Patents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992Y1
KR200472992Y1 KR2020120010599U KR20120010599U KR200472992Y1 KR 200472992 Y1 KR200472992 Y1 KR 200472992Y1 KR 2020120010599 U KR2020120010599 U KR 2020120010599U KR 20120010599 U KR20120010599 U KR 20120010599U KR 200472992 Y1 KR200472992 Y1 KR 200472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artificial insemination
cover body
cover
viny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138U (ko
Inventor
최창용
허태영
정영훈
조용일
강석진
한태석
백광수
손준규
임현주
윤호백
권응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20010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99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9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2050/005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with a lid or co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축에 대한 정액 주입이나 수정란 이식에 사용되는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주입기 수용공간을 구비한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내부에서 선단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주입기 유도경로;를 포함하는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VINYL COVER FOR ARTIFICIAL INSEMINATION INJECTOR FOR DOMESTIC ANIMALS}
본 고안은 가축의 정액이나 수정란을 체내에 주입할 때 사용하는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수정 주입기가 통과하는 부분의 구조가 개선된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에 관한 것이다.
가축에 대한 정액 주입이나 수정란 이식은 가축의 육량 증대, 육질 향상, 우유 생산량 증대, 질병 저항성 강화 등을 위해 매년 다수의 개체를 대상으로 널리 시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액 주입이나 수정란 이식은 가축의 생식기 내에 인공수정 주입기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분변, 생식기 점액 등에 존재하는 다양한 세균이 주입기를 통해 자궁 등을 감염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가축의 생식기에 있어서 질(vagina)에는 Klebsiella oxytoca, 자궁에는 Aeromonas salmonicida, Alloiococcus otitis, 분변에는 Klebsiella oxytoca를 비롯한 다양한 오염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공수정 주입기를 통해 가축의 체내가 오염원으로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수정 주입기(10)와 함께 비닐커버(2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와 관련된 기술은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87-18032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는 인공수정 주입기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긴 장방형의 커버 본체(10)를 구비한다. 커버 본체(10) 내에 형성된 주입기 수용공간은 커버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선단(11)에 인접한 부분에는 융착에 의해 실링부(13)가 형성된다.
커버 본체에 있어서 실링부(13)와 주입기 수용공간 사이의 경계부(12)는 커버 본체(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는 커버 본체(10) 내에서 인공수정 주입기의 끝부분이 유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인공수정 주입기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기가 곤란한 취약점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수정 주입기(20)는 커버 본체(10)의 실링부(13)와 주입기 수용공간 사이의 경계부(12)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정렬이 흐트러질 수 있다. 도 4는 커버 본체(10) 내에서 인공수정 주입기(20)의 끝부분이 커버 본체(10)의 정위치에 놓인 실례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5는 인공수정 주입기(20)의 끝부분이 커버 본체(10)의 한쪽 지점으로 쏠린 실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커버 본체(10) 내에서 인공수정 주입기(20)가 정위치로부터 유동된 상태에서 실링부(13)를 통과하게 되면 원활한 통과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실례들과 같이 커버 본체(10)의 끝부분이 깔끔하게 뜯겨지지 않아 커버 본체(10)에 잔존하는 비닐 돌출물이 가축의 생식기에 손상을 주어 생식기를 감염시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인공수정 주입기가 정위치에 정렬된 상태에서 원활히 커버 본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조가 커버 본체 내에 마련된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앞부분에 실링부가 마련된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주입기 수용공간을 구비한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내부에서 선단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주입기 유도경로;를 포함하는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주입기 유도경로는 상기 커버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실링부가 시작되는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기 유도경로는 융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주입기 유도경로는 상기 실링부와 상기 주입기 수용공간 간의 경계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기 유도경로는 그 센터 부분이 상기 선단의 중간지점에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기 유도경로는 상호 비스듬히 대향하는 두 개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단의 테두리는 상기 커버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인공수정 주입기가 유도경로를 따라서 진행하여 비닐커버 선단의 정위치로 유도됨으로써 원활히 비닐커버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비닐커버가 깔끔히 뜯겨질 수 있으므로 비닐 돌출물로 인한 가축의 체내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을 적용하여 정액 주입이나 수정란 이식을 실시할 경우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태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통상의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 및 비닐커버를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인공수정 주입기가 비닐커버 본체 내에서 유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비닐커버 본체 내에서 인공수정 주입기의 끝부분이 정위치에 놓인 실례를 보여주는 사진,
도 5는 인공수정 주입기의 끝부분이 비닐커버의 한쪽 지점으로 쏠린 실례를 보여주는 사진,
도 6은 인공수정 주입기의 끝부분이 정위치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통과하여 비닐커버가 뜯겨진 실례를 보여주는 사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7에서 비닐 커버 본체 내에 인공수정 주입기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9에서 비닐 커버 본체 내에 인공수정 주입기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비닐 커버 본체 내에 인공수정 주입기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는 앞부분에 실링부(103)가 마련된 커버 본체(100)와, 커버 본체(100) 내의 앞부분에 형성되어 주입기 유도기능을 제공하는 주입기 유도경로(102)를 포함한다.
커버 본체(100)는 앞부분이 실링되고 뒷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실질적으로 긴 장방형의 비닐 용기 형태로 구성된다. 커버 본체(100)에 있어 실링부(103)는 융착 등에 의해 선단(101)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실링부(103)의 뒷쪽 영역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주입기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커버 본체(100) 내에 삽입되는 인공수정 주입기(도 8의 200 참조)로는 가축에 대한 정액 주입이나 수정란 이식에 널리 사용되는 통상의 인공수정 주입기가 채용될 수 있다.
실링부(103)는 커버 본체(100)의 한쪽편을 밀봉하는 한편, 절취작업을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실링부(103) 및 주입기 유도경로(102)가 형성된 연속적인 형태의 비닐커버 롤을 제조한 후, 각각의 실링부(103)에 형성된 절취선에 따라 절단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다수의 비닐커버를 양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입기 유도경로(102)는 커버 본체(100)의 내부에서 선단(101)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주입기(200)의 진행을 안내하는 주입기 유도부를 제공한다.
주입기 유도경로(102)는 커버 본체(100)의 선단(101)에 인접한 실링부(103)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주입기 유도경로(102)는 커버 본체(100) 내부에서 실링부(103)가 시작되는 부분(104)에 접한다. 여기서, 실링부(103)가 시작되는 부분(104)과 주입기 유도경로(102) 사이의 영역은 실링부(103)와 일체로 실링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는 빈 공간으로 남겨두는 것도 가능하다.
주입기 유도경로(102)는 융착 공정에 의해 라인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입기 유도경로(102)가 실링부의 역할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링부(103)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커버 본체(100)의 선단(101)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내경이 좁아지는 경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주입기 유도경로(102)는 상호 비스듬히 대향하는 두 개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도면에는 두 개의 경사부가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이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개의 경사부가 라운드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주입기 유도경로(102)를 이루는 두 개의 경사부는 커버 본체(100)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실링부(103)까지 연장된다. 비록, 도 7에는 두 개의 경사부가 실링부(103)와 만나는 지점이 상호 이격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개의 경사부가 실링부(103)에서 서로 만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 커버 본체(100) 내에 인공수정 주입기(200)가 삽입되었을 때 인공수정 주입기(200)의 끝부분은 주입기 유도경로(102)를 따라 진행하여 커버 본체(100)의 실링부(103)와 만나는 위치에서 수직을 이루도록 정렬된다.
인공수정 주입기(200)의 원활한 통과를 위해, 커버 본체(100)의 선단(101)의 테두리는 커버 본체(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절단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입기 유도경로(102)는 실링부(103)와 주입기 수용공간 간의 경계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주입기 유도경로(102)의 형태는 실링부(103)의 형상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주입기 유도경로(102)를 이루는 두 개의 경사부는 커버 본체(100)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선단(101)의 테두리 부분까지 연장되고, 두 개의 경사부가 선단(101)의 테두리와 만나는 지점은 상호 이격된다. 여기서, 선단(101)의 테두리 부분도 융착에 의해 실링 상태가 유지됨은 물론이다.
주입기 유도경로(102)는 그 센터 부분, 즉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경사부 간의 중간 지점이 선단(101)의 테두리의 중간지점에 정렬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 커버 본체(100) 내에 인공수정 주입기(200)가 삽입되었을 때 인공수정 주입기(200)의 끝부분은 주입기 유도경로(102)를 따라 진행하여 커버 본체(100)의 선단(101) 테두리와 수직을 이루도록 정렬된다.
도 11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입기 유도경로(102)를 이루는 두 개의 경사부는 선단(101)의 테두리까지 연장되되, 선단(101)의 테두리에서 서로 만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 커버 본체(100) 내에 인공수정 주입기(200)가 삽입되었을 때 인공수정 주입기(200)의 끝부분은 주입기 유도경로(102)를 따라 진행하여 커버 본체(100)의 선단(101) 테두리에 근접한 위치에서 수직을 이루도록 정렬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는 가축의 정액 주입이나 수정란 이식을 위한 인공수정 주입기(200)의 보호 커버로 사용된다.
사용자는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가 씌워진 인공수정 주입기(200)를 한 손으로 파지하여 가축의 질 내로 삽입하고, 비닐커버의 끝부분이 자궁경부 앞에 도달했을 때 다른 손으로 비닐커버의 뒷부분을 후방으로 잡아당겨 인공수정 주입기(200)를 비닐커버의 선단(101) 바깥으로 통과시키면 된다. 이 과정에서 인공수정 주입기(200)는 비닐커버의 실링부(103) 부근에 형성된 주입기 유도경로(102)를 따라 진행하여 선단(101)의 가운데 부분에 정확히 정렬된 상태에서 전진하게 되므로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비닐커버를 뜯으면서 통과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커버 본체 101: 선단
102: 주입기 유도경로 103: 실링부
200: 인공수정 주입기

Claims (7)

  1. 앞부분에 실링부가 마련된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주입기 수용공간을 구비한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내부에서 선단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주입기 유도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기 유도경로는 그 센터 부분이 상기 선단의 중간지점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입기 유도경로는 상호 비스듬히 대향하는 두 개의 경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유도경로가 상기 커버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실링부가 시작되는 부분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유도경로가 융착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유도경로는 상기 실링부와 상기 주입기 수용공간 간의 경계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의 테두리가 상기 커버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
KR2020120010599U 2012-11-19 2012-11-19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 KR200472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599U KR200472992Y1 (ko) 2012-11-19 2012-11-19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599U KR200472992Y1 (ko) 2012-11-19 2012-11-19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38U KR20140003138U (ko) 2014-05-28
KR200472992Y1 true KR200472992Y1 (ko) 2014-06-03

Family

ID=5148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599U KR200472992Y1 (ko) 2012-11-19 2012-11-19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99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018Y1 (ko) * 1986-05-13 1989-03-02 양윤석 젓소 인공수정용 봉 살균 보호기
JPH09276301A (ja) * 1996-04-18 1997-10-28 Tamayamamura Nogyo Kyodo Kumiai 家畜受胎用注入器の被覆カバー
KR200208513Y1 (ko) 2000-07-27 2001-01-15 탁동수 가축용 인공수정장치의 주입기커버
KR100763505B1 (ko) 2006-08-17 2007-10-05 강다원 가축 인공수정기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018Y1 (ko) * 1986-05-13 1989-03-02 양윤석 젓소 인공수정용 봉 살균 보호기
JPH09276301A (ja) * 1996-04-18 1997-10-28 Tamayamamura Nogyo Kyodo Kumiai 家畜受胎用注入器の被覆カバー
KR200208513Y1 (ko) 2000-07-27 2001-01-15 탁동수 가축용 인공수정장치의 주입기커버
KR100763505B1 (ko) 2006-08-17 2007-10-05 강다원 가축 인공수정기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38U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0210389A (pt) Dispositivo para inseminação intra-uterina em porca e transferência de embrião
BR112017016424B1 (pt) Aplicador de anel vaginal, e, kit
AR069289A1 (es) Cuerpos de canerias universales de gran capacidad
JP2013518666A5 (ko)
KR200472992Y1 (ko) 가축 인공수정 주입기용 비닐커버
CN204394740U (zh) 一种猪用深入输精器
US20170189649A1 (en) Post cervical artificial insemination catheter
CN203029423U (zh) 一种猪用子宫深部低剂量输精器械及其输精器的端部探伸构造
CN206687793U (zh) 一种外套管前腔大于外管内径的猪用内膜管深部输精器
CN209203624U (zh) 输精管及动物授精器
CN209490133U (zh) 一种未经产母牛输卵管法冲卵专用收集管
CN207693724U (zh) 一种猪用自动授精装置
KR101156231B1 (ko)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CN201759696U (zh) 大熊猫人工授精器
CN220002017U (zh) 一种深部输精管
CN205108061U (zh) 一种掏耳辅助器
WO2002035982A2 (en) Device for trans-cervical artificial insemination and embryo transfer
CN202554167U (zh) 输精枪外套
US10537415B2 (en) Artificial insemination device
CN211243886U (zh) 新型畜牧兽医用灌药器
CN213552641U (zh) 一种后备母猪配种用的深部输精管
CN210056338U (zh) 一种螺旋式输精器
CN102670329A (zh) 输精枪外套
KR100841802B1 (ko)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CN208710547U (zh) 一种重症病人护理专用喂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