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865Y1 - 나사식 아이젠 - Google Patents

나사식 아이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865Y1
KR200472865Y1 KR2020140000706U KR20140000706U KR200472865Y1 KR 200472865 Y1 KR200472865 Y1 KR 200472865Y1 KR 2020140000706 U KR2020140000706 U KR 2020140000706U KR 20140000706 U KR20140000706 U KR 20140000706U KR 200472865 Y1 KR200472865 Y1 KR 200472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fixed
unit
cylinde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석
Original Assignee
조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석 filed Critical 조원석
Priority to KR2020140000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8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8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61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cleats, ice-creepers
    • A43C15/06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cleats, ice-creepers with ice-gripping means projecting from the heel area, e.g. ice spu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4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with outwardly-movable spik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굽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암나사와 스파이크가 형성된 수나사가 상호 결합된 상태로 삽입 고정되고, 환형의 실링밴드가 상기 암나사와 수나사의 틈새를 밀봉한 상태에서 수나사의 정역회전으로 스파이크의 돌출과 복귀가 이루어지는 나사식 아이젠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나사식 아이젠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홀인 수용공간이 배면에 형성되는 굽본체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실린더본체 및 상기 실린더본체의 내벽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본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고정되는 실린더유닛; 원통형의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파이크원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나사부가 상기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스파이크원판의 배면에 원형 배열되는 스파이크가 돌출 형성되는 스파이크유닛; 및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환부는 상기 실린더본체에 고정되며, 내측환부는 상기 스파이크유닛에 고정되는 실링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사식 아이젠{Screw Type Crampons}
본 고안은 나사식 아이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굽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암나사와 스파이크가 형성된 수나사가 상호 결합된 상태로 삽입 고정되고, 환형의 실링밴드가 상기 암나사와 수나사의 틈새를 밀봉한 상태에서 수나사의 정역회전으로 스파이크의 돌출과 복귀가 이루어지는 나사식 아이젠에 관한 것이다.
아이젠은 눈길 또는 빙판길 보행중 미끄럼방지를 위해 신발 배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배면에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주로 결속밴드를 이용해 신발에 덧대는 방식으로 고정되게 된다.
일반 노면에서는 스파이크가 보행의 불편을 초래하므로, 빙판길과 일반 노면이 반복되는 산길 또는 도로에서는 탈부착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착탈식 아이젠의 실용성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아이젠의 실용성 강화를 위해 스파이크가 신발굽에 내장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돌출되는 출몰식 아이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출몰식 아이젠은 스파이크의 출몰을 위한 부재가 보행중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 파손되고,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과 이물질로 인해 오작동됨으로써 상용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KR 20-0376231 Y1 2005.02.05.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파이크가 신발굽 내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정역회전으로 돌출 및 복귀가 이루어지게 되고, 스파이크의 돌출 및 복귀를 위한 구성이 보행하중에 대해 안정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나사식 아이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면으로부터 수분 또는 이물질의 유입방지를 위해 환형의 실링밴드가 나사결합 부위의 틈새를 밀봉하는 나사식 아이젠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나사식 아이젠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홀인 수용공간이 배면에 형성되는 굽본체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실린더본체 및 상기 실린더본체의 내벽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본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고정되는 실린더유닛; 원통형의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파이크원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나사부가 상기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스파이크원판의 배면에 원형 배열되는 스파이크가 돌출 형성되는 스파이크유닛; 및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환부는 상기 실린더본체에 고정되며, 내측환부는 상기 스파이크유닛에 고정되는 실링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나사식 아이젠 중 실린더본체는, 하부에는 밴드고정실린더가 더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본체의 하부와 밴드고정실린더가 상호 암수로 삽입되도록 삽입 부위에 원형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단차부의 원주접촉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단차부의 상하면인 외측안착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나사식 아이젠 중 수나사부와 스파이크원판은, 경계부위 둘레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상기 실링밴드의 내측환부를 배치한 상태에서 스냅링이 끼움 고정되거나, 또는 상호 나사 결합하는 형태로 구비되고, 경계부위에 내측안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안착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나사식 아이젠 중 스파이크원판은 배면 중심에 회전수단이 더 구비되거나, 수용공간과 실린더유닛의 상면 사이에는 완충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소정의 직경을 갖는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나사결합 및 수나사부와 실린더본체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패드를 통해, 스파이크의 돌출 및 복귀를 위한 구성이 보행하중에 대해 안정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아이젠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외측환부가 실린더본체에 고정되고 내측환부는 스파이크유닛에 고정되는 실링밴드를 통해,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결합부위에 수분 또는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스파이크의 돌출과 복귀에 대한 작동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하면, 스파이크원판의 배면 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수단을 통해 스파이크의 돌출과 복귀를 위한 조작이 용이해지게 되어 실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나사식 아이젠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나사식 아이젠 중 스냅링 고정식 아이젠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나사식 아이젠 중 스냅링 고정식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나사식 아이젠 중 나사고정식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나사식 아이젠의 실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나사식 아이젠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나사식 아이젠 중 스냅링 고정식 아이젠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나사식 아이젠 중 스냅링 고정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신발 하부에 구비되는 굽본체부(10), 상기 굽본체부(10)에 내장되는 실린더유닛(20), 상기 실린더유닛(20)과 나사 결합하는 스파이크유닛(30) 및 상기 실린더유닛(20)과 스파이크유닛(30)의 나사결합 부위를 밀봉하는 실링밴드(4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스파이크유닛(30)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파이크(36)의 돌출과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린더유닛(20)과 스파이크유닛(30)의 나사결합을 통해, 보행시 가해지는 충격에 충분한 강도를 가짐과 함께, 실링밴드(40)를 통해 상기 나사결합 부위로 노면의 이물질과 수분 유입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굽본체부(10)는 실린더유닛(20) 등을 내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재질로서 신발 일반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류가 이용되며, 스파이크(36)가 복귀된 상태에서는 보행하중을 직접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11)은 상하길이(H)가 실린더유닛(20)의 상하길이(h) 보다 길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실린더유닛(20)의 내장시 실린더유닛(20)의 하단이 외부로 돌출됨이 없도록 한다.
또한, 스파이크(36)가 돌출된 경우 스파이크(36)로부터 전달되는 보행하중으로부터 실린더유닛(20) 등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11)과 실린더유닛(20)의 상면 사이에는 완충패드(15)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완충패드(15)는 고무나 스폰지 등의 쿠션재가 이용될 수 있다.
삭제
실린더유닛(20)은 스파이크유닛(30)과 함께 스파이크(36)가 돌출되도록 하고, 스파이크(36)의 돌출후에는 상기 스파이크(36)로부터 전달되는 보행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유닛(20)은 본체(21)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21)의 내벽에 암나사부(23)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실린더유닛(20)의 재질은 스파이크(36) 출몰시 보행하중에 대한 강도강화를 위해 금속재로 이루어지되, 수분에 의해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파이크유닛(30)은 실린더유닛(20)과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정역회전을 통해 하부에 형성되는 스파이크(36)의 돌출과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수나사부(31) 및 스파이크원판(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나사부(31)는 중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원주면에 형성된 나사가 상기 암나사부(23)와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소정의 직경을 갖는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나사산이 복수 개가 상호 결합된 상태가 되므로, 보행하중으로부터 나사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파이크원판(32)은 수나사부(31)와 일체로 또는 나사로 고정되게 되고, 배면에 원형 배열되는 스파이크(36)가 돌출 형성되게 된다. 스파이크(36)의 돌출과 복귀는 스파이크(36)를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나, 스파이크(36)가 수용공간(11)에 복귀된 상태에서는 수용공간(11)의 내벽과 스파이크(36)가 밀착된 상태이므로, 예리한 스파이크(36)를 회전시키기가 곤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파이크원판(32)의 배면 중심에 회전수단(33)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수단(33)을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스파이크(36)의 돌출과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실링밴드(40)는 상기 암나사부(23)와 수나사부(31)의 나사결합 부위에 수분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환형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실링밴드(40)의 외측환부(41)가 실린더유닛(20)에 고정되며, 내측환부(43)는 스파이크유닛(30)에 고정되게 된다.
실링밴드(40)의 외측환부(41)를 실린더유닛(20)에 고정하기 위해, 실린더본체(21)의 하부에는 밴드고정실린더(24)가 더 구비되게 된다. 즉, 실린더본체(21)의 하부와 밴드고정실린더(24)가 상호 암수로 삽입되도록 원형단차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단차부(25)의 원주접촉면에 나사(26)가 형성된다.
상기 원형단차부(25)의 상하면인 외측안착면(27)에는 실링밴드(40)의 외측환부(41)가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26)의 조임을 통해 실링밴드(4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외측안착면(27)은 외측환부(41)의 밀봉성 향상을 위해 실링밴드(40)와의 밀착면적이 증가되도록 곡면(a)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밴드(40)의 내측환부(43)를 스파이크유닛(30)에 고정하는 방식에는 스냅링 고정식과 나사고정식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냅링 고정식은 수나사부(31)와 스파이크원판(32)의 경계부위 둘레에 고정홈(3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34)에 실링밴드(40)의 내측환부(43)를 배치한 상태에서 스냅링(35)을 끼움으로써 실링밴드(40)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스냅링 고정식은 구조가 간단하나, 상기 스냅링(35)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인 특성상 절개부위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나사식 아이젠 중 나사고정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나사고정식은 상기 스냅링 고정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수나사부(31)와 스파이크원판(32)이 상호 나사 결합하는 형태로 구비되고, 경계부위는 실링밴드(40)가 안치될 수 있도록 내측안착면(38)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내측안착면(38)에 실링밴드(40)가 안치된 상태에서 스파이크원판(32)을 회전시키면, 나사 조임에 의해 내측환부(43)의 전체둘레에 걸쳐 밀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나사고정식이 스냅링 고정식보다 방수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안착면(38)은 상기 외측안착면(27)의 경우와 같이 내측환부(43)의 밀봉성 향상을 위해 실링밴드(40)와의 밀착면적이 증가되도록 곡면 또는 경사면(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나사식 아이젠의 실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링밴드(40)는 실린더유닛(20)과 스파이크유닛(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파이크유닛(30)이 회전함에 따라 나선방향으로 신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실링밴드(40)의 안정적 고정 및 피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스파이크유닛(30)의 회전각(θ)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각(θ)을 90° 이내에서 스파이크(36)의 출몰이 완료되도록, 상기 암나사부(23)와 수나사부(31)의 피치가 스파이크(36)의 이높이(h')에 대해 4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피치가 과도하게 길면 즉, 나사산의 경사각(Ω)이 과도하게 커지면, 출몰된 스파이크(36)가 보행하중에 의해 복귀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각(θ)의 범위는 45°~ 90° 범위내에서 출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암나사부(23)와 수나사부(31)의 피치는 스파이크(36)의 이높이(h')에 대해 4 ~ 8배의 길이를 갖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굽본체부
11: 수용공간 15: 완충패드
20: 실린더유닛
21: 실린더본체 23: 암나사부
24: 밴드고정실린더 25: 원형단차부
27: 외측안착면
30: 스파이크유닛
31: 수나사부 32: 스파이크원판
33: 회전수단 34: 고정홈
35: 스냅링 36: 스파이크
38: 내측안착면
40: 실링밴드

Claims (7)

  1. 삭제
  2.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홀인 수용공간(11)이 배면에 형성되는 굽본체부(10);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실린더본체(21) 및 상기 실린더본체(21)의 내벽에 형성되는 암나사부(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본체(21)가 상기 수용공간(11)에 삽입 고정되는 실린더유닛(20);
    원통형의 수나사부(31) 및 상기 수나사부(31)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파이크원판(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나사부(31)가 상기 암나사부(23)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스파이크원판(32)의 배면에 원형 배열되는 스파이크(36)가 돌출 형성되는 스파이크유닛(30); 및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환부(41)는 상기 실린더본체(21)에 고정되며, 내측환부(43)는 상기 스파이크유닛(30)에 고정되는 실링밴드(4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본체(21)는,
    하부에 밴드고정실린더(2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본체(21)의 하부와 밴드고정실린더(24)가 상호 암수로 삽입되도록 삽입 부위에 원형단차부(25)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단차부(25)의 원주접촉면에 나사(26)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단차부(25)의 상하면인 외측안착면(27)은 곡면(a)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식 아이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31)와 스파이크원판(32)은,
    경계부위 둘레에 고정홈(3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34)에 상기 실링밴드(40)의 내측환부(43)를 배치한 상태에서 스냅링(35)이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식 아이젠.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31)와 스파이크원판(32)은,
    상호 나사 결합하는 형태로 구비되고, 경계부위에 내측안착면(38)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안착면(38)은 곡면 또는 경사면(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식 아이젠.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원판(32)은 배면 중심에 회전수단(3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식 아이젠.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11)과 실린더유닛(20)의 상면 사이에는 완충패드(1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식 아이젠.
  7. 삭제
KR2020140000706U 2014-01-29 2014-01-29 나사식 아이젠 KR200472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706U KR200472865Y1 (ko) 2014-01-29 2014-01-29 나사식 아이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706U KR200472865Y1 (ko) 2014-01-29 2014-01-29 나사식 아이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865Y1 true KR200472865Y1 (ko) 2014-05-27

Family

ID=5149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706U KR200472865Y1 (ko) 2014-01-29 2014-01-29 나사식 아이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8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234B1 (ko) * 2015-11-16 2016-08-31 (주)한성피.엔.씨 착탈 가능한 미끄럼 방지구를 갖는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5903U (ja) * 1983-01-26 1984-08-04 千田 幸悦郎 スパイク付きくつ
JPS615107U (ja) * 1984-06-15 1986-01-13 裕 前田 スパイク付きシユ−ズ
US5956870A (en) * 1997-11-03 1999-09-28 Grossman; Gerald Shoes with retractable spikes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20000033005A (ko) * 1998-11-19 2000-06-15 고경찬 미끄럼 방지 장치를 가진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5903U (ja) * 1983-01-26 1984-08-04 千田 幸悦郎 スパイク付きくつ
JPS615107U (ja) * 1984-06-15 1986-01-13 裕 前田 スパイク付きシユ−ズ
US5956870A (en) * 1997-11-03 1999-09-28 Grossman; Gerald Shoes with retractable spikes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20000033005A (ko) * 1998-11-19 2000-06-15 고경찬 미끄럼 방지 장치를 가진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234B1 (ko) * 2015-11-16 2016-08-31 (주)한성피.엔.씨 착탈 가능한 미끄럼 방지구를 갖는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2557B2 (ja) 婦人靴の細い及び/又は高いヒールの支持スリーブ
KR860000597B1 (ko) 스포츠화 또는 부츠용 밑창
US10244824B2 (en) Heel protector
US7891118B2 (en) Spike assembly for sport shoes
US10420396B2 (en) Heel protector
KR200472865Y1 (ko) 나사식 아이젠
CN107404978B (zh) 带钉的鞋制品
JP6266815B2 (ja) 牽引クリートおよびレセプタクル
US20150196092A1 (en) Enhanced Heel Shoe Attachment Device
KR101891112B1 (ko) 슬리퍼 밴드 연결장치
US20180000199A1 (en) Traction cleat and receptacle
KR20100008363U (ko) 밀착식 앵커
KR101399928B1 (ko) 출몰식 아이젠
KR101509979B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 간의 연결장치
KR101297130B1 (ko) 레일체결장치용 앵커볼트 조립체
US20150135557A1 (en) Buttress for Removable Cleats
KR200463321Y1 (ko) 미끄럼 방지 신발
JP2015134076A (ja) 什器用脚キャップ
CN210153336U (zh) 一种阻水式管箍扣件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JP3746465B2 (ja) 運動靴のスパイク取付け構造
KR20240039487A (ko) 골프화용 스파이크
KR101630770B1 (ko) 외피가 고정되는 부동급수전
JP2017105113A (ja) スタッドタイヤおよびそれを成形するためのモールドピン
JP2001087004A (ja) 樹脂スパイ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