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606Y1 -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606Y1
KR200472606Y1 KR2020130004084U KR20130004084U KR200472606Y1 KR 200472606 Y1 KR200472606 Y1 KR 200472606Y1 KR 2020130004084 U KR2020130004084 U KR 2020130004084U KR 20130004084 U KR20130004084 U KR 20130004084U KR 200472606 Y1 KR200472606 Y1 KR 200472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lind
glass
pattern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김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원 filed Critical 김지원
Priority to KR2020130004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6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1Coloured fluid flow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창틀과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유리로 구성되는 유리창 중, 상기 유리창의 일측면에 접착되어 햇빛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제1무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가장자리에 가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필름;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제2무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2필름; 및 일측면은 상기 제1필름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타측면은 창틀과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유리로 구성되는 유리창 중, 상기 유리의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BLIND}
본 고안은 햇빛을 가리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창에 부착되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실내온도를 낮추기 위해, 블라인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즉, 블라인드는 접혔다 펴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가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유리창으로부터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블라인드를 펼치며, 반대의 경우에는 상기 블라인드를 접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블라인드는, 설치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블라인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블라인드의 프레임을, 창가의 벽면 또는 창틀 프레임에, 못 또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부착해야 한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를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과정의 반대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블라인드의 해체과정 역시 번거롭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번 설치된 블라인드는 쉽게 교체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틀과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유리로 구성되는 유리창 중, 상기 유리창의 일측면에 접착되어 햇빛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제1무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가장자리에 가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필름;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제2무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2필름; 및 일측면은 상기 제1필름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타측면은 창틀과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유리로 구성되는 유리창 중, 상기 유리의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들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제2필름에 부착된 상태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무늬들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무늬들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유리창을 구성하는 유리의 일측면에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가 장착된 유리창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가 장착된 유리창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상태의 블라인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로서, 햇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상태의 블라인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유리로 구성되는 유리창 중, 상기 유리의 일측면에 접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두 장의 얇은 필름 각각에 햇빛을 가릴수 있는 무늬를 도안하고, 상기 두 장의 얇은 필름을 겹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가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두 장의 필름들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지퍼와 유사한 형태의 이동부를 구비됨으로써, 상기 두 장의 필름들 중 어느 하나의 필름이 또 다른 필름의 상단에서 상하로 쉽게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두 장의 필름들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무늬들은, 상기 어느 하나의 필름이 또 다른 필름의 상단에서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서로 겹쳐지거나 또는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어느 하나의 필름을 상하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빛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두께가 얇은 두 장의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창의 유리에 직접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유리창을 열거나 닫을 때, 또 다른 유리창과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유리에 접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길이로 잘라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리창의 크기 및 형태에 상관없이, 다양한 종류의 유리창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제1무늬(11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가장자리에 가이드레일(1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필름(110),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제2무늬(12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가이드레일(130)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1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2필름(120) 및 일측면은 상기 제1필름(11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타측면은 창틀과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유리로 구성되는 유리창 중, 상기 유리의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접착부재(160)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제1필름(110)은, 얇고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무늬(111)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무늬가 될 수 있으나, 상기 제1무늬(111)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무늬(111)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불투명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1무늬(111)의 투명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30)은, 상기 가이드(140)와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1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레일(130)과 상기 가이드(140)는, 현재 지퍼팩 등에 이용되는 지퍼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음식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퍼팩의 입구에는, 상기 입구가 개폐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의 지퍼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퍼는, 암 지퍼와 숫 지퍼로 구성되어, 상기 암 지퍼와 숫 지퍼를 결합시키면 상기 입구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지퍼팩의 경우, 상기 암 지퍼와 숫 지퍼가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필름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암 지퍼 또는 상기 숫 지퍼가 움직일 수는 없다. 그러나, 상기 두 개의 필름이 분리되어 있다면 상기 암 지퍼와 상기 숫 지퍼는 쉽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기 가이드레일(130)과 상기 가이드(140)는 상기 지퍼팩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암 지퍼와 숫 지퍼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 지퍼와 숫 지퍼 이외에도, 상기 가이드레일(130)과 상기 가이드(140)는, 상기 가이드(140)가 상기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2필름(120)은, 얇고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무늬(121)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무늬가 될 수 있으나, 상기 제2무늬(121)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무늬(121)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불투명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2무늬(121)의 투명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무늬(121)는 상기 제1무늬(11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무늬(111)와 상기 제2무늬(121)가 겹쳐지는 경우에는 햇빛을 통과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무늬(111)와 상기 제2무늬(121)가 겹쳐지지 않는 경우에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다면, 상기 제1무늬(111)와 상기 제2무늬(121)의 형태 및 크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제1무늬(111)들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무늬(121)들 역시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40)와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1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접착부재(160)는 양면테이프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양면테이프의 일측면을 상기 제1필름(111)의 배면에 접착시키고, 나머지 타측면을 상기 유리의 일측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160)는 상기 제1필름(110)의 배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물질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착물질은 별도의 커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필름(110)을 상기 유리에 부착하기 전에, 상기 커버를 상기 접착물질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접착물질을 상기 유리의 일측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제2필름(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15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140)들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제2필름(120)에 부착된 상태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50)는 사용자가 상기 제2필름(120)을 상기 제1필름(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필름(120)을 원활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2필름의 양쪽 가장자리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손잡이(15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제2필름(120)을 상기 제1필름(110)의 상단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2필름의 양쪽 가장자리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손잡이(15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제2필름(120)을 상기 제1필름(110)의 하단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가 장착된 유리창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상태의 블라인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가 장착된 유리창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로서, 햇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상태의 블라인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100)는, 창틀(210)과 상기 창틀(210)에 고정되는 유리(220)로 구성되는 유리창 중 상기 유리(220)의 일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제1필름(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무늬(111)와 상기 제2필름(12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무늬(121)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지지 않고 서로 인접된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2필름(120)이 상기 제1필름(1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다면, 상기 유리(220)를 통과한 햇빛은 상기 제1무늬(111)들 및 상기 제2무늬(121)들에 의해 차단되어, 실내로 유입될 수 없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50)를 잡고, 상기 제2필름(120)을 상기 제1필름(110)의 상단으로 이동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배치시키면, 상기 제1필름(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무늬(111)와 상기 제2필름(12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무늬(121)가 서로 겹쳐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유리(220)를 통과한 햇빛은 상기 제1무늬(111)들과 상기 제2무늬(121)들이 겹쳐져 있는 부분을 통과하지는 못하지만,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무늬(111)들 및 상기 제2무늬(121)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간격을 통해 상기 제1필름(110) 및 상기 제2필름(120)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햇빛의 일부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필름(120)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제1무늬(111)들과 상기 제2무늬(121)들의 겹치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무늬(111)들과 상기 제2무늬(121)들이 완전히 겹쳐지도록 하면, 많은 햇빛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제1무늬(111)들과 상기 제2무늬(121)들이 중간 정도만 겹쳐지도록 하면, 중간 정도의 햇빛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를 유리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간편한 방법으로 햇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가 유리창의 유리(220)에 부착되더라도, 상기 유리창의 창틀(210)의 높이를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유리창들이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가 각각의 유리창의 유리(220)에 부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유리창들의 이동시, 상기 블라인드가 창틀(210)에 접촉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창틀의 이동에 어떠한 방해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햇빛의 양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블라인드 110 : 제1필름
120 : 제2필름 130 : 가이드레일
140 : 가이드 150 : 손잡이
160 : 접착부재

Claims (3)

  1.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제1무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가장자리에 가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필름;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제2무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2필름; 및
    일측면은 상기 제1필름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타측면은 창틀과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유리로 구성되는 유리창 중, 상기 유리의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들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제2필름에 부착된 상태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늬들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무늬들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KR2020130004084U 2013-05-23 2013-05-23 블라인드 KR200472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084U KR200472606Y1 (ko) 2013-05-23 2013-05-23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084U KR200472606Y1 (ko) 2013-05-23 2013-05-23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606Y1 true KR200472606Y1 (ko) 2014-05-15

Family

ID=51489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084U KR200472606Y1 (ko) 2013-05-23 2013-05-23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6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8025A1 (ko) * 2014-08-01 2016-02-04 박현수 유리창 부착용 햇빛 차단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9191U (ko) * 1986-04-17 1987-10-27
KR20100100439A (ko) * 2009-03-06 2010-09-15 이창길 가변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9191U (ko) * 1986-04-17 1987-10-27
KR20100100439A (ko) * 2009-03-06 2010-09-15 이창길 가변 블라인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8025A1 (ko) * 2014-08-01 2016-02-04 박현수 유리창 부착용 햇빛 차단 장치
KR20160016072A (ko) * 2014-08-01 2016-02-15 박현수 유리창 부착용 햇빛 차단 장치
KR101636249B1 (ko) 2014-08-01 2016-07-05 박현수 유리창 부착용 햇빛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9426B1 (en) Window shading assembly
US20200190901A1 (en) Light-redirecting window covering
US20120193038A1 (en) Window shade assembly and side channel therefor having light-absorbing surface
RU2012138563A (ru) Система направлени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стекла
US9475370B2 (en) Sunroof window assembly for vehicle
AU2018404905B2 (en) Light-block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GB2481846A (en) Window unit with variable viewing sheets
JP6118642B2 (ja) ロールシェード装置
KR200472606Y1 (ko) 블라인드
US2510845A (en) Window sill protector
JP6027237B2 (ja) 自動車用スライディングヘッドライナ
JP2014234018A (ja) ロールシェード装置
JP2015187372A (ja) 日射遮蔽装置の遮光構造
KR101636249B1 (ko) 유리창 부착용 햇빛 차단 장치
JPWO2012090319A1 (ja) 遮光装置
JP2016211233A (ja) 断熱性を有する窓の遮蔽構造
KR20130006567U (ko) 미닫이 창호문의 레일 방풍재
CN216767227U (zh) 一种玻璃调光装置
KR20170089166A (ko) 창문 가리개 및 상기 창문 가리개를 포함하는 유리창 부착용 햇빛 차단 장치
CN210748648U (zh) 一种升降式窗帘用遮蓬盖扣
JP3088338U (ja) 可動式遮光プレートスクリーン
KR102278145B1 (ko) 미닫이 도어 및 도어 손잡이
US20170008380A1 (en) Foldable adjustable sun shade for vehicle side window
CN211819133U (zh) 具有遮挡条的遮阳窗帘
JP6928701B2 (ja) 複合機能フィルム内窓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1

Year of fee payment: 6